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094A - 단추구멍을 위한 슬리트 개구를 만들기 위한 절개장치 - Google Patents

단추구멍을 위한 슬리트 개구를 만들기 위한 절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094A
KR20000017094A KR1019990032065A KR19990032065A KR20000017094A KR 20000017094 A KR20000017094 A KR 20000017094A KR 1019990032065 A KR1019990032065 A KR 1019990032065A KR 19990032065 A KR19990032065 A KR 19990032065A KR 20000017094 A KR20000017094 A KR 20000017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lits
incision
tool part
cu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포팔라버나드
묄렌캠프크리스챤
Original Assignee
후란쯔 말그라프, 엑카르트 로렌쯔-메이어
뒬코프 아들러 악틴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란쯔 말그라프, 엑카르트 로렌쯔-메이어, 뒬코프 아들러 악틴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후란쯔 말그라프, 엑카르트 로렌쯔-메이어
Publication of KR20000017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0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25/00Appliances or methods for marking-out, perforating or making buttonho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2Slitting or groov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공구부품들(8;62)을 가지며, 이들은 하나의 개방위치에서는 서로 떨어져 있으며 그리고 작용 위치에서는 서로 물려질 수 있으며 여기서 그 하나의 공구부품(8)은 하나의 블록(32)을 가지며 다른 공구부품(61)은 절개모서리(63)를 가지며, 여기서 줄로서 형성된 블록(32)은 슬리트에 수용되어 있으며 그리고 클램핑장치로 고정되어 있으며 가공편(65)에서 단추구멍을 위한 슬리트 개구를 생성하기 위한 절개장치(6)에 관한 것이다. 이 절개장치(6)를 가지고서는 블록절개-방식에서 가공편에서 슬리트 개구의 제작을 할 수 있다. 이 절개장치(6)는 블록(32)의 제거 및 다른 나이프의 삽입에 의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교체에 의하여 슬리트 절개-방식으로 가공편(65)에서 슬리트 개구를 실시하는데 적합하다.

Description

단추구멍을 위한 슬리트 개구를 만들기 위한 절개장치{CUTTING DEVICE FOR GENERATING A SLIT OPENING FOR A BUTTONHOLE}
본 발명은 단추구멍을 위한 슬리트 개구를 만들기 위한 절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추구멍 재봉기에서 상기한 종류의 절개장치는 뒬코프 아들러 아게 576, 간행물 요목 0002 009122 2470 D/GB 12/97라는 제목의 소책자로 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 단추구멍을 위한 슬리트 개구는 2개의 작업방식, 즉 슬리트-절개 방식 또는 블록-절개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공정을 위하여는 2개의 공구 부품들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슬리트 절개방식에서 슬리트 절개는 가공편이 지지판 위에 놓여 있는 그러한 지지판의 슬리트 속으로 들어가는 나이프에 의하여 만들어 진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블록 절개는 소위 절개 블록의 평탄한 가공표면 상에 나이프를 위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만들어지며 여기서 상기한 나이프는 가공표면상에 놓여 있는 가공편을 관통하며 그리고 이 경우에 슬리트 개구를 생성한다. 절개되어질 각각의 가공편의 재료특성 여하에 따라서 하나의 절개방식 또는 다른 절개 방식이 사용된다.
상기한 공지된 절개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절개방식으로 부터 다른 방식으로의 변환은 공구부품들을 교환하는 것에 의하여 즉 각각의 방식에 대한 소속된 공구부품들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가능하다. 움직일 수 있는 공구부품들은 문제없이 교체되어 질 수 있는 반면에 절개 또는 지지표면을 교환하는 것은 비용과 시간면에서 상당한 지출을 포함한다. 이것은 나사 절삭장치를 포함하는 다수의 부품들로된 담체판이 교체되지 않으면 안된다는 사실 때문이다. 따라서 하나의 절개방식 또는 다른 방식을 실시하기 위하여는 이를 위하여 필요한 공구부품들을 저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는 반대로 하나의 절개방식 또는 다른 절개방식을 위하여 장비되어진 고객의 단추구멍 재봉기가 변환되어져야 한다면 이것은 공구부품들을 일정한 조달시간과 비용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응하는 공구부품이 현존하거나 또는 구입되어 진다면 비로서 가능하다.
