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827U - 자동차의 변속레버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변속레버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827U
KR20000015827U KR2019990000505U KR19990000505U KR20000015827U KR 20000015827 U KR20000015827 U KR 20000015827U KR 2019990000505 U KR2019990000505 U KR 2019990000505U KR 19990000505 U KR19990000505 U KR 19990000505U KR 20000015827 U KR20000015827 U KR 200000158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ball
housing
shif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5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900005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5827U/ko
Priority to JP32160199A priority patent/JP3208667B2/ja
Priority to US09/442,064 priority patent/US6289760B1/en
Priority to DE19957760A priority patent/DE19957760B4/de
Publication of KR200000158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82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 F16H2059/0269Ball joints or spherical bearings for supporting the le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8Selector apparatus with means for suppression of vibrations or reduction of 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 Y10T403/32631Universal ball and socket
    • Y10T403/32713Elastomerically biased or backed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 Y10T403/32819Pivoted including tension or take-up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14Manually operated selector [e.g., remotely controlled device, lever, push button, rotary dial, etc.]
    • Y10T74/20159Control lever movable through plural planes
    • Y10T74/20165Spherical mount [e.g., ball and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변속레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변속레버의 하부를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볼과 하우징 사이에서 발생되는 유격을 흡수하면서 내부로 도포되는 윤활제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변속시 소음발생을 배제함과 동시에 변속감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단부에 변속노브(2)를 갖추면서 하단부에 볼(4)을 장착하고서 구형상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6)내에 수용되어 선회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자동차의 변속레버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1)의 하단부에는 변속레버(1)내로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상부몸체부(11)와, 이 상부몸체부(11)의 하부에 직경이 확장되면서 상부면(12a)이 볼(4)의 저면부와 밀착되며 하부면이 하우징(6)의 내면과 밀착되는 반구형상의 하부몸체부(12)로 이루어진 고무류의 지지부재(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변속레버 장착구조{shift lever mounting structure for a vehicle}
본 고안은 변속기의 변속레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속레버의 하단을 선회가능하게 피벗지지하는 볼과 하우징 사이의 유격을 흡수하여 소음발생을 배제하면서 이들 사이의 마찰부위로 도포되는 윤활유의 누출을 막아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변속레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주행상태에 알맞게 변환시키도록 된 변속기를 갖추고 있는 바, 이러한 변속기는 운전자가 변속을 수동으로 행하도록 된 수동변속기와, 주행상태에 따라 변속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자동변속기로 크게 구분되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주행중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주행상태에 알맞게 변환시키도록 된 변속기는 통상 운전석의 측부로 마련된 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는 바, 특히 수동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에서 로드타입의 변속레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변속레버(1)는 운전자가 파지하도록 된 변속노브(2)를 상단부에 갖추고서 아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중공형의 부재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변속레버(1)의 하단부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해 주는 더스트커버(3)에 쌓인 상태에서 차체에 선회가능하도록 피벗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변속레버(1)의 하단부는 볼(4)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핀(5)을 매개로 볼(4)과 결합되고, 이 볼(4)은 구형상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된 하우징(6)내에 수용되어 지지되는데, 이 하우징(6)은 상기 변속레버(1)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주면이 볼(4)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상부플레이트(6a)와 상기 볼(4)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하부플레이트(6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변속레버(1)에는 변속시 변속레버(1)의 동작방향을 변속기로 전달하여 변속이 실시되게 하는 쉬프트로드(7)가 볼조인트(7a)를 매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6)의 전방에는 변속기측과 연결되어 급가속과 같은 관성의 급격한 변화가 초래되는 상황에서 치합된 변속기내 기어들 사이의 치합이 해제되는, 소위 기어 점프 아웃(Gear Jump Out)현상이라고 지칭되는 상태를 방지하도록 된 익스텐션바아(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변속레버(1)의 하단에 핀(5)을 매개로 고정된 볼(4)과 하우징(6) 사이에는 윤활제로서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어, 변속시 이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을 줄여주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변속시 상기 변속노브(2)를 파지하고서 변속레버(1)를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이의 조작력이 상기 쉬프트로드(7)를 통해 변속기내로 전달되어 변속이 실시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변속레버(1)에서는, 