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004A - 정보기록방법, 정보기록매체 및 정보기록장치 - Google Patents

정보기록방법, 정보기록매체 및 정보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004A
KR20000017004A KR1019990031656A KR19990031656A KR20000017004A KR 20000017004 A KR20000017004 A KR 20000017004A KR 1019990031656 A KR1019990031656 A KR 1019990031656A KR 19990031656 A KR19990031656 A KR 19990031656A KR 20000017004 A KR20000017004 A KR 20000017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evel
energy beam
information
timing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7945B1 (ko
Inventor
마에다타케시
스케다히로후미
미네무라히로유키
칸도히데히코
미야모토마코토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20000017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9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4Recording involving phase-change effec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Overwriting
    • G11B7/0062Overwriting strategies, e.g. recording pulse sequences with erasing level used for phase-change medi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적응적으로 기록펄스타이밍을 제어하여 재생신호의 마크에지를 컨트롤하는 제어방법이 기록매체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양호한 마크에지제어가 가능하지 않다.
기록매체의 컨트롤데이터 에어리어에 미리 최적의 에지기록방법이 유지되어 있고, 이것을 참조하여 기록시의 에지기록방법을 선택한다.
에너지빔을 멀티펄스화하여 기록매체에 조사함으로써 기록마크를 형성하는 정보기록장치에 있어서, 선두펄스 및 최종펄스의 펄스 양쪽에지 위치제어에 의한 마크에지제어와, 펄스의 한쪽에지 위치제어에 의한 마크에지제어를 전환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정보기록방법, 정보기록매체 및 정보기록장치{Information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media and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본 발명은 에너지빔의 조사에 의해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정보기록매체를 이용하는 정보기록방법 및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변화(相變化)광디스크에 대하여 뛰어난 효과를 발휘하는 정보기록방법, 정보기록매체, 상기 정보기록방법을 이용하는 정보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재기록가능한 기록막에의 기록·소거방법은, 예컨대 특개소62-175948호 공보(1987년 8월 1일 공개)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은 교환결합 2층막을 기록막으로 한 광자기디스크를 이용한 경우나, 그리고 특개소62-259229호 공보(1987년 11월 11일 공개)에 나타나 있는 기록하는 레이저조사시간과 거의 동일한 정도의 시간에 결정화를 행할 수 있는 고속소거가 가능한 상변화형 광디스크용 기록막을 이용한 경우에, 하나의 에너지빔의 파워를 모두 다 판독하여 파워레벨보다 높은 적어도 2개의 레벨, 즉 적어도 높은 파워레벨과 중간의 파워레벨과의 사이에서 변화시킴으로써 행하고 있었다. 이 방법에서는 기존의 정보를 소거하면서 새로운 정보를 기록하는, 소위 오버라이트(겹쳐 쓰는 것에 의한 재기록)가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특개소 62-259229호 공보, 특개평3-185629(1991년 8월 13일 공개)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높은 파워레벨과 중간의 파워레벨과, 중간의 파워레벨보다도 낮은 파워레벨의 3개의 레벨의 사이에서 에너지빔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기록마크가 눈물방울(淚適)형으로 되는(기록마크 후방이 전방에 비교하여 폭이 넓게 된다)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상변화재료를 이용하여 120mm 지름의 원판으로 한쪽면의 기억용량이 2.6 GB를 실현하는 DVD-RAM이 실용화되고 있다. 여기서 채용된 기록제어방법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어 있고, JIS 규격 120mm DVD Rewritable Disk(DVD-RAM) JISX6243의 86페이지에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3개의 레벨에 의한 제어가 설명되어 있다.
또, 특개소63-48617호 공보(1998년 3월 1일 공개)에는 에너지빔을 마크길이(출원시 클레임에서의 제2의 상태의 영역의 길이인 것)나 스페이스길이(출원시 클레임에서의 제1의 상태의 영역의 길이인 것)에 의존하여 변화시키는 방법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특개소8-287465호(1996년 11월 1일 공개)에는 멀티펄스화된 에너지빔을 마크길이나 스페이스길이에 의존하여 변화시키는 방법이 논의되고 있다.
현재, 상변화기록막을 이용한 재기록가능형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RAM)의 고밀도화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DVD-RAM과 같이 상변화기록막에 마크에지기록을 행하는 광디스크장치에서는, 마크형상 왜곡이나 돌출을 방지하기 위해 기록막에 기록마크를 형성하기 위해 기록막을 융해시킨 영역의 가장자리부의 어느 곳에서도, 기록시의 도달온도 및 냉각속도가 거의 동일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각종의 기록파형에서는, 상기 조건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고, 실현가능기록밀도에 제약이 있었다. 또한, 정보기록매체의 기록특성은 매체의 제조자, 제조시간, 로트마다 다른 것이 보통이며, 고밀도인 기록을 하고자 하면 하는 만큼 기록에서의 호환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2.6 GB보다도 고밀도가 되는 4.7 GB의 기록용량의 DVD-RAM에서는 2.6 GB와 동일한 스폿 지름으로 기록하는 것에 의해, 2.6 GB와의 호환성이 취하기 쉽게 되고 있다. 그러나, 동일 스폿을 사용하고 선밀도를 좁혀 가면 레이저광의 기록매체 상에서의 광스폿 지름에 비하여 인접하는 2개의 기록펄스가 기록매체 상에 조사되는 위치의 간격은 작게 되어, 광의 분포가 2.6 GB의 시에 비교하여 오버랩하므로 그 때문에 발생하는 기록마크형상 왜곡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록마크사이의 스페이스가 짧은 경우에는 판독광 스폿으로 분해할 수 없는 것에 따르는 재생신호파형의 기록마크에지위치의 시프트가 발생하므로, 이것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기록마크에지위치 시프트의 발생의 방식은 기록매체의 설계의 방식에 크게 의존하고 있고, 특정의 기록매체에 적합한 기록파형이 다른 기록매체에 적합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 선밀도의 향상에 의해 기록매체와 기록파형과의 미스매칭에 의한 기록마크에지시프트 증대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크게 되어 오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동일한 스폿을 사용하여, 종래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더욱 밀도를 향상시키는 정확한 기록이 가능하게 되는 정보의 기록방법, 정보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특히, 기록특성이 다른 여러가지의 기록매체에 대하여 안정하게 기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동시에 기록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쉬운 정보의 기록방법, 기록매체 및 정보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기록스트래티지이며, 정보의 기록방법을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기록스트래티지이며, Case 2의 경우의 실험결과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기록스트래티지이며, Case 2의 경우의 실험결과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기록스트래티지이며, Case 1의 경우의 실험결과를 나타내며,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기록스트래티지이며, Case 1의 경우의 실험결과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기록매체 및 정보기록장치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부호의 설명*
100 . . . 기록장치, 108 . . . 케이싱,
110 . . . 모터, 111 . . . 회전축,
112 . . . 척킹기구, 115 . . . 레일,
116 . . . 레일가이드, 117 . . . 케이스,
118 . . . 회전모터, 119 . . . 직선기어,
120 . . . 회전기어, 121 . . . 자석,
122 . . . 코일, 123 . . . 서스펜션,
130 . . . 대물렌즈, 131 . . . 반도체 레이저
132 . . . 콜리메이트렌즈, 133 . . . 빔스플리터,
134 . . . 검출렌즈, 135 . . . 광검출기,
140 . . . 검출기, 141 . . . 검출스위치,
150 . . . 시스템컨트롤러, 151 . . . 서보컨트롤러,
152 . . . 앰프, 153 . . . 디코더,
154 . . . 신호처리회로, 155 . . . 지연회로,
156 . . . 전류싱크, 157 . . . 정전류원,
158 . . . 출력커넥터, 159 . . . 입력커넥터,
160 . . . 단자, 161 . . . 신호처리회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하의 정보기록방법, 기록매체 및 정보기록장치를 이용하면 좋다.
1) 기록매체에 대하여 복수의 에너지빔 펄스의 열(列)에서 하나의 기록마크를 형성하는 정보의 기록방법으로서, 상기 기록매체에 미리 기록된 컨트롤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너지빔 펄스의 열의 선두펄스의 하강타이밍을 대략 고정한 채로 상승타이밍을 변화시키는 제1의 경우와, 상기 선두펄스의 상승타이밍 및 하강타이밍을 변화시키는 제2의 경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기록방법.
