KR20000017550U - 메시지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리모콘 - Google Patents

메시지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리모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550U
KR20000017550U KR2019990003086U KR19990003086U KR20000017550U KR 20000017550 U KR20000017550 U KR 20000017550U KR 2019990003086 U KR2019990003086 U KR 2019990003086U KR 19990003086 U KR19990003086 U KR 19990003086U KR 20000017550 U KR20000017550 U KR 200000175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remote control
function
video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90003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7550U/ko
Publication of KR200000175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550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시지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 다기능 리모콘은 무선 및 유선을 통해 통신을 하기 위한 수단임으로서 티브이 전원이 오프 상태로 유지하고 있으면 리모콘을 통해 티브이의 전원 및 그 외 모든 기능을 제어함으로서 티브이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등에 의해 프로그램명이나 프로그램 예약 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으나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티브이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기능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다기능 리모콘을 통해 음성 또는 유선 메시지를 입력하고 설정된 시간이후 티브이 전원이 온 상태로 되면 선국된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화면 또는 스피커를 통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서 메시지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메시지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리모콘{MULTI-REMOTR COMTROLLER HAVE A MESSAGE FUNCTION}
본 고안은 메시지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기능 리모콘을 통해 음성 또는 유선 메시지를 입력하고 설정된 시간이후 티브이 전원이 온 상태로 되면 선곡된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화면상으로 표시전에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한 메시지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리모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콘은 무선이나 유선으로 원거리에 떨어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가정에서는 티브이의 채널 및 그 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티브이 리모콘이 대표적이다.
칼라 티브이가 1953년 소개된 이후 디지털 티브이가 기존의 티브이 개념을 뒤바꿀 정도로 기술혁명으로 다가오고 있다. 또한 통신선로도 기존의 공중파는 티브이로, 공중망도 PC로 연결된다는 개념이 정보 고속도로의 개통에 따라 하나의 선로로 통합될 예정이다. 이에 티브이는 기존의 수동적인 방송수신의 개념을 벗어나 PC기능을 포함한 다양하고 능동적인 기능을 보유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대응하여 능동적인 기능과 독립적인 통신시스템을 보유한 다기능의 리모콘이 대두 될 것이다.
여기서 이와같은 다기능 리모콘은 기존의 단방향 통신에서 벗어나 양방향 무선통신 예를들어 적외선방식 및 RF방식을 통한 단거리 전용 통신과, RS-232를 통해 전화선에 직접 연결하여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통신수행을 할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설계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기본적으로 티브이 프로그램 수신 및 예약과 함께 리모콘에 내장된 씨디롬이나 디브이디의 데이터를 재생 출력한다. 또한, 스키커 및 이어폰을 내장하여 자체적으로 오디오 출력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다기능 리모콘은 가정에서 홈 오토메이션 기능과 연계하여 가정내의 가전제품을 통합적으로 제어함은 물론 화상전화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와같은 다기능 리모콘을 통한 화상통화라 함은 외부 접속부를 통해 카메라가 접속됨으로서 사용자는 리모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상대방의 모습을 보면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존 별도의 모니터나 티브이를 통해 화상통신을 행할 때 보다 이동성이 증대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화상통신은 실시간에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다기능 리모콘을 통해 메시지를 실시간 또는 일정시간 후에 티브이로 출력하는 방법이 없어 결국 기능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다기능 리모콘은 무선 및 유선을 통해 통신을 하기 위한 수단임으로서 티브이 전원이 오프 상태로 유지하고 있으면 리모콘을 통해 티브이의 전원 및 그 외 모든 기능을 제어함으로서 티브이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등에 의해 프로그램명이나 프로그램 예약 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으나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티브이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기능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와같은 다기능 리모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기능 리모콘을 통해 공지사항 등의 메시지를 입력하면 일정시간 저장 후 티브이 전원이 온 상태로 되어 설정된 채널을 시청하고자 할 때 리모콘이 기 저장된 영상 및 음성메시지를 티브이로 전송함으로서 티브이를 통해 영상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 메시지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리모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티브이와 다기능 리모콘이 양방향 통신 접속된 상태에서 영상 메시지 모드가 설정되는지를 감지하는 수단과; 이 감지수단에서 영상메시지 모드로 감지됨으로 입력되는 영상 메시지를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서 영상메시지가 아닌 음성메시지 모드로 감지됨으로 입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영상메세지 저장수단 및 음성메세지 저장수단에서 메시지가 저장된 후 일정한 타이머 동작으로 티브이의 전원상태를 감지하는 수단과; 이 전원감지수단에서 티브이 전원을 온 상태로 조작함으로 감지되면 기 저장된 음성이나 영상 메시지를 출력하는 수단과; 이 메시지 출력수단에서 메시지의 출력이 종료됨에 따라 설정된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리모콘의 메시지 송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성 및 영상 메시지 송신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입력부 200 : 제어부
300 : 무선통신부 400 : 유선통신부
500 : 디스플레이 600 : 데이터저장부
700 : 데이터입력부 800 : 스피커
900 : 티브이시스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리모콘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0),제어부(200),무선통신부(300),유선통신부(400),디스플레이(500),데이터저장부(600),데이터 입력부(700) 및 스피커(800)로 이루어진다.
