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087U - 조립식 격자 - Google Patents

조립식 격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087U
KR20000017087U KR2019990002363U KR19990002363U KR20000017087U KR 20000017087 U KR20000017087 U KR 20000017087U KR 2019990002363 U KR2019990002363 U KR 2019990002363U KR 19990002363 U KR19990002363 U KR 19990002363U KR 20000017087 U KR20000017087 U KR 200000170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ave
coupling
male
members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69720Y1 (ko
Inventor
이종용
Original Assignee
이종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용 filed Critical 이종용
Priority to KR2019990002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72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70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0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7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7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8Window bar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격자에 관한 것으로, 길게 형성된 몸체(20B) 일면 양측에 요입결합부(21,21')를 구비하고 상기 요입결합부(21,21')가 맞닿도록 다수개가 가로 세로로 배열되는 자형부재(20)와, 상기 요입결합부(21,21')와 결합되는 돌출결합부(31,31')를 몸체 일면 양측에 구비하고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상기 가로세로로 배열된 자형부재(20)의 사이에 상기 요입결합부(21,21')와 돌출결합부(31,31')가 결합되도록 삽입설치되는 다수개의 웅형부재(30)와, 상기 가로세로로 배치된 자형부재(20)를 서로 접착하는 접착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착부재(40)는 서로 직교하는 자형부재(20)의 사이에 위치되어 자형부재(20) 사이의 상대적이 이동이 없도록 접착시켜 주는 역할을 하여 격자의 조립정밀도를 높여주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격자{Asembly type of lattice}
본 고안은 샤시문 등에 사용되는 조립식 격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가 결합된 샤시문에 간단하게 조립 설치하여 샤시문과 유리의 강도를 보강하고 샤시문의 미감을 수려하게 만든 조립식 격자에 관한 것이다.
전래의 우리나라 미닫이 문에는 문틀의 내측에 다수개의 사각형 격자를 형성하는 격자를 구비하고, 거기에 창호지를 발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격자는 문 자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효과는 물론 연속적인 무늬를 이루어 보는 이로 하여금 미감을 가지게 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격자를 원용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에는 고급 샤시문(1)의 페어 글래스(FG) 사이에 상기와 같은 격자(2)를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격자(2)는 각각 가로부재(2H)와 세로부재(2V)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홈(3,3')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3,3')을 서로 결합시켜 조립되는 것이다. 도 1중 미설명 부호 1F는 문틀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격자(2)를 만드는 작업은 용이하지 않아 그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격자(2)를 이루는 가로부재(2H)와 세로부재(2V)에 각각 결합홈(3,3')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야 하므로 가로부재(2H)와 세로부재(2V)의 제작에 많은 노력이 들고 제조원가가 상승되었다. 또한 상기 가로부재(2H)와 세로부재(2V)는 각각 다수개가 서로서로 맞물려 조립되므로 상기 결합홈(3,3')의 간격과 그 깊이가 정확하게 형성되지 않으면 격자(2)가 제대로 조립되지 않거나 조립되더라도 격자(2)가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단 한번 상기 가로부재(2H)와 세로부재(2V)에 결합홈(3,3')이 형성되고 나면 이들 가로부재(2H)와 세로부재(2V)의 결합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각형의 격자의 크기가 고정되므로 격자의 크기가 다른 격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상기 가로부재(2H)와 세로부재(2V)에 형성되는 결합홈(3,3')의 간격을 새로 계산해야 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1997년 2월 21일에 조립식 창살(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97-2792)을 출원한 바 있다. 하지만 기출원된 고안은 자형부재와 웅형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를 만들기 위해 많은 비용이 들어가고 상기 결합부재를 각각 자형부재와 웅형부재에 결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결합된 자형부재와 웅형부재의 상대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어 조립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로부재와 세로부재 사이의 상대위치가 정확하게 고정되는 조립식 격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격자의 크기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호환성이 뛰어난 조립식 격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페어글래스 내에 격자를 제공하여 샤시문의 미감을 수려하게 하고 강도면에서 보강된 조립식 격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격자을 구비한 창호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격자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격자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격자을 구성하는 자형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격자을 구성하는 웅형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격자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샤시문 1F: 문틀
20: 자형부재 21: 요입결합부
22,22': 걸림돌부 23,23': 안내경사면
24,24': 걸림턱 30: 웅형부재
31: 돌출결합부 32: 삽입돌부
33: 걸림헤드 35,35': 측벽
40: 결합부재 41,42: 결합돌기부
FG: 페어글래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몸체 일면 양측에 길게 형성된 요입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요입결합부가 맞닿도록 다수개가 가로세로로 배열되는 자형부재와, 상기 요입결합부와 결합되는 돌출결합부를 몸체 일면 양측에 구비하고 소정길이로 절단되어 상기 가로세로로 배열된 자형부재의 사이에 상기 요입결합부와 돌출결합부가 결합되도록 삽입 설치되는 다수개의 웅형부재와, 상기 자형부재가 직교하는 부분에서 상기 자형부재의 사이에서 이들을 서로 접착시켜 주는 접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형부재의 요입결합부는 상기 자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단에 내측으로 경사진 안내경사면을 구비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2줄의 걸림돌부로 그 사이에 요입홈을 구비한다.
