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725U - 입체 주차장 - Google Patents

입체 주차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725U
KR20000015725U KR2019990000347U KR19990000347U KR20000015725U KR 20000015725 U KR20000015725 U KR 20000015725U KR 2019990000347 U KR2019990000347 U KR 2019990000347U KR 19990000347 U KR19990000347 U KR 19990000347U KR 20000015725 U KR20000015725 U KR 200000157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arking lot
space
vehicle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4214Y1 (ko
Inventor
박봉석
Original Assignee
박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석 filed Critical 박봉석
Priority to KR2019990000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214Y1/ko
Publication of KR200000157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7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2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6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iltable floors or floor s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 E04H6/2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turntables, rotary elevators or the like on which the cars are not permanently par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너츠 형태의 주차고를 가지는 주차고 중간 공간에서 상하 이동하며 주차공간의 지정 주차고(공간)에 차를 입출 시키는 입출 턴테이블을 가지는 입체 주차장에서, 주차고의 각 지정 주차 공간의 바닥면은 차량이 자중으로 이동하도록 주차고의 중심부위보다 외경부위가 낮도록 구성하고, 상기 바닥면에는 주차 차량이 외벽과의 충돌을 방지토록 주차턱을 돌출시키며,
턴테이블은 주차고 중앙 공간의 길이 방향으로 유착되어 모터의 회전제어로 해당 지정 주차 공간을 찾아가는 회전 프레임과, 회전 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토록 로프로 지지되며 차량의 수평 이동을 가능케 하는 이동 컨베이어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로의 차량 적재를 확인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출고수단을 포함하고, 출고수단은 주차공간까지 신장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에 직각으로 설치된 보조 실린더와, 보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에 연동하여 주차 차량의 바퀴를 당기도록 롤러를 가지는 풀 레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차고의 출입구에는 화재시 내부공간을 외부와 밀폐시키는 방화벽을 설치한 입체 주차장이며, 턴테이블을 통하여 주차 공간의 위치 각도를 지정하고, 엘리베이터를 통하여는 해당 층을 설정하므로, 위치와 층을 분리하여 제어하기에 제어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입체 주차장 {Three dimensional parking lot}
본 고안은 입체 주차장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를 통하여 입체주차장을 이루는 주차고의 각 층을 제어하고, 엘리베이터는 회전프레임과 일체로 움직이면서 회전 프레임에 의하여 해당 층의 주차공간 호수를 엘리베이터가 찾을 수 있도록 하여, 층과 해당 공간의 주차위치를 구분하여 제어하고, 주차 차량은 쉽게 주차 가능토록 바닥면이 경사지게 구성한 입체 주차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 주차장은 국내 실용신안 공고 제 93-2697호의 수레에 차를 안치시켜 턴테이블에서 주차고에 그대로 주차시키는 방식과, 국내 실용신안 공고 제 95-5901호의 엘리베이터에 회전판이 일체로 되어 해당 층에 주차하는 방식과, 국내 실용신안 공고 제 90-797호와 같이 상하이동체인에 컨베이어가 이동하고, 컨베이어는 기어 결합으로 회전토록 하여 차를 정위치에 주차토록 하는 방식이 알려져있다. 이들은 주로 엘리베이터에 회전판이 일체로 결합되어 주차 공간을 찾는 방식이므로 정위치를 찾기가 쉽지 않고, 주차시의 주차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시의 대책이 없어 화재가 나면 전체의 차량이 소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턴테이블이 주차 공간을 향하여 회전하고 단지 엘리베이터는 상하 이동만 가능토록 구분하여 제어함으로써 오동작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차량을 도너츠 형태의 공간을 방사상으로 분할하여 주차고(공간)를 만들고 주차공간에 차량을 주차하고, 도너츠 형태의 중간 공간에서 상하 이동하며 주차공간의 지정 주차고(공간)에 차를 입출 시키는 입출 턴테이블을 가지는 입체 주차장에서,
주차고의 각 지정 주차 공간의 바닥면은 차량이 자중으로 이동하도록 주차고의 중심부위보다 외경부위가 낮도록 구성하고, 상기 바닥면에는 주차 차량이 외벽과의 충돌을 방지토록 주차턱을 돌출시키며,
