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911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911A
KR20000016911A KR1019990027395A KR19990027395A KR20000016911A KR 20000016911 A KR20000016911 A KR 20000016911A KR 1019990027395 A KR1019990027395 A KR 1019990027395A KR 19990027395 A KR19990027395 A KR 19990027395A KR 20000016911 A KR20000016911 A KR 20000016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bubble
washing machine
bubbles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6000B1 (ko
Inventor
반바요시까즈
무라오쓰요시
아라끼야스시
요시다시게끼
마미야하루오
가와조에시게끼요
후나다요리히사
구라세꼬다까오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00016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0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12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solely by gases, e.g. air or steam, introduced into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2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ub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세탁조 (2,5) 내의 세탁수에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발생수단 (20) 과, 이 기포발생수단 (20) 에 의해 세탁수 내에 공급된 기포를 미세화하는 기포미세화수단 (6,29) 을 포함하는 세탁기. 기포미세화수단은, 예컨대, 세탁조 (2,5) 의 내부에 배설된 회전날개 (6) 하면에 구비된 안쪽날개 (29) 이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이나 헹굼시에 세탁조내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이나 헹굼시에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세탁조내의 세탁수에 발생시키는 수류에 더하여, 상기 세탁수에 다량의 기포를 보내어 세탁을 실시하는 세탁기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95-47188호 참조). 이러한 세탁기에서는 기포가 세탁물에 접촉하여 파열될 때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그 미세한 진동에 의해 세탁물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성분의 박리가 촉진되므로, 기포를 더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높은 세정성능이 얻어진다. 또, 기포가 세탁물과 다른 세탁물 사이에 들어가 완충작용을 일으켜 과잉마찰을 방지하므로 옷감 손상이 경감된다. 또한, 기포가 세탁물을 떠오르도록 작용하므로, 세탁물이 세탁조의 저부에 머무르지 않게 되어 펄세이터와 세탁물의 마찰에 의한 옷감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기포를 보내어 세탁을 실시하는 세탁기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과제가 있다.
첫째, 세탁수에 보내진 기포의 크기가 어느정도 커지면, 기포가 세탁물에 접촉하여도 파열되지 않고, 세탁물 아래에 충만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기포에 의해 세탁물이 떠오르는 것 뿐이고, 기포에 의한 세정효과가 향상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기포가 큰 경우, 작은 기포에 비해 세탁물의 구석구석까지 기포가 골고루 미치기 어렵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세정효과가 향상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둘째, 에어펌프에 의해 송출된 공기를 펄세이터에 설치된 기포토출구멍으로부터 세탁겸 탈수조내에 기포로서 토출하는 구성의 세탁기에 있어서는, 펄세이터가 회전운동을 실시하면, 펄세이터 안쪽에 모여있는 기포에 원심력이 작용하고, 이 원심력에 의해 기포가 펄세이터의 외주측에 편중되어 분포하게 된다.
따라서, 펄세이터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기포토출구멍에서 발생하는 기포의 수가, 펄세이터의 중심부근에 위치하는 기포토출구멍에서 발생하는 기포의 수에 비해 증가하기 때문에, 세탁겸 탈수조내의 기포의 분포에 편중이 생겨 세탁물에 공급되는 기포가 분균일하게 되는 문제를 일으킨다.
셋째, 회전이 자유로운 세탁겸 탈수조가 외조내에 지지된, 소위 전자동 세탁기에서는 세탁겸 탈수조에 기포를 공급하는 구조로서, 외조의 저부 (세탁겸 탈수조의 외저부와 외조내 저부의 사이) 에 기포취출구를 위치하게 하고, 상기 세탁겸 탈수조의 저부 및 펄세이터에는 기포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구멍을 형성하고, 기포취출구로부터 공급된 기포를, 상기 통과구멍을 통하여 세탁겸 탈수조내로 공급하는 구성이 종래부터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기포취출구로부터 공급된 기포의 진행방향이 벗어나서, 외조에 설치된 통과구멍을 잘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취출구로부터 공급된 기포는, 세탁겸 탈수조의 외저면을 따라 이동하여 세탁겸 탈수조의 외측 (세탁겸 탈수조와 외조 사이의 공간) 으로 벗어나서 세탁겸 탈수조내에 기포가 공급되지 않는 문제를 일으킨다.
넷째, 상기 기포취출구는, 상기 외조의 측면에서 상기 세탁겸 탈수조의 저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외조의 외측에 있어서 공급파이프를 통해 에어펌프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펌프를 정지하고 있을 때, 공급파이프내에 세탁수나 헹굼수가 진입하기 때문에, 세탁수 (헹굼수) 에 포함되어 있는 세탁물로부터 박리된 오물이나 녹다남은 세제등이 공급파이프내에 퇴적되거나, 달라붙는 경우가 있고, 이로인해 공급파이프가 막혀 기포발생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다섯째, 상기 에어펌프는 상기 외조로부터 떨어진 장소 (예컨대, 외조의 상부에 위치한 상면판내) 에 설치되어 있고, 에어펌프의 토출측에는 상기 공급파이프의 일단이 접속되며, 공급파이프의 타단은 상기 외조의 저부에 위치하는 기포취출구에 까지 연장되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기기운전시의 외조의 진동에 의해 공급파이프가 쉽게 구부러지고, 공급파이프가 심하게 구부러진 경우, 공급파이프내의 통로가 눌려 에어펌프로부터의 에어공급이 감소 또는 끊어지며, 세탁수로의 기포공급이 양호하게 실시되지 않는 문제를 갖고 있다.
여섯째, 에어펌프는 케이스의 상판내에 배설되고, 에어펌프의 공기 토출측은 공급파이프를 통해 외조저부의 기포취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공급파이프가 외조의 저부까지 달해 있기 때문에, 기기를 제조할 때, 케이스내에 외조를 조립한 후에 공급파이프를 외조 저부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기포의 공급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기포에 의한 세정효과 또는 헹굼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기포의 공급로의 구성을 개량함으로써, 제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운전중의 진동에 의해 기포의 공급이 저해되지 않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5 목적은, 기포의 공급로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 목적은, 가능한 많은 기포를 회전날개에 형성된 기포토출구멍을 통하여 세탁조내에 공급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세탁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 2 는 상기 세탁기의 부분단면도.
도 3a 는 펄세이터의 평면도, 도 3b 는 도 3a 의 A-B선 단면도, 도 3c 는 도 3b 의 D-F선 단면도.
도 4 는 기포취출구의 일 구체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5 는 기포취출구의 다른 구체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세탁기의 부분단면도.
