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029U - 긴급차단밸브 - Google Patents

긴급차단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029U
KR20000017029U KR2019990002264U KR19990002264U KR20000017029U KR 20000017029 U KR20000017029 U KR 20000017029U KR 2019990002264 U KR2019990002264 U KR 2019990002264U KR 19990002264 U KR19990002264 U KR 19990002264U KR 20000017029 U KR20000017029 U KR 200000170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hole
gas
hous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환
김성현
Original Assignee
김명환
김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환, 김성현 filed Critical 김명환
Priority to KR2019990002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7029U/ko
Publication of KR200000170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029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41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긴급차단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밸브고장시 발생되는 교체비용을 절감하며, 가스속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여 솔레노이드와 엔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출로(14)의 출구(14')측에 결합부(13)가 구비된 몸체(10)와, 여과기(20)와, 앞쪽에 여과기(20)가 수용되는 확개부(31')를 가지는 통공(31)이 중앙에 형성되고 몸체(10)의 결합부(13)에 수용되는 함체(30)와, 통공(41)을 가지며 함체(30)의 후단에 결합되는 솔레노이드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긴급차단밸브{An emergency valve}
본 고안은 긴급차단밸브에 관한 것으로, 긴급차단밸브의 고장에 의한 교체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가스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할 수 있는 긴급차단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상부에 차단손잡이(3)를 가지며 가스탱크에 결합되는 연결부(2)의 통공과 연통된 유로와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로가 형성된 몸체(1)와, 상기 유로의 입구를 전기적인 작동으로 막아주는 솔레노이드(4)로 구성 되어 있었다.
상기 몸체(1)의 외측에는 상기 배출로와 연통되며 가스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연결관(5)이 결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몸체의 외측으로 솔레노이드가 일체로 돌출되어 있어 가스탱크에 취부시 작업자가 체결공구를 가지고 밸브를 잡고 가스탱크에 결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솔레노이드나 차단손잡이의 파손시 밸브 전체를 이탈시켜 완전히 교체해야 하는 등 파손되지 않은 부품도 함께 교환하게 되는 등 교체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몸체을 통해 솔레노이드로 유입되는 가스속에 포함된 불순물이 여과되지 않고 엔진으로 공급되어 차량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솔레노이드의 고장시 밸브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솔레노이드만을 교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목적은 가스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배출로의 출구측에 결합부가 구비된 몸체와, 여과기와, 앞쪽에 여과기가 수용되는 확개부를 가지는 통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몸체의 결합부에 수용되는 함체와, 통공을 가지며 함체의 후단에 결합되는 솔레노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긴급차단밸브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긴급차단밸브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긴급차단밸브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동 체결된 상태의 주요부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몸체
11 : 차단손잡이 12 : 연결부
13 : 결합부
20 : 여과기
30 : 함체
40 : 체결너트
50 : 솔레노이드부재
60 : 연결부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배출로(14) 출구(14')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내주면에 나사홈(13')을 형성한 결합부(13)가 구비된 몸체(10)와, 상기 결합부(13)의 나사홈(13')에 결합되는 나사산(42)을 외주면에 형성하고 중앙에 통공(41)이 형성된 체결너트(40)와, 체결너트(40)의 통공(41)을 통과하며 중앙에 통공(31)을 형성하여 여과기(20)가 장착되는 확개부(31')를 가지며 일측단 외주면에 나사산(33)을 형성하고 타측단 외주면에 단턱(32)이 형성된 함체(30)와, 상기 함체(30)의 나사산(33)이 결합되는 나사홈(51')이 내주면에 형성된 통공(51)을 구비한 솔레노이드부재(50)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긴급차단밸브의 장착되는 과장을 살펴보면, 먼저 몸체(10)의 연결부(12)를 가스통에 연결하고, 나사산(13')이 형성된 결합부(13)에 단턱(32)이 형성된 함체(30)를 삽입하며, 이 함체(30)의 확개부(31')에는 여과기(20)을 삽입한다. 이어서, 체결너트(40)를 함체(30)의 단턱(32)까지 삽입시켜 그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2)이 결합부(13)의 나사홈(13')에 체결되게 한 후, 함체(30)에 형성된 나사산(33)에 솔레노이드부재(50)의 통공(51)에 형성된 나사홈(51')을 체결시키면 된다.
이렇게 장착이 완료되면, 가스통의 가스는 가스통과 연결된 연결구(12)을 통해 배출로(14)를 따라 안내되며, 차단손잡이(11)를 열면 결합부(13)의 배출로(14) 출구(14')를 통해 함체(30)의 통공(31)으로 안내되고, 확개부(31')에 장착된 여과기(20)를 통해 가스가 여과되어 솔레노이드로 유입된다.
한편, 긴급차단밸브의 솔레노이드부재나 여과기 및 차단손잡이가 파손되면 몸체에 결합된 솔레노이드부재를 이탈시켜 파손된 부품만을 교환하고 다시 조립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긴급차단밸브를 가스통에 장착시 종래 긴급차단밸브의 솔레노이드가 돌출되어 있어 작업자가 결합하기 어려워던 것을 솔레노이드와 몸체를 별도록 제작함으로서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하나의 부품이 파손시에도 파손된 부품만 교체할 수 있어 교체비용과 작업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를 여과기를 통해 여과함으로서 솔레노이드에 유입되는 불순물을막을 수 있어 차량고장율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배출로(14)의 출구(14')측에 결합부(13)가 구비된 몸체(10)와, 여과기(20)와, 앞쪽에 상기 여과기(20)가 수용되는 확개부(31')를 가지는 통공(31)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결합부(13)에 수용되는 함체(30)와, 통공(41)을 가지며 상기 함체(30)의 후단에 결합되는 솔레노이드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차단밸브.
KR2019990002264U 1999-02-12 1999-02-12 긴급차단밸브 KR200000170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264U KR20000017029U (ko) 1999-02-12 1999-02-12 긴급차단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264U KR20000017029U (ko) 1999-02-12 1999-02-12 긴급차단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029U true KR20000017029U (ko) 2000-09-25

