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037U -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037U
KR20000015037U KR2019980028416U KR19980028416U KR20000015037U KR 20000015037 U KR20000015037 U KR 20000015037U KR 2019980028416 U KR2019980028416 U KR 2019980028416U KR 19980028416 U KR19980028416 U KR 19980028416U KR 20000015037 U KR20000015037 U KR 200000150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command signal
section
control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식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80028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5037U/ko
Publication of KR200000150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037U/ko

Links

Landscapes

  • Numerical Control (AREA)
  • 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AREA)

Abstract

공장 자동화나 공작기계용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모드를 절환하여 위치 결정을 신속히 결정하는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장치는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서보 드라이버의 위치지령신호 및 속도값에 따른 가속구간, 등속구간 및 감속구간을 입력하는 입력수단(100); 위치지령신호를 인가받아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속도명령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제어부(102); 소정의 속도명령신호를 저장하는 감속패턴부(104); 서보 드라이버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부(106); 인가되는 선택신호(Cs)에 따라 상기 위치제어부(102) 또는 상기 감속패턴부(104)로부터 출력되는 속도명령신호를 스위칭하여 상기 속도제어부(106)로 접속하는 스위칭부(108); 및 상기 입력수단(100)으로부터 입력된 위치지령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위치제어부(102)로 인가하고, 상기 입력수단(100)으로부터 입력된 속도값에 따른 가속구간 및 등속구간에서는 상기 스위칭부(108)가 상기 위치제어부(102)를 접속하도록 하고, 감속구간에서는 상기 스위칭부(108)가 상기 감속패턴부(104)를 접속하도록 하며, 상기 감속구간에서 소정의 속도값 이하가 되면 상기 스위칭부(108)가 상기 위치제어부(102)를 접속하도록 선택신호(Cs)를 상기 스위칭부(108)로 인가하는 주제어부(11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Control apparatus of a servo driver)
본 고안은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장 자동화나 공작기계용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모드를 절환하여 위치 결정을 신속히 결정하는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서보 드라이버에서는 제어모드가 위치, 속도, 토크모드로 구분되어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여 위치 결정을 완료할 때 위치모드에서 나타나는 지연현상을 막을 수가 없었다. 이러한 지연으로 전용기의 고속운전을 요하는 경우, 주로 가감속 시간을 줄여 사용하였으나 위치제어모드의 특성상 지연현상은 여전히 존재하여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위치제어모드를 통한 제어시 나타나는 지연현상을 제어모드의 절환을 통하여 줄이고자 하는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는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서보 드라이버의 위치지령신호 및 속도값에 따른 가속구간, 등속구간 및 감속구간을 입력하는 입력수단; 위치지령신호를 인가받아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속도명령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제어부; 소정의 속도명령신호를 저장하는 감속패턴부; 서보 드라이버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부; 인가되는 선택신호(Cs)에 따라 상기 위치제어부 또는 상기 감속패턴부로부터 출력되는 속도명령신호를 스위칭하여 상기 속도제어부로 접속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위치지령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위치제어부로 인가하고,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속도값에 따른 가속구간 및 등속구간에서는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위치제어부를 접속하도록 하고, 감속구간에서는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감속패턴부를 접속하도록 하며, 상기 감속구간에서 소정의 속도값 이하가 되면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위치제어부를 접속하도록 선택신호(Cs)를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위치지령에 따른 속도 프로파일(profile)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속구간 20 : 등속구간
30 : 감속구간 100 : 입력수단
102 : 위치제어부 104 : 감속패턴부
106 : 속도제어부 108 : 스위칭부
110 : 주제어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는 입력수단(100), 위치제어부(102), 감속패턴부(104), 속도제어부(106), 스위칭부(108) 및 주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의 구성요소에 따른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설명한다.
입력수단(100)은 서보 드라이버의 위치지령신호 및 속도값에 따른 가속구간, 등속구간 및 감속구간을 입력한다. 위치제어부(102)는 위치지령신호를 인가받아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속도명령신호를 출력한다. 감속패턴부(104)는 소정의 속도명령신호를 저장한다. 속도제어부(106)는 서보 드라이버의 속도를 제어한다. 스위칭부(108)는 인가되는 선택신호(Cs)에 따라 상기 위치제어부(102) 또는 상기 감속패턴부(104)로부터 출력되는 속도명령신호를 스위칭하여 상기 속도제어부(106)로 접속한다. 주제어부(110)는 상기 입력수단(100)으로부터 입력된 위치지령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위치제어부(102)로 인가하고, 상기 입력수단(100)으로부터 입력된 속도값에 따른 가속구간 및 등속구간에서는 상기 스위칭부(108)가 상기 위치제어부(102)를 접속하도록 하고, 감속구간에서는 상기 스위칭부(108)가 상기 감속패턴부(104)를 접속하도록 하며, 상기 감속구간에서 소정의 속도값 이하가 되면 상기 스위칭부(108)가 상기 위치제어부(102)를 접속하도록 선택신호(Cs)를 상기 스위칭부(108)로 인가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의 구성요소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위치제어부(102)와 감속패턴부(104)를 마련하여 이를 절환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가속구간과 등속구간은 종래의 기술과 같이 위치제어부(102) 및 속도제어부(106)를 거쳐 제어하지만, 지연현상이 생기는 감속구간은 위치제어부(102)를 통하여 속도지령을 얻어내지 않고 미리 구현한 감속패턴부(104)에 따라 속도지령을 생성한다.
도 2는 위치지령에 따른 속도 프로파일(profile)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시간축이고, 세로축은 속도축이다. 또한 구간 10은 가속구간이고, 20은 등속구간이며, 30은 감속구간이다.
감속구간의 시작점(t1)이 위치제어모드에서 속도제어모드로 절환되는 시점이 된다. 즉, 가속구간(10)과 등속구간(20)은 위치제어부(102)를 통하여 속도지령을 생성하고, 감속구간(30)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감속패턴부(104)를 통하여 속도지령을 생성한다. 또한, 감속구간(30)에 있어서, 일정속도(V1) 이내의 저속으로 감속하게 되면 이 시점(t2)부터는 다시 위치제어부(102)를 통하여 속도지령을 생성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목표 위치까지 잔여의 위치량은 위치제어부(102)로 제어하게 된다. 이때는 저속이기 때문에 위치제어부(102)에서의 지연현상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감속패턴부(104)는 적용되는 모터의 시정수를 감안하여 최대의 감속을 구현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패턴을 만들어 주면 된다.
즉, 가속(10), 등속(20)구간은 위치제어부(102)로 제어를 수행하고, 감속(30)구간의 시작점부터 감속패턴부(104)로 제어를 수행하며, 정해 놓은 저속의 속도 이내 도달시 다시 위치제어부(102)로 제어를 수행한다.
도 2에서 보면, 200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곡선이고, 210은 본 고안에 따른 곡선이다. 도 2에서 보이듯이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 비해 시간단축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에 의하면, 서보 드라이버에서 위치 결정 완료의 시간 단축을 통하여 전용기에서 요구되는 빠른 위치 응답성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