턴테이블은 주차고 중앙 공간의 길이 방향으로 유착되어 모터의 회전제어로 해당 지정 주차 공간을 찾아가는 회전 프레임과, 회전 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토록 로프로 지지되며 차량의 수평 이동을 가능케 하는 이동 컨베이어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로의 차량 적재를 확인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출고수단을 포함하고, 출고수단은 주차공간까지 신장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에 직각으로 설치된 보조 실린더와, 보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에 연동하여 주차 차량의 바퀴를 당기도록 롤러를 가지는 풀 레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차고의 출입구에는 화재시 내부공간을 외부와 밀폐시키는 방화벽을 설치한 입체 주차장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요부 수평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수직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에 출고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요부 도면,
도 4 는 도 3 의 출고수단의 작용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 평면도,
도 5 는 도 4 의 수직단면도,
도 6a 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의 회전시의 고정레버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b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의 고정시의 고정레버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회전 프레임의 평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실링판의 구조를 보이는 평면도,
도 9 는 본 고안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주차고 11;바닥면 12;주차턱 13;방화벽
14;컨베이어 20;중앙 공간 30;턴테이블 31;모터
32;회전 프레임 32-1;기어 33;상판 33-1;실링판
33-2;고정바 삽입공34;위치 지정홀 35;지지봉 36;고정바
37;풀리 38;얼레 39;모터 40;엘리베이터
41;로프 42;컨베이어 42-1;컨베이어 모터 42-2;풀리 기어
42-3;롤러 43;바닥면 44;고정 레버 44-1;고정 실린더
44-2;실린더 로드 44-3;고정 패드 45;출고수단 46;실린더
47;실린더 로드 48;보조 실린더 48-1;실린더 로드 48-2;풀 레버
48-11;관절 48-12;핀 48-13;보조바퀴 48-3;회전롤
49;바퀴 50;센서부 51;센서 60;마이컴
71;턴테이블 구동부 72;엘리베이터 구동부 73;컨베이어 구동부
74;고정레버 구동부 75;출고수단 구동부 76;방화벽 구동부
77;지지봉 구동부 80;조작반 90;디스플레이부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수평 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수직 단면도이며, 도 3 은 도 1 의 턴테이블을 분리시킨 도면으로, 도너츠 형태의 공간을 방사상으로 분할하여 주차고(공간)(10)를 만들고 주차공간에 차량을 주차하고, 도너츠 형태의 중앙 공간(20)에서 상하 이동하며 주차공간의 지정 주차고(공간)에 차를 입출 시키는 입출 턴테이블을 가지는 입체 주차장에서,
주차고(10)의 각 지정 주차고(공간)의 바닥면(11)은 차량이 자중으로 이동하도록 주차고의 입구부위보다는 안쪽부위가 낮도록 구성하고(예를 들어 도 2 에서는 경사각 -2도), 상기 바닥면(11)에는 주차 차량이 외벽과의 충돌을 방지토록 주차턱(12)을 돌출시키며,
턴테이블(30)은 주차고(10) 중앙 공간(20)의 길이 방향으로 유착되어 모터(31)의 회전제어로 해당 지정 주차 공간을 찾아가는 회전 프레임(32)과, 회전 프레임(32)에 상하 이동 가능토록 로프(41)로 지지되며 차량의 수평 이동을 가능케 하는 이동 컨베이어(42)를 가지는 엘리베이터(40)와, 엘리베이터(40)로의 차량 적재를 확인하는 센서(51)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주차고(10)의 출구 및 입구에는 화재시 내부공간을 외부와 밀폐시키는 방화벽(13)을 설치한다.
상기 엘리베이터(40)는 출고수단(45)을 포함하고, 출고수단(45)은 도 3 과 같이 주차공간까지 신장하는 실린더(46)와, 실린더(46)의 실린더 로드(47)에 직각으로 설치된 보조 실린더(48)와, 보조 실린더(48)의 실린더 로드(48-1)에 연동하여 주차 차량의 바퀴를 당기도록 롤러를 가지는 풀 레버(48-2)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 로드(47) 선단에는 실린더 로드(47)의 신장시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바퀴(49)가 설치된다. 상기 주차고(10)의 차량 입구에는 차량의 유입시 차량을 턴테이블(30)로 이동시키는 이동 컨베이어(14)를 설치하고, 차량 출구는 주차고의 바닥 경사면을 이용하여 자중으로 차고를 빠져나오도록 설치한다. 상기 출고수단(45)은 엘리베이터 바닥면(43) 위에 설치되며, 바닥면(43)은 회전 프레임(32)과 로프(41)로 결합 지지되고, 바닥면(43)에는 또한 고정레버(44)가 설치된다. 도 2 에서 턴 테이블(30)은 모터(31)의동력을 전달받는 기어(32-1)와, 기어(32-1)가 결합된 회전축(32-2)과, 회전 프레임(32)의 저면을 바닥면과 마찰없이 회전시키는 베어링(3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52)는 입구에 있는 차량의 유무를 확인하는 센서이고, (15)는 주차고 캡이다.
