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585A - 디지털 현미경 - Google Patents

디지털 현미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585A
KR20000014585A KR1019980034077A KR19980034077A KR20000014585A KR 20000014585 A KR20000014585 A KR 20000014585A KR 1019980034077 A KR1019980034077 A KR 1019980034077A KR 19980034077 A KR19980034077 A KR 19980034077A KR 20000014585 A KR20000014585 A KR 20000014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unit
digital
subject
objectiv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6525B1 (ko
Inventor
이인구
Original Assignee
김연희
주식회사 경일하이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희, 주식회사 경일하이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김연희
Priority to KR1019980034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6525B1/ko
Publication of KR20000014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5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1Optical details, e.g. image relay to the camera or image sens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2Objec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24Base structure
    • G02B21/26Stages; Adjus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경을 통해 관찰되는 피검체의 상을 디지털로 변환하여 저장, 편집하고 접안렌즈없이 LCD화면을 통해 여러 사람이 동시에 관찰하도록 하며, 유무선을 통해 전송하여 동시에 원격지에 있는 여러사람이 피검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할 뿐만아니라, 관찰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본체에 저장하거나 대조 검색하고 컴퓨터와 자료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고 피검체를 외부와 차단하여 분진이나 외부환경에 의한 오염을 극소화시켜 정확한 관찰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현미경의 재물대 작동을 전동식으로 작동시키도록 한 디지털 현미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현미경
본 발명은 디지털 현미경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미경을 통해 관찰되는 피검체의 상을 디지털로 변환하여 저장, 편집, 전송하여 동시에 여러사람이 피검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할 뿐만아니라, 관찰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본체에 저장하거나 대조 검색하고 컴퓨터와 자료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고 피검체를 외부와 차단하여 분진이나 외부환경에 의한 오염을 극소화시켜 정확한 관찰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현미경의 재물대 작동을 전동식으로 작동시키도록 한 디지털 현미경에 관한 것이다.
현미경은 생물학을 비롯한 여러 과학분야, 즉 반도체 관련분야, 의학 관련분야, 재료공학 관련분야 뿐만아니라 학교의 교단 선진화 교육에서까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는 필수적인 실험기구로써 미시세계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도1은 일반적인 현미경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미경은 관찰하고자 하는 피검체를 플레파라트(30)를 만들어 재물대(20) 위에 올려 놓고 광원부(10)의 램프를 켜고 대물렌즈(40)와 접안렌즈(50)의 광학적 배율을 조절한 후 제물대(20)를 XYZ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노브(22)를 돌려 정확한 초점을 잡아 피검체의 미시세계를 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현미경으로 관찰한 피검체의 미시세계를 기록, 보고하거나 강의를 위한 자료로 만들거나 출판하고 교육하기 위한 자료로 만들기 위해서는 현미경 상단의 연결부(60)에 일반 광학 카메라(70)를 장착하여 사진 촬영을 하여 기록하여 위와 같은 목적에 사용하게 된다.
또한, 현재 활동중인 생물등, 세포분열등의 활동적인 상태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서로 교대로 관찰하거나 접안렌즈(50)를 다수개 설치하여 관찰하게 된다.
그런데,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미시세계를 강의나 보고를 위해 많은 사람들에게 소개하기 위해서는 사진 촬영된 자료를 투영기를 통해 영사하거나 화상기를 통해 사진을 영사하고 있다.
그리고, 현미경으로 관찰된 사진을 컴퓨터에 보관하거나 출판하기 위해서는 스캐너를 통해 스캔한 후 컴퓨터에서 편집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레서, 위와 같이 광학으로 촬영한 사진을 재사용하고할 때의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현미경에 CCD카메라를 장착하여 촬영하여 얻은 아날로그 신호를 컴퓨터의 TV 수신카드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방식을 시도하고 있으나 이 경우 결과적으로 현미경으로부터 얻어지는 최초의 화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미경의 피검체를 올려 놓는 제물대가 공기중에 노출되어 있어 피검체에 분진이 묻거나, 외부의 환경요인이나, 관찰자의 호흡등에 의한 피검체의 오염이 발생하여 정확한 관찰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활동중인 피검체의 경우에는 더욱 오염에 대한 반응이 민감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현미경의 대안렌즈에 두눈을 대고 관찰할려고 할 때 안경을 쓴사람의 경우에는 밀착관찰을 위한 불편함으로 자세히 관찰하기가 어려웠을 뿐만아니라 피검체를 밝은 조명으로 관찰하기 위해 광원부의 빛을 집광기를 통해 강하게 조사하기 때문에 장시간 관찰하게 되면 관찰자의 눈을 직접 자극하게 되어 시력을 저하시켜 심지어는 안구수술을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찰하고자 하는 피검체를 외부환경과 차단하고 전동으로 제물대를 상하 좌우로 조절가능하도록 하여 외부환경이나 분진등에 의한 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관찰되는 피검체의 상을 디지털 입력장치로 입력받아 여러사람이 관찰할 수 있도록 LCD화면으로 출력하고 입력된 신호를 곧바로 편집하거나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로 전송하여 다른 위치에 있는 사람들도 관찰 할 수 있도록 한 밀폐형 전동식 디지털 현미경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일반적인 광학 현미경을 나타내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현미경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서 디지털 현미경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서 디지털 현미경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아답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현미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현미경의 다른 실시예로서 완전 밀폐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광원부 202 : 광원 조절스위치
210 : 재물대 212 : 재물대 이동구동부
214 : 리미트센서 216 : 재물대 이동스위치
220 : 대물렌즈 222 : 대물렌즈 절환구동부
224 : 대물렌즈 절환스위치 230 : 디지털 아답터
240 : 디지털 화상입력부 250 : 제어부
260 : 음성입출력부 270 : 조작부
280 : 유무선 출력부 290 : 표시부
300 : 저장부 330 : 무선 수신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검체의 해상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부와, 광원부의 빛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광원조절 스위치와, 피검체가 올려지는 받침대로써 광원부에서 발생된 빛이 통과하며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되어 전동식으로 작동되는 재물대와, 재물대를 XYZ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재물대 구동부와, 재물대 구동부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재물대를 옮기는 재물대 이동스위치와, 재물대 위에 놓인 피검체의 상의 확대하기 위한 대물렌즈와, 대물렌즈를 다른 배율의 대물렌즈로 절환하기 위한 대물렌즈 절환구동부와, 대물렌즈 절환구동부의 작동을 선택하기 위한 대물렌즈 절환스위치와, 대물렌즈에 의해 확대된 상을 다시금 확대하고 구면수차와 색수차를 보정하는 디지털 아답터와, 디지털 아답터에 의해 관찰되는 상을 디지털로 입력받는 디지털 화상입력부와, 피검체를 관찰하면서 관찰상황을 녹음하기위한 음성을 받아들이고 녹음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입출력부와, 디지털 화상입력부와 음성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편집· 합성· 비교·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와, 제어부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와, 제어부에 의해 편집되는 이미지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위한 저장부와, 제어부에 의해 디지털 화상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나 편집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며 제어부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위한 표시부와, 제어부의 작동상태를 유선 및 무선으로 출력하기 위한 유무선 출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재물대의 이동 한계점을 설정하기 위해 XYZ방향의 각 끝지점에 리미트센서가 설치된다.