상기 웅형부재의 돌출결합부는 상기 웅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단에 안내경사면을 구비하는 걸림헤드가 형성된 삽입돌부이다.
상기 접착부재는 서로 직교하는 자형부재의 요입결합부 사이에 위치되어 자형부재를 접착시켜 주는 양면테이프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서로 직교하는 자형부재의 상대적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결합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격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는 크게 자형부재(20), 웅형부재(30) 및 접착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 자형부재(20)는 그몸체(20B) 일면에 길게 형성된 요입결합부(21,21')를 구비한다. 상기 요입결합부(21,21')는 상기 자형부재(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단에 내측으로 경사진 안내경사면(23,23')을 구비하는 걸림턱(24,24')이 형성된 2줄의 걸림돌부(22,22')로 그 사이에 요입홈(26)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요입결합부(21,21')는 상기 자형부재의 몸체(20B)의 양단에 나란하게 2줄로 형성된다. 도 4에는 이와 같은 자형부재(20)의 형상이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웅형부재(3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입결합부(21,21')와 결합되는 돌출결합부(31,31')가 구비되는데, 상기 돌출결합부(31,31')는 상기 웅형부재(30)의 몸체(30B)의 일면 양단, 즉 상기 자형부재(20)의 요입결합부(2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돌출결합부(31,31')는 상기 웅형부재(3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단에 안내경사면(34)을 구비하는 걸림헤드(33)가 형성된 삽입돌부(32)이다. 이와 같은 돌출결합부(31,31')는 상기 웅형부재 몸체(30B) 일측 양단, 즉 상기 자형부재(20)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요입결합부(2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34)은 상기 걸림헤드(33)가 상기 걸림홈(26)에 삽입되어 웅형부재(30)가 자형부재(20)와 결합될 때, 상기 걸림홈(26)의 내부를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웅형부재 몸체(30B)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각각 측벽(35,3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출결합부(31,31')는 상기 측벽(35,35')보다 높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자형부재(20)의 요입결합부(21,21')의 걸림홈(26)에 상기 걸림헤드(33)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된다.
상기 접착부재(40)는 상기 자형부재(20)를 서로 직교되도록 체결하는 것으로, 상기 자형부재(20)의 요입결합부(21,21')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와, 서로 직교하는 자형부재(20)의 요입결합부(21,21')에 동시에 위치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접착부재(40)는 양면테이프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조립식 격자를 조립하는 것을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자형부재(20)를 가로,세로로 서로 그 요입결합부(21,21')가 맞닿도록 직교하게 배치하여, 상기 접착부재(40)로 접착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직교하게 체결되어 있는 자형부재(20)에 적당한 길이로 절단된 웅형부재(30)의 걸림헤드(33)를 자형부재(20)의 결합홈(26)에 삽입하여 상기 자형부재(20)의 요입결합부(21,21')와 상기 웅형부재(30)의 돌출결합부(31,31')를 결합시키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게 되면 원하는 크기의 격자(10)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조립된 격자(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어글래스(FG)의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본 고안의 조립식 격자(10)는 상기 자형부재(20)와 웅형부재(30)를 제조하는 것과 이를 조립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된다. 즉, 자형부재(20)와 웅형부재(30)를 먼저, 길게 형성한 후, 필요한 길이로 잘라 조립하기만 하면 되는데, 먼저 자형부재(20)는 샤시문(1)의 규격에 맞추어 각각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웅형부재(30)는 상기 자형부재(20)가 배열되는 간격에 따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하여 주면 된다.