상기 볼(4)과 이를 감싸고서 지지하는 하우징(6)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게 되면, 엔진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차체의 진동으로 인해 상기 볼(4)과 하우징(6) 사이에서 간헐적인 접촉이 일어나고, 이러한 접촉에 따라 상기 볼(4)과 하우징(6) 사이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볼(4)과 하우징(6) 사이에 마찰저감용으로 도포된 윤활유가 거듭되는 변속실시에 따라 중공형의 변속레버(1)내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볼(4)과 하우징(6) 사이로 도포된 윤활제의 감소로 인해 변속시 운전자가 느끼게 되는 변속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변속레버의 하부를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볼과 하우징 사이에서 발생되는 유격을 흡수하면서 내부로 도포되는 윤활제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변속시 소음발생을 배제함과 동시에 변속감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변속레버 장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단부에 변속노브를 갖추면서 하단부에 볼을 장착하고서 구형상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내에 수용되어 선회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자동차의 변속레버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의 하단부에는 변속레버내로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상부몸체부와, 이 상부몸체부의 하부에 직경이 확장되면서 상부면이 볼의 저면부와 밀착되며 하부면이 하우징의 내면과 밀착되는 반구형상의 하부몸체부로 이루어진 고무류의 지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하부몸체부의 상부면과 볼의 저면부와의 사이에는 오링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변속레버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속레버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변속레버 2-변속노브
3-더스트커버 4-볼
5-핀 6-하우징
7-쉬프트로드 8-익스텐션바아
10-지지부재 11-상부몸체부
12-하부몸체부 12a-상부면
12b-안착홈 13-오링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속레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레버(1)는 중공형의 부재로서 상단부에 변속시 운전자가 파지하도록 된 변속노브(2)를 장착하고서 아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하단부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더스트커버(3)내에 쌓인 상태에서 차체에 선회가능하도록 피벗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변속레버(1)의 하단부는 상부플레이트(6a)와 상기 하부플레이트(6b)가 절곡되어 내부에 구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6)내에서 볼(4)을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볼(4)과 결합되어 수용되고, 다시 이 볼(4)과 상기 변속레버(1)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핀(5)을 매개로 볼(4)은 변속레버(1)의 하단에 견고하게 고정되는데, 이 변속레버(1)의 하단부에는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수지류의 지지부재(10)가 결합되어 있어, 이를 매개로 변속레버(1)는 하우징(6)내에서 밀착되게 수용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의 상기 변속레버(1)의 하단부 내부로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상부몸체부(11)를 상부에 갖추고 있고, 이 상부몸체부(11)의 하부에 직경이 확장된 반구형상의 하부몸체부(12)를 일체로 갖추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변속레버(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10)의 하부몸체부(12)의 상부면(12a)과 볼(4)의 저면부와의 사이에는 오링(13)을 개재되어 있어, 상기 볼(4)과 지지부재(10) 사이의 기밀을 한층 더 견고히 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부몸체부(12)의 상부면(12a)에는 상부몸체부(11)의 저면부와 동심원상으로 단면이 오목한 형태의 안착홈(12b)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12b)과 대응되는 볼(4)의 저면부에도 안착홈(도시안됨)이 형성되어 있어, 이들 사이에 상기 오링(13)이 견고하게 장착되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변속레버(1)의 하단부에 고무류의 탄성이 있는 재질로된 지지부재(10)가 안착되어 볼(4)의 저면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면, 상기 볼(4)과 하우징(6)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지지부재(10)가 지닌 부재의 특성인 탄성을 발휘하여 볼(4)을 하우징(6)내에서 상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6)의 내면에 볼(4)이 밀착지지되므로, 엔진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볼(4)과 하우징(6) 사이에서 생기게 되는 소음이 발생은 배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볼(4)과 지지부재(10) 사이에 개재된 오링(13)은 볼(4)과 하우징(6) 사이에 도포된 윤활유가 변속레버(1)의 조작에 의해 중공형의 변속레버(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볼(4)과 하우징(6) 사이로 도포된 윤활제의 감소로 인해 변속시 운전자가 느끼는 변속감의 저하는 사라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변속레버 장착구조에 의하면, 변속시 선회되는 변속레버(1)의 하단 장착부에 고무와 같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된 지지부재(10)를 추가로 장착시킴으로써, 볼(4)과 하우징(6) 사이의 원활한 밀착을 유도시켜 차체의 진동에 따른 소음발생의 소지를 배제시킴과 더불어 접촉부에 도포된 윤활유를 다른 부분으로 유출되지 못하게 하여 변속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상단부에 변속노브(2)를 갖추면서 하단부에 볼(4)을 장착하고서 구형상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6)내에 수용되어 선회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자동차의 변속레버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1)의 하단부에는 변속레버(1)내로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상부몸체부(11)와, 이 상부몸체부(11)의 하부에 직경이 확장되면서 상부면(12a)이 볼(4)의 저면부와 밀착되며 하부면이 하우징(6)의 내면과 밀착되는 반구형상의 하부몸체부(12)로 일체로 이루어진 고무류의 지지부재(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변속레버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부몸체부(12)의 상부면(12a)과 볼(4)의 저면부와의 사이에는 오링(13)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변속레버 장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부(12)의 상부면(12a)과 볼(4)의 저면부의 대응부위에는 오링(13) 장착용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변속레버 장착구조.