도 7 은 안쪽날개의 일 구체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 은 안쪽날개의 다른 구체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9 는 기포토출구멍의 일 구체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외조 5 : 세탁겸 탈수조
6 : 회전날개 20 : 기포발생수단
21 : 상부공급로 23 : 하부공급로
24 : 기포취출구 24a : 역지밸브
26 : 오목부 27 : 통과구멍
29 : 안쪽날개 38 : 기포토출구멍
40 : 래버린스(labyrinth) 결합부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조내의 세탁수에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발생수단과, 이 기포발생수단에 의해 세탁수 내에 공급된 기포를 미세화하는 기포미세화수단을 포함한다.
이 세탁기에서는, 기포발생수단에 의해 세탁수에 공급된 기포를 미세화하는 수단을 구비하므로, 세탁조내의 세탁수로의 세제의 용해가 촉진됨과 동시에, 미세화된 기포가 세탁물에 접촉함으로써, 미세화되어 파열할 때의 파동 (초음파) 에 의해 세탁물의 세정효과나 헹굼효과가 향상된다.
상기 세탁기는, 세탁조의 내부에 배설된 회전날개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회전날개에 의한 수류와 상기 기포의 조합에 의해 세탁물의 세탁 또는 헹굼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기포미세화수단이 상기 회전날개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기포발생수단에 의해 세탁수에 공급된 기포를 회전날개에 의해 미세화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세탁운전시 및 헹굼운전시에 회전하고 있는 회전날개를 이용하여 기포를 미세화하기 때문에, 새롭게 기포를 미세화하는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상기 기포미세화 수단은, 상기 회전날개의 하면에 구비된 안쪽날개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기포를 미세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안쪽날개는 회전날개의 하면에서 회전날개의 회전반경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의 안쪽날개가 방사상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안쪽날개는 빗형상 또는 물결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따라, 안쪽날개의 유효면적이 늘어나므로 기포미세화의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기포발생수단에 의해 세탁수에 공급된 기포를 세탁조내 상방으로 공급하는 기포토출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회전날개는 지름방향으로 구획된 복수의 방을 이면측 (즉, 하면측) 에 가지며, 각 방의 천정면에 상기 기포토출구멍 (38) 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에어펌프 등의 기포발생수단에 의해 펄세이터의 하부로 송출된 기포는, 상기 펄세이터 내측의 구획된 각 방에 분산되어 모이게 되므로, 펄세이터의 내측에 모인 기포가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외주측에 편중되어 분포하지 않는다. 따라서, 펄세이터에 형성된 모든 토출구멍에서 거의 균등하게 기포가 발생하며, 세탁겸 탈수조내의 일부에 기포가 편중되지 않고, 세탁물 전체에 구석구석까지 기포가 골고루 미치게 된다.
상기 세탁조는, 세탁겸 탈수조와, 이 세탁겸 탈수조를 내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외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외조는 상기 기포발생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기포를 이 외조내에 도입하기 위한 기포취출구를 저벽면에 갖고 있으며, 상기 세탁겸 탈수조는 세탁수에 공급된 기포를 그 내방에 도입하는 통과구멍을 저벽면에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세탁겸 탈수조의 저부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탁겸 탈수조는 상방을 향해 돌출형성된 오목부를 저면에 갖고 있으며, 상기 기포취출구는 상기 오목부의 근방 (바람직하게는 하방) 에 개구되어 있고, 상기 통과구멍은 상기 기포취출구로부터 공급된 기포가 상기 세탁겸 탈수조내로 도입되도록 상기 오목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기포취출구로부터 도입된 기포는, 상기 오목부에 수용된 후 상기 통과구멍을 통해 세탁겸 탈수조내로 보내진다. 이에 따라, 기포가 통과구멍을 향하지 않고 외조의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아 확실하게 세탁겸 탈수조내에 기포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외조는, 케이스에 방진(防振) 지지되어 있고, 상기 기포발생수단은 세탁기의 본체상부에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기포발생수단과 상기 기포취출구를 접속하는 기포공급로가 추가로 갖추어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기포공급로는 도중에서 상부공급로와 하부공급로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상부공급로와 하부공급로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상기 외조의 측벽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탁기를 제조할 때, 케이스 내에 외조를 조립한 후에 케이스의 상측개구로부터 기포공급로의 상부공급로를 하부공급로로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조자가 작업하기 어려운 외조하부에 배치된 하부공급로를 미리 외조저부에 접속한 상태로 외조를 케이스내에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세탁기의 제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공급로는, 상기 연결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상기 하부공급로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조가 진동하여도 연결부분에서 상부공급로가 연결부분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수평방향으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공급로가 하부공급로로부터 빠져 기포의 공급이 불가능해지거나, 연결부분으로부터 세탁겸 탈수조내의 세탁액이 누출되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상부공급로는 연질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탁기의 운전시에 외조가 진동하여도 상부공급로에 의해 진동이 흡수되기 때문에, 공급로가 굴곡됨으로써, 기포발생수단에 의해 송출된 기포가 감소하거나 끊어지거나 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하부공급로의 내경은, 상기 상부공급로의 내경에 비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기포발생수단이 정지되어 있을 때 하부공급로내에 세탁수가 진입하여도, 세탁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찌꺼기나 실밥, 녹다남은 세제 등으로 공급로가 쉽게 막히지 않게 된다.
또, 상기 세탁기는, 세탁수에 공급된 기포가 상기 회전날개에 형성된 기포토출구멍 이외로부터 세탁수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일수단을 상기 회전날개와 세탁조 사이에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회전날개의 안쪽에 공급된 기포가 회전날개와 세탁조 사이에서 세탁조내로 새는 것이 방지되므로, 기포토출구멍에서 균일하게 기포가 토출되게 된다.