2) 에너지빔 발생기와, 상기 에너지빔 발생기가 발생하는 에너지빔의 파워레벨을 조정하는 파워조정기구와, 기록매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유지기구와, 상기 에너지빔과 상기 기록매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기록해야할 정보를 상기 에너지빔의 파워레벨로 변화시키는 신호처리회로를 가지는 정보기록장치로, 상기 기록매체에 하나의 기록마크를 형성할 때에 상기 파워조정기구는 복수의 에너지빔펄스의 열을 상기 에너지빔 발생기로 발생시켜, 상기 기록매체에 미리 기록된 콘트롤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너지빔펄스의 열의 선두펄스의 하강타이밍을 대략 고정한 채 상승타이밍을 변화시키는 제1의 타이밍조정수단과, 상기 선두펄스의 상승타이밍 및 하강타이밍을 변화시키는 제2의 타이밍 조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장치.
3) 에너지빔의 제1의 파워레벨에서 제1의 상태로, 상기 제1의 파워레벨보다도 높은 제2의 파워레벨에서 제2의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매체를 이용하고, 상기 에너지빔과 상기 기록매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에너지빔을 상기 기록매체에 조사함으로써, 상기 제1의 상태와 상기 제2의 상태를 소정의 길이 및 간격으로 상기 기록매체 상에 형성하는 것으로 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정보의 기록방법으로서, 상기 제2의 파워레벨보다 낮은 제3의 파워레벨을 마련하고, 상기 제2의 상태의 영역을 특정한 길이로 형성하는 경우는 상기 제2의 파워레벨의 기간에 상기 제3의 파워레벨의 기간을 혼재시켜 상기 에너지빔을 멀티펄스화하여 상기 에너지빔을 상기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기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상태의 영역을 특정한 길이로 형성하는 경우는 상기 멀티펄스의 선두펄스의 하강을 대략 고정하고, 상승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 1 내지는 상기 제2의 상태의 영역을 특정한 길이로 형성하는 경우는 상기 멀티펄스의 최종펄스의 상승을 대략 고정하고 하강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 2의,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포함하는 것, 상기 제1의 파워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제1의 파워레벨보다 낮은 제4의 파워레벨을 마련하고, 에너지빔의 파워레벨을 상기 멀티펄스의 최종펄스에 이어서 상기 제4의 파워레벨로 소정시간만큼 유지한 후에 상기 제1의 파워레벨로 유지하는 것, 상기 제4의 파워레벨의 유지시간은 상기 최종펄스의 하강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항상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기록방법.
상기 1) 및 2)의 기록방법, 정보기록장치 및 그것에 대응한 정보기록매체를 이용함으로써, 정보기록매체에 대하여 항상 적절한 타이밍조정수단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항상 안정하게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3)의 기록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타이밍 조정의 여하에 불구하고 항상 일정한 제4의 파워레벨의 유지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정보기록매체에 대하여 항상 최적의 열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항상 안정하게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항상 안정하게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 장치, 기록매체를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을 이용하여 정보를 기록매체에 기록할 때의,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에너지빔의 파워레벨의 경시적(經時的) 변화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정보를 기록할 때의 파워레벨의 경시적 변화를 시키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라이트스트래티지 내지는 기록스트래티지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정보의 기록방법을 포함한 기록스트래티지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구체예로서, DVD-RAM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DVD-RAM의 경우, 기록 및 재생에서의 기준클록의 시간폭을 Tw로 한 경우, 최단의 마크 내지 최단의 스페이스의 길이는 3Tw(시간 Tw의 3배의 길이의 시간)이며, 통상은 최장의 마크 내지 최장의 스페이스의 길이는 11Tw이다. 특수한 패턴으로서 14Tw의 마크 내지 스페이스가 있다.
기록매체 상에 시계열적으로 기록해야 할 정보인 NRZI신호가 주어진 경우, 적당한 신호처리회로에 의해 NRZI신호는 에너지빔의 파워레벨의 시계열적 변화로 변환된다. 이와 같은 파워레벨의 시계열적변화가 도 1에 광펄스파형으로서 나타나 있다. 파워레벨은 기록레벨(Write Level), 바이어스 레벨 1(Bias Level 1), 바이어스 레벨 2(Bias Level 2), 바이어스 레벨 3(Bias Level 3)의 4가지의 레벨로 설정되어 있고, 바이어스 레벨 1에서는 기록매체를 제1의 상태로, 기록레벨에서는 기록매체를 제2의 상태로, 각각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바이어스 레벨 3은 바이어스 레벨 1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낮은 레벨이다. 기록매체에 제2의 상태의 영역을 형성할 때에, 제2의 상태의 영역의 길이가 4Tw이상인 경우에는(즉, NRZI신호의 길이가 4Tw이상인 경우에는) 기록레벨의 조사기간 중에 바이어스 레벨 3인 파워레벨의 기간을 혼재시켜 에너지빔을 멀티펄스화한다. 멀티펄스화된 에너지빔 중, 최초의 광펄스를 선두펄스, 최후의 광펄스를 최종펄스라고 칭한다. 선두펄스와 최종펄스의 사이에는 NRZI신호의 길이에 따라서 기록레벨과 바이어스 레벨 3을 반복하는 광펄스가 반복되지만, 그 반복 수는 NRZI신호의 길이를 n 회(n〉3)로 하면 (n-4)회로 된다. 선두펄스와 최종펄스 사이에 끼인 반복펄스 전체를 즐형(櫛型)펄스라고 한다. 즉, 5Tw이상의 길이의 NRZI신호에 대응한 제2의 상태의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 기록펄스는 선두펄스와 즐형펄스와 최종펄스로 된다. 또한, 4Tw의 길이의 NRZI신호에 대응한 제2의 상태의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 기록펄스는 선두펄스와 최종펄스로 된다. 또한, 3Tw의 길이의 NRZI신호에 대응한 제2의 상태의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 기록펄스는 단일의 펄스로 된다.
바이어스 레벨 1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낮고, 또 바이어스 레벨 3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높은 파워레벨을 설정하고, 그것을 바이어스 레벨 2라고 한다. 4Tw이상에서는 최종 펄스로 이어지고, 3Tw에서는 기록의 광펄스로 이어져 에너지레벨의 파워레벨을 바이어스 레벨 2로 소정의 시간 유지한다.
바이어스 레벨 2와, 바이어스 레벨 1 또는 바이어스 레벨 3 중 어디선가와 동일한 파워레벨일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바이어스 레벨 1과 바이어스 레벨 2와 바이어스 레벨 3의 전체가 전부 동일한 파워레벨일 가능성이 있다. 기록레벨, 바이어스 레벨 1, 바이어스 레벨 2, 바이어스 레벨 3의 기준치는 매체정보로서 기록매체의 적당한 장소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기록스트래티지에 관한 매체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매체 상의 부분을 컨트롤데이터존의 정보트랙이라고 칭한다. 파워레벨의 기준치를 기록매체의 컨트롤데이터존의 정보트랙으로부터 간파하여, 이것을 참고로 기록 시의 각 파워레벨을 결정한다.
도 1에서, 4Tw이상의 NRZI신호에 대응한 제2의 상태의 영역을 기록매체에 형성하는 경우의 것을 고려하여, 기록파형의 정의를 생각한다. NRZI신호의 상승에서 TEFP만큼 경과하는 시각에서 기록펄스열의 선두펄스의 하강이 정의된다. 또한, 선두펄스의 하강시각에서 시간 TLFP만큼 선행한 시각에 선두펄스의 상승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기록펄스열의 최종펄스의 상승은 NRZI신호의 하강시각에서 시각 2Tw 만큼 선행한 시각을 기준으로, 이 기준시각에서 시간 TSLP만큼 경과한 시각에 최종펄스의 상승이 있다. 최종펄스의 상승시각에서 시간 TLLP만큼 경과한 시각에 최종펄스의 하강이 있다.
선두펄스와 최종펄스의 사이에는 즐형펄스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즐형펄스열의 각각의 펄스의 상승은 기준클록위치에 일치하고 있고, 각각의 펄스 상승시각에서 시간 TTMP만큼 경과한 시각에 각각의 펄스하강이 있다.