도 4 는 도 3 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5 는 도 4 의 단면도로, 출고수단(45)을 이루는 실린더(46)의 실린더 로드(47)에 직각으로 설치된 보조 실린더(48)와, 보조 실린더(48)의 보조 실린더 로드(48-1)에 연동하여 주차 차량의 바퀴를 당기도록 회전롤(48-3)을 가지는 풀 레버(48-2)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 로드(47) 선단에는 실린더 로드(47)의 신장시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바퀴(49)가 설치된다. 풀 레버(48-2)는 삼각 꼴이며, 각 모서리에는 주차 차량의 바퀴와의 마찰력을 줄이는 회전롤(48-3)이 설치되고, 실린더 로드(47)에는 주차 공간의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줄이는 바퀴(49)가 유착되며, 바퀴(49)는 풀(Pull)레버(48-2)가 주차 공간의 바닥면(11) 위에 떠 있도록 하는 크기를 이룬 것이 좋다. 상기 실린더 로드(48-1)는 수개의 단위 관절(48-11)이 핀(48-12)에 유착되는 구성의 결합 상태를 이루도록 함이 좋다. 핀(48-12)에는 필요시 보조 바퀴(48-13)를 설치 할 수도 있다. 상기 턴테이블(30)을 이루는 엘리베이터(40)의 바닥면(43)에는 이동 컨베이어(42)가 설치되며, 이동 컨베이어(42)는 동력을 제공하는 컨베이어 모터(42-1)와, 컨베이어 모터(42-1)의 동력을 제공받아 컨베이어(42)를 구동시키는 풀리 기어(42-2)와, 컨베이어(42)의 저면에서 컨베이어(42)의 수평을 유지하고 이송 마찰력을 줄이는 롤러(42-3)로 구성한다.
도 6a 는 본 고안의 고정레버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b 는 고정기능을 수행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 엘리베이터를 이루는 턴테이블 바닥면(11)에는 주차공간 바닥면(11)과의 차량 출입시 움직임을 방지하는 고정레버(44)가 설치되고, 고정레버(44)는 엘리베이터 턴테이블 바닥면(43)에 설치된 고정 실린더(44-1)와, 고정 실린더(44-1)의 실린더 로드(44-2) 선단에 설치된 고정 패드(44-3)로 이루어진다.
도 7 은 본 고안의 회전 프레임 상단을 보인 평면도로, 주차고(10)의 중앙 공간(20)에 설치된 도 1 및 도 2 의 회전 프레임(32)을 덮는 원판형 상판(33)의 외주부에 일정 주차 공간 간격을 두고 위치 지정홀(34)이 형성되고, 위치 지정홀(34)의 일 대응 부위에는 지지봉(35)에 고정된 고정바(36)가 설치된다. 상기 상판(33)에는 도 1 및 도 2 에 보인 로프(41)를 풀거나 감는 풀리(37)가 설치되고, 풀리(37)는 얼레(38)로 로프(41)를 제공하거나 받으며, 감속기(39-1)를 통하여 출력을 제공하는 모터(39)에 의하여 얼레(38)를 정, 역회전하도록 구성한다.
도 8 은 본 고안의 도 7 에 보인 상판(33)과 주차고(10)와의 공간을 실링 시키는 실링판(33-1)을 나타낸 도면으로, 실링판(33-1)은 주차고(10)에 고정된다. 상기 실링판(33-1)의 상기 고정바(36) 대응 부위 1개소에는 고정바 삽입공(33-2)이 형성된다.