  1.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서보 드라이버의 위치지령신호 및 속도값에 따른 가속구간, 등속구간 및 감속구간을 입력하는 입력수단(100);
    위치지령신호를 인가받아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속도명령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제어부(102);
    소정의 속도명령신호를 저장하는 감속패턴부(104);
    서보 드라이버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부(106);
    인가되는 선택신호(Cs)에 따라 상기 위치제어부(102) 또는 상기 감속패턴부(104)로부터 출력되는 속도명령신호를 스위칭하여 상기 속도제어부(106)로 접속하는 스위칭부(108); 및
    상기 입력수단(100)으로부터 입력된 위치지령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위치제어부(102)로 인가하고, 상기 입력수단(100)으로부터 입력된 속도값에 따른 가속구간 및 등속구간에서는 상기 스위칭부(108)가 상기 위치제어부(102)를 접속하도록 하고, 감속구간에서는 상기 스위칭부(108)가 상기 감속패턴부(104)를 접속하도록 하며, 상기 감속구간에서 소정의 속도값 이하가 되면 상기 스위칭부(108)가 상기 위치제어부(102)를 접속하도록 선택신호(Cs)를 상기 스위칭부(108)로 인가하는 주제어부(110)를 포함하는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
KR2019980028416U 1998-12-31 1998-12-31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 KR200000150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416U KR20000015037U (ko) 1998-12-31 1998-12-31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416U KR20000015037U (ko) 1998-12-31 1998-12-31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037U true KR20000015037U (ko) 2000-07-25

Family

ID=6950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416U KR20000015037U (ko) 1998-12-31 1998-12-31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503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6269B1 (ko) 리프팅기 내에서 평행하게 이동가능한 캐리지로부터 케이블에 매달린 하중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장치
KR930010320A (ko) 액츄에이터 작동속도 자동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10018875A (ko) 서보제어장치
EP0797135B1 (en) Numerical controller
US4954980A (en) High speed input/output module and programmable logic control device
US6563283B2 (en) Motor control device
KR20000015037U (ko) 서보 드라이버의 제어장치
CN106970652B (zh) 运动控制器
JPH11231941A (ja) 位置決め制御方法とその装置
JP2600715B2 (ja) ロボットのサーボ制御方法
KR20060005444A (ko) 피엘씨의 위치 결정방법
KR100244680B1 (ko) 로봇의 구동모터 가,감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
SU746422A1 (ru) Программный релейный регул тор
JP2953925B2 (ja) 駆動部品の制御装置
JPH0764644A (ja) 位置決めサーボ機構のゲイン切換装置
KR0155909B1 (ko) 멀티 로봇의 외부제어 시스템에서 입력신호 간의 간섭방지 방법 및 그 장치
KR970000194Y1 (ko) 서보모터 드라이버 이득조정 시스템
KR100959950B1 (ko) 인버터 제어 보조장치
JPH1115531A (ja) サーボ制御方法およびサーボ制御装置
JPH033688A (ja) ロボット用サーボ・モータの速度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CS221581B1 (cs) Zapojení rychlostního regulačního obvodu s elektronickým nastavením počátečního stavu
JPH05103488A (ja) デジタルサーボ制御装置
JPS62167435A (ja) 駆動条件の変更制御方法
JPH01206404A (ja) 加減速制御装置
KR970066774A (ko) 피이드포워드에 의한 서보모터의 위치 제어방법 및 제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