공지된 절개장치의 또다른 단점은 담체판 내에 있는 슬리트 속에 절개블록을 고정하거나 또는 수용하는 것으로 부터 나타난다. 상기한 슬리트와 절개블록은 상기 절개블록이 큰 힘에 의하여 슬리트 내로 손으로 눌려져야 하고 그리고 역시 손으로 큰힘에 의하여 밖으로 눌려져 나가지 않으면 안되도록 그러한 방법으로 크기가 정하여 진다. 이를 위해서, 절개블록은 모서리 제거부에 의하여 중간 공간이 절개블록의 측방에 형성되는 그러한 모서리 제거부들이 형성된다. 상기한 방법으로는 가공편의 다만 하나의 좋은 클램핑 위치가 가능하며 그 결과로 스팃치줄들 사이의 절개의 정확한 자리잡음에 관한 품질이 영향 받게 된다.
상기한 타입의 부착에 의하여, 즉 절개 블록에 제공된 모서리 제거부들로 인하여는 사용된 절개블록의 필요하여진 측방의 파지를 제공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상기의 문제는-공지된 절개장치에서 그 경우인 것과 같이-절개블록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그리고 관통하는 나이프로 인하여 때이른 갈라짐에 관한 위험이 존재할때 특히 중대하다.
담체판에 의하여 수취된 플라스틱 블록은 그의 각 단부들에서 자유 절개부를 가지고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결과로 일측방에서 갈라져 있는 절개 블록의 재사용은 하나의 다른 위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제한되어 있다. 즉 다만, 2개의 사용 가능한 위치들이 있다. 따라서 예비부품으로서 충분한 절개블록들의 이용 가능성이 계획되어지지 않으면 안된다.
비용이 많이드는 구성품들을 피하면서, 구성품들의 유용한 수명의 동시의 증가와 함께, 그리고 슬리트 개구의 증가된 품질과 함께, 슬리트 절개방식 또는 블록절개방식에 의한 작업방식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방법으로 상기 공지된 절개장치를 계속개발하는 과제가 본 발명에게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은 청구범위 제 1항의 상위개념에 의한 장치에서, 이것은 특징부의 특징들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을 가지고서는 단일한 담체판을 사용하면서, 즉 양 방식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담체판을 사용하면서 슬리트 절개-방식 또는 블록 절개-방식의 실시를 위하여 공구부품들의 교체를 간단한 방법으로 가능하게 하는 절개장치가 주어진다. 슬리트-절개방식에서는 가공편에 대한 지지부로서 그리고 블록-절개방식에서는 절개블록을 수취할 수 있는 슬리트의 이중 사용이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용이하고 그리고 낮은 비용으로 생산되어 질 수 있는 절개블록을 초래하며, 힘이 가해지는 장소에서 가까이 측방으로 지지되므로 그래서 관통하는 대향긍구로 인한 때이른 갈라짐에 대하여 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더구나 슬리트 내에 수취된 절개블록은 가공편에 대한 연속적인 지지부를 가지는 구조를 가져온다. 그래서 가공편의 최적의 클램핑이 가능하며 그 결과로 정확하게 위치하여 질 수 있는 슬리트 개구들이 만들어 질 수 있다.
청구범위 제 2항에 의한 계속 형성은 제 2 의 사용위치에서의 절개블록의 계속 사용을 허용한다. 제 3항에 의한 슬리트의 그리고 블록의 형상을 가지고는 4개 위치에서 블록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서 절개블록 예비품들에의 의존이 경감되며 그러한 예비품에 대한 경비가 절감된다.
청구범위 제 4항의 특징들을 가지는 절개장치의 계속형성은 절개블록의 사용수명에서의 증가를 가져온다. 청구범위 제 5항의 특징을 가지고서는 측방의 장력 그리고 이것에 의하여는 슬리트 내에 절개블록에 대한 최적의 지지가 이루어지며, 그 결과로 이 절개장치는 대단히 효과적으로 그리고 정확하게 작용을 한다. 또 절개 블록의 클램핑에 의한 고정은 절개블록의 제거 또는 삽입을 더 용이하게 만드는 이점을 갖는다.
