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534U -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화상전화시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화상전화시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534U
KR20000017534U KR2019990003070U KR19990003070U KR20000017534U KR 20000017534 U KR20000017534 U KR 20000017534U KR 2019990003070 U KR2019990003070 U KR 2019990003070U KR 19990003070 U KR19990003070 U KR 19990003070U KR 20000017534 U KR20000017534 U KR 200000175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video
video call
communic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영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90003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7534U/ko
Publication of KR200000175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534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화상전화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기능 리모콘을 통해 무선통신에 의한 티브이 제어중에 유선망을 통해 화상전화가 걸려오면 현재 티브이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고 있으므로 결국 화상전화가 불가능하였고, 또한 화상통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티브이 수신상태를 오프하고 티브이를 통해 화상 및 음성을 출력되도록 해야함으로 결국 티브이와 화상통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다기능 리모콘을 통해 티브이를 제어하여 방송프로그램을 시청중에 유선망을 통해 화상통신 상태가 되면 현재의 티브이를 통해 방송화면은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리모콘의 표시부를 통해 화상통신에 따른 상대방의 화면과 음성을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화상전화시 화상표시장치{APPARATUS FOR DISPLAYING THE PICTURE WHEN TAKING PICTURE-TELEPHONE USING THE MULTI-REMOTE CONTROLLER}
본 고안은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화상전화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방향 무선통신을 통해 티브이와 접속된 다기능 리모콘이 티브이 제어동작을 수행중에 유선을 통해 화상전화가 걸려오면 티브이의 오디오를 뮤트시키고 리모콘의 표시부를 통해 화상전화에 따른 상대방의 모습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화상전화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콘은 무선이나 유선으로 원거리에 떨어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가정에서는 티브이의 채널 및 그 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티브이 리모콘이 대표적이다.
칼라 티브이가 1953년 소개된 이후 디지털 티브이가 기존의 티브이 개념을 뒤바꿀 정도로 기술혁명으로 다가오고 있다. 또한 통신선로도 기존의 공중파는 티브이로, 공중망도 PC로 연결된다는 개념이 정보 고속도로의 개통에 따라 하나의 선로로 통합될 예정이다. 이에 티브이는 기존의 수동적인 방송수신의 개념을 벗어나 PC기능을 포함한 다양하고 능동적인 기능을 보유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대응하여 능동적인 기능과 독립적인 통신시스템을 보유한 다기능의 리모콘이 대두 될 것이다.
여기서 이와같은 다기능 리모콘은 기존의 단방향 통신에서 벗어나 양방향 무선통신 예를들어 적외선방식 및 RF방식을 통한 단거리 전용 통신과, RS-232를 통해 전화선에 직접 연결하여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통신수행을 할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설계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기본적으로 티브이 프로그램 수신 및 예약과 함께 리모콘에 내장된 씨디롬이나 디브이디의 데이터를 재생 출력한다. 또한, 스키커 및 이어폰을 내장하여 자체적으로 오디오 출력을 행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기능 리모콘은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과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기능 및 프로그램에 따른 상황를 표시하는 표시창(T1)이 구비되고, 외부의 전환라인과 통신 접속하기 위한 유선접속구(T2)와, 외부로 신호처리된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창(T3)이 구비된다. 그리고 씨디나 디브이디를 입력하기 위한 접속구(T4)와, 다기능 리모콘의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T5)와, 외부 장치와 통신 접속하기 위한 외부통신 접속구(T6)등이 다수개 설치된다. 그리고 양방향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안테나(T7)가 일측에 설치된다.
