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608U - 자주 가능한 고소 작업차 - Google Patents

자주 가능한 고소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608U
KR20000016608U KR2019990001638U KR19990001638U KR20000016608U KR 20000016608 U KR20000016608 U KR 20000016608U KR 2019990001638 U KR2019990001638 U KR 2019990001638U KR 19990001638 U KR19990001638 U KR 19990001638U KR 20000016608 U KR20000016608 U KR 200000166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uard
power
support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20355Y1 (ko
Inventor
이종무
Original Assignee
윤은수
주식회사 케어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은수, 주식회사 케어라인 filed Critical 윤은수
Priority to KR2019990001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35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6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6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3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자동으로 작업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 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을 줄여 줄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주 가능한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내부 지주와; 상기한 내부 지주의 외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체인과 연동되는 와이어에 일체로 연동되게 연결되는 외부지주와; 상기한 외부 지주의 어느 일단부에 결합되고, 이 외부 지주와 함께 승강되면서 작업자가 작업하기 위한 작업대와; 상기한 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한 본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지면에 지지되고, 구동모터의 동력을 동력전달장치에 의하여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본체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바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주 가능한 고소 작업차{Height carriage which can travel of itself}
본 고안은 자주 가능한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작업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 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을 줄여 줄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주 가능한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 작업장치는 건물의 천장이나 기타 고소에서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기이다.
이러한 고소 작업장치는 종래에는 대체적으로 지지대에 의하여 지면에 지지되고, 상기한 지지대에는 수직으로 내부 지주가 설치되며 또한 이 내부 지지대의 외측으로 모터와 체인 등에 의하여 연동되면서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외부 지주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외부 지주에는 작업자가 오르기 위한 작업대가 일체로 연동되게 결합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작업대의 상승 또는 하강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소 작업장치는 작업위치 지면에 위치하게 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대에 오르고,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작업대를 내부 지주를 따라 상승시켜 준 상태에서 작업자가 고소에서 작업을 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고소 작업장치는 작업대가 단순하게 내부 지주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게만 되어 있으므로 작업위치의 지면으로 이동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이동장치를 이용하거나 다수인이 들어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위치로 이동하는데 상당한 불편이 뒤따르게 됨과 아울러 그 만큼 작업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고소 작업장치에는 별도의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작업을 하다가 조작스위치와 부딪히는 등에 의하여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작업대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도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으로 작업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고, 작업 시간을 줄여 줄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주 가능한 고소 작업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내부 지주와; 상기한 내부 지주의 외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체인과 연동되는 와이어에 일체로 연동되게 연결되는 외부지주와; 상기한 외부 지주의 어느 일단부에 결합되고, 이 외부 지주와 함께 승강되면서 작업자가 작업하기 위한 작업대와; 상기한 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한 본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지면에 지지되고, 구동모터의 동력을 동력전달장치에 의하여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본체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바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고소작업차를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준다.
그러면 상기한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은 동력전달장치에 의하여 바퀴에 전달되고, 상기한 바퀴가 정,역회전 됨에 따라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본체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려면 보호대를 외부 지주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 회전시켜 주어 방향조절장치에 의하여 바퀴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면 되는 것이고, 본체의 이동을 멈추고 싶으면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하면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주 가능한 고소 작업차를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차는 본체(1)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내부 지주(3)와;
상기한 내부 지주(3)의 외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체인(5)과 연동되는 와이어(7)에 일체로 연동되게 연결되는 외부지주(9)와;
상기한 외부 지주(9)의 어느 일단부에 결합되고, 이 외부 지주(9)와 함께 승강되면서 작업자가 작업하기 위한 작업대(11)와;
상기한 본체(1)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밧데리(1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모터(15)와;
상기한 본체(1)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지면에 지지되고, 구동모터(15)의 동력을 동력전달장치에 의하여 전달받으면서 회전되어 본체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바퀴(17)와;
상기한 본체(1)의 전방에 지지되고, 외부 지주(9)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면서 바퀴(17)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장치(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밧데리(13)는 본체(1)에 제공된 충전지(21)에 연결되어 전원을 충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외부 지주(9)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대(23)와;
상기한 보호대(23)에 일정한 간격으로 제공되고, 이 보호대가 일정한 각도 회전시켜 들어 올릴 때 모든 동력을 차단하여 작업대(11)의 승강과 본체(1)의 이동을 그대로 정지시켜 주기 위한 안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안전수단은 보호대(23)에 결합된 힌지편(25)에 일정한 간격으로 제공되고, 이 보호대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 줄 때 이를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27)와;
상기한 보호대(23)가 일정한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경우 이 리미트 스위치의 신호를 감지하여 작업대(11)와 본체(1)의 이동을 위하여 공급되는 동력을 차단시켜 주기 위한 제어부(29)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작업대(11)를 승강하고자 할 경우 조작스위치(31)를 조작하면 구동모터(33)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프로켓(35)에 의하여 체인(5)이 이동된다.
상기한 체인(5)이 이동됨에 따라 와이어(7)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이 와이어(7)의 이동에 의하여 외부 지주(9)와 함께 작업대(11)가 내부 지주(3)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정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작스위치(43)를 조작하여 작업대(11)의 이동을 정지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고소작업차를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조작스위치(31)를 조작하여 구동모터(15)를 구동시켜 준다.
상기한 구동모터(15)의 회전동력은 동력전달장치에 의하여 바퀴(17)에 전달되고, 상기한 바퀴(17)가 정,역회전 됨에 따라 본체(1)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본체(1)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려면 보호대(29)를 외부 지주(9)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 회전시켜 주어 방향조절장치(19)에 의하여 바퀴(17)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면 되는 것이고, 상기한 본체(1)의 이동을 멈추고 싶으면 조작스위치(31)를 조작하여 구동모터(15)의 구동을 정지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작업대(11)를 승강하고 본체(1)를 이동하다가 보호대(29)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 들어 올리게 되면, 상기한 보호대(23)와 함께 힌지편(25)이 회전되어 안전수단의 리미트 스위치(27)를 눌러주고, 상기한 리미트 스위치(27)의 신호가 제어부(29)(30)로 전달된다.
상기한 제어부(29)(30)에서는 본체(1)의 이동과 작업대(11)의 승강에 따른 모든 작동을 정지시켜 주며,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을 하다가 조작스위치(31)와 부딪히게 되어도 본체(1)와 작업대(11)는 정지된 상태로 있게 되므로 작업자는 작업대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으로 작업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 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을 줄여 줄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본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내부 지주와; 상기한 내부 지주의 외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체인과 연동되는 와이어에 일체로 연동되게 연결되는 외부지주와; 상기한 외부 지주의 어느 일단부에 결합되고, 이 외부 지주와 함께 승강되면서 작업자가 작업하기 위한 작업대와; 상기한 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한 본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지면에 지지되고, 구동모터의 동력을 동력전달장치에 의하여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본체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바퀴를 포함하는 자주 가능한 고소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의 전방에 지지되고, 외부 지주를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면서 바퀴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자주 가능한 고소 작업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부 지주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대와;
    상기한 보호대에 일정한 간격으로 제공되고, 이 보호대가 일정한 각도 회전시켜 들어 올릴 때 모든 동력을 차단하여 작업대의 승강과 본체의 이동을 그대로 정지시켜 주기 위한 안전수단을 포함하는 자주 가능한 고소 작업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안전수단은 보호대에 결합된 힌지편에 일정한 간격으로 제공되고, 이 보호대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 줄 때 이를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한 보호대가 일정한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경우 이 리미트 스위치의 신호를 감지하여 작업대와 본체의 이동을 위하여 공급되는 동력을 차단시켜 주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자주 가능한 고소 작업차.
KR2019990001638U 1999-02-04 1999-02-04 자주 가능한 고소 작업차 KR2002203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638U KR200220355Y1 (ko) 1999-02-04 1999-02-04 자주 가능한 고소 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638U KR200220355Y1 (ko) 1999-02-04 1999-02-04 자주 가능한 고소 작업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608U true KR20000016608U (ko) 2000-09-25
KR200220355Y1 KR200220355Y1 (ko) 2001-04-16