3Tw의 NRZI신호에 대응한 제2의 상태의 영역을 기록매체에 형성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NRZI신호의 상승에서 TELP만큼 경과한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이 기준시각에서 시간LFP만큼 선행한 시각에 광펄스의 상승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기록펄스열의 최종펄스의 상승은 NRZI신호의 하강시각에서 시각 2Tw만큼 선행한 시각을 기준으로, 이 기준시각에서 시간 TSLP만큼 경과한 시각을 제2의 기준시각으로 하고, 이 제2의 기준시각에서 시간 TLLP만큼 경과한 시각에 광펄스의 하강이 있다.
4Tw 이후의 최종펄스에 이어지며, 내지는 3Tw의 기록펄스에 이어지고, 파워레벨이 바이어스 레벨 2인 부분이 존재하며, 이 길이는 TLE로 되어 있다.
기록펄스를 정의하는 시간인 TEFP,TLFP,TSLP,TLLP,TLE,TTMP는 그 기준치를 기록매체의 컨트롤데이트존의 정보트랙으로부터 간파하여, 그것을 참고로 값을 결정한다.
기록펄스를 정의하는 시간인 TEFP,TLFP,TSLP,TLLP,TLE,TTMP는 반드시 일정한 값을 취한다고만은 할 수 없고, NRZI신호의 조합에 따라 변화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특히, 한쪽면 4.7GB의 DVD-RAM의 경우를 예로 들면, 최단 마크인 3Tw의 길이는 0.42미크론정도로 되고, 기록스폿 반지름 0.45미크론보다 짧게 된다. 이와 같은 고밀도기록을 행한 경우, 인접한 마크 사이의 열적인 간섭이 크게 되어, 항상 안정한 기록을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NRZI신호의 조합에 따라 적응적인 기록파형의 변화를 시키는 일이 고려된다. 전(前)에지의 시프트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TEFP내지는 TLFP의 어느 것인가를 변화시킨다. 이들의 기준치로부터의 변화량을 각각 △TEFP내지는 △TLFP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후(後)에지의 시프트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TSLP내지는 TLLP의 어느 것인가를 변화시킨다. 이들의 기준치로부터의 변화량을 각각 △TSLP및 △TLLP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전 에지에 관한 TMF의 제1의 룩업테이블(look up table)을 정의한다. 이것은 현재기록하려고 하고 있는 당해 마크의 길이를 M(n)으로 하고, 당해 마크에 선행하는 스페이스의 길이를 S(n-1)로 한 경우, M(n)과 S(n-1)의 조합으로 정하는 값을 열거한 것으로, 양의 값도 음의 값도 취할 수 있다. 이어서, 뒤에지에 관한 TML의 제2의 룩업테이블을 정의한다. 이것은 현재 기록하려고 하고 있는 당해 마크길이를 M(n)으로 하고, 당해 마크에 이어지는 스페이스길이를 S(n+1)로 한 경우, M(n)과 S(n+1)의 조합으로 정하는 값을 열거한 것으로, 양의 값도 음의 값도 취할 수 있다.
Case 1에 있어서는 TMF의 값을 △TLFP의 값과 일치시키고, 동시에 TML의 값을 △TLLP와 일치시킨다. 이 경우, TLFP의 값과 TLLP의 값이 NRZI신호의 조합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즉, 선두펄스에서는 펄스상승위치가 변화하고, 하강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최종펄스에서는 펄스상승위치가 고정되며 펄스하강위치가 변화한다.
Case 2에 있어서는 TMF의 값을 △TEFP의 값과 일치시키고, 동시에 TML의 값을 △TLLP와 일치시킨다. 이 경우, TEFP의 값과 TLLP의 값이 NRZI신호의 조합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즉, 선두펄스에서는 펄스상승위치와 하강위치가 동시에 변화한다. 또한, 최종펄스에서는 펄스상승위치가 고정되며 펄스하강위치가 변화한다.
Case 3에 있어서는 TMF의 값을 △TLFP의 값과 일치시키고, 동시에 TML의 값을 △TSLP와 일치시킨다. 이 경우, TLFP의 값과 TSLP의 값이 NRZI신호의 조합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즉, 선두펄스에서는 펄스상승위치가 변화하고, 하강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최종펄스에서는 펄스상승위와 펄스하강위치가 동시에 변화한다.
Case 4에 있어서는 TMF의 값을 △TEFP의 값과 일치시키고, 동시에 TML의 값을 △TSLP와 일치시킨다. 이 경우, TEFP의 값과 TSLP의 값이 NRZI신호의 조합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즉, 선두펄스에서는 펄스상승위치와 하강위치가 동시에 변화한다. 또한, 최종펄스에서는 펄스상승위치와 펄스하강위치가 동시에 변화한다.
Case 5에 있어서는 TMF의 값을 △TLFP의 값과 일치시킨다. 이 경우, TLFP의 값이 NRZI신호의 조합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즉, 선두펄스에서는 펄스상승위치가 변화하고, 하강위치가 고정된다.
Case 6에 있어서는 TMF의 값을 △TEFP의 값과 일치시킨다. 이 경우, TEFP의 값이 NRZI신호의 조합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즉, 선두펄스에서는 펄스상승위치와 하강위치가 동시에 변화한다.
Case 7에 있어서는 TML의 값을 △TLLP의 값과 일치시킨다. 이 경우, TLLP의 값이 NRZI신호의 조합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즉, 최종펄스에서는 펄스상승위치가 고정되며 펄스하강위치가 변화한다.
Case 8에 있어서는 TML값을 △TSLP의 값과 일치시킨다. 이 경우, TSLP의 값이 NRZI신호의 조합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즉, 최종펄스에서는 펄스상승위치와 펄스하강위치가 동시에 변화한다.
제1의 룩업테이블 및 제2의 룩업테이블에 포함되는 값 및, Case 1∼Case 8의 어느 것을 선택할지의 정보는, 기록매체의 컨트롤데이터존의 정보트랙에 걸린 정보를 간파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이상과 같이, 룩업테이블을 이용한 적응적인 파형변화를 Case 1∼Case 8로 경우를 나누어 그 어느 것인가를 선택함으로써,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기록매체에 대응하여 호환성 좋고 안정하게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의 룩업테이블의 정의에서, M(n)을 4가지, S(n-1)을 4가지인 4 ×4로 경우를 나누었다. 또, 제2의 룩업테이블의 정의에서 M(n)을 4가지, S(n+1)을 4가지인 4 ×4로 경우를 나누었다. 룩업테이블의 사이즈는 4 ×4에 한정하지 않고, 1 ×1이 아니라면 본 발명의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의 룩업테이블의 양쪽은 2차원의 테이블로 되어 있지만, S(n-1), M(n) 1, S(n+1)의 3개의 파라미터를 조합시키는 3차원의 테이블에서도 또한 다차원의 테이블에서도 효과가 있다. 테이블의 간소 내지는 복잡은 기록매체의 특성, 요구되는 기록의 정밀도, 그외의 요인들에 의해 적당히 결정하면 된다. 한쪽면 4.7GB의 DVD-RAM을 예로 들면, 룩업테이블은 2차원으로, 3 ×3, 4 ×3, 3 ×4, 4 ×4정도의 크기의 테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Case 1과 Case 2를 예로 들어, 마크에지의 제어성에 대하여 논한다. 여기서 몇개의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실험조건은 다음과 같다. 선속은 약8m/sec, T는 약 17nsec, 최단 마크길이인 3T마크의 물리길이는 약 0.4㎛강, 트랙피치는 약 0.6㎛, 피크 파워는 11mW, 바이어스 파워 1은 4.5mW, 바이어스 파워 2는 3.5mW, 바이어스 파워 3은 1mW이다.
항상 동일한 조건에서 특정길이의 마크 하나를 기록한다. 이것을 앵커마크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이 앵커마크에 이어지는 스페이스(인접하는 기록마크사이의 기록마크가 없는 부분)에 연속하여 피측정 마크를 기록한다. 피측정마크의 기록펄스는 상술한 Case 1 내지는 Case 2에 근거하여 기록펄스를 컨트롤한다. 앵커마크와 피측정마크를 재생하여 얻어지는 재생신호를 소정의 슬라이스레벨로 2치화하여 2치화 데이터신호를 얻는다. 이 2치화 데이터신호로부터 앵커마크의 전 에지에서 피측정마크의 앞에지까지의 시간간격(앞에지 간격)을 측정한다. 또한, 이 2치화 데이터신호로부터 앵커마크의 뒤에지에서 피측정마크의 뒤에지까지의 시간간격(뒤에지 간격)을 측정한다.