입력부(100)는 다기능 리모콘을 구동하기 위한 설정신호를 후술될 제어부(200)로 입력하기 수단으로 마우스, 키보드 및 버튼 등으로 이루어진다.
제어부(200)는 입력부(100)를 통해 설정된 신호에 의해 메시지 송출에 따른 동작을 포함한 다기능 리모콘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무선통신부(30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입력된 영상 및 음성데이터를 후술될 티브이시스템(900)으로 인가한다. 데이터 저장부(60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유선통신부(400) 및 무선통신부(300)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입력부(700)는 내장된 씨디롬등의 기타 저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한다.
디스플레이(50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다기능 리모콘의 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스피커(800)는 제어부(200)에 의해 기 저장된 신호 처리된 음성데이터를 오디오의 형태로 출력한다.
유선통신부(400)는 외부의 유선망과 접속되어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입출력한다. 그리고 티브이시스템(900)은 다기능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채널의 선국 및 메시지인 음성 및 화면을 외부로 출력한다.
한편, 이와같은 구성에 따른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메시지 출력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거리내에 위치한 티브이 시스템과 통신 접속된 다기능 리모콘의 초기상태(S1)는 영상 메시지모드 판단단계(S2)로 진행하여 영상 메시지 모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이 영상 메시지모드 판단단계(S2)에서 판단한 결과 리모콘이 영상 메시지 모드로 설정됨으로 판단되면 메시지창 표시단계(S3)로 진행한다. 이에 이 메시지창 표시단계(S3)는 현재의 화면을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창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영상메시지 입력단계(S4)로 진행한다. 그러면 이 영상메시지 입력단계(S4)에서는 전자펜이나 키보드를 통해 작성된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처리 하고 영상메시지 저장단계(S5)로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타이머 동작단계(S9)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영상 메시지모드 판단단계(S2)에서 판단한 결과 리모콘이 영상 메시지 모드가 아님으로 판단되면 음성 메시지모드 판단단계(S6)로 진행한다. 그러면 이 음성 메시지모드 판단단계(S6)에서 다기능 리모콘이 음성 메시지모드로 설정됨으로 판단되면 음성메시지 입력단계(S7)로 진행한다. 이에 음성메시지 입력단계(S7)에서는 외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처리하고 음성메시지 저장단계(S8)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이 음성메시지 저장단계(S8)에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신호 처리된 음성데이터를 저장하고 타이머동작단계(S9)로 진행한다.
여기서 타이머 동작단계(S9)는 사용자가 음성이나 영상을 저장하고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최소한의 시간을 설정함에 따른 타이머 동작을 수행하고 티브이제어 판단단계(S10)로 진행한다. 그러면 이 티브이제어 판단단계(S10)에서 판단한 결과 리모콘을 통해 티브이 제어를 위한 조작이 이루어짐으로 판단되면 메시지출력단계(S11)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이 메시지 출력단계(S11)에서는 리모콘으로부터 기 저장된 데이터를 티브이로 송신함으로서 티브이의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메시지가 출력되고 선국채널 출력단계(S12)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이 선국채널 출력단계(S12)에서는 송신된 메시지의 출력이 완료되면 다기능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방송채널이나 외부신호를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하고 본 루프를 종료한다.
