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053U - 콘크리트 펌핑장치의 마모판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펌핑장치의 마모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053U
KR20000015053U KR2019980028432U KR19980028432U KR20000015053U KR 20000015053 U KR20000015053 U KR 20000015053U KR 2019980028432 U KR2019980028432 U KR 2019980028432U KR 19980028432 U KR19980028432 U KR 19980028432U KR 20000015053 U KR20000015053 U KR 200000150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
concrete pumping
sides
wear plate
pum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80552Y1 (ko
Inventor
김상호
이범주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80028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552Y1/ko
Publication of KR200000150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0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5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펌핑장치의 마모판에 관한 것으로, 연강소재로 된 몸체(20)의 양면에 각각 중앙홀(22, 24)의 주연부를 따라 소정깊이의 홈(26, 28)이 형성되고, 이 홈(26, 28)의 내부를 내마모성 재질의 용접봉으로 몸체(20)의 양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육성용접부(30, 32)를 형성하므로써, 마모판의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재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펌핑장치의 마모판(A wear plate of concrete pumping device)
본 고안은 콘크리트 펌핑장치의 마모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펌핑장치에 사용되는 내마모성 소모품인 마모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부품의 교환주기를 연장시키도록 개량된 콘크리트 펌핑장치의 마모판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펌핑장치에 사용되는 마모판은 콘크리트에 포함된 모래와 자갈에 의한 긁힘과 부딪힘에 의해 마모가 가장 극심하게 발생되는 부품으로, 이러한 극심한 마모에 따라 필연적으로 마모판의 교환주기가 짧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마모판의 내마모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재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또한 소재의 내마모특성의 향상과 더불어 마모판을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도 함께 연구되어 왔다.
콘크리트 펌핑장치에 사용되는 마모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강소재로 된 몸체(10)의 한쪽면에 크롬카바이드계, 텅스텐카바이드, 바나디움계 등의 내마모성재질의 용접봉으로 일정높이만큼 육성용접부(12)를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육성용접부(12)는 내마모성재질로 육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도가 높은 대신에 충격에 약한 취성을 가지고 있어, 필연적으로 내부에 많은 미세크랙(14)을 포함할 수 밖에 없지만, 상기 육성용접부(12)를 지지하는 연강소재가 상기 미세크랙(14)의 크랙전파에 대한 장애물로 작용하면서 사용상에는 별 무리가 없었다.
그러나 이렇게 제작된 마모판은 상기 일면에 형성된 육성용접부(12)가 마모되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마모주강으로 양면이 평활한 마모판(16)을 제작하면,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일면이 마모되는 경우 다시 면을 바꾸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으나, 마모판 전체를 경도가 높은 내마모주강으로 제작하였기 때문에 마모판전체에 많은 미세크랙이 존재하게 되고, 또한 이러한 미세크랙의 크랙전파를 저지할 수단이 없어, 장착작업시 볼트구멍으로 부터 가해진 충격에 의해서도 크랙전파가 일어나면서 파단되는 경우도 발생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내마모주강에 의해 전체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주물을 주입하여 응고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축등으로 인하여 마모판의 주위의 볼트구멍이 제위치에 정확하게 형성되지 않아 이를 콘크리트펌핑장치에 장착하는 작업도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외부의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콘크리트 펌핑장치의 마모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콘크리트 펌핑장치의 마모판은,