Case 2에서 최종펄스의 위치를 고정하고, 선두펄스의 위치를 변화시킨 경우의, 앞에지간격의 변화를 도 2(a)에, 뒤에지간격의 변화를 도 2(b)에 나타낸다. 어느쪽의 축도 플러스 방향은 시간적으로 진행하는 방향이다. 또, 파라미터는 피측정마크의 길이로 취하고 있다. 도 2(a)에서, 거의 선두펄스의 위치와 마크의 앞에지위치는 정비례의 관계에 있다. 그러나 도 2(b)에서, 선두펄스의 위치를 움직이면 이것에 연동하여 뒤에지가 움직인다. 그 양은 선두펄스의 이동량의 약 50%정도로도 된다.
Case 2에서 선두펄스의 위치를 고정하고, 최종펄스의 위치를 변화시킨 경우의 뒤에지간격의 변화를 도 3(a)에, 앞에지간격의 변화를 도 3(b)에 나타낸다. 어느쪽의 축도 플러스방향은 시간적으로 진행하는 방향이다. 또한, 파라미터는 피측정마크의 길이로 취하고 있다. 도 3(a)에서, 거의 최종펄스의 위치와 마크의 뒤에지위치는 정비례의 관계에 있다. 그러나, 도 3(b)에서 최종펄스의 위치를 움직이면 이것과 연동하여 앞에지가 움직인다. 그 양은 최종펄스의 이동량의 약 50%정도로도 된다.
Case 1에서 최종펄스의 승강위치를 고정하고, 선두펄스의 상승위치를 변화시킨 경우의 앞에지간격의 변화를 도 4(a)에, 뒤에지간격의 변화를 도 4(b)에 나타낸다. 어느쪽의 축도 플러스방향은 시간적으로 진행하는 방향이다. 또한, 파라미터는 피측정마크의 길이로 취하고 있다. 도 4(a)에서 거의 선두펄스의 상승위치와 마크의 앞에지위치는 정비례의 관계에 있다. 또, 도 4(b)에서 선두펄스의 앞에지위치를 움직여도, 적어도 선두펄스 앞에지위치의 변화가 적은 범위에서는 마크의 뒤에지위치에 현저한 변화는 없다.
Case 1에서 선두펄스의 승강위치를 고정하고, 최종펄스의 하강위치를 변화시킨 경우의 뒤에지간격의 변화를 도 5(a)에, 앞에지간격의 변화를 도 5(b)에 나타낸다. 어느쪽의 축도 플러스방향은 시간적으로 진행하는 방향이다. 또한, 파라미터는 피측정마크의 길이로 취하고 있다. 도 5(a)에서 거의 최종펄스의 하강위치와 마크의 뒤에지위치는 정비례의 관계에 있다. 또, 도 5(b)에서, 최종펄스의 뒤에지위치를 움직여도 적어도 최종펄스 뒤에지위치의 변화가 적은 범위에서는 마크의 앞에지위치에 현저한 변화는 없다.
도 2와 도 3의 Case 2, 도 4와 도 5의 Case 1을 비교하면, 여기서 나타낸 실험결과에서는 실험에 이용한 기록매체 및 기록스트래티지에 대해서는 Case 1이 보다 적합하다는 것을 살필 수 있다. 즉, Case 1에서는 기록마크의 앞에지위치는 기록펄스의 선두펄스 상승위치에서만, 또 기록마크의 뒤에지위치는 기록펄스의 최종펄스 하강위치에서만, 각각 독립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Case 2에서는 제어의 독립성이 다소 손상되고, 제어가 보다 어렵게 된다.
실험에 이용한 기록매체 및 기록스트래티지에 대해서는 Case 1이 보다 적합하지만, 기록매체의 설계에 따라서는 Case 2의 쪽이 적합한 경우가 있다. 즉, Case 1에서는 선두펄스나 최종펄스에 포함되는 에너지양 자체를 증감하게 되고, 선두펄스나 최종펄스의 에너지양을 너무 과도하게 늘리면, 오버라이트특성이나 크로스이레이즈 특성이 악화된다. 이것에 대하여, Case 2에서는 기록펄스열 전체에 포합되는 에너지양은 조금밖에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은 오버라이트특성이나 크로스이레이즈특성의 악화의 염려는 없다. 물론, 기록매체의 설계로 오버라이트특성이나 크로스이레이즈특성에 충분한 여유를 갖게 하면, Case 1에서도 오버라이트특성이나 크로스이레이즈특성의 악화의 염려가 없는 기록매체를 설계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6에 의해 설명한다. 도 6은 정보기억장치의 블록도로 되어 있다. 또한, 설명을 위해 정보기억장치에는 기억매체(100)가 장착되어 있는 형태가 나타나 있다. 정보를 기억하기 위해서는 기억매체(100)는 필수이지만, 기억매체(100)는 필요에 따라 정보기억장치에서 제외시키거나 또는 설치할 수 있다.
도 6에서, 케이싱(108)에 설치된 모터(110)의 회전축(111)에는 척킹기구(112)가 설치되고, 척킹기구(112)는 기억매체(100)를 유지하고 있다. 척킹기구(112)는, 즉 기록매체(100)의 유지기구로 되어 있다. 또, 모터(110), 회전축(111) 및 척킹기구(112)에 의해 기록매체(100)와 에너지빔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케이스싱(108)에는 레일(115)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17)에는 레일(115)로 가이드되는 레일가이드(116)가 설치되어 있다. 또, 케이스(117)에는 직선기어(119)가 설치되어 있고, 직선기어(119)에는 회전기어(120)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108)에 설치된 회전모터(118)의 회전을 회전기어(120)에 전달함으로써, 케이스(117)는 레일(115)을 따라 직선운동한다. 이 직선운동의 방향은 기억매체(100)의 대략 반경방향으로 되어 있다.
케이스(117)에는 자석(12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17)에는 대물렌즈(130)를 기록매체(100)의 기록면의 대략 법선방향과, 기록매체(100)의 대략 반경방향의 2개의 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게 하는 서스펜션(123)을 통하여 대물렌즈(130)가 설치되어 있다. 또, 대물렌즈(130)에는 자석(121)과 대략 대향하도록 코일(122)이 설치되어 있다. 코일(122)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자력(磁力)적인 효과에 의해 대물렌즈(130)는 기록매체(100)의 기록면의 대략 법선방향과, 기록매체(100)의 대략 반경방향의 2개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레일(115), 레일가이드(116), 케이스(117), 자석(121), 서스펜션(123), 코일(122), 대물렌즈(130)에 의해 에너지빔을 기록매체(100) 상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는 위치결정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케이스(117)에는 에너지빔발생기인 반도체 레이저(131)가 설치되어 있다. 반도체 레이저(131)에서 사출(射出)된 에너지빔은, 콜리메이트렌즈(132) 및 빔스플리터(133)를 통과하고, 대물렌즈(130)를 통과한다. 대물렌즈(130)에서 사출된 광의 일부는 기억매체(100)에서 반사되고 대물렌즈(130)를 통과하여, 빔스플리터(133)에서 반사되고, 검출렌즈(134)로 집광되어, 광검출기(135)에서 광감도가 검출된다. 광검출기(135)는 수광에어리어가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각각의 수광에어리어에서 검출된 광강도는 앰프(152)로 증폭됨과 동시에 연산되고, 대물렌즈(130)로 집광된광스폿과 기억매체(100)와의 상대적인 위치관계의 정보(서보신호)와 정보판독신호가 검출된다. 서보신호는 서보콘트롤러(151)로 보내진다. 또한, 판독신호는 디코더(153)로 보내진다.