또한, 격자(10)를 조립함에 있어서, 격자(10)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도 있다. 즉, 가로 세로로 배열되는 자형부재(20)의 간격을 원하는 크기로 조절하고 상기 간격에 맞게 웅형부재(30)를 절단하여 접착부재(40)로 접착시켜 주면 되므로 격자(10)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어글래스(FG)가 결합되어 있는 샤시문(1)의 상기 페어글래스(FG)의 사이나 단일의 유리가 결합되어 있는 문의 유리 일측면에 설치되어 문의 미감을 수려하게 하고 문 자체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격자는 자형부재와 웅형부재를 필요한 길이만큼 씩 절단하여 접착부재를 사용하여 접착하여 조립하면 되므로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뛰어나고, 특히 직교하는 자형부재 사이에 상대적 이동이 생기지 않도록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여 이들을 접착하므로 조립이 보다 용이하고 조립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문에 결합되는 유리를 지지할 수 있어 문 자체의 강도를 높여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4)

  1. 몸체 일면 양측에 길게 형성된 요입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요입결합부가 맞닿도록 다수개가 가로세로로 배열되는 자형부재와,
    상기 요입결합부와 결합되는 돌출결합부를 몸체 일면 양측에 구비하고 소정길이로 절단되어 상기 가로세로로 배열된 자형부재의 사이에 상기 요입결합부와 돌출결합부가 결합되도록 삽입 설치되는 다수개의 웅형부재와,
    상기 자형부재가 직교하는 부분에서 상기 자형부재의 사이에서 이들을 서로 접착시켜 주는 접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격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형부재의 요입결합부는 상기 자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단에 내측으로 경사진 안내경사면을 구비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2줄의 걸림돌부로 그 사이에 요입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격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웅형부재의 돌출결합부는 상기 웅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단에 안내경사면을 구비하는 걸림헤드가 형성된 삽입돌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격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서로 직교하는 자형부재의 요입결합부 사이에 위치되어 자형부재를 접착시켜 주는 양면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격자.
KR2019990002363U 1999-02-13 1999-02-13 조립식 격자 KR2002697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363U KR200269720Y1 (ko) 1999-02-13 1999-02-13 조립식 격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363U KR200269720Y1 (ko) 1999-02-13 1999-02-13 조립식 격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087U true KR20000017087U (ko) 2000-09-25
KR200269720Y1 KR200269720Y1 (ko) 2002-03-27

Family

ID=5475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363U KR200269720Y1 (ko) 1999-02-13 1999-02-13 조립식 격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7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720Y1 (ko) 200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1843B1 (en) Muntin joint
US20050050808A1 (en) Prefabricated housing structure
KR200269720Y1 (ko) 조립식 격자
KR200145149Y1 (ko) 조립식 창살
KR200159119Y1 (ko) 조립식 창살
KR200200938Y1 (ko) 콘크리트 시공용 패널
US5490361A (en) Modular panel for right angle interconnection
CN206220755U (zh) 窗框易固定窗户
JPH0240234Y2 (ko)
KR100373795B1 (ko) 조립식 창문틀용 모서리 결합구
JP4615991B2 (ja) 建物用ドア
KR200159120Y1 (ko) 조립식 창살
GB2361737A (en) Cavity closer and base frame
JP3260203B2 (ja) 外壁目地材の支持装置
EP2696020B1 (en) Coupler
KR100317918B1 (ko) 창문용 후레임의 연결구조
KR200273590Y1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의 결합구조
KR200312850Y1 (ko) 플로어링 보드
KR200180637Y1 (ko) 그릴셔터
JP4359137B2 (ja) 格子パネル
KR19990001330U (ko) 조립식 창살
JP2537924Y2 (ja) 間仕切用パネルの連結装置
JPS6112550Y2 (ko)
JP3368414B2 (ja) 室内建具における組子と框の連結構造
JPS6038144Y2 (ja) 床、壁パネル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