상기 시일수단은 비접촉형 시일기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컨대, 상기 회전날개의 외주부 또는 상기 회전날개 외주부에 대향하는 세탁조 저벽의 어느 한 쪽에 복수개의 원통형 벽으로 구성된 홈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 쪽에 상기 홈부의 개구내에 비접촉상태로 유동가능하게 끼이는 고리형 벽을 설치하고, 이들 홈부와 고리형 벽으로 구성되는 래버린스(labyrinth) 결합부로 상기 시일수단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회전날개에 복수의 상기 기포토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회전날개의 중앙부의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기포토출구멍의 개구면적의 총합을, 외주부의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기포토출구멍의 개구면적의 총합에 비해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날개의 안쪽에서는 중심부로부터 외주부로 감에 따라서 유속이 증가하는 점에서, 기포의 양도 외주부로 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중앙부에 비해 외주부 쪽이 기포토출구멍의 개구 총면적을 크게함으로써, 가능한 많은 기포를 세탁조내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외조가 케이스에 방진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기포취출구와 상기 기포발생수단이 기포공급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외조내의 세탁수가 상기 기포공급로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지밸브가, 상기 기포토출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찌꺼기나 세제가 기포공급로 내에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며, 기포공급로내가 막혀 기포의 공급량이 감소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상기 기포미세화수단은, 직경이 약 0.5 mm 의 미세화기포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화된 기포는, 직경이 너무 작으면 세탁물의 섬유의 간격을 통과하기 때문에, 기포가 세탁물에 접촉하여 파열되기 어려워 세정효과가 향상되지 않는다. 또, 지름이 너무 크면 기포가 세탁물에 접촉했을 때 파열되지 않고, 세탁물의 아래에 모여 세탁물을 떠오르게 하기 때문에, 기포의 직경은 0.5 mm 정도가 바람직하다.
회전날개와 세탁조 사이의 시일기구에 주목함으로써, 본 발명은 세탁조와, 세탁조내의 세탁수에 기포를 공급하기 위한 기포발생수단과, 세탁조내에 설치되어 상기 기포발생수단에 의해 세탁수에 공급된 기포를 세탁조내로 공급하는 기포토출구멍을 갖는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날개와 세탁조 사이에 설치되어 공급된 기포가 상기 기포토출구멍 이외로부터 세탁조 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일수단을 포함하는 세탁기로 파악된다.
이 경우에도, 시일수단은, 예컨대 상기 회전날개의 외주부 또는 상기 회전날개 외주부에 대향하는 세탁조 저벽의 어느 한쪽에 복수개의 원통형 벽으로 구성된 홈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 쪽에 상기 홈부의 개구내에 비접촉상태로 유동가능하게 끼이는 고리형 벽을 설치하고, 이들 홈부와 고리형 벽으로 구성된 래버린스 결합부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세탁조에 대한 효율적인 기포의 공급에 주목함으로써, 본 발명은, 세탁조와, 세탁조내의 세탁수에 기포를 공급하기 위한 기포발생수단과, 세탁조내에 설치되어 상기 기포발생수단에 의해 세탁수에 공급된 기포를 세탁조내로 공급하는 복수의 기포토출구멍을 갖는 회전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기포토출구멍은, 상기 회전날개의 중앙부의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기포토출구멍의 개구면적의 총합이, 외주부의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기포토출구멍의 개구면적의 총합에 비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세탁기로 파악된다.
또한, 기포공급로의 막힘방지기구에 주목함으로써, 본 발명은, 케이스내에 방진 지지된 외조와,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된 세탁겸 탈수조와, 세탁수에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발생수단과, 상기 외조의 저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조내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취출구와, 상기 기포취출구와 상기 기포발생수단을 연결하는 기포공급로와, 상기 기포취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외조내의 세탁수가 상기 기포공급로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지밸브를 포함하는 세탁기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또는 또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분명해 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세탁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다. 세탁기의 외측프레임을 형성하는 케이스 (1) 의 내부에는 외조 (2) 가 복수의 현수봉 (3) 으로 매달아 지지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외조 (2) 의 진동이 케이스 (1) 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외조 (2) 의 내부에는 주벽에 다수의 통수구멍 (4) 을 갖는 세탁겸 탈수조 (5) 가 그 저부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축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의 저부에는 세탁물을 교반하기 위한 펄세이터 (6) 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외조 (2) 의 하부에 장착된 모터 (7) 의 회전동력이 모터풀리 (8), V 벨트 (9), 주 풀리 (10) 및 동력전환기구 (11) 를 통해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및 펄세이터 (6) 로 전달된다.
상기 동력전환기구 (11) 는, 탈수시에는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와 펄세이터 (6) 가 일체가 되어 회전하고, 그 이외의 때는 펄세이터 (6) 만이 회전하도록 구동축의 연결을 전환한다.
상기 케이스 (1) 의 상부에는 도시생략의 급수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급수기구에 의해 상기 세탁겸 탈수조내로 주수가 이루어진다.
상기 외조 (2) 저부에는 배수구 (12) 가 설치되며, 배수밸브 (13), 배수로 (14) 를 통해 배수호스 (15) 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수밸브 (13) 에는 도시생략의 솔레노이드가 부설되어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는 여자되면 상기 배수밸브 (13) 를 개방하고, 또한 상기 동력전환기구 (11) 내의 클러치를 구동하여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와 펄세이터 (6) 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수밸브 (13) 의 폐쇄시에는 동력전환기구 (11) 는 펄세이터 (6) 만을 회전시키고, 상기 배수밸브 (13) 의 개방시에는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와 상기 펄세이터 (6) 를 일체로 회전시킨다.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상단부에는 방진용의 고리형 밸런스링 (16) 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저부에서 상기 밸런스링 (16) 중앙아래까지 수직으로 신장하는 순환수로 (17) 가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내벽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순환수로 (17) 의 상단개구에는 세탁수에 혼입되어 있는 실밥 등의 찌꺼기를 포집하기 위한 린트필터 (18) 가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 상면판 (19) 에는 기포발생용 에어펌프 (20) 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에어펌프 (20) 의 에어토출측 (20a) 에는 제 1 공급 파이프 (21) 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 1 공급 파이프 (21) 는 상기 외조 (2) 의 외측을, 외조 (2) 를 매달아 지지하고 있는 상기 현수봉 (3) 을 따르도록 여유를 갖게하여 감겨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공급 파이프 (21) 의 타단을 상기 외조 (2) 측벽에 설치된 연접관 (22) 에 수평방향으로 접속하고 있다.
상기 제 1 공급 파이프 (21) 의 접속부분이 상기 외조 (2) 측벽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세탁기를 제조할 때, 상기 케이스 (1) 내에 상기 외조 (2) 를 조립한 후의 공정에서, 상기 제 1 공급 파이프 (21) 를 상기 연접관 (22) 에 접속할 수 있어 제조성이 향상된다.
상기 연접관 (22) 의 하방에는 제 2 공급 파이프 (23) 가 접속되고, 상기 제 2 급수 파이프 (23) 는 상기 외조 (2) 의 저부를 따라 기포취출구 (24) 까지 달해 있다. 그리고, 제 2 공급 파이프 (23) 는 단단히 상기 외조 (2) 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기포취출구 (24) 에 접속되어 배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2 공급 파이프 (23) 는, 상기 외조 (2) 의 진동시에 외조 (2) 와 일체로 진동하기 때문에, 그 통로가 원하지 않게 구부러져 폐쇄되거나 하지 않는다.