정보기억장치에 기억매체(100)가 설치되고, 척킹기구(112)가 기억매체(100)를 고정하면, 검출기(140)가 작동하고, 그 신호를 시스템컨트롤러(150)로 보낸다. 시스템컨트롤러(150)는 그것을 받아서, 모터(110)를 제어하여 기억매체(100)를 적절한 회전수가 되도록 회전시킨다. 또한, 시스템컨트롤러(150)는 회전모터(118)를 제어하고, 케이스(117)를 적절한 위치에 위치결정한다. 또, 시스템컨트롤러(150)는 반도체레이저(131)를 발광시킴과 동시에, 서보컨트롤러(151)를 동작시켜 회전모터(118)를 동작시킨다든지 코일(123)에 전류를 흘리고, 대물렌즈(130)가 형성하는 초점스폿을 기억매체(100)의 위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결정한다. 이어서, 서보컨트롤러(151)는 초점스폿이 기억매체(100) 상에 형성되었다고 하는 신호를 시스템컨트롤러(150)로 보낸다. 시스템컨트롤러(150)는 디코더(153)에 지시를 주어 판독되는 신호를 디코드한다. 판독되는 트랙이 컨트롤데이터존의 정보트랙이 아닌 경우, 시스템컨트롤러(150)는 서보컨트롤러(151)에 지시를 주어, 초점스폿이 컨트롤데이터존의 정보트랙에 위치결정되도록 한다. 상기한 동작의 결과, 시스템컨트롤러(150)는 컨트롤데이터존의 정보트랙을 간파하고, 기록에 관한 매체정보를 판독한다.
컨트롤데이터존의 정보트랙에는, 도 1에서 설명한 기록스트래티지의 파라미터가 기록되어 있다. 기록파워레벨, 각각의 기록펄스의 시간적인 관계, 룩업테이블, 적응제어를 Case 1 ∼ Case 8의 어느것으로 설정해야할지의 정보를 시스템컨트롤러(150)는 기억매체(100)로부터 간파한다. 시스템컨트롤러(150)는 이들의 기록스트래티지의 파라미터를 신호처리회로(154)의 파라미터테이블, 지연회로(155)의 파라미터테이블 및 전류싱크(156)의 전류싱크량 파라미터를 기록한다. Case 1 ∼ Case 8의 선택의 방식에 따라, 지연회로(155)의 테이블의 기록방법이 다르거나, 또는 지연회로(155)의 스위치를 전환함으로써 도 1에서 설명한 Case 1 ∼ Case 8의 동작을 실현한다. 지연회로(155) 중에는 제1 내지 제4의 타이밍조정수단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지연회로(155) 중에는 제1과 제2의 타이밍 조정수단을 전환하는 제1의 전환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또, 지연회로(155) 중에는 제3과 제4의 타이밍 조정수단을 전환하는 제2의 전환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시스템 컨트롤러(150)가 기억매체(100)의 기록스트래티지의 파라미터를 읽고, 이들을 신호처리회로(154)의 파라미터테이블, 지연회로(155)의 파라미터테이블 및, 전류싱크(156)의 전류싱크량 파라미터에 기록하는 것은 기억매체(100)가 기록가능한 상태인 경우에만 지장을 주지 않는다. 예컨대, 기억매체(100)의 케이스 등에 존재하는 라이트프로텍트스위치가 기록금지의 위치로 선택되어 있는 경우, 또는 정보기억장치의 상위 컨트롤러가 기록금지를 지시하고 있는 경우 등, 기억매체(100)가 기록금지 상태인 경우는 기록스트래티지의 파라미터 읽기 등의 일련의 동작은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라이트프로텍트스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검출스위치(141)가 케이싱(108)에 설치되어 있고, 그 신호를 시스템컨트롤러로 보내고 있다. 기록금지 상태의 경우에 기록스트래티지의 파라미터 간파작업을 멈추게 하는 것으로, 기록매체(100)가 척킹기구(112)에 고정되고 나서 재생가능 상태가 되기까지의 준비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커넥터(159)를 통하여 상위컨트롤러에서 정보재생의 지시를 보내온 경우, 시스템컨트롤러(150)는 서보컨트롤러(151)에 지시를 주어 초점스폿을 기억매체(100)의 위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결정하고, 광검출기(135)로 얻어지는 신호를 디코더(153)로 디코드한 후, 출력커넥터(158)를 통하여 판독한 정보를 상위 컨트롤러에 보낸다.
입력 커넥터(159)를 통하여 상위컨트롤러부터 정보기록의 지시 및 기록해야할 정보가 보내져 온 경우, 시스템컨트롤러(150)는 서보컨트롤러(151)에 지시를 주어 초점스폿을 기억매체(100)의 위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결정한다. 또한, 기록해야 할 정보는 신호처리회로(161)를 통하여 NRZI신호로 변환된다. NRZI신호로 변환된 신호는 신호처리회로(154)를 통하여 복수의 적당한 펄스열로 변환된다. 이들의 펄스열은 지연회로(155)를 통과하여 전류싱크(156)로 전달된다. 여기서, 신호처리회로(154) 및 신호처리회로(161)는 기록해야할 정보를 기록펄스열로 변환하는 신호처리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반도체레이저(131)에는 정전류원(157)이 접속되어 있고, 반도체레이저(131)와 전류싱크(156)에서 소비되는 전류의 합계가 항상 일정한 값이 되도록 되어 있다. 정전류원(157)에는 복수의 전류싱크(156)가 접속되어 있다. 전류싱크(156)가 동작하여 전류를 흡입할지 여부는 신호처리회로(154)에서 발생하여 지연회로(155)를 통과한 신호에 의존하고 있다. 전류싱크(156)가 동작함으로써, 정전류원(157)으로부터 나오는 전류의 일부가 전류싱크(156)에 거두어지고, 결과로서 반도체레이저(131)로 흘러 들어오는 전류량이 저하한다. 이것에 의해 반도체레이저(131)에서 발광하는 에너지빔의 에너지레벨을 변화시킨다. 신호처리회로(154)와 지연회로(155)는 복수의 전류싱크(156)를 적당한 타이밍으로 동작시킴으로써, 도 1에 나타낸 기록스트래티지를 실현한다.
이상의 동작을 행하기 위해, 정보기록장치는 단자(16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고 있다.
이상과 같이, Case 1 ∼ Case 8을 경우에 따라 변화시켜 기록함으로써, 최단마크 길이가 기록스폿 반지름 이하로 되는 고밀도 기록의 경우에 있어서도, 기록매체의 특성에 의존하지 않고, 호환성 좋게 항상 안정하게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Case 1 ∼ Case 8의 어느 것을 선택할지의 정보를 기록매체(100) 상의 컨트롤데이터존의 정보트랙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매체를 이용함으로써, 기억장치의 기록특성의 편차에 의존하지 않고, 항상 안정하게 호환성 좋게 고밀도의 기록이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Case 1 ∼ Case 8의 어느것을 선택할지의 정보를 기록매체(100)로부터 간파하여 이것을 정보기억장치의 상태에 반영하는 것으로, 항상 안정하게 호환성 좋게 고밀도의 기록이 가능한 기록방법, 및 기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최단기록마크길이가 기록스폿 반지름 이하로 되는 고밀도 기록의 상황에 있어서도, 기록매체의 특성이나 정보기록장치의 특성에 의존하지 않고, 항상 호환성 좋게 안정하게 정보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기록매체에 대하여 복수의 에너지빔펄스의 열에서 하나의 기록마크를 형성하는 정보의 기록방법으로서, 상기 기록매체에 미리 기록된 컨트롤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너지빔펄스의 열의 선두펄스의 하강타이밍을 대략 고정한 채 상승타이밍을 변화시키는 제1의 경우와, 상기 선두펄스의 상승타이밍 및 하강타이밍을 변화시키는 제2의 경우 중의 어느 하나의 경우를 이용하여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기록방법.
  2. 기록매체에 대하여 복수의 에너지빔펄스의 열에서 하나의 기록마크를 형성하는 정보의 기록방법으로서, 상기 기록매체에 미리 기록된 컨트롤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너지빔펄스의 열의 최종펄스의 상승타이밍을 대략 고정한 채 하강타이밍을 변화시키는 제1의 경우와, 상기 최종펄스의 상승타이밍 및 하강타이밍을 변화시키는 제2의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를 이용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기록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상승타이밍과 상기 하강타이밍의 간격은 대략 일정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기록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재기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기록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상변화(相變化)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기록방법.
