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411Y1 - 선박용 소형 크레인 - Google Patents

선박용 소형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411Y1
KR0140411Y1 KR2019960046083U KR19960046083U KR0140411Y1 KR 0140411 Y1 KR0140411 Y1 KR 0140411Y1 KR 2019960046083 U KR2019960046083 U KR 2019960046083U KR 19960046083 U KR19960046083 U KR 19960046083U KR 0140411 Y1 KR0140411 Y1 KR 01404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boom
support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6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길영
홍태민
이일용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46083D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3176U/ko
Priority to KR2019960046083U priority patent/KR01404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4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4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제조 시 비교적 깊은 블록의 상하부로 물품을 이동시킬 수 있는 선박용 소형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캐스터(1)가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2)와, 상기한 베이스(2)에 직립 설치되어 있는 수직 지지대(3)와, 상기한 수직 지지대(3)에 삽입됨과 아울러 수직 승강 수단으로 연결되어 승강되는 수직 붐대(4)와, 상기한 수직 붐대(4)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일측에 윈치(5)가 설치되고 웨이트(6)가 설치된 수평 지지대(7)와, 상기한 수평 지지대(7)에 삽입됨과 아울러 수평 이동 수단으로 결합되어 수평 이동하는 수평 붐대(8)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소형 크레인
본 고안은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제조 시 비교적 깊은 블록의 상하부로 물품을 이동시킬 수 있는 선박용 소형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선체 각 부분을 각각 제작한 후에 조립된 부분인 블록을 도크에 이동시킴과 아울러 용접으로 상기한 각 블록을 조립하게 된다.
즉, 선체의 각 부분을 이루는 일정 크기의 블록을 공장등에서 제작한 후 이를 물이 없는 상태인 도크에 이동시키고 용접하여 선체를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블록을 도크에 이동시킨 후 용접하여 조립하게 되면 작업자가 블록 내부로 들어가 작업하게 되는 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B) 내부에 설치된 사다리(50)를 타고 상기한 작업 시 필요한 물품을 작업자가 직접 블록(B) 내부로 이송시켜야 한다.
물론, 상기한 블록(B)은 깊이가 약 30m이상이 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블록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사다리(50)를 타고 이동하면서 와이어(51)에 물품을 달고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깊이가 매우 깊은 블록 내부에서 작업하기 위해 물품을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오르 내리면서 이동시키게 되면 물품이 무거울 경우 실족하여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손에 물품을 들고 사다리를 오르 내려야 하기 때문에 작업 능률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록 조립 작업 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용 소형 크레인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캐스터가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와, 상기한 베이스에 직립 설치되어 있는 수직 지지대와, 상기한 수직 지지대에 삽입됨과 아울러 수직 승강 수단으로 연결되어 승강되는 수직 붐대와, 상기한 수직 붐대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일측에 윈치가 설치되고 웨이트가 설치된 수평 지지대와, 상기한 수평 지지대에 삽입됨과 아울러 수평 이동 수단으로 결합되어 수평 이동하는 수평 붐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소형 크레인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서 수직 붐대의 승강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일반적인 선박용 블록에서 물품 하역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캐스터 2: 베이스 3: 수직 지지대
4: 수직 붐대 5: 윈치 6: 웨이트
7: 수평 지지대 8: 수평 붐대 9: 손잡이
10: 기어드 모터 11: 베벨 피니언 12: 회전 브라켓
13: 볼 스크류 14: 모터 15: 체인
16: 구동 기어 17: 랙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소형 크레인을 도시한 정면도와 평면도로서, 캐스터(1)가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2)와, 상기한 베이스(2)에 직립 설치되어 있는 수직 지지대(3)와, 상기한 수직 지지대(3)에 삽입됨과 아울러 수직 승강 수단으로 연결되어 승강되는 수직 붐대(4)와, 상기한 수직 붐대(4)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일측에 윈치(5)가 설치되고 웨이트(6)가 설치된 수평 지지대(7)와, 상기한 수평 지지대(7)에 삽입됨과 아울러 수평 이동 수단으로 결합되어 수평 이동하는 수평 붐대(8)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베이스(2)의 일측에는 이를 이동시키기 쉽도록 손잡이(9)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수직 승강 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에 설치되어 있는 기어드 모터(10)와, 상기한 기어드 모터(10)에 치합되도록 베벨 피니언(11)이 설치됨과 아울러 수직 지지대(3)에 회전 브라켓(12)으로 지지되어 있고 수직 붐대(4)와 나사 결합되어 있는 볼 스크류(13)로 구성되어 상기한 볼 스크류(13)의 회전에 따라 수직 붐대(4)가 승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수평 이동 수단은 수평 지지대(7)에 고정되어 있는 모터(14)와, 상기한 모터(14)에 체인(15)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수평 지지대(7)를 관통하여 내부에 치가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있는 구동 기어(16)와, 상기한 구동 기어(16)와 치합되도록 수평 붐대(8)에 형성된 랙(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크레인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기어드 모터(10)를 동작시키면서 수평 붐대(8)의 높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모터(14)를 동작시켜 수평 붐대(8)의 길이를 조절하여 물품 하역 위치를 세팅하고, 세팅 후 윈치(5)로 물품을 승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블록 조립 작업 시 소형 크레인을 맨홀 근처로 이동시키게 된다.
맨홀 근처에 소형 크레인이 이동되면 상기한 수평 붐대(8)를 소정의 길이로 조절하게 되는 바, 이는 운전자가 모터(14)를 동작시키게 되고, 상기한 모터(14)의 동작에 의해 이와 체인(15)으로 연결된 구동 기어(16)가 회전하게 된다.
구동 기어(16)가 회전하게 되면 이와 치합되어 있는 수평 붐대(8)의 랙(17)이 이동함으로써 수평 붐대(8)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수평 붐대(8)의 길이가 조절되면 운전자가 윈치(5)를 동작시켜 물품을 승강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물품의 승강 시 블록의 격막 등을 물품이 넘게 되면 상기한 기어드 모터(10)를 동작시키게 된다.
기어드 모터(10)가 동작되면 이와 치합되어 있는 볼 스크류(13)의 베벨 피니언(11)이 회전하게 되는 바, 상기한 볼 스크류(13)의 회전에 따라 이와 나사 결합되어 있는 수직 붐대(4)가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한 수평 붐대(8)가 고정되어 있는 수직 붐대(4)가 볼 스크류(13)의 회전에 따라 상승하게 됨으로써 수평 붐대(8)의 높이 조절이 단순화되는 것이다.
수평 붐대(8)의 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물품이 격막을 넘게 되고, 상기한 격막을 넘은 후 다시 기어드 모터(10)를 역전시켜 수직 붐대(4)를 하강시키면 물품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 붐대(8)를 수직으로 승강시키는 것은 종래의 크레인과 같이 일정 힌지점을 중심으로 붐대를 회전 운동으로 승강시키게 되면 비교적 좁은 장소인 선박 블록(B) 내부에서 물품의 조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블록 내부에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직 붐대(4)의 승강을 위해 볼 스크류(13)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한 수직 붐대(4)가 수직 방향 하중을 받을 때 볼 스크류(13)가 회전되지 않게 됨으로써 안전 사고 예방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선박 조립 시 블록 내부에서 물품을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수직,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직, 수평 붐대를 설치한 소형 크레인을 사용함으로써 작업 능률이 향상됨과 아울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캐스터가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와, 상기한 베이스에 직립 설치되어 있는 수직 지지대와, 상기한 수직 지지대에 삽입됨과 아울러 수직 승강 수단으로 연결되어 승강되는 수직 붐대와, 상기한 수직 붐대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일측에 윈치가 설치되고 웨이트가 설치된 수평 지지대와, 상기한 수평 지지대에 삽입됨과 아울러 수평 이동 수단으로 결합되어 수평 이동하는 수평 붐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소형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일측에 이를 이동시키기 쉽도록 설치된 손잡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소형 크레인.
  3. 제1항에 있어서,
    수직 승강 수단은 베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기어드 모터와, 상기한 기어드 모터에 치합되도록 베벨 피니언이 설치됨과 아울러 수직 지지대에 회전 브라켓으로 지지되어 있고 수직 붐대와 나사 결합되어 있는 볼 스크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소형 크레인.
  4. 제1항에 있어서,
    수평 이동 수단은 수평 지지대에 고정되어 있는 모터와, 상기한 모터에 체인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수평 지지대를 관통하여 내부에 치가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있는 구동 기어와, 상기한 구동 기어와 치합되도록 수평 붐대에 형성된 랙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소형 크레인.
KR2019960046083U 1996-12-06 1996-12-06 선박용 소형 크레인 KR01404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083D KR19980033176U (ko) 1996-12-06 1996-12-06 선박용 소형 크레인
KR2019960046083U KR0140411Y1 (ko) 1996-12-06 1996-12-06 선박용 소형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083U KR0140411Y1 (ko) 1996-12-06 1996-12-06 선박용 소형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0411Y1 true KR0140411Y1 (ko) 1999-04-15