제 1 공급 파이프 (21) 는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내경이 약 3.5 mm 정도의 튜브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공급 파이프 (23) 는 내경 7.2 mm 정도의 튜브로 형성되어 있다. 내경이 작은 제 1 공급 파이프 (21) 는 내경이 큰 제 2 공급 파이프 (23) 에 비해 잘 구부러지지 않고, 굴곡에 의해 파이프내의 통로가 눌려 폐쇄되지 않는 이점을 갖지만, 반면, 내경이 작기 때문에, 파이프내에 들어간 찌꺼기 등으로 쉽게 막힌다는 결점이 있다. 한편, 내경이 큰 제 2 공급 파이프 (23) 는, 잘 구부러지며 굴곡에 의해 쉽게 파이프가 폐쇄되지만, 내경이 크기 때문에 찌꺼기등으로는 막히지 않는다.
즉, 상기 외조 (2) 의 진동에 의해 쉽게 흔들리지만, 세탁수가 잘 진입되지 않는 공급파이프의 상방은, 찌꺼기로 쉽게 막히지만 잘 굴곡되지 않는 튜브를 사용하여 외조의 진동에 의한 굴곡의 염려가 없기 때문에, 외조의 진동을 흡수시킬 필요성이 없지만, 세탁수의 진입에 의해 찌꺼기막힘의 가능성이 있는 공급파이프의 하방은, 쉽게 굴곡되지만 찌꺼기막힘이 없는 튜브를 사용하고 있다.
세탁운전이나 헹굼운전시에 세탁겸 탈수조 (5) 의 저부에서 펄세이터 (6) 가 회전하면, 세탁겸 탈수조 (5) 내에서 세탁물이 교반되므로, 외조 (2) 가 상하좌우로 요동을 일으킨다. 탈수운전시 또한 큰 요동이 일어난다. 이 때, 제 1 공급 파이프 (21) 의 하단은 외조 (2) 측벽에 고착된 연접관 (22) 에 접속되며, 상단은 상면판 (19) 에 배치된 에어펌프 (20) 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외조 (2) 가 흔들리면, 상기 제 1 공급파이프 (21) 에 구부러지는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공급 파이프 (21) 는 내경이 작은 튜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조 (2) 가 진동하여도 튜브가 예각으로 구부러져 공기의 통로가 폐쇄되지 않는다.
또, 상기 제 1 공급 파이프 (21) 의 하단은 연접관 (22) 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평방향에 접속함으로써, 세탁기의 운전시에 외조 (2) 가 진동하여도, 상기 제 1 공급 파이프 (21) 와 연접관 (22) 의 접속부분에, 상기 제 1 공급 파이프 (21) 에 대해 연접관 (22) 에서 빠지는 방향으로의 (수평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는 것이 적다. 따라서, 제 1 공급 파이프 (21) 가 연접관 (22) 에서 빠져 에어의 공급이 불가능해지거나, 상기 연접관 (22) 으로부터 세탁겸 탈수조 (5) 내의 세탁액이 누출되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세탁물에서 박리된 찌꺼기, 실밥, 녹다남은 세제 등은 상기 외조 (2) 의 내저부에 침전되는 경우가 있다. 외조 (2) 의 저부에는 기포취출구 (24) 가 설치되어 있고, 에어펌프 (20) 가 정지되어 공급파이프 (21,23) 로 공기가 보내지지 않는 경우 (예컨대, 헹굼운전시나 탈수운전시) 에, 이 상기 기포취출구 (24) 를 통해 제 2 공급 파이프 (23) 내에 세탁수가 용이하게 진입한다. 그리고, 진입한 세탁수에 포함된 찌꺼기나 실밥, 녹다남은 세제 등이 제 2 공급 파이프 (23) 내면에 부착되거나 퇴적되거나 하면, 제 2 공급 파이프 (23) 가 막혀 에어의 공급이 감소 또는 폐쇄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공급 파이프 (23) 는 내경이 큰 튜브로 이루어지므로, 세탁액이 제 2 공급 파이프 (23) 내에 진입하여도, 세탁액 내의 찌꺼기나 실밥, 녹다남은 세제 등에 의해 제 2 공급 파이프 (23) 가 막히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공급 파이프 (23) 는 튜브를 사용하고 있는데, 예컨대, 상기 외조 (2) 의 저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홈으로 덕트형의 통로를 형성하여, 이 통로의 단면적이 찌꺼기나 실밥 등으로 막히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면 된다.
또, 도 4 에 나타낸 기포취출구의 제 2 실시예와 같이, 기포취출구 (24) 에 외조 (2) 내의 세탁액이 공급파이프 (23) 를 통해 에어펌프 (2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지밸브 (24a) 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에어펌프 (20) 로부터의 공기는 외조 (2) 내로 공급되는데, 외조 (2) 내의 세탁액은 공급파이프 (23) 내에 진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세탁액내의 찌꺼기나 실밥, 녹다남은 세제 등이 공급파이프 (23) 내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공급파이프 (23) 내에 세탁액이 진입하지 않는 점에서, 겨울 등에 공급파이프 (23) 내에 들어간 세탁액의 남은 물이 동결되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의 저면에는,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의 회전축 (25) 을 감싸도록 도너츠형으로 상방을 향해 돌출형성된 오목부 (26)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의 저면에는, 세탁겸 탈수조 (5) 와 외조 (2) 저면 사이의 물을 통과시킴과 동시에, 상기 에어펌프 (20) 로부터의 기포를 통과시키는 통과구멍 (27) 이 상기 오목부 (26) 의 범위내에 복수개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통과구멍 (27) 은 상기 기포취출구 (24) 의 거의 상방의 위치에 오도록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펌프 (20) 에 의해 보내져, 상기 기포취출구 (24) 에서 발생한 기포는 직접 상기 통과구멍 (27) 을 통해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내로 들어가거나, 또는 한번 상기 오목부 (26) 에 포획된 후, 상기 통과구멍 (27) 을 통해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내로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A ∼ 3C 는, 펄세이터 (6) 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 는 평면도, 도 3B 는 도 3A 의 A-B 선 단면도, 도 3C 는 도 3B 의 D-F 선 단면도이다.