청구범위 제 6항에 의한 계속 형성은 나이프의 사용수명의 증가를 가져온다. 제 7항에 의한 구성은 슬리트로 부터 절개블록의 제거의 경우에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져온다. 제 8항에 의한 에젝터의 구성은 그렇지 않으면 기계에 존재하는 공구를 사용하여 유리한 구조형태를 가져온다. 또 보충적으로 독일 실용신안 DE 7634 151이 참조되며 여기서는 슬리트 절개-방식으로 또는 블록절개-방식으로 슬리트 개구의 형성을 위하여 공구부품들을 갖추고 있는 절개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이 공보로 부터는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과제를 해결할 어떤지시도 얻을 수 없다.
도 1은 절개장치를 가지는 단추구멍 재봉기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서 본 상기 절개장치의 하부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Ⅲ-Ⅲ 절단선에 상응하며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된 확대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화살표 Ⅳ에 따르는 도 3에 나타낸 구역의 단면이며,
도 5는 도 2에서 절단선 Ⅴ-Ⅴ에 상응하며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된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절단선 Ⅵ-Ⅵ에 상응하는 단면도이며,
도 7은 개방위치에서 그리고 작업위치에서 도 1 및 도 2 공구 부품들의 정면도를 보이며,
도 8은 단추구멍을 가지는 가공면을 보이며 그리고,
도 9는 절개장치의 상세에 관한 투시도를 보임.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들, 장점들 그리고 상세는 도면을 사용한 실시예들의 다음의 기술로 부터 나올것이다.
단추구멍 재봉기(1)는 기초판(2)과, 스탠드(3)와 그리고 거기에 접속되어 있는 아암(4)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으며 이 아암의 자유단은 헤드(5)에서 끝난다. 이 단추구멍 재봉기(1)는 하나의 절개장치(6)를 가지며 이 절개 장치는 제 1 공구부품(7)과 제 2 공구 부품(8)을 가진다. 이 제 1 공구부품(7)은 (표시되지는 않은) 나사결합에 의하여 공구홀더(9)에 결합되어 있다. 공구홀더(9)는 봉(10)의 하단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으며 이 봉은 축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나 그러나 단추구멍 재봉기(1)의 헤드(5)에 회전이 안되게 축수되어 있다. 상기헤드(5)의 내부에는 (표시되지는 않은) 이동구동장치가 있으며 이 이동구동장치는 봉(10)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절개장치(6)의 구성요소이다.
제 2 공구부품(8)은 돌출하고 있는 브릿지(11)와 여기에 인접하고 있는 후랜지들(12),(13)로 구성되어 있다. 이 브릿지(11)의 중앙에는 연장된 슬리트(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슬리트는 1밀리메터의 폭(b)와 약 5밀리메터의 길이(ℓ)을 가진다.
또 이 브릿지(11) 내에는 상하하고 있는 바눌(16)의 방해받지 않는 통과를 위한 긴 구멍 형상의 스팃치 구멍(15)이 배열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제 2 공구부품(8)은 브릿지(11)를 상부를 향하여 경계하고 있는 상측면(17)과 하측면(18)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이 브릿지(11)는 제작하고자 하는 단추구멍(19)의 폭(B)에 의존하여 변동하는 폭으로 칫수가 정하여져 있다.
기초판(2)은 하나의 나사표면(20)을 가지며, 이 나사표면상에 담체판(21)이 접시머리나사(22)를 가지고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 담체판(21)은 요홈(23)을 가지고 있으며 이 요홈속에 상술한 제 2 공구부품(8)이 수용되어 있으며, 그리고 후랜지들(12),(13)에는 접시머리 나사들(24)과 고정한다. 상술한 배열은 브릿지(11)와 슬리트(14)가 아암(4)의 종방향 연장에 평행하게 되는 그러한 모양으로 되어 있다.
슬리트(14)의 하부 및 이것의 중앙 (도 3 및 도 4)의 범위에는 담체판(21)이 직사각형 형상의 절결부(25)를 형성하고 있다.