  6. 에너지빔 발생기와, 상기 에너지빔 발생기가 발생하는 에너지빔의 파워레벨을 조정하는 파워조정기구와, 기록매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유지기구와, 상기 에너지빔과 상기 기록매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기록해야할 정보를 상기 에너지빔의 파워레벨로 변화시키는 신호처리회로를 가지는 정보기록장치로서, 상기 기록매체에 하나의 기록마크를 형성할 때에, 상기 파워조정기구는 복수의 에너지빔펄스의 열을 상기 에너지빔 발생기로 발생시켜, 상기 기록매체에 미리 기록된 컨트롤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너지빔펄스의 열의 선두펄스의 하강타이밍을 대략 고정한 채 상승타이밍을 변화시키는 제1의 타이밍 조정수단과, 상기 선두펄스의 상승타이밍 및 하강 타이밍을 변화시키는 제2의 타이밍 조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장치.
  7. 에너지빔 발생기와, 상기 에너지빔 발생기가 발생하는 에너지빔의 파워레벨을 조정하는 파워조정기구와, 기록매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유지기구와, 상기 에너지빔과 상기 기록매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기록해야할 정보를 상기 에너지빔의 파워레벨로 변화시키는 신호처리회로를 가지는 정보기록장치로서, 상기 기록매체에 하나의 기록마크를 형성할 때에, 상기 파워조정기구는 복수의 에너지빔펄스의 열을 상기 에너지빔 발생기에 발생시키고, 상기 기록매체에 미리 기록된 컨트롤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너지빔 펄스의 열의 최종펄스의 상승타이밍을 대략 고정한 채 하강타이밍을 변화시키는 제1의 타이밍 조정수단과, 상기 최종펄스의 상승타이밍 및 하강타이밍을 변화시키는 제2의 타이밍 조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장치.
  8. 에너지빔의 제1의 파워레벨에서 제1의 상태로, 상기 제1의 파워레벨보다도 높은 제2의 파워레벨에서 제2의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매체를 이용하고, 상기 에너지빔과 상기 기록매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에너지빔을 상기 기록매체에 조사함으로써, 상기 제1의 상태와 상기 제2의 상태를 소정의 길이 및 간격으로 상기 기록매체 상에 형성하는 것으로 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정보의 기록방법이며, 상기 제2의 파워레벨보다 낮은 제3의 파워레벨을 마련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제2의 상태의 영역을 형성할 때에, 상기 제2의 상태의 영역을 특정의 길이로 형성하는 경우는 상기 제2의 파워레벨의 기간에 상기 제3의 파워 레벨의 기간을 혼재시켜 상기 에너지빔을 멀티펄스화하여 상기 에너지빔을 상기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기록방법으로서 , 기록방법 1과 기록방법 2를 가지고, 그 기록방법 1 또는 기록방법 2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기록방법 1 및 기록방법 2의 양쪽을 이용하면서 상기 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의 기록방법으로,
    상기 기록방법 1은 상기 멀티펄스화된 에너지빔의 선두펄스의 에너지레벨 상승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의존하여 변화시키고, 또한 상기 선두펄스의 에너지레벨 하강타이밍을 대략 고정한 상태로 하는 제1의 타이밍조정방법과, 상기 멀티펄스화한 에너지빔의 선두펄스의 에너지레벨 상승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의존하여 변화시키고, 또 상기 선두펄스의 에너지레벨 하강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의존하여 변화시키는 제2의 타이밍조정방법을, 필요에 따라 전환하면서 상기 에너지빔을 상기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것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방법 1,
    상기 기록방법 2는 상기 멀티펄스화한 에너지빔의 최종펄스의 에너지레벨 하강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의존하여 변화시키고, 또한 상기 최종펄스의 에너지레벨 상승타이밍을 대략 고정한 상태로 하는 제3의 타이밍조정방법과, 상기 멀티펄스화한 에너지빔의 최종펄스의 에너지레벨 하강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의존하여 변화시키고, 또 상기 최종펄스의 에너지레벨 상승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의존하여 변화시키는 제4의 타이밍조정방법을 필요에 따라 전환하면서 상기 에너지빔을 상기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것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방법 2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기록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파워레벨이 상기 제2의 파워레벨과 동일하거나 그 이하이며, 제4의 파워레벨을 마련하고 상기 제4의 파워레벨은 상기 제2의 파워레벨과 동일하거나 그 이하이며, 상기 제4의 파워레벨은 상기 제3의 파워레벨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며, 상기 멀티펄스의 상기 최종펄스에 이어서 상기 제4의 파워레벨로 상기 에너지빔을 상기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기록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4의 파워레벨이 유지되는 시간은, 상기 에너지빔의 상기 최종펄스의 타이밍조정의 양 및 타이밍 조정수단에 관계없이 항상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기록방법.
  11. 에저지빔의 제1의 파워레벨에서 제1의 상태로, 상기 제1의 파워레벨보다도 높은 제2의 파워레벨에서 제2의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멀티펄스화된 에너지빔의 선두펄스의 에너지레벨 상승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따라 변화시키고, 또한 상기 선두펄스의 에너지레벨 하강타이밍을 대략 고정한 상태로 하는 제1의 타이밍 조정방법으로 하고,
    멀티펄스화된 에너지빔의 선두펄스의 에너지레벨 상승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따라 변화시키고, 또한 상기 선두펄스의 에너지레벨 하강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2의 타이밍 조정방법으로 하며,
    멀티펄스화된 에너지빔의 최종펄스의 에너지레벨 하강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따라 변화시키고, 또한 상기 최종펄스의 에너지레벨 상승타이밍을 대략 고정한 상태로 하는 제3의 타이밍 조정방법으로 하며,
    멀티펄스화된 에너지빔의 최종펄스의 에너지레벨 하강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따라 변화시키고, 또한 상기 최종펄스의 에너지레벨 상승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4의 타이밍 조정방법으로 하고,
    제1의 정보는 상기 제1의 타이밍 조정방법 또는 상기 제2의 타이밍 조정방법의 어느 하나를 선별해야할 지를 나타내고,
    제2의 정보는 상기 제3의 타이밍 조정방법 또는 상기 제4의 타이밍 조정방법의 어느 하나를 선별해야할지를 나타내며,
    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제1의 정보와 제2의 정보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양쪽을 매체정보로서 기록하는 영역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1의 정보와 상기 제2의 정보중 어느 쪽이거나 또는 양쪽을 매체정보로서 재기록 불가능한 정보로서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2. 에너지빔 발생기와, 상기 에너지빔 발생기가 발생하는 에너지빔의 파워레벨을 제1의 파워레벨 및 상기 제1의 파워레벨보다 높은 제2의 파워레벨로 설정가능한 파워조정기구와, 상기 제1의 파워레벨에서 제1의 상태로 상기 제2의 파워레벨에서 제2의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매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유지기구와, 상기 에너지빔과 상기 기록매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동기구와, 상기 에너지빔을 상기 기록매체의 소정의 장소에 조사시키는 것이 가능한 위치결정기구와, 기록해야할 정보를 상기 에너지빔의 파워레벨로 변화시키는 신호처리회로를 가지는 정보기록장치이고, 상기 파워조정기구가 상기 제2의 파워레벨보다 낮은 제3의 파워레벨을 가지고 있고,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제2의 상태의 영역을 형성할 때에 상기 제2의 상태의 영역의 길이를 특정의 길이로 형성하는 경우는 상기 제2의 파워레벨의 기간에 상기 제3의 파워레벨의 기간을 혼재시켜 상기 에너지빔을 멀티펄스화하는 기능을 상기 파워조정기구가 가지는 정보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티펄스화한 에너지빔의 선두펄스의 에너지레벨 상승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의존하여 변화시키고, 또한 상기 선두펄스의 에너지레벨 하강타이밍을 대략 고정한 상태로 하는 제1의 타이밍 조정수단과,
    상기 멀티펄스화한 에너지빔의 선두펄스의 에너지레벨 상승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의존하여 변화시키고, 또한 상기 선두펄스의 에너지레벨 하강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의존하여 변화시키는 제2의 타이밍 조정수단과,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의 타이밍 조정수단과 상기 제2의 타이밍 조정수단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제1의 전환기구와,
    상기 멀티펄스화한 에너지빔의 최종펄스의 에너지레벨 하강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의존하여 변화시키고, 또한 상기 최종펄스의 에너지레벨 상승타이밍을 대략 고정한 상태로 하는 제3의 타이밍 조정수단과,
    상기 멀티펄스화한 에너지빔의 최종펄스의 에너지레벨 하강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의존하여 변화시키고, 또한 상기 최종펄스의 에너지레벨 상승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의존하여 변화시키는 제4의 타이밍 조정수단과,
    필요에 따라 상기 제3의 타이밍 조정수단과 상기 제4의 타이밍조정수단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제2의 전환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상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매체정보의 판독결과에 의존하여, 상기 제1의 전환기구를 동작시킬지, 내지는 상기 제2의 전환기구를 동작시킬지, 또는 제1 및 제2의 전환기구의 양쪽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파워레벨이 상기 제2의 파워레벨과 같거나 그 이하이며, 제4의 파워레벨을 마련하여 상기 제4의 파워레벨은 상기 제2의 파워레벨과 같거나 그 이하이며, 상기 제4의 파워레벨은 상기 제3의 파워레벨과 같거나 그 이상이며, 상기 멀티펄스의 상기 최종펄스에 이어서 상기 제4의 파워레벨로 상기 에너지빔을 상기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기록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의 파워레벨이 유지되는 시간은 상기 에너지빔의 상기 최종펄스의 타이밍 조정량 및 타이밍 조정수단에 관계없이 항상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기록장치.