상기 펄세이터 (6) 는, 상면에는 세탁겸 탈수조 (5) 내에 수류를 발생시키는 교반날개 (28) 가 설치되며, 이면에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안쪽날개 (29)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쪽날개 (29) 는 세탁겸 탈수조 (5) 와 외조 (2) 저면 사이에 있는 물을 빨아올리는 펌프작용을 가지며, 또한 상기 기포취출구 (24) 로부터 발생된 기포를 미세화하는 파쇄작용을 가진다.
상기 펄세이터 (6) 는 거의 원반형상의 본체부재 (30) 와, 상기 본체부재 (30) 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교반날개 (28)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재 (30) 는, 수지제로 일체형성된 거의 원반형상 부재로, 그 중앙부에는 해당 펄세이터 (6) 를 회전축에 장착하기 위한 보스부 (31) 가 상방으로 튀어나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재 (30) 상면에는, 보스부 (31) 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5 개의 교반날개장착부 (32) 가 거의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한 교반날개장착부 사이는 반경방향의 거의 중앙이 약간 오목한 평탄부 (33) 로 되어 있다. 평탄부 (33) 에는 상하로 연이어 통하는 배수구멍 (34) 이 형성됨과 동시에, 외주측에 분수구멍 (35) 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부재 (30) 하면에는 바깥둘레 전체에 걸쳐 늘어뜨린 주(周)리브 (36) 가 형성되어 있고, 보스부 (31) 로부터 상기 둘레리브 (36) 까지 방사상으로, 즉, 펄세이터 (6) 의 회전반경방향을 각각 따르도록, 복수장의 안쪽날개 (29) 가 형성되어 있다. 교반날개장착부 (32) 는, 평탄부 (33) 로부터 산형상으로 상방에 튀어나와 있고, 상부에 교반날개부재 (28) 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교반날개장착부 (32) 의 내측은 지름방향으로 3 개의 방 (37a,37b,37c) 으로 분할되어 있고, 각 방 (37a,37b,37c) 의 천정면에는 기포가 방출되는 기포토출구멍 (38) 이 상기 교반날개부재 (28) 및 교반날개장착부 (32) 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세탁운전시 또는 헹굼운전시에는, 세탁겸 탈수조 (5) 내의 소정 수위까지 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펄세이터 (6) 가 회전된다. 펄세이터 (6) 가 회전하면 이면에 형성된 안쪽날개 (29) 의 펌프작용에 의해, 세탁겸 탈수조 (5) 의 저면에 형성개구되어 있는 통과구멍 (27) 을 통해 세탁겸 탈수조 (5) 저면과 외조 (2) 저면 사이의 물이 빨아 올려진다. 빨아 올려진 물은 펄세이터 (6) 의 외주로 압출되고 순환수로 (17) 내를 상승하여, 그 상단개구로부터 린트필터 (18) 를 통해 세탁겸 탈수조 (5) 내로 토출된다.
에어펌프 (20) 가 구동되면, 제 1 공급파이프 (21) 에 공기가 보내진다. 보내진 공기는, 연접관 (22), 제 2 공급파이프 (23) 를 통해 세탁겸 탈수조 (5) 의 저면에 설치된 기포취출구 (24) 에서 기포가 되어 차례차례 외조 (2) 내로 방출된다. 방출된 기포는 부상하며, 상기 펄세이터 (6) 의 안쪽날개 (29) 에 의한 펌프작용에 의해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의 저면에 형성된 통과구멍 (27) 에 직접 흡입되거나 또는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의 저면에 형성된 오목부 (26) 내에 일단 수용된 후, 상기 통과구멍 (27) 에 흡입되어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내에 보내진다.
즉, 기포취출구 (24) 로부터 외조 (2) 내로 방출된 기포는, 통과구멍 (27) 에 직접 흡입되지 않은 경우, 통과구멍 (27) 에 흡입되기 전에 상기 오목부 (26) 에 일단 수용되므로, 기포가 통과구멍 (27) 을 향하지 않고 외조 (2) 의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아 확실하게 세탁겸 탈수조 (5) 내에 기포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통과구멍 (27) 을 통과한 기포는 상기 펄세이터 (6) 의 이면에 형성된 안쪽날개 (29) 에 의해 교반됨으로써 미세화되고, 세정효과가 더욱 향상된 미세기포 (약 10 미크론 ∼ 2 미리미터, 평균 0.5 미리미터) 가 된다. 이 미세기포는 상기 교반날개장착부 (32) 의 내측의 세개의 방 (37a,37b,37c) 에 모인다. 이 세개의 방 (37a,37b,37c) 각각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기포토출구멍 (38) 이 소정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 방 (37a,37b,37c) 에 모인 미세기포는 각 기포토출구멍 (38) 으로부터 세탁겸 탈수조 (5) 내로 부상해 간다.
이 때, 펄세이터 (6) 의 안쪽날개 (29) 에 의해 미세화된 기포는, 교반날개장착부 (32) 의 세개의 방 (37a,37b,37c) 에 거의 균등하게 분산화되어 모이게 되므로, 각 방 (37a,37b,37c) 각각에 형성된 기포토출구멍 (38) 에서도 거의 균등한 수의 미세화기포가 발생된다.
즉, 펄세이터 (6) 가 회전운동을 실시하면, 펄세이터 (6) 내부에 모여있는 기포에 원심력이 작용한다. 이 때, 교반날개장착부 (32) 의 내부를 지름방향으로 분할하고 있지 않은 경우, 원심력에 의해 기포가 펄세이터 (6) 의 외주측에 편중되어 분포하게 된다. 따라서, 교반날개장착부 (32) 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기포토출구멍에서 발생하는 기포의 수가, 교반날개장착부 (32) 의 중심부근에 위치하는 기포토출구멍에서 발생하는 기포의 수에 비해 증가하기 때문에, 세탁물에 공급되는 기포가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를 일으키거나, 본 실시예와 같이 교반날개장착부 (32) 의 내측을 지름방향으로 분리함으로써, 분리된 각 방 (37a,37b,37c) 에 기포가 분산되어 모이게 되므로, 펄세이터 (6) 의 내측에 모인 기포가 외주측에 편중되어 분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펄세이터 (6) 에 형성된 모든 기포토출구멍 (38) 에서 거의 균등하게 기포가 발생하기 때문에, 세탁물의 일부에 기포가 편중되지 않고, 세탁물의 전체에 구석구석까지 기포가 골고루 미치게 된다.