이 기초판(2)은 나사표면(26)에 U자 형상의 요홈(26)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기초판(27) 상에는 지지베어링(28)이 나사들을 가지고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 중에서 다만 하나의 나사(29)가 예를들어서 표시되어 있다. 이 지지 베어링(28)은 헤드 위에 설치된 T자형의 횡단면(도 3)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브릿지(30)는 지지표면(31)을 가진다. 이 브릿지(30)는 상방으로 담체판(21)의 절결부(25) 속으로 들어가서 뻗쳐진다. 이 구조는 이 지지표면(31)이 제 2 공구 부품(8)의 하측면(18)의 아래에 약 2 밀리메터의 거리에 있는 그러한 것이다.
슬리트(14) 내에는 줄(strip) 형상의 블록(32)이 수용되어 있으며, 이 줄은 어떤두께(s)와 길이(ℓ)를 가진다. 이 두께(s)는 대략 슬리트(14)의 폭(b)에 상응한다. 블록(32)의 길이(ℓ)는 기껏해야 슬리트(14)의 길이칫수(L)에 상응한다. 두께(s)와 길이(ℓ)로서 형성된 표면들은 제 1 작용표면(33)과 제 2 작용표면(34)을 형성한다 (도 9). 또 블록(32)는 제 2 작용표면(34)가 지지표면(31) 상에 올려 놓여 있으며 그리고 제 1 작용표면(33)은 제 2 공구부품(8)의 상측면(17)과 일직선으로 되도록 그의 높이에서 그러한 모양으로 칫수가 되어 있다. 이 줄 모양의 블록(32)은 예를들면 폴리옥시 메칠렌(POM)과 같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져 있다.
이 담체판(21)은 도 2에 따라서 2개의 장치(35),(36)(도 2)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그 구조에서 동일하다. 다음에는 장치(36)가 예를들어서 도 3 및 도 4에서 기술된다. 이 담체판(21)은 타원형의 요홈(37)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홈은 하부를 향하여 바닥(38)에 의하여 경계하여 진다. 이 요홈(37) 내에는 클램핑편(39)이 들어가 있으며, 이 클램핑 편은 마찬가지로 타원형이지만 그러나 요홈(37) 보다도 그 길이에서 더 짧게 형성되어 있다.
클램핑편(39)은 또 가장자리(edge)(40)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가장자리는 후랜지(13)의 측방 가장자리(4)에 접하고 있다. 또 클램핑편(39)은 평탄부분(42)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으며 이 평탄부분에 대하여 조정나사(43)의 전방단부가 접하고 있다. 이 조정나사(43)는 담체판(21) 내에 형성된 (표시되지 않은) 나사선이 형성된 구멍속에서 큰힘으로 조절할 수 있게 수용되어 있다. 또 이 담체판(21)은 조정나사(43)의 헤드(45)를 위한 자유절단부(44)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따라서 후랜지들(12),(13) 위에는 슬라이더(48)의 부분들(46),(47)이 배열되어 있으며, 여기서 부품들(46),(47)은 직사각형 모양의 절결부(49)가 그들 사이에 경계하여져 있다. 이 접결부(49)는 그안에 돌출하고 있는 제 2 공구부품(8)의 브릿지(11) 보다 더 길며 그 결과로 이 슬라이더(48)는 장소가 고정된 브릿지(11)에 관련하여 그의 종방향 연장부의 방향으로 이리저리 이동 가능하다. 이 슬라이더(48)는 슬라이더(48) 자체 보다도 약간 더 두껍게 칫수가 정해져 있는 스패이서들(50)에 의하여 측방향으로 안내되어 있다. 후랜지(13)와 스패이서(51)를 가지고서는 동시에 타원형의 요홈(37)과 그속에 수용된 클램핑편(39)과 함께 양자가 동시에 덮혀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클램핑편(39)은 타원 형상의 요홈(37) 내에 용이하게 움직여 질 수 있다.
또 슬라이더(48)는 그의 상측면(52)에서 덮개판(55),(56)에 접해서 후랜지들(53),(54)에 의하여 안내되어 있다. 상기한 판들은 나사들(57)을 가지고 담체판(21)과 결합되어 있으며 그리고 담체판(21)에 관련하여 슬라이더(48)의 방해받지 않는 이동을 허용한다.