도 9 는 본 고안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로, 주차 여부 및 화재 여부 등을 인식하는 센서부(50)와, 센서부(50)의 센싱치를 인식하는 마이컴(6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마이컴(60)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부는 턴테이블(30)을 구동하는 턴테이블 구동부(71)와, 엘리베이터(40)를 구동하는 엘리베이터 구동부(72)와, 주차 차량의 유입 및 배출을 안내하는 컨베이어 구동부(73)와, 고정레버(44)의 구동을 제어하는 고정레버 구동부(74)와, 차량을 주차고(10)에서 엘리베이터(40)로 이동시키는 출고수단(45)을 구동하는 출고수단 구동부(75)와, 방화벽(13)을 구동하는 방화벽 구동부(76)와, 지지봉(35)을 상승 하강시키는 지지봉 구동부(7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80)은 출고 차량을 호출 지령하는 조작반이고, (90)은 입고 및 출고되는 차량의 호스 및 층수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도 1 과 같이 주차고(10)의 입구에 차량을 위치시키고 도시하지 않은 조작반을 누르면 도 5 에 보인 컨베이어 모터(42-1)가 구동하여 이동 컨베이어(42)가 움직이고, 이에 따라 주차할 차량을 지점(A1)에서 지점(A2)으로 옮긴다. 그러면 도 2 에 보인 센서(51)가 이를 인식하여 턴테이블 바닥면(43)에 있는 이동 컨베이어(42)를 구동시켜 도 2 의 점선 상태로 이동 후 정지한다. 정지의 동작은 센서(51)가 오프된 다음 설정 지연 시간이 지나 엘리베이터(40)에 도 2 의 점선 상태가 되면 정지토록 설계하고, 이러한 방식의 설계기술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제어 기술 자체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어부를 이루는 마이컴(60)은 센서부(50)를 통하여 주차공간의 여부를 인식하여(인식은 각 주차고에 설치한 센서들로 이루어진 센서부를 통하여 차량의 주차 여부를 미리 인식하고 빈 공간을 찾아 주차토록 함), 제어 기능을 수행토록 한다. 이와 같은 전제하에서, 엘리베이터(40)는 엘리베이터 구동부(72)에 의하여 구동한다. 즉, 마이컴(60)은 주차고(10)의 주차 가능 층수 및 호수를 판단하고, 층수를 우선 찾아가기 위하여 현재의 위치와 찾아갈 층수까지의 거리를 판단하여 해당하는 구동 값을 엘리베이터 구동부(72)에 인가한다. 그러면 도 7 에 보인 모터(39)가 해당하는 회전수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얼레(38)와 풀리(37)가 회전하여 로프(41)를 감거나(위로 이동할 때) 풀어(아래로 이동할 때) 해당하는 층수를 찾아가서 멈춘다. 물론 해당하는 층수의 확인은 통상의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확인 가능하다. 해당 층수에 오면 해당하는 호수를 찾기 위하여 마이컴(60)은 턴테이블 구동부(71)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구동 값으로 모터(31)가 회전한다. 모터(31)의 회전은 회전 프레임(32)의 축에 결합된 기어(32-1)로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 프레임을 해당하는 호수 위치에서 멈춘다. 이 경우 회전 프레임(32)의 회전각도 기준 점은 엘리베이터(40)에 적재한 차량의 후미부가 되는 것으로, 이는 차량의 주차가 후미부터 시작되기 때문이다. 쉽게 말하면 차량이 엘리베이터(40)로 이동하면 도 1 의 상태에서는 지점(P1)의 주차고에 바로 주차할 경우라도 턴테이블(30)을 180도 회전시킨 후 주차하여 차량의 후미부터 주차토록 한다. 이와 같은 원리로 호수를 찾아가는 기준점은 턴테이블(30)의 차량 진입 지점(A2)이 된다. 상기에서는 엘리베이터(40)의 구동과 턴테이블(30)구동을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동시에 구동할 수도 있다. 다만 각각의 동력원을 사용하여 별개로 제어하였기에 각각의 제어 시간은 일치할 수도 다를 수도 있다. 이렇게 해당하는 층수와 호수를 찾아간 후에는 턴테이블(30)의 회전을 멈추고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 6a 상태의 고정 레버(44)를 도 6b 상태로 작동시킨다. 도 6b 상태의 도면은 도 1 과 같이 고정패드(44-3)가 주차고의 바닥면(11)을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 본 고안은 또한 턴테이블(30)의 회전을 2중으로 차단토록 지지봉 구동부(77)를 구동시켜(하강토록 하여) 고정바(36)가 도 7 및 도 8 에 보인바와 같이 위치 지정홀(34)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여, 정위치에서의 구동을 보다 확실히 기능 하도록 한다. 도 8 의 실링판(33-1)은 주차고(10)와 턴테이블(30) 상판(33)을 실링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실내의 온도 유지 및 화재시의 기밀 유지 등의 기능을 수행토록 한다.