그리고, 펄세이터 (6) 의 기포토출구멍 (38) 에서 발생한 미세화된 기포는 1 분에 약 5 ∼ 6 천만개 발생되며, 부상하여 세탁물에 접촉된다. 세탁물에 기포가 접촉되면, 기포가 파열될 때 초음파가 발생하고, 그 미소진동에 의해 세탁물의 섬유에 들러붙어 있는 유지분 등의 오염성분이 섬유에서 쉽게 박리된다. 따라서, 펄세이터 (6) 에 의해 발생되는 수류와 기포의 조합에 의해, 수류만으로 세정 또는 헹굼을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 세정성능이나 헹굼성능이 향상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기포취출구 (24) 를 일개소 설치하는 구성이지만, 도 5 에 나타낸 기포취출구의 제 3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포취출구 (24) 를 복수 설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더욱 균일하고 고르게 기포가 세탁겸 탈수조 (5) 내에 취출되어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은 외조하부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펄세이터 (6) 의 외주부에 복수개의 원통형 벽 (6a) 으로 구성된 회전홈 (6b) 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홈 (6b) 이 설치되어 있는 펄세이터 (6) 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홈 (6b) 내에 비접촉상태에서 유동가능하게 끼이는 고리형 벽 (5a) 이 돌출형성되며, 이들 회전홈 (6b) 과 고리형 벽 (5a) 으로 래버린스 시일부 (40) 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펄세이터 (6) 이면에 공급되어 상기 안쪽날개 (29) 에 의해 미세화된 기포는, 상기 기포토출구멍 (38) 을 통하여 세탁겸 탈수조 (5) 내에 나오려고 하지만, 기포토출구멍 (38) 이 작아 저항이 되기 때문에, 기포토출구멍 (38) 을 통과하지 않고 펄세이터 (6) 외주부로부터 세탁겸 탈수조 (5) 내로 누출되려고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펄세이터 (6) 외주부와 세탁겸 탈수조 (5) 사이를 시일하는 래버린스 시일부 (40) 에 의해 펄세이터 (6) 이면에 공급된 기포는, 펄세이터 (6) 이면의 공간에 봉입되어, 펄세이터 (6) 외주부로부터 세탁겸 탈수조 (5) 내에 진입하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기포는 기포토출구멍 (38) 으로만 세탁겸 탈수조 (5) 내에 공급되게 되어 효율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안쪽날개 (29) 는 평판형 날개로 이루어지며, 이 날개로 기포를 분쇄하는 구성을 들었는데, 예컨대, 도 7,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쪽날개를 물결판형상이나, 빗형상으로 해도 된다.
도 7 은 안쪽날개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도 8 은 안쪽날개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 도 7, 도 8 에 있어서, 도 3 의 각부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나타낸다. 도 7 은 펄세이터 (6) 를 위에서 본 도면으로, 부호 29a 는 안쪽날개를 나타내며, 상방에서 보아 물결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안쪽날개의 표면적이 증대되므로, 안쪽날개가 더욱 유효하게 작용하고, 펄세이터 (6) 안쪽에 공급된 기포를 한층 효율적으로 미세화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8 은 펄세이터를 측방에서 본 도면으로, 부호 29c 는 안쪽날개를 나타낸다. 상기 안쪽날개 (29c) 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슬릿 (29d) 이 새겨지며, 거의 빗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에 의해서도, 안쪽날개 (29c) 의 유효표면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기포의 미세화 성능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다음으로, 기포토출구멍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발명에서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펄세이터 (6) 에 설치된 기포토출구멍 (38) 은, 펄세이터 (6) 전역에 거의 균등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부분적으로 기포토출구멍 (6) 의 면적에 변화를 가져오거나, 인접하는 기포토출구멍의 간격을 다르게 해도 된다.
즉, 상기 펄세이터 (6) 가 회전운동을 실시하면, 펄세이터 (6) 안쪽의 세탁수에 펄세이터 (6) 외주방향으로 향하는 흐름이 생긴다. 이 흐름은 펄세이터 (6) 의 중앙부로부터 외주부로 감에 따라 유속도 증가하고, 기포의 양도 증가한다. 이 점에서, 통과구멍 (27) 으로부터 공급되어 안쪽날개 (29) 에서 분쇄된 기포는 펄세이터 (6) 의 외주측에 편중되어 분포하는 경향이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펄세이터 (6) 의 전역에 균일하게 기포토출구멍 (38) 을 설치하면, 세탁겸 탈수조 (5) 내에 공급된 기포는, 펄세이터 (6) 중심부근보다 외주부근의 기포토출구멍 (38) 을 통과하게 되므로, 펄세이터 (6) 외주부분의 기포토출구멍 (38) 에 기포가 집중되어 기포의 흐름이 방해를 받는 점에서, 효율이 좋게 기포를 공급하지 못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예컨대,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펄세이터 (6) 의 중심부에서 외주부로 갈수록, 인접하는 기포토출구멍 (38a) 의 간격을 작게함으로써, 외주부의 영역에 위치하는 기포토출구멍 (38a) 의 밀도가 증대된다. 즉,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는 기포토출구멍 (38a) 의 총 개구면적이 중심부에 비해 커지므로, 펄세이터 (6) 의 회전운동에 의해 기포가 펄세이터 (6) 외주부의 기포토출구멍 (38a) 에 집중되어도, 기포가 스무스하게 기포토출구멍 (38a) 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기포의 공급을 효율좋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 구체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이들 구체예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는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의 세탁기에서는 기포발생수단에 의해 세탁수에 공급된 기포를 미세화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세탁조내의 세탁수로의 세제의 용해가 촉진됨과 동시에, 미세화된 기포가 세탁물에 접촉함으로써, 미세화되어 파열할 때의 파동 (초음파) 에 의해 세탁물의 세정효과나 헹굼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본발명의 세탁기는 세탁운전시 및 헹굼운전시에 회전하고 있는 회전날개를 이용하여 기포를 미세화하기 때문에, 새롭게 기포를 미세화하는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상기 기포미세화 수단이 상기 회전날개의 하면에 구비된 안쪽날개이어서 보다 효과적으로 기포를 미세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안쪽날개가 빗형상 또는 물결형상인 경우 안쪽날개의 유효면적이 늘어나므로 기포미세화의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가 지름방향으로 구획된 복수의 방을 이면측 (즉, 하면측) 에 가지며, 각 방의 천정면에 상기 기포토출구멍을 가져서, 에어펌프 등의 기포발생수단에 의해 펄세이터의 하부로 송출된 기포는, 상기 펄세이터 내측의 구획된 각 방에 분산되어 모이게 되므로, 펄세이터의 내측에 모인 기포가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외주측에 편중되어 분포하지 않아서, 펄세이터에 형성된 모든 토출구멍에서 거의 균등하게 기포가 발생하며, 세탁겸 탈수조내의 일부에 기포가 편중되지 않고, 세탁물 전체에 구석구석까지 기포가 골고루 미치게 된다.