  16. 에너지빔의 제1의 파워레벨에서 제1의 상태로, 상기 제1의 파워레벨보다도 높은 제2의 파워레벨에서 제2의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매체를 이용하고, 상기 에너지빔과 상기 기록매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에너지빔을 상기 기록매체에 조사함으로써, 상기 제1의 상태와 상기 제2의 상태를 소정의 길이 및 간격으로서 상기 기록매체 상에 형성하는 것으로 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정보의 기록방법이고, 상기 제2의 파워레벨보다 낮은 제3의 파워레벨을 마련하고, 상기 제2의 상태의 영역을 특정한 길이로 형성하는 경우는 상기 제2의 파워레벨의 기간에 상기 제3의 파워레벨의 기간을 혼재시켜 상기 에너지빔을 멀티펄스화하여 상기 에너지빔을 상기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기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상태의 영역을 특정한 길이로 형성하는 경우는 멀티펄스의 선두펄스의 하강을 대략 고정하고 상승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 1, 내지는 상기 제2의 상태의 영역을 특정한 길이로 형성하는 경우는 상기 멀티펄스의 최종펄스의 하강을 대략 고정하고 하강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 2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포함하는 것, 상기 제1의 파워레벨과 같거나 또는 상기 제1의 파워레벨보다 낮은 제4의 파워레벨을 마련하고, 에너지빔의 파워레벨을 상기 멀티펄스의 최종펄스에 이어서 상기 제4의 파워레벨로 소정 시간만큼 유지한 후에 상기 제1의 파워레벨로 유지하는 것, 상기 제4의 파워레벨의 유지시간은 상기 최종펄스의 하강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항상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기록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펄스에 의해 형성하려고 하고 있는 제2의 영역의 길이와, 상기 하나의 제2의 영역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하나의 제2의 영역의 바로 앞에 형성한 상기 제1의 상태의 영역의 길이의, 양쪽의 길이에 따라 상기 선두펄스의 상승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기록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펄스에 의해 형성하려고 하고 있는 하나의 제2의 영역의 길이와, 상기 하나의 제2의 영역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하나의 제2의 영역의 바로 뒤에 형성하려고 하는 상기 제1의 상태의 영역의 길이의, 양쪽의 길이에 따라 상기 최종펄스의 하강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기록방법.
  19. 에너지빔 발생기와, 상기 에너지빔 발생기가 발생하는 에너지빔의 파워레벨을 제1의 파워레벨 및 상기 제1의 파워레벨보다 높은 제2의 파워레벨로 설정가능한 파워조정기구와, 상기 제1의 파워레벨에서 제1의 상태로, 상기 제2의 파워레벨에서 제2의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매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유지기구와, 상기 에너지빔과 상기 기록매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동기구와, 상기 에너지빔을 상기 기록매체의 소정의 장소에 조사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결정기구와, 기록해야할 정보를 상기 에너지빔의 파워레벨로 변화시키는 신호처리회로를 가지는 정보기록장치이고, 상기 파워조정기구가 상기 제2의 파워레벨보다 낮은 제3의 파워레벨을 가지고 있고,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제2의 상태의 영역을 형성할 때에 상기 제2의 상태의 영역의 길이를 특정한 길이로 형성하는 경우는 상기 제2의 파워레벨의 기간에 상기 제3의 파워레벨의 기간을 혼재시켜 상기 에너지빔을 멀티펄스화하는 기능을 상기 파워조정기구가 가지는 정보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티펄스화한 에너지빔의 선두펄스의 에너지레벨 상승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의존하여 변화시키고, 또한 상기 선두펄스의 에너지레벨 하강타이밍을 대략 고정한 상태로 하는 제1의 타이밍 조정수단과,
    상기 멀티펄스화한 에너지빔의 선두펄스의 에너지레벨 상승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의존하여 변화시키고, 또한 상기 선두펄스의 에너지레벨 하강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의존하여 변화시키는 제2의 타이밍 조정수단과,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의 타이밍 조정수단과 상기 제2의 타이밍 조정수단을 전환하는 전환기구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장치.
  20. 에너지빔 발생기와, 상기 에너지빔 발생기가 발생하는 에너지빔의 파워레벨을 제1의 파워레벨 및 상기 제1의 파워레벨보다 높은 제2의 파워레벨로 설정가능한 파워조정기구와, 상기 제1의 파워레벨에서 제1의 상태로, 상기 제2의 파워레벨에서 제2의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매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유지기구와, 상기 에너지빔과 상기 기록매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동기구와, 상기 에너지빔을 상기 기록매체의 소정의 장소에 조사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결정기구와, 기록해야할 정보를 상기 에너지빔의 파워레벨로 변화시키는 신호처리회로를 가지는 정보기록장치이고, 상기 파워조정기구가 상기 제2의 파워레벨보다 낮은 제3의 파워레벨을 가지고 있고,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제2의 상태의 영역을 형성할 때에, 상기 제2의 상태의 영역의 길이를 특정한 길이로 형성하는 경우는 상기 제2의 파워레벨의 기간에 상기 제3의 파워레벨의 기간을 혼재시켜 상기 에너지빔을 멀티펄스화하는 기능을 상기 파워조정기구가 가지는 정보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티펄스화한 에너지빔의 최종펄스의 에너지레벨 하강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의존하여 변화시키고, 또한 상기 최종펄스의 에너지레벨 상승타이밍을 대략 고정한 상태로 하는 제1의 타이밍 조정수단과,
    상기 멀티펄스화한 에너지빔의 최종펄스의 에너지레벨 하강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의존하여 변화시키고, 또 상기 최종펄스의 에너지레벨 상승타이밍을 기록해야할 정보의 조합에 의존하여 변화시키는 제2의 타이밍 조정수단과,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의 타이밍 조정수단과 상기 제2의 타이밍 조정수단을 전환하는 전환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장치.