한편, 이와같은 다기능 리모콘은 가정에서 홈 오토메이션 기능과 연계하여 가정내의 가전제품을 통합적으로 제어함은 물론 화상전화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와같은 다기능 리모콘을 통한 화상통화라 함은 외부 접속부를 통해 카메라가 접속됨으로서 사용자는 티브이를 통해 출력되는 상대방의 모습을 보면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존 별도의 모니터나 티브이를 통해 화상통신을 행할 때 보다 이동성이 증대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다기능 리모콘을 통해 무선통신에 의한 티브이 제어중에 유선망을 통해 화상전화가 걸려오면 현재 티브이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고 있으므로 결국 화상전화가 불가능하였고, 또한 화상통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티브이 수신상태를 오프하고 티브이를 통해 화상 및 음성을 출력되도록 해야함으로 결국 티브이와 화상통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와같은 다기능 리모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양방향 무선통신을 통해 티브이와 접속된 다기능 리모콘이 티브이 제어동작을 수행중에 유선을 통해 화상전화가 걸려오면 티브이의 오디오를 뮤트시키고 리모콘의 표시부를 통해 화상전화에 따른 상대방의 모습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화상전화시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티브이와 다기능 리모콘이 양방향 무선통신 접속되고 유선망을 통해 통신 접속하는 통신접속 수단과, 이 통신접속 수단에서 무선통신망을 통해 티브이를 시청모드로 제어하고 해당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정보를 리모콘을 통해 확인하는 수단과, 이 확인수단에서 티브이를 시청중에 유선망을 통해 화상통신이 접속되는지를 판단하는 수단과, 이 판단수단에서 판단한 결과 화상전화를 위한 통신이 점속됨으로 판단되면 티브이로 출력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영상출력은 그대로 유지하고 오디오만 뮤트시키는 수단과, 이 뮤트수단에서 티브이의 제어후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리모콘을 통해 디스플레이 하여 화상전화 모드를 수행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다기능 리모콘의 외관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리모콘의 화상통화 동작을 설명하는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상표시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입력부 200 : 제어부
300 : 무선통신부 400 : 유선통신부
500 : 표시부 600 : 데이터저장부
700 : 외부데이터입력부 800 : 티브이 시스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리모콘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부(100),제어부(200),무선통신부(300),유선통신부(400),표시부(500),데이터저장부(600) 및 외부데이터 입력부(7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선통신부(400)는 컴퓨터 및 전화선과 연결되어 영상 및 음성데이티의 입출력 동작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300)는 티브이 시스템(800)과 양방향 무선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입력부(100)는 다기능 리모콘을 구동하기 위한 설정신호를 후술될 제어부(200)로 입력하기 수단으로 마우스,키보드 및 버튼등으로 이루어진다.
제어부(200)는 입력부(100)를 통해 설정된 신호에 의해 티브이 시스템(800)을 포함한 화상통신등의 전반적인 다기능 리모콘의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통신부(30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입력된 영상 및 음성데이터를 후술될 티브이시스템(800)으로 인가한다. 데이터저장부(60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유선통신부(400) 및 무선통신부(300)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 데이터와 입력부(100)를 통해 작성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입력부(700)는 내장된 씨디롬등의 기타 저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한다.
그리고 표시부(50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다기능 리모콘의 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티브이시스템(800)은 다기능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채널의 선국, 메시지인 음성 및 화면을 외부로 출력한다.
한편, 이와같은 구성에 따른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화상통화시 화상표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거리내에 위치한 티브이 시스템과 통신 접속된 다기능 리모콘의 초기상태(S1)는 유선접속 동작단계(S2)로 진행하여 유선망을 통해 접속 동작을 수행하고 티브이 시청모드 판단단계(S3)로 진행한다. 그러면 이 티브이 시청모드 판단단계(S3)에서 판단한 결과 리모콘을 통한 티브이 시청에 따른 모드가 설정됨으로 판단되면 해당프로그램 제어단계(S4)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이 해당프로그램 제어단계(S4)에서는 티브이를 통해 프로그램을 시청 및 리모콘을 통해 프로그램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외부 유선신호 입력판단단계(S5)로 진행한다. 이에 외부 유선신호 입력 판단단계(S5)에서 판단한 결과 무선 통신을 통해 티브이 시청중에 유선을 통한 통신신호가 입력됨으로 판단되면 화상통신 판단단계(S6)로 진행한다.
따라서, 이 화상통신 판단단계(S6)에서 판단한 결과 유선으로 입력된 신호가 화상통신을 위한 데이터로 판단되면 티브이음성 뮤트단계(S7)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이 티브이음성 뮤트단계(S7)에서는 티브이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를 뮤트시키고 화상통신데이터 입력단계(S8)로 진행한다. 따라서 이 화상통신데이터 입력단계(S8)에서는 입력되는 화상 및 음성을 신호처리하고 화상통신데이터 출력단계(S9)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이 화상통신데이터 출력단계(S9)에서는 신호 처리된 화상을 리모콘의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고 음성은 자체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본 루프를 종료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다기능 리모콘의 조작으로 티브이를 시청중 화상전화를 위한 데이터가 유선을 통해 수신되어도 티브이의 자체적인 영상화면은 그대로 출력되고 리모콘의 표시부를 통해 화상화면과 자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방법은 사용자가 입력부(100)를 통해 티브이 조작에 따른 설정신호를 인가하면 그에따른 설정신호는 제어부(200)로 인가된다. 이에 이 제어부(200)는 해당 제어신호를 무선통신부(300)로 인가한다. 그러면 이 무선통신부(300)는 티브이 구동을 위한 신호를 송출하고, 이 송출된 신호를 인가받은 티브이시스템(800)은 해당 방송채널을 선국 및 신호 처리하여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및 음성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기능 리모콘을 통해 설정한 방송이 티브이시스템(800)을 통해 출력되는 것이다.