Family

ID=5475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264U KR20000017029U (ko) 1999-02-12 1999-02-12 긴급차단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702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8611A (zh) * 2017-02-28 2017-06-13 浙江铭仕兴新暖通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液化石油气用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8611A (zh) * 2017-02-28 2017-06-13 浙江铭仕兴新暖通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液化石油气用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4831B1 (en) Integrated fuel filter and fuel pump assembly
KR100960910B1 (ko) 유체 매체용 펌프, 특히 디젤 연료로 작동되는 내연기관에서 수동으로 사용되는 펌프
JPH10213036A (ja) 車両用燃料供給装置
JP3653837B2 (ja) エレメント交換型フィルタ
US6746603B2 (en) Fuel filtering system with valve
KR20000017029U (ko) 긴급차단밸브
JP2007291939A (ja) オイルフィルタ
US20010002007A1 (en) Easy-change fuel filter
KR20030063111A (ko) 절수기능을 가진 밸브 유니온
KR960008203Y1 (ko) 엘피지(l.p.g) 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KR200198110Y1 (ko) 절수기능을 가진 밸브 유니온
CN116085357B (zh) 一种侧进顶出的吸回油过滤头及吸回油过滤器
CN218953710U (zh) 一种吸回油过滤头及吸回油过滤器
CN209761708U (zh) 高压燃油泵及其低压组件
KR100867716B1 (ko) 가스차량용 연료공급장치
JP2000304156A (ja) ストレーナ付き逆止弁ユニット
KR200317026Y1 (ko) 차량용 에어 드라이어
JP2767383B2 (ja) カートリッジ形電磁比例圧力制御弁
KR0115740Y1 (ko) 차량 연료탱크의 수분 배출밸브
KR200192283Y1 (ko) 유량제어밸브
KR101710311B1 (ko) 차량용 작동유의 불순물 여과기
KR200182403Y1 (ko) 압력조절밸브를 겸하는 고정볼트 및 이 고정볼트를이용한 엔진의 오일필터 장착구조
JP2000140525A (ja) オイルフィルタ及びそれに用いる弁体
KR100254634B1 (ko) 자동차의 밧데리 단자용 캡구조
JPH0256209A (ja) フィルタ付双方向油圧ホ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