KR1019990031656A 1998-08-04 1999-08-02 정보기록방법, 정보기록매체 및 정보기록장치 KR100337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009798 1998-08-04
JP98-220097 1998-08-04
JP98-246744 1998-09-01
JP24674498 1998-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004A true KR20000017004A (ko) 2000-03-25
KR100337945B1 KR100337945B1 (ko) 2002-05-23

Family

ID=2652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656A KR100337945B1 (ko) 1998-08-04 1999-08-02 정보기록방법, 정보기록매체 및 정보기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60784A (ko)
EP (2) EP2015300A1 (ko)
KR (1) KR100337945B1 (ko)
CN (2) CN1149544C (ko)
TW (1) TW468177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171B1 (ko) * 2000-02-24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변화형 광디스크의 기록방법
KR100677104B1 (ko) * 2002-05-20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소거 패턴의 파워 정보가 저장된 광 기록 매체
KR100769534B1 (ko) * 2003-09-30 2007-10-23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3782B2 (ja) * 1997-09-09 2002-09-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の記録方法
JP3076033B1 (ja) 1998-09-14 2000-08-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学情報の記録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媒体
TW561463B (en) * 1999-03-30 2003-11-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marks in an information layer of an optical record carrier
JP3762847B2 (ja) 1999-04-13 2006-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の記録方法及び情報の記録装置
KR100297789B1 (ko) 1999-06-03 2001-10-29 윤종용 다양한 형태의 광기록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발생 방법 및이에 적합한 기록장치
US6982939B2 (en) * 2000-02-02 2006-01-03 Lsi Logic Corporation Write compensation for data storage and communication systems
US6940790B1 (en) 2000-02-02 2005-09-06 Lsi Logic Corporation Write compensation for a multi-level data storage system
US6697308B1 (en) * 2000-04-28 2004-02-24 Mosel Vitelic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iming adjustment to perform reliable optical recording at high speeds
JP4419285B2 (ja) * 2000-06-19 2010-02-24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
KR100403614B1 (ko) * 2000-11-29 2003-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고밀도 광기록을 위한 적응적 기록 제어 방법
KR100434488B1 (ko) * 2001-02-19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기록 펄스 발생 장치 및 방법
JP2002298350A (ja) * 2001-03-28 2002-10-11 Tdk Corp 光記録方法、光記録装置及び光記録媒体
US20030123357A1 (en) * 2001-12-11 2003-07-03 Looijkens Marinus Adrianus Henricus Apparatus comprising an apparatus for writing data on a recording medium and method implemented in such an apparatus
EP2053601B1 (en) 2002-04-19 2013-06-19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JP4142338B2 (ja) * 2002-05-09 2008-09-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情報記録方法
US7106680B2 (en) 2002-05-10 2006-09-12 Ricoh Company, Ltd.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to optical disk using multi-pulse to enhance power pulse
US7369470B2 (en) * 2002-05-20 2008-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recording erase pattern information on an optical recording medium, erasing information on the optical recording medium based on the erase pattern information,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therefor
US8018817B2 (en) * 2002-05-20 2011-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recording erase pattern information on an optical recording medium, erasing information on the optical recording medium based on the erase pattern information,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therefor
JP3851886B2 (ja) * 2002-05-27 2006-11-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DE60327118D1 (de) 2002-05-30 2009-05-20 Lg Electronics Inc Aufzeichnungsmedium und Verfahren zur Aufzeichnung von Daten auf einem Aufzeichnungsmedium
US7474603B2 (en) 2002-09-04 2009-01-06 Ricoh Company,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pparatus, and medium, laser control circuit, wobble signal detection method, and servo signal detection method
JP3996051B2 (ja) 2002-12-18 2007-10-24 株式会社リコー 光記録方法
KR100750109B1 (ko) * 2003-02-15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매체
JP2005092942A (ja) 2003-09-16 2005-04-07 Hitachi Ltd 光ディスク記録方法、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
CN101599278B (zh) * 2004-01-09 2011-05-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记录方法、光盘介质及再现方法
TW200608375A (en) * 2004-07-22 2006-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disc recording pulse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and optical disc device employed therein
CN101427308B (zh) * 2006-04-28 2011-02-16 夏普株式会社 记录参数设定装置、记录参数设定程序、记录有该程序的计算机可读取的记录介质、信息记录介质、记录重放装置和记录参数设定方法
JP2007317343A (ja) * 2006-04-28 2007-12-06 Sharp Corp 記録パラメータ設定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情報記録媒体、ならびに記録パラメータ設定方法
JP2008310922A (ja) 2007-06-18 2008-12-25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及びこの媒体を用いたディスク装置
WO2009054196A1 (ja) * 2007-10-26 2009-04-30 Sharp Kabushiki Kaisha 記録パラメータ設定装置、情報記録媒体、プログラム、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記録パラメータ設定方法
BRPI0905746A2 (pt) * 2008-10-01 2020-11-24 Panasonic Corporation meio de gravação de informação e aparelho de gravação/reprodução
BRPI0910745A2 (pt) * 2008-10-09 2016-07-19 Panasonic Corp método de gravação optica, dispositivo de gravação óptica, dispositivo de exposição de meio master, meio de gravação de informação óptica e método de reprodução
JP5204239B2 (ja) * 2009-03-06 2013-06-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学的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および、光学的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WO2010103770A1 (ja) * 2009-03-09 2012-09-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媒体への情報の記録方法、情報記録媒体からの情報の再生方法および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
WO2010103769A1 (ja) * 2009-03-10 2010-09-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媒体への情報の記録方法、情報記録媒体からの情報の再生方法および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5657A (en) 1985-06-11 1995-12-12 Nikon Corporation Overwrite capable magnetooptial recording apparatus
JP2719130B2 (ja) 1986-05-02 1998-0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の記録・再生および書き換え方法とその装置
JPH0664741B2 (ja) 1986-08-15 1994-08-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学情報の記録装置
JP2810035B2 (ja) * 1986-08-22 1998-10-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学的記録再生方法
KR910003460B1 (ko) * 1987-02-12 1991-05-31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광학식 정보기록 장치
US4873680A (en) * 1987-03-13 1989-10-10 Laserdriv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ompensating for pit extension in an optical disk recording system
JP2804806B2 (ja) 1989-12-13 1998-09-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の記録方法
US5642343A (en) * 1990-06-29 1997-06-24 Hitachi, Ltd. Magnetooptic dis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5418770A (en) * 1990-06-29 1995-05-23 Hitachi,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edge interval of pit in optical recording/read-out apparatus
US5590111A (en) * 1990-06-29 1996-12-31 Hitachi, Ltd. Method of controlling recording of optical records
US5347505A (en) * 1992-01-20 1994-09-13 Fujitsu Limited Optical medium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employing pulse width delay and/or advancement
US5703855A (en) * 1993-04-06 1997-12-30 Hitachi, Ltd. Optical disk apparatus and recording and reading method for an optical disk using the same
JP2684952B2 (ja) * 1993-04-07 1997-12-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方法およびディスク記録装置
JP2643780B2 (ja) * 1993-07-23 1997-08-20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
JP3138610B2 (ja) 1995-04-13 2001-02-26 株式会社リコー 相変化型光ディスク用記録方法
CN1146869C (zh) * 1995-10-09 2004-04-2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学信息的记录方法和记录单元
AU1614797A (en) * 1996-02-16 1997-09-02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an optical information carrier
JPH1083553A (ja) * 1996-09-05 1998-03-31 Hitachi Ltd 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装置
JP3792325B2 (ja) * 1996-11-27 2006-07-05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記録装置
JPH11213429A (ja) * 1998-01-30 1999-08-06 Sony Corp 相変化型光ディスクの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171B1 (ko) * 2000-02-24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변화형 광디스크의 기록방법
KR100677104B1 (ko) * 2002-05-20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소거 패턴의 파워 정보가 저장된 광 기록 매체
KR100769534B1 (ko) * 2003-09-30 2007-10-23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KR100769625B1 (ko) * 2003-09-30 2007-10-23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51126A (zh) 2004-12-01
CN1244003A (zh) 2000-02-09
US6160784A (en) 2000-12-12
KR100337945B1 (ko) 2002-05-23
EP0978827A2 (en) 2000-02-09
TW468177B (en) 2001-12-11
CN1280792C (zh) 2006-10-18
EP0978827A3 (en) 2001-01-10
CN1149544C (zh) 2004-05-12
EP2015300A1 (en)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945B1 (ko) 정보기록방법, 정보기록매체 및 정보기록장치
JP3762847B2 (ja) 情報の記録方法及び情報の記録装置
US8773963B2 (en) Highly adaptive recording method and optical recording apparatus
US8040777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EP0933759A2 (en) Data recording and optical disc drive
JP3898410B2 (ja) 情報記録方法
US6714230B2 (en) Method for optically recording information on an optically re-writable information medium
US7136328B2 (en) Magneto-optical recording device capable of setting the time phase of laser pulses and magnetic fields
JP2000123369A (ja) 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装置
JP2000149262A (ja) 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装置
JP3762907B2 (ja) 情報の記録方法及び情報の記録装置
JP3446683B2 (ja) 情報記録方法
JP2000149265A (ja) 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装置
KR20040062630A (ko) 광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기록장치
JPH06150319A (ja) 情報の記録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