이때, 다기능 리모콘에 유선 즉, 전화선을 통해 외부의 신호가 감지되면 그에따른 신호는 제어부(200)로 인가된다. 이때 이 제어부(200)에서 인가된 신호를 판단 결과 소정의 화상전화를 위한 외부신호로 판단되면 먼저, 소정의 제어신호를 무선통신부(300)에 인가한다. 이에 이 무선통신부(300)로부터 송출된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티브이시스템(800)은 현재 시청중인 방송프로그램의 영상은 그대로 출력을 유지한 채 음성출력을 뮤트상태로 된다.
한편, 유선통신부(400)를 통해 인가되는 화상통신 데이터는 각각 신호처리 된 후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화상은 표시부(500)를 통해 출력되고 음성은 미도시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티브이를 통해 출력되는 현재의 방송프로그램을 인지한 상태에서도 리모콘의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상 및 음성을 통해 화상 통화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다기능 리모콘을 통해 티브이를 제어하여 방송프로그램을 시청중에 유선망을 통해 화상통신 상태가 되면 현재의 티브이를 통해 방송화면은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리모콘의 표시부를 통해 화상통신에 따른 상대방의 화면과 음성을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티브이와 다기능 리모콘이 양방향 무선통신 접속되고 유선망을 통해 통신 접속하는 통신접속 수단과;
    통신접속 수단에서 무선통신망을 통해 티브이를 시청모드로 제어하고 해당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정보를 리모콘을 통해 확인하는 수단과;
    이 확인수단에서 티브이를 시청중에 유선망을 통해 화상통신이 접속되는지를 판단하는 수단과;
    이 판단수단에서 판단한 결과 화상전화를 위한 통신이 점속됨으로 판단되면 티브이로 출력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영상출력은 그대로 유지하고 오디오만 뮤트시키는 수단과;
    이 뮤트수단에서 티브이의 제어후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리모콘을 통해 디스플레이 하여 화상전화 모드를 수행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화상전화시 화상표시장치.
KR2019990003070U 1999-02-27 1999-02-27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화상전화시 화상표시장치 KR200000175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070U KR20000017534U (ko) 1999-02-27 1999-02-27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화상전화시 화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070U KR20000017534U (ko) 1999-02-27 1999-02-27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화상전화시 화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534U true KR20000017534U (ko) 2000-09-25

Family

ID=5475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070U KR20000017534U (ko) 1999-02-27 1999-02-27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화상전화시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753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897A (ko) * 2002-09-05 2004-03-11 주식회사 비티비테크놀로지 차세대 홈 네트워크 무선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897A (ko) * 2002-09-05 2004-03-11 주식회사 비티비테크놀로지 차세대 홈 네트워크 무선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4996B2 (en) Video/audio output device and external speaker control apparatus
KR20000017542U (ko)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방송프로그램 예약 제어장치
KR100228733B1 (ko) 영상/음성 출력기기의 영상/음성 모드 제어방법
JP2007110391A (ja) 放送受信機
KR20000017534U (ko)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화상전화시 화상표시장치
KR20000017546U (ko)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티브이 채널 탐색장치
KR0174889B1 (ko) 전원오프시 방송 프로그램 안내기능을 가진 텔레비젼 수신장치 및 전원오프시 방송 프로그램 안내방법
KR101044064B1 (ko) 리모컨 겸용 인터넷 전화기를 일체로 구비한 셋탑박스장치 및 서비스 방법
KR19990042203A (ko) 티브이의 방송 수신장치 및 방법
KR200267786Y1 (ko) 다기능 디지탈 티에프티 엘시디 텔레비젼
KR19990050604A (ko) 화상전화기능을 갖춘 텔레비전의 외부입력신호 전송방법
KR200176784Y1 (ko) 전화선을 이용한 텔레비젼과 컴퓨터 연결 장치
KR20000017544U (ko)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캡션자막 표시장치
KR20050056409A (ko) 인터폰 기능을 갖는 티브이
KR20050000252A (ko) 영상표시기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0992052B1 (ko) 디지털 tv
KR20000017550U (ko) 메시지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리모콘
KR19980028845U (ko) 인터폰 기능이 구비된 텔레비전 수상기
KR10065307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016883U (ja) 映像電子機器の外部入力選択装置
KR20070058925A (ko)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JPH06319173A (ja) 電話器兼用リモコン
KR20000017565U (ko) 텔레비젼 리모콘 시스템
KR20050000086A (ko) 텔레비젼을 이용한 주변기기 통합제어방법
JP2005109593A (ja) テレビ放送受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