브릿지(30)는 그의 지지표면(31) 상에 약 5밀리메터 폭과 2 밀리메터 깊이의 홈(58)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홈은 브릿지(30)의 종방향 연장부에 횡방향으로 그리고 절단선 Ⅴ-Ⅴ에 대략 대칭으로 되어 있다 (도 2,5 및 도 6). 이홈(58)에 대한 대략 중앙에는 담체판(21)이 하나의 구멍(59)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형성되어 있는 바와같이 구멍(59) 속으로는 약 4 밀리메터의 날(61)을 가지는 더 작은 나사 드라이버(60)가 유격을 가지고 들여 보내질 수 있도록 그렇게 칫수가 정해져 있다. 이 경우에 날(61)은 홈(58)의 범위 속에도 그리고 이와함께 블록(32)의 제 2 작용표면(34) 하부에 돌출한다.
블록절개-방식에서 절개장치의 작용 방식은 다음과같다 :
상술한 바에 따라서 줄모양의 블록(32)이 슬리트(14) 내에 있다. 여기서 블록(32)은 클램핑장치(35),(36)에 의하여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이것은 각각의 경우에 클램핑편(39)을 (도 3 및 도 4에 따라서 좌측으로 향하여)움직이는 조정나사(43)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이것으로 인하여 클램핑편(39)은 모서리(40)를 가지고 후랜지(13)의 측면모서리(41)에 부착하고 있다. 탄성 변형으로 인하여 슬리트(14)의 좁혀짐이 이루어지며 그리고 이와함께 블록(32)의 단단한 클램핑이 이루어지며, 이 블록은 그밖에도 그의 비활동적인 제 2의 작용표면(34)을 가지고 브릿지(30)의 지지표면(31) 상에 놓인다.
절개과정을 위하여는 작용표면(33)에 평행하게 구성된 절개모서리(63)을 가지는 나이프(62)인 제 1 개방위치로 부터 수직으로(점선으로 보여줌) 하강된 작용위치(실선으로 보여줌)에로 하강된다. 상기한 하강운동의 경우에 작용표면(33)에 평행하게 되어 있는 절개모서리(63)를 가지는 나이프(62)가 그의 전체의 폭을 가지고 슬리트 개구(63)를 생성하면서 가공편(65) 속으로 들어가며, 여기서 절개 모서리(63)는 최종적을 약 0.8 밀리메터 까지의 작은 잔여 행정 동안 블록(32) 속으로 들어간다. 이 작용 위치에서 공구부품들(7),(8) 즉 나이프(62) 및 블록(32)은 서로 가까이 놓여 있는 위치에 도달한다.
작용표면(33)이 갈라진다면 블록(32)은 이 장치(35),(36)를 풀고 그리고 에젝터로서 나사드라이버(60)의 사용에 의하여 도 6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66)에로 높이 올려지며 그리고 손에 의하여 제거되어 질 수 있다.
블록(32)은 슬리트(14) 내에서 4개 위치에 까지 위치하여질 수 있다. 이것은 블록이 작용표면에서 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갈라지지 않을때 유용하다.
양 작용표면(33),(34)의 완전한 갈라짐의 경우에 블록(32)은 새것으로 교체되지 않으면 안된다. 블록(32)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교체하는 것은 간단하며 큰 시간 소비 없이 기계 조작자에 의하여 수행되어 질 수 있다.
슬리트 개구(64)의 품질을 위하여는 어떤 중간의 공간이 없이 제 2 공구부품(8)에의 가공편(65)의 클램핑이 이루어지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이 요구사항은 블록(32)을 위치 시키기 위한 가능한한 작은 구조공간에 의하여 충족된다.
슬리트-절개 방식에서 절개장치의 작용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방식에서의 과정은 단순하게 그리고 짧은 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는 상기한 절개장치(6)의 간단한 변환에 의하여 가능하게 만들어 진다. 이를 위해서는 클램핑 장치들(35),(36)은 조정나사(45)에 해당하는 2개의 나사를 푸는 것에 의하여 제거된다. 이제 에젝터로서 기능을 하는 나사 드라이버(60)의 도움으로 슬리트(14) 내에 위치하여진 블록(32)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래서 블록(32)은 도 6에서 점선으로 보여진 전진위치(66)를 가지며 이것은 이때 손으로 제거되어 질 수 있다.