즉, 사용자가 다기능 리모콘(A)의 입력부(100)를 통해 영상메시지 모드를 설정하면 그에따른 설정신호는 제어부(200)로 인가된다. 그러면 이 제어부(2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500)는 메시지 창으로 변환된다. 이때 이 메시지 창을 통해 입력부(100)를 통해 문자화된 메시지 예를들어 " 큰 집에 급한 일로 집을 비운다."라는 문자를 입력한다. 그러면 이 문자는 제어부(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저장부(600)에 저장된다. 이때 제어부(200)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동안 타이머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 타이머 동작 시간은 메시지를 받고자하는 사람이 리모콘 동작을 수행할 예상시간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와같이 타이머 동작이 종료된 후 사용자에 의해 다기능 리모콘에서 임의의 키나 버튼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무선통신부(300)와 통신 접속된 티브이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소정의 제어신호를 데이터저장부(600)에 인가한다. 그러면 이 데이터저장부(600)에 기 저장된 영상데이터는 신호 처리한 후 무선통신부(300)을 통해 티브이시스템(900)으로 인가된다. 이에 온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티브이시스템(900)으로 인가된 영상데이터는 신호처리후 미 도시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다. 여기서 화면 출력되는 데이터는 최초 다기능 리모콘을 통해 입력한 문자가 표시된다.
이후 이와같은 영상 메세지가 일정시간 디스플레이된 후 티브이시스템(900)은 사용자가 다기능 리모콘을 통해 설정한 모드에 따라 방송 화면을 출력하거나 입력데이터에 의한 화면을 출력한다.
여기서 티브이시스템(9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된 영상 메시지는 사용자의 확인을 정확히 하고자 다기능 리모콘을 통해 확인모드키가 설정될 때까지 화면출력을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를 입력부(100)를 설정함에 따라 미 도시된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영상메시지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함으로서 결국 티브이시스템(900)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메시지는 출력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다기능 리모콘을 통해 음성 또는 유선 메시지를 입력하고 설정된 시간이후 티브이 전원이 온 상태로 되면 선국된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화면 또는 스피커를 통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서 메시지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티브이와 다기능 리모콘이 양방향 통신 접속된 상태에서 영상 메시지 모드가 설정되는지를 감지하는 수단과;
    이 감지수단에서 영상메시지 모드로 감지됨으로 입력되는 영상 메시지를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서 영상메시지가 아닌 음성메시지 모드로 감지됨으로 입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영상메세지 저장수단 및 음성메세지 저장수단에서 메시지가 저장된 후 일정한 타이머 동작으로 티브이의 전원상태를 감지하는 수단과;
    이 전원감지수단에서 티브이 전원을 온 상태로 조작함으로 감지되면 기 저장된 음성이나 영상 메시지를 출력하는 수단과;
    이 메시지 출력수단에서 메시지의 출력이 종료됨에 따라 설정된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리모콘.
KR2019990003086U 1999-02-27 1999-02-27 메시지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리모콘 KR200000175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086U KR20000017550U (ko) 1999-02-27 1999-02-27 메시지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리모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086U KR20000017550U (ko) 1999-02-27 1999-02-27 메시지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리모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550U true KR20000017550U (ko) 2000-09-25

Family

ID=5475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086U KR20000017550U (ko) 1999-02-27 1999-02-27 메시지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리모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755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315B1 (ko) * 2018-08-14 2019-12-04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음성 메모 기능을 구비한 리모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315B1 (ko) * 2018-08-14 2019-12-04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음성 메모 기능을 구비한 리모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98086A1 (en) Mobile Phone and Incoming Alerting System
EP34871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ata in a wireless terminal with normal video communication mode and image mute mode
US20120263477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Electronic Products
JP2006180032A (ja) 画質調整装置および画質調整装置を有する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00017542U (ko)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방송프로그램 예약 제어장치
KR20000017550U (ko) 메시지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리모콘
US20110154430A1 (en) Image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home network system
JP2002252884A (ja) ワイヤレスリモコン
KR100366364B1 (ko) 전화를 이용한 텔레비젼 세트 제어방법 및 장치
JP3297691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機、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719850B2 (ja)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00017546U (ko)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티브이 채널 탐색장치
KR20000017549U (ko)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음성메시지 확인시스템
KR101076975B1 (ko) 리모컨 장치
KR20000017554U (ko)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방문자 확인 시스템
KR20000017534U (ko)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화상전화시 화상표시장치
JPH075745Y2 (ja) 遠隔制御装置の動作制御回路
KR101062200B1 (ko)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 시스템 및 정보처리장치의제어방법
JP3466473B2 (ja) 機器用リモコンシステム
JPH08191352A (ja) 制御端末装置
JPH10336772A (ja) 情報処理機器用メッセージ伝送システム
JPH0718198Y2 (ja) リモコン付き電話機
JPH11355682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9990002812A (ko) 전화의 수신 및 통화기능을 갖는 티.브이.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JP4995678B2 (ja) 音声映像機器遠隔制御システム、遠隔制御装置、遠隔制御用集積回路および遠隔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