Family

ID=194775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6083U KR0140411Y1 (ko) 1996-12-06 1996-12-06 선박용 소형 크레인
KR2019960046083D KR19980033176U (ko) 1996-12-06 1996-12-06 선박용 소형 크레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6083D KR19980033176U (ko) 1996-12-06 1996-12-06 선박용 소형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01404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855B1 (ko) * 2018-09-21 2019-04-17 원복기 이동식 크레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532B1 (ko) * 2004-12-17 2006-09-08 Stx조선주식회사 비구동식 신축다관절장치를 이용한 선박 내부의 작업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855B1 (ko) * 2018-09-21 2019-04-17 원복기 이동식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176U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0406A (ko) 직선붐 공중작업 플랫폼용 수축가능한 평형추
CN212582433U (zh) 一种市政桥梁工程施工平台
KR0140411Y1 (ko) 선박용 소형 크레인
KR101856988B1 (ko) 요트 인양장치
KR200448240Y1 (ko) 다용도 타워 크레인
CN217577139U (zh) 一种用于盾构管片的便捷式翻转装置
US6598549B1 (en) Boat lift
KR100681661B1 (ko) 러더 혼 탑재 전용 서포트 타워
US4813499A (en) Movable mount concrete drill
KR101743095B1 (ko) 곤돌라용 승강장치
KR100488919B1 (ko) 열차차량의 하부작업용 리프트
CN220745282U (zh) 一种叉车臂支撑装置
CN219929062U (zh) 一种具有防滑移功能的移动式液压登车桥
JP4213538B2 (ja) パレットチェンジャー
KR200145906Y1 (ko) 수평적재형 팔레트의 래치 회전구조
JPH0754227Y2 (ja) クレーン車
CN216785516U (zh) 一种起重机操作室的升降装置
CN216584056U (zh) 一种吊车高空作业吊篮
CN220182711U (zh) 一种升降装置
CN112520251B (zh) 一种用于建筑模块的辅助运输装置
CN216303161U (zh) 一种港口起重用升降平台
KR200220355Y1 (ko) 자주 가능한 고소 작업차
KR0140412Y1 (ko) 선박용 소형 크레인
KR20050072842A (ko) 카운터웨이트가 자동 이동되는 타워 크레인
CN117626810A (zh) 一种桥墩内部工作用工作平台安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