이와 같이 주차를 완료한 후에 차량을 주차고에서 출고할 때는 조작반(80)을 조작하여 입고된 차량의 호수 및 층수를 누른다(입고시에 디스플레이부(90)를 통하여 입고 층수 및 호수를 미리 인식하거나 마이컴(60)에 인식토록 한 후 출고시 해당호수 및 층수를 요구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주차시 발행하는 주차권 등에 인식코드를 부여하고 인식 코드를 판독하여 주차 위치를 인식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이러한 수단의 도시는 생략함)). 그리하면 마이컴(60)은 이를 인식하여 해당호수 및 층수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조작 에러를 확인토록 하고, 이에 근거하여 마이컴(60)은 상응하는 값을 지령하여 엘리베이터 구동부(72)를 구동시켜 해당하는 층수를 찾아가고, 턴테이블 구동부(71)를 구동시켜 해당하는 호수를 찾아간다. 그리고 마이컴(60)은 출고수단 구동부(75)를 구동시켜 도 3 의 실선 상태에 있던 출고수단(45)을 구동시킨다. 즉, 실린더(46)를 작동시키면 실린더 로드(47)가 신장하여 점선 상태로 된다. 이를 평면 상태로 도시하면 도 4 의 상태를 이루고, 단면 상태로 도시하면 도 5 의 상태를 이룬다. 즉, 실린더 로드(47)는 수개의 관절(48-11)로 이루어져 바닥면(11)의 경사에 관계없이 바퀴(49)가 바닥면(11)에 닿도록 기능하고, 차량의 바퀴를 지나서 신장이 완료되면 역시 출고수단 구동부(75)의 지령에 의하여 풀 레버(48-2)가 도 4 의 실선 상태에서 점선 상태로 이동한다. 이동하는 위치는 차량의 앞바퀴 부근이다. 그리고 실린더 로드(47)를 실린더(46)가 당긴다. 그러면 풀 레버(48-2)에 설치된 회전롤(48-3)이 바퀴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차량을 바닥면(11)에서 엘리베이터(40)로 마찰 없이 이동토록 한다. 일단 앞바퀴가 이동 컨베이어(42)에 위치하면 차량을 이동 컨베이어(42) 조작으로 턴테이블(30)의 엘리베이터(40)로 옮긴다. 그리고 도 6b 상태에 있던 고정 패드(44-3)를 도 6a 상태로 원위치 시켜 출구 위치로 옮길 수 있도록 다시 턴테이블(30)과 엘리베이터(40)를 구동시킨 다음 이동 컨베이어(42)를 구동시켜 출구로 자연스럽게 차량이 출하되도록 기능 한다. 한편 주차고(10) 내에 화재가 발생하면 본 고안은 센서부(50)에 화재 인식 센서(아무 위치나 가능하므로 특별히 지정하여 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였기에 방화벽 구동부(76)를 작동시켜 방화벽(13)이 입구 및 출구를 차단시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자연스럽게 화재를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입체식 주차장치에서 주차고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구성하였기에 차량의 주차 진입시의 부하를 줄일 수 있어 별도의 주차 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주차고와 턴테이블이 실링 상태를 유지하므로 실내 온도 유지에 유익하고, 턴테이블이 회전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어 회전하는 구성이므로 회전의 각도유지에 유리하고, 턴테이블과는 별도의 구동원으로 엘리베이터가 기능 하므로 정확한 층수를 찾아갈 수 있다. 또한 화재의 발생시 주차고의 입구 및 출구에 방화벽이 설치되어있어 화재시 방화벽을 닫아 공기의 주입을 차단하여 화재를 쉽게 진압할 수 있다.