KR2019990000505U 1999-01-18 1999-01-18 자동차의 변속레버 장착구조 KR20000015827U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505U KR20000015827U (ko) 1999-01-18 1999-01-18 자동차의 변속레버 장착구조
JP32160199A JP3208667B2 (ja) 1999-01-18 1999-11-11 自動車の変速レバー装着構造
US09/442,064 US6289760B1 (en) 1999-01-18 1999-11-16 Mounting structure of change lever in vehicle
DE19957760A DE19957760B4 (de) 1999-01-18 1999-12-01 Schalthebel-Anbringungsstruktur für Fahrzeu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505U KR20000015827U (ko) 1999-01-18 1999-01-18 자동차의 변속레버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827U true KR20000015827U (ko) 2000-08-16

Family

ID=19571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505U KR20000015827U (ko) 1999-01-18 1999-01-18 자동차의 변속레버 장착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89760B1 (ko)
JP (1) JP3208667B2 (ko)
KR (1) KR20000015827U (ko)
DE (1) DE1995776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4702B2 (ja) * 2003-09-11 2010-02-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レバー装置
US7686216B2 (en) * 2006-06-13 2010-03-30 Hand Held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niquely associating a bar code reading terminal to a cash register in a retail store network
US8747012B2 (en) * 2008-03-07 2014-06-10 Federal-Mogul Corporation Tie rod end with friction reducing coating
CN116280176A (zh) * 2023-04-28 2023-06-23 哈尔滨远驰航空装备有限公司 一种直升机脚蹬电磁屏蔽及防尘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2901A (en) * 1955-12-05 1960-06-28 Thompson Ramo Wooldridge Inc Pre-loaded ball joint
US2857190A (en) * 1956-04-02 1958-10-21 Harry Frankel Compression-loaded ball joint
US2933309A (en) * 1958-03-11 1960-04-19 Thompson Prod Inc Leveling strut joint
DE1802987U (de) * 1959-09-25 1959-12-24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Kugelschaltung,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geschwindigkeitswechselgetriebe.
US3216753A (en) * 1962-03-05 1965-11-09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wiper linkage
US3347576A (en) * 1965-07-13 1967-10-17 Trw Inc Preloaded pivot joint
JPS4910780B1 (ko) * 1970-10-13 1974-03-13
US4305676A (en) * 1979-10-01 1981-12-15 Wallbank Ronald M Anti-friction pad for ball and socket couplings
DE3305422C1 (de) * 1983-02-17 1984-01-26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Kugeldurchfuehrung fuer den Gangschalthebel eines Kraftfahrzeuges
DE4122677A1 (de) * 1991-07-09 1993-01-14 Skf Gleitlager Gmbh Schalteinrichtung fuer ein getriebe, insbesondere wechselgetriebe fuer kraftfahrzeuge
US5509749A (en) * 1994-09-28 1996-04-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mpression lower preloaded ball jo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89760B1 (en) 2001-09-18
DE19957760B4 (de) 2005-07-21
JP3208667B2 (ja) 2001-09-17
JP2000211391A (ja) 2000-08-02
DE19957760A1 (de) 2000-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6080B1 (en) Shift lever unit for dual-mode automatic transmission
EP0148332B1 (en) Shift lever
JPS6336421Y2 (ko)
US7228753B2 (en) Shift control apparatus for a transmission
US4519268A (en) Gear shift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KR100288340B1 (ko) 자동차의 변속레버장치
US4077275A (en) Gearshift lever assembly
KR20000015827U (ko) 자동차의 변속레버 장착구조
US7159486B2 (en) Joint arrangement for a gear shift mechanism
CN109424736B (zh) 用于挡位选择器组件的阻尼机构和挡位选择器组件
KR101196341B1 (ko) 앤드 아이 어셈블리의 특성곡선을 만족하는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변속기용 앤드 아이 어셈블리
KR20060088211A (ko) 수동변속기용 레버의 진동 방지 구조
CN112161043B (zh) 一种汽车用新型换挡机构
KR20080111635A (ko) 진동흡수 포크
JPS63493Y2 (ko)
KR100346444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입력 기구
JP2595886Y2 (ja)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KR200227357Y1 (ko) 변속 레버
KR19980048908U (ko) 차량용 변속 조작 레버의 방진 구조
KR20050052776A (ko) 변속 조작기구의 댐핑장치
JPH094701A (ja) シフトレバーの支持装置
KR19990012052A (ko)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컨트롤장치
KR20050046399A (ko) 변속 레버의 힌지 윤활 구조
KR19980054425U (ko) 변속레일의 탄발지지구조
KR19980032780U (ko)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푸시보턴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