움직일 수 있는 공구부품(7)의 교체후에 즉 나이프(67)을 날(68)로서 삽입후에 이 병환은 완료한다. 이 나이프(67)는 이것이 (점선으로 표시된) 개방위치로 부터(실선으로 표시된) 작용위치에로 작용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에 날(68)이 슬리트(14) 속으로 들어가는 그러한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7). 이 경우에 상측면(17)은 그 위에 위치하여진 가공편(65)의 지지부로서 사용된다.
슬리트개구(64)는 동일한 제 2 공구부품(8)을 가지고 슬리트-절개 방식에 따라서 형성되었으므로 슬리트 개구(64)와 가공편(65)의 클램핑의 정확한 위치 시킴의 상술한 장점이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은 그의 특별한 실시예에 관하여 기술되었지만 많은 다른 변동과 수정과 다른 용도들이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사람들에게 분명해질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여기서의 특별한 공개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절개장치(6)를 가지고서는 블록절개-방식에서 가공편에서 슬리트 개구의 제작을 할 수 있다. 이 절개장치(6)는 블록(32)의 제거 및 다른 나이프의 삽입에 의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교체에 의하여 슬리트 절개-방식으로 가공편(65)에서 슬리트 개구를 실시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8)

  1. 다음의 특징들; 즉
    - 2개의 공구 부품들(7,8)이 하나의 개방 위치에서 서로가 떨어지게 가져와 질 수 있으며 그리고 서로 인접한 작용 위치에로 위치하여 질 수 있으며,
    - 그 하나의 공구부품(8)은 기다란 슬리트(14)를 가지며 다른 공구부품(7)은 슬리트 절개-방식에서 슬리트 개구(64)의 생성을 위하여 슬리트(14) 내에 들여 보낼 수 있는 나이프(67)를 가지며, 혹은
    - 그 하나의 공구부품(8)은 작용표면(33;34)을 가지는 하나의 블록(32)을 가지며 다른 공구부품(7)은 블록절개-방식에서 슬리트 개구(63)의 생성을 위하여 작용표면(33;34)에 대하여 평행으로 작용 위치에 형성된 절개모서리(62)를 가지는 그러한 2개 공구부품들의 특징을 가지면 가공편(65)에서 단추구멍(19)을 위한 슬리트 개구(63)의 생성을 위한 절개장치에 있어서,
    - 블록(32)의 줄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블록은 대체로 슬리트(14)의 폭(b)에 상응하는 두께(s)와 최고한도로 슬리트(14)의 종방향 연장 길이에 사응하는 길이(ℓ)를 가지며,
    - 두께(s)와 길이(ℓ)를 가지는 블록(32)의 표면이 작용표면(33)을 형성하며,
    - 블록(32)은 슬리트(14) 내에 수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작용표면(33)은 대체로 공구부품(8)의 상부 모서리(17)와 일직선상에 있도록 되어 있으며,
    - 블록(32)은 작용표면(33)에 반대로 놓여 있는 표면(34)를 가지고 지지표면(31) 위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블록(32)은 작용표면(33)에 반대로 놓여 있는 측면에 제 2의 작용표면(3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슬리트(14)와 블록(32)은 4개 위치에서 슬리트(14) 내에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슬리트(14)를 가지고 있는 공구부품(8)은 슬리트(14) 내에 블록(14)의 고정하기 위한 장치(35)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슬리트(14)의 좁혀짐에 블록(32)의 고정을 위하여 클램핑장치로서의 장치(35;36)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43)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6. 전항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블록(32)은 합성수지(POM)로 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슬리트(14)를 가지고 형성된 공구부품(8)은 슬리트(14)로 부터 블록(32)의 밀어냄을 위한 에젝터(나사 드라이버 6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에젝터는 시판되는 나사드라이버(6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장치.