또한, 기포취출구로부터 도입된 기포가 상기 오목부에 수용된 후 상기 통과구멍을 통해 세탁겸 탈수조내로 보내짐에 따라, 기포가 통과구멍을 향하지 않고 외조의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아 확실하게 세탁겸 탈수조내에 기포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기포공급로는 도중에서 상부공급로와 하부공급로로 분할되어 있어서, 세탁기를 제조할 때, 케이스 내에 외조를 조립한 후에 케이스의 상측개구로부터 기포공급로의 상부공급로를 하부공급로로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조자가 작업하기 어려운 외조하부에 배치된 하부공급로를 미리 외조저부에 접속한 상태로 외조를 케이스내에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세탁기의 제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공급로는 상기 연결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상기 하부공급로에 연결되어서, 외조가 진동하여도 연결부분에서 상부공급로가 연결부분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수평방향으로) 힘이 가해지지 않으며, 따라서, 상부공급로가 하부공급로로부터 빠져 기포의 공급이 불가능해지거나, 연결부분으로부터 세탁겸 탈수조내의 세탁액이 누출되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상부공급로는 연질부재로 형성되어, 세탁기의 운전시에 외조가 진동하여도 상부공급로에 의해 진동이 흡수되기 때문에, 공급로가 굴곡됨으로써, 기포발생수단에 의해 송출된 기포가 감소하거나 끊어지거나 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하부공급로의 내경이 상기 상부공급로의 내경에 비해 커서, 기포발생수단이 정지되어 있을 때 하부공급로내에 세탁수가 진입하여도, 세탁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찌꺼기나 실밥, 녹다남은 세제 등으로 공급로가 쉽게 막히지 않게 된다.
또, 상기 세탁기는 기포가 기포토출구멍 이외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일수단을 구비하여, 회전날개의 안쪽에 공급된 기포가 회전날개와 세탁조 사이에서 세탁조내로 새는 것이 방지되므로, 기포토출구멍에서 균일하게 기포가 토출되게 된다.
또한, 중앙부에 비해 외주부 쪽이 기포토출구멍의 개구 총면적을 크게함으로써, 가능한 많은 기포를 세탁조내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기포토출구에 역지밸브를 설치하여, 찌꺼기나 세제가 기포공급로 내에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며, 기포공급로내가 막혀 기포의 공급량이 감소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직경이 약 0.5 mm 의 미세화기포를 생성하여, 직경이 너무 작아서 세탁물의 섬유의 간격을 통과하기 때문에, 기포가 세탁물에 접촉하여 파열되기 어려워 세정효과가 향상되지 않거나 또는, 지름이 너무 커서 기포가 세탁물에 접촉했을 때 파열되지 않고, 세탁물의 아래에 모여 세탁물을 떠오르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24)

  1. 세탁조 (2,5) 내의 세탁수에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발생수단 (20) 과, 이 기포발생수단 (20) 에 의해 세탁수내로 공급된 기포를 미세화하는 기포미세화수단 (6,29) 을 포함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세탁조 (2,5) 내부에 배설된 회전날개 (6) 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회전날개 (6) 에 의한 수류와 상기 기포의 조합에 의해 세탁물의 세탁 또는 헹굼을 실행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미세화수단 (6,29) 이 상기 회전날개 (6) 에 구비되어 있는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미세화수단 (6,29) 은 상기 회전날개 (6) 의 하면에 구비된 안쪽날개 (29) 인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날개 (29) 는 회전날개 (6) 의 하면에서 회전날개 (6) 의 회전반경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안쪽날개 (29) 가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세탁기.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날개 (29) 가 빗형상 또는 물결형상인 세탁기.
  8.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 (6) 는 상기 기포발생수단 (20) 에 의해 세탁수에 공급된 기포를 세탁조 (2,5) 내의 상방으로 공급하는 기포토출구멍 (38) 을 갖고 있는 세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 (6) 는 지름방향으로 구획된 복수의 방 (37a,37b,37c) 을 이면측에 가지며, 각 방 (37a,37b,37c) 의 천정면에 상기 기포토출구멍 (38) 을 갖고 있는 세탁기.
  10.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 (2,5) 는 세탁겸 탈수조 (5) 와, 이 세탁겸 탈수조 (5) 를 내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외조 (2) 를 갖는 것으로, 상기 외조 (2) 는 상기 기포발생수단 (20) 으로부터 공급된 기포를 이 외조 (2) 내에 도입하기 위한 기포취출구 (24) 를 저벽면에 갖고 있으며,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는, 세탁수에 공급된 기포를 그 내방에 도입하는 통과구멍 (27) 을 저벽면에 갖고 있는 세탁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 (6) 는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의 저부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는 상방을 향해 돌출형성된 오목부 (26) 를 저면에 갖고 있으며, 상기 기포취출구 (24) 는 상기 오목부 (26) 의 근방에 개구되어 있고, 상기 통과구멍 (27) 은 상기 기포취출구 (24) 로부터 공급된 기포가 상기 세탁겸 탈수조 (5) 내에 도입되도록 상기 오목부 (26) 에 설치되어 있는 세탁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 (2) 는 케이스 (1) 에 방진 지지되어 있고, 상기 기포발생수단 (20) 은 세탁기의 본체 상부에 배설되어 있고, 상기 기포발생수단 (20) 과 상기 기포취출구 (24) 를 접속하는 기포공급로 (21,23) 를 추가로 구비하며, 이 기포공급로 (21,23) 는 도중에서 상부공급로 (21) 와 하부공급로 (23) 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상부공급로 (21) 와 하부공급로 (23) 가 연결된 연결부 (22) 가 상기 외조 (2) 의 측벽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세탁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공급로 (21) 는 상기 연결부 (22) 에서 수평방향으로 상기 하부공급로 (23) 에 연결되어 있는 세탁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공급로 (21) 는 연질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세탁기.
  15. 제 12 항 또는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공급로 (23) 의 내경을 상기 상부공급로 (21) 의 내경에 비해 크게한 세탁기.