Claims (4)

  1. 차량을 도너츠 형태의 공간을 방사상으로 분할하여 주차고(공간)를 만들고 주차공간에 차량을 주차하고, 도너츠 형태의 중간 공간에서 상하 이동하며 주차공간의 지정 주차고(공간)에 차를 입출 시키는 입출 턴테이블을 가지는 입체 주차장에서,
    주차고의 각 지정 주차 공간의 바닥면은 차량이 자중으로 이동하도록 주차고의 중심부위보다 외경부위가 낮도록 구성하고, 상기 바닥면에는 주차 차량이 외벽과의 충돌을 방지토록 주차턱을 돌출시키며,
    턴테이블은 주차고 중앙 공간의 길이 방향으로 유착되어 모터의 회전제어로 해당 지정 주차 공간을 찾아가는 회전 프레임과, 회전 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토록 로프로 지지되며 차량의 수평 이동을 가능케 하는 이동 컨베이어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로의 차량 적재를 확인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출고수단을 포함하고, 출고수단은 주차공간까지 신장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에 직각으로 설치된 보조 실린더와, 보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에 연동하여 주차 차량의 바퀴를 당기도록 롤러를 가지는 풀 레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차고의 출입구에는 화재시 내부공간을 외부와 밀폐시키는 방화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주차장.
  2.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 프레임의 상단에는 해당 주차 공간에 상응하는 간격의 위치 지정홀이 있고, 위치 지정홀의 대응 부위에는 고정바가 지지봉 상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봉은 실린더에 의하여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주차장.
  3. 제 1 항에 있어서, 풀 레버는 삼각꼴이며, 각 모서리에는 주차 차량의 바퀴와의 마찰력을 줄이는 회전롤이 설치되고, 실린더 로드에는 주차 공간의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줄이는 바퀴가 유착되며, 바퀴는 풀(Pull)레버가 주차 공간의 바닥면 위에 또 있도록 하는 크기를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주차장.
  4. 제 1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에는 주차공간 바닥면과의 차량 출입시 움직임을 방지하는 고정레버가 설치되고, 고정레버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고정 실린더와, 고정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 선단에 설치된 고정 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주차장.
KR2019990000347U 1999-01-15 1999-01-15 입체 주차장 KR2002142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347U KR200214214Y1 (ko) 1999-01-15 1999-01-15 입체 주차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347U KR200214214Y1 (ko) 1999-01-15 1999-01-15 입체 주차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725U true KR20000015725U (ko) 2000-08-05
KR200214214Y1 KR200214214Y1 (ko) 2001-02-15

Family

ID=54758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347U KR200214214Y1 (ko) 1999-01-15 1999-01-15 입체 주차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2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00B1 (ko) * 2008-01-04 2010-09-16 주식회사 코스텍엔지니어링 주차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00B1 (ko) * 2008-01-04 2010-09-16 주식회사 코스텍엔지니어링 주차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214Y1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530117U (zh) 智能全向移载平台泊车机器人
JP2582674B2 (ja) 蓄電池による横行台車の駆動装置
CN106677579A (zh) 智能全向移载平台泊车机器人及其控制方法
KR20210011578A (ko) 평면왕복식 주차장치
KR200214214Y1 (ko) 입체 주차장
JP2009057701A (ja) ガレージ及び建物
KR102333719B1 (ko) 차량용 승강기의 추락방지 시스템
CN108104560A (zh) 一种汽车停车位保护系统
EP3344482A1 (en) Auxiliary device for moving a land vehicle
JPH05214833A (ja) 立体駐車装置の車両旋回装置
CN206174543U (zh) 一种新型简易车梯
CN106320770A (zh) 一种新型简易车梯及其存取车辆的方法
KR100317242B1 (ko) 가정용 주차장치
KR102657923B1 (ko) 주차설비의 차량 추락 방지장치
JPH0452233Y2 (ko)
JPH0223713Y2 (ko)
JPH0514419U (ja) 立体式駐車場
CN109339527B (zh) 一种电梯停车系统
JPH0227102Y2 (ko)
JP2004011354A (ja) 車両位置決め装置
JPH1061229A (ja) 旋回式駐車装置
KR20240017581A (ko) 주차용 차량 이송 장치
KR200326198Y1 (ko) 회전롤러를 이용한 차량 주차장치
JPH0640791Y2 (ja) 2段式駐車場
JPS6030367Y2 (ja) 昇降・横行型二段または多段式駐車装置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