연강소재로 된 몸체의 양면에 각각 내마모성 재질로 육성용접된 육성용접부가 형성되고, 이 육성용접부의 표면이 상기 몸체의 상하면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평면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조로된 본 고안에 따르면, 내마모성 재질의 육성용접부가 몸체의 상하면에 각각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아니라 일측면이 마모된 경우에는 몸체를 뒤집어 재사용하도록 하므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연강소재와 육성용접부가 결합된 상태로 되어 외부의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육성용접하여 제작된 종래의 콘크리트 펌핑장치의 마모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내마모주강으로 제작된 종래의 콘크리트 펌핑장치의 마모판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펌핑장치의 마모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펌핑장치의 마모판을 도시한 도면으로, 연강소재로 된 몸체(20)의 양면에 각각 중앙홀(22, 24)의 주연부를 따라 소정깊이의 홈(26, 28)이 형성되고, 이 홈(26, 28)에 내마모성 재질의 용접봉으로 육성용접부(30, 32)를 몸체(20)의 양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육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용접봉은 크롬카바이드계, 텅스텐카바이드계, 바나디움계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로 된 본 고안에 따르면 육성용접부(30, 32)의 외각부와 이면이 연강소재로 된 몸체(20)에 접촉되어 충격에 가장 약한 모서리부를 가능한 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므로써, 육성용접부에 존재하는 미세크랙(26)으로부터 외각부로 크랙전파되지 않도록 보호하게 되어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몸체(20)의 양면을 동일한 조건으로 육성용접부를 형성하여, 일면이 다 사용하더라도 다른 면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마모판의 전체 수명을 2배로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몸체양쪽면에 형성된 홈의 내부로 내마모재질로 육성용접부를 형성하므로써 마모판의 내마모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쪽면에 육성용접부를 형성하므로써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강소재로 된 몸체(20)의 양면에 각각 중앙홀(22, 24)의 주연부를 따라 소정깊이의 홈(26, 28)이 형성되고, 이 홈(26, 28)의 내부를 내마모성 재질의 용접봉으로 몸체(20)의 양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육성용접부(30, 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핑장치의 마모판.
KR2019980028432U 1998-12-31 1998-12-31 콘크리트펌핑장치의마모판 KR200380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432U KR200380552Y1 (ko) 1998-12-31 1998-12-31 콘크리트펌핑장치의마모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432U KR200380552Y1 (ko) 1998-12-31 1998-12-31 콘크리트펌핑장치의마모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053U true KR20000015053U (ko) 2000-07-25
KR200380552Y1 KR200380552Y1 (ko) 2005-07-05

Family

ID=4368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432U KR200380552Y1 (ko) 1998-12-31 1998-12-31 콘크리트펌핑장치의마모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5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552Y1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6088B (fi) Auranlapa
CA1309741C (en) Composite excavating tooth
US5328776A (en) Abrasion and impact resistant composite castings and wear resistant surface provided therewith
US1835701A (en) Excavating implement
CA1336369C (en) Tamping blade with improved inserts
RU2429146C2 (ru) Устройство, выполненное в части горнодобывающей или строительной машины и включающее в себя конструкцию защиты от истирания, и часть машины,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3971323A (en) Tamping blade and a hard wear-resistant insert therefor
US4081082A (en) Coupler shank hard facing
KR101250165B1 (ko) 굴착기 버켓트용 팁 및 그 제조방법
US20040045473A1 (en) Tamping tine for a tamping unit
KR20000015053U (ko) 콘크리트 펌핑장치의 마모판
AU2013100066A4 (en) A Composite Latch for an Excavator Bucket
KR20210097771A (ko) 토양-작업용 버킷 또는 물질-핸들링 기계
US8877347B2 (en) Wear element, and component provided therewith
CN209854815U (zh) 一种复合镶铸铲运机铲刃板
JP2001271371A (ja) 油圧ショベルの作業装置
CN214460779U (zh) 一种耐磨铲斗
CN215714955U (zh) 一种刀型铲雪板
RU2756554C1 (ru) Износостойкая футеровка
RU205158U1 (ru) Лопатка подбойки
CN217399791U (zh) 一种挖斗用护斗块
KR20140004360U (ko) 용접부 마모개선 굴삭기 버켓
CN214640211U (zh) 一种镶嵌式铸造槽帮砂型以及镶嵌式铸造槽帮
RU2238362C2 (ru) Инструмент шпалоподбойной машины
CN215669766U (zh) 装载机铲斗粉末合金堆焊耐磨铲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