Family

ID=54758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638U KR200220355Y1 (ko) 1999-02-04 1999-02-04 자주 가능한 고소 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35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207B1 (ko) * 2007-02-22 2008-05-22 재단법인 산재의료관리원 휠체어 장애인용 작업 전동 테이블
US9981234B2 (en) 2014-03-20 2018-05-29 Vita-Mix Management Corporation Container/lid/blender interlock
USD839670S1 (en) 2017-02-16 2019-02-05 Vita-Mix Management Corporation Blending contai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207B1 (ko) * 2007-02-22 2008-05-22 재단법인 산재의료관리원 휠체어 장애인용 작업 전동 테이블
US9981234B2 (en) 2014-03-20 2018-05-29 Vita-Mix Management Corporation Container/lid/blender interlock
USD839670S1 (en) 2017-02-16 2019-02-05 Vita-Mix Management Corporation Blending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355Y1 (ko) 200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9355B2 (en) Scissor deck access arrangement
US11014794B2 (en) Personal lift device
JP6654995B2 (ja) 高所作業車用安全具
EP3440005B1 (en) Personnel lift
JP2013052949A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KR200220355Y1 (ko) 자주 가능한 고소 작업차
CN213085415U (zh) 一种实用性强的高空作业平台
EP0378562B1 (en) Apparatus for driving an upwardly directed shaft in rock
KR102263494B1 (ko) 무인자동 랩핑장치
CN112357854A (zh) 一种起升控制装置、高空作业平台及起升控制方法
JP2006320693A (ja) 作業員転落時傷害軽減装置
CN216476216U (zh) 一种安全性能高的建筑施工平台
KR102437874B1 (ko) 고소 작업차량
JP3415917B2 (ja) 搬器の貨物搭載部と搭乗席部との遮断装置
CN220666861U (zh) 一种边缘防护的可升降施工平台
KR100862334B1 (ko) 1인승 곤도라 장치
KR200233086Y1 (ko)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 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
CN216971932U (zh) 一种升降机的防坠落机构
CN219689277U (zh) 高空作业车及其控制系统
JP7304766B2 (ja) 作業車の安全装置
KR0140411Y1 (ko) 선박용 소형 크레인
CN216945903U (zh) 钢结构通廊彩钢瓦安装设备
CN114671369B (zh) 一种辅助停车式汽车举升机及其使用方法
CN111533045B (zh) 楼层举升机
JPH0625509Y2 (ja) 作業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