  16. 제 8 항에 있어서, 세탁수에 공급된 기포가 상기 회전날개 (6) 에 형성된 기포토출구멍 (38) 이외로부터 세탁수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일수단 (40) 을 상기 회전날개 (6) 와 세탁조 (2,5) 사이에 설치한 세탁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 (6) 의 외주부 또는 상기 회전날개 (6) 외주부에 대향하는 세탁조 (2,5) 저벽의 어느 한 쪽에 복수개의 원통형 벽 (6a) 으로 구성된 홈부 (6b) 를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 쪽에 상기 홈부 (6b) 의 개구내에 비접촉상태로 유동가능하게 끼이는 고리형 벽 (5a) 을 설치하고, 이들 홈부 (6b) 와 고리형 벽 (5a) 으로 구성된 래버린스 결합부 (40) 로 상기 시일수단을 구성한 세탁기.
  1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 (6) 에는 복수의 상기 기포토출구멍 (38)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날개 (6) 의 중앙부의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기포토출구멍 (38) 의 개구면적의 총합을 외주부의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기포토출구멍 (38) 의 개구면적의 총합에 비해 작게한 세탁기.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 (2) 는 케이스 (1) 에 방진 지지되어 있고, 상기 기포취출구 (24) 와 상기 기포발생수단 (20) 이 기포공급로 (21,23) 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외조 (2) 내의 세탁수가 상기 기포공급로 (21,23)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지밸브 (24a) 가 상기 기포취출구 (24) 에 설치되어 있는 세탁기.
  2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미세화수단 (6,29) 은 직경이 약 0.5 mm 의 미세화기포를 생성하는 세탁기.
  21. 세탁조 (2,5) 와, 세탁조 (2,5) 내의 세탁수에 기포를 공급하기 위한 기포발생수단 (20) 과, 세탁조 (2,5) 내에 설치되어 상기 기포발생수단 (20) 에 의해 세탁수에 공급된 기포를 세탁조 (2,5) 내로 공급하는 기포토출구멍 (38) 을 갖는 회전날개 (6) 와, 상기 회전날개 (6) 와 세탁조 (2,5) 사이에 설치되어 공급된 기포가 상기 기포토출구멍 (38) 이외로부터 세탁조 (2,5) 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일수단 (40) 을 포함하는 세탁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 (6) 의 외주부 또는 상기 회전날개 (6) 외주부에 대향하는 세탁조 (2,5) 저벽 중 어느 한 쪽에 복수개의 원통형 벽 (6a) 으로 구성된 홈부 (6b) 를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 쪽에 상기 홈부 (6b) 의 개구내에 비접촉상태로 유동가능하게 끼이는 고리형 벽 (5a) 을 설치하여, 이들 홈부 (6b) 와 고리형 벽 (5a) 으로 구성된 래버린스 결합부 (40) 로 상기 시일수단을 구성하는 세탁기.
  23. 세탁조 (2,5) 와, 세탁조 (2,5) 내의 세탁수에 기포를 공급하기 위한 기포발생수단 (20) 과, 세탁조 (2,5) 내에 설치되어 상기 기포발생수단 (20) 에 의해 세탁수에 공급된 기포를 세탁조 (2,5) 내로 공급하는 복수의 기포토출구멍 (38) 을 갖는 회전날개 (6) 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기포토출구멍 (38) 은 상기 회전날개 (6) 의 중앙부의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기포토출구멍 (38) 의 개구면적의 총합이, 외주부의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기포토출구멍 (38) 의 총합에 비해 작도록 형성되어 있는 세탁기.
  24. 케이스 (1) 내에 방진 지지된 외조 (2) 와, 상기 케이스 (1) 내에 배치된 세탁겸 탈수조 (5) 와, 세탁수에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발생수단 (20) 과, 상기 외조 (2) 의 저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조 (2) 내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취출구 (24) 와, 상기 기포취출구 (24) 와 상기 기포발생수단 (20) 을 연결하는 기포공급로 (21,23) 와, 상기 기포취출구 (24) 에 설치되어 상기 외조 (2) 내의 세탁수가 상기 기포공급로 (21,23)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지밸브 (24a) 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19990027395A 1998-08-07 1999-07-08 세탁기 KR100336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448498 1998-08-07
JP98-224484 1998-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911A true KR20000016911A (ko) 2000-03-25
KR100336000B1 KR100336000B1 (ko) 2002-05-08

Family

ID=1681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395A KR100336000B1 (ko) 1998-08-07 1999-07-08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36000B1 (ko)
CN (1) CN1165647C (ko)
TW (1) TW55919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436B1 (ko) * 2001-04-17 200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세탁기용 펄세이터
KR101015869B1 (ko) * 2004-04-01 2011-02-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용 공기방울 발생장치
CN114717787A (zh) * 2022-04-12 2022-07-08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波轮洗衣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1603B2 (ja) * 2014-10-15 2019-05-29 アクア株式会社 洗濯機
JP7381186B2 (ja) * 2017-04-05 2023-11-1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436B1 (ko) * 2001-04-17 200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세탁기용 펄세이터
KR101015869B1 (ko) * 2004-04-01 2011-02-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용 공기방울 발생장치
CN114717787A (zh) * 2022-04-12 2022-07-08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波轮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5647C (zh) 2004-09-08
TW559199U (en) 2003-10-21
CN1244603A (zh) 2000-02-16
KR100336000B1 (ko) 200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0885B2 (ja) 内槽及びクリーニング不要洗濯機
JP3439108B2 (ja) 洗濯機
US4848105A (en) Self-cleaning lint filter for clothes washing machine
JP2008154863A (ja) 洗濯機
JP2021527450A (ja) 洗濯機の洗浄槽及びその洗濯機
KR100336000B1 (ko) 세탁기
KR100213943B1 (ko) 세탁기
JP4010862B2 (ja) 洗濯機
JP6590555B2 (ja) 洗濯機用の攪拌翼および洗濯機
JP2000107482A (ja) 洗濯機
JP4957700B2 (ja) 洗濯機用ポンプ
JP6250212B2 (ja) 洗濯機用の攪拌翼
JPH0956985A (ja) 全自動洗濯機
JP3744724B2 (ja) 攪拌翼およびこれを備えた洗濯機
WO2023284203A1 (zh) 一种过滤装置、洗衣机及控制方法
EP4071289A1 (en) Microbubble spray head, microbubble treatment agent box assembly and washing device
CN117248358A (zh)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5613304A (zh)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7805921B (zh)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8699749B (zh) 清洗机
JP3492830B2 (ja) 洗濯機
CN217459926U (zh) 一种洗衣机
JP6609793B2 (ja) 洗濯機
WO2023173979A1 (zh) 一种洗衣机的控制方法及洗衣机
JPH07289785A (ja) 脱水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