KR1019990032065A 1998-08-06 1999-08-05 단추구멍을 위한 슬리트 개구를 만들기 위한 절개장치 KR200000170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35500.9 1998-08-06
DE19835500A DE19835500C1 (de) 1998-08-06 1998-08-06 Schneid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Schlitzöffnung für ein Knopflo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094A true KR20000017094A (ko) 2000-03-25

Family

ID=7876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065A KR20000017094A (ko) 1998-08-06 1999-08-05 단추구멍을 위한 슬리트 개구를 만들기 위한 절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42087A (ko)
JP (1) JP2000051559A (ko)
KR (1) KR20000017094A (ko)
CN (1) CN1100905C (ko)
DE (1) DE19835500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6561B2 (ja) * 1999-03-16 2004-02-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穴かがり縫いミシンのボタン穴形成装置
DE10304821B3 (de) * 2003-02-06 2004-02-26 Dürkopp Adler AG Knopfloch-Nähmaschine
EP2839832A3 (en) * 2003-11-17 2015-06-24 Novartis AG Use of dipeptidyl peptidase IV inhibitors
JP4892891B2 (ja) * 2005-08-29 2012-03-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鳩目穴かがりミシンの布切断装置
DE102007022818A1 (de) * 2007-05-15 2008-11-20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CN101947791B (zh) * 2010-09-28 2012-12-12 台州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高层自动裁床的刀盘
CN108301132B (zh) * 2018-04-14 2023-08-22 浙江中捷缝纫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的切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433101U (de) * 1975-02-13 Duerkoppwerke Gmbh Knopflochnähmaschine mit Knopflochschneideinrichtung
DE1694094B2 (de) * 1966-12-07 1974-08-22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unbrennbarer Schaumstoffe
DE2313717C3 (de) * 1973-03-20 1975-12-11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Einrichtung zur Herstellung von Paspelöffnungen in Zuschnitteilen von Bekleidungsstücken
DE7634151U1 (de) * 1976-10-29 1977-04-14 Duerkoppwerke Gmbh, 4800 Bielefeld Knopflochschneidvorrichtung an einer doppelsteppstich-knopflochnaehmaschine
JPS58190494A (ja) * 1982-04-30 1983-11-07 三菱電機株式会社 穴かがりミシンの布切り装置
DE3907571C1 (en) * 1989-03-09 1990-05-10 Duerkoppwerke Gmbh, 4800 Bielefeld, De Sewing unit comprising a twin-needle sewing machine with a device for transferring a piping strip incised centrally at its two ends
DE3930562C1 (ko) * 1989-09-13 1991-01-31 Duerkopp Adler Ag, 4800 Bielefeld, De
DE19718059C1 (de) * 1997-04-29 1998-02-05 Duerkopp Adler Ag Vorrichtung zur Übergabe eines Paspelstreifens von einer Vorlegestation auf ein Nähgutte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905C (zh) 2003-02-05
CN1245229A (zh) 2000-02-23
DE19835500C1 (de) 2000-03-16
US6142087A (en) 2000-11-07
JP2000051559A (ja) 2000-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0275A (en) Needle bar
US4733588A (en) Guide regulator plate for vegetable preparing devices
KR20000017094A (ko) 단추구멍을 위한 슬리트 개구를 만들기 위한 절개장치
US48305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US3905081A (en) Tool holder
US11471961B2 (en) Method for machining plate material by using linear saw and numerical control saw machine apparatus
GB2068790A (en) Tool head supporting structure in or for a machine tool
KR100440990B1 (ko) 성형 프레스내의 블랭킹 플래튼
US4463241A (en) Fixture for electrode wire EDM apparatus
US4881437A (en) Angle guide device
KR100337307B1 (ko) 레이저 가공용 지그장치
US4235564A (en) Cutting tool
JP5864073B1 (ja) トリミング装置
US4781131A (en) Sewing machine having a sewing-material cutting device
US2193864A (en) Scoring machine
JP2503208Y2 (ja) 両面開先取り機
JPS5918168B2 (ja) 形鋼剪断機
KR0133174Y1 (ko) 파이프커팅장치
CN214925847U (zh) 切割机移动装置及切割机组件
JPH10166352A (ja) タイルカッター
JPH0347736A (ja) リボンを超音波溶接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RU2201845C2 (ru) Сборный резец
KR100558615B1 (ko) 트림용 핸드 라우터
SU1726152A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резец Соломко
JPH011138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