또한, 표시부는 디지털 화상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관찰표시창과, 제어부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작동표시창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작부는 관찰자가 제어부의 작동을 임의로 설정하기 위한 키패드와, 무선으로 제어부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리모콘부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현미경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와 노출이 차단된 피검체가 놓인 재물대를 재물대 이동스위치를 통해 XYZ방향으로 조절하여 대물렌즈를 통해 확대된 상을 디지털 아답터를 통해 다시 확대하고 구면수차와 색수차가 보정된 상은 디지털 화상입력부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에 입력되면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고, 저장부에 기억되며 다른 위치에 있는 관찰자를 위해 유무선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어 동시에 많은 사람들이 외부의 오염을 받지 않은 피검체의 미시적 세계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현미경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체의 해상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빛을 발생시키고 모으는 광원부(200)와, 광원부(200)의 빛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광원조절 스위치(202)와, 피검체가 올려지는 받침대로써 광원부(200)에서 발생된 빛이 통과하며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되어 전동식으로 작동되는 재물대(210)와, 재물대(210)를 XYZ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재물대 구동부(212)와, 재물대 구동부(212)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재물대를 옮기는 재물대 이동스위치(216)와, 재물대(210) 위에 놓인 피검체의 상의 확대하기 위한 대물렌즈(220)와, 대물렌즈(220)를 다른 배율의 대물렌즈(220a)로 절환하기 위한 대물렌즈 절환구동부(222)와, 대물렌즈 절환구동부(222)의 작동을 선택하기 위한 대물렌즈 절환스위치(224)와, 대물렌즈(220)에 의해 확대된 상을 다시금 확대하고 구면수차와 색수차를 보정하는 디지털 아답터(230)와, 디지털 아답터(230)에 의해 관찰되는 상을 디지털로 입력받는 디지털 화상입력부(240)와, 피검체를 관찰하면서 관찰상황을 녹음하기위한 음성을 받아들이고 녹음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입출력부(260)와, 디지털 화상입력부(240)와 음성입출력부(26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자체 소프트웨어에 의해 편집· 합성· 비교·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250)와, 제어부(250)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270)와, 제어부(250)에 의해 편집되는 이미지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위한 저장부(300)와, 제어부(300)에 의해 디지털 화상입력부(240)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나 편집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며 제어부(25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위한 표시부(290)와, 제어부(250)의 작동상태를 유선 및 무선으로 출력하기 위한 유무선 출력부(2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재물대(210)의 이동 한계점을 설정하기 위해 XYZ방향의 각 끝지점에 리미트 센서(214)가 설치된다.
또한, 표시부(290)는 디지털 화상입력부(240)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관찰표시창(292)과, 제어부(25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작동표시창(29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작부(270)는 관찰자가 제어부(250)의 작동을 임의로 설정하기 위한 키패드(272)와, 무선으로 제어부(250)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리모콘부(274)로 이루어진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서 디지털 현미경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미경의 본체 하단부에는 저장부(300)로서 스마트카드(302)를 사용할 수 있도록 슬롯(304)이 형성되고, 또한, 유무선 출력부(280)로서 관찰된 피검체의 미시적 세계를 컴퓨터로 출력하기 위한 PC단자(282)와, 오디오나 비디오와 연결하여 관찰되는 피검체의 미시적 세계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AV단자(284)와, 전원스위치(204)가 형성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물렌즈(220)와 재물대(210)와 광원부(200) 모두를 외부와 차폐막(205)으로 차폐시켜 구성하였다.
따라서, 차폐된 상태에서 다수개의 대물렌즈(220)를 회전시키기 위해 대물렌즈 절환구동부(222)의 대물렌즈 작동모터(222a)를 대물렌즈 회전판(221)의 가운데 설치하여 대물렌즈 회전판(221)을 회전시킴으로써 다수개의 대물렌즈(220)를 배율별로 절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재물대(210)에는 랙과 피니언기어에 의해 재물대(210)를 XX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재물대 이동구동부(212)로써 재물대(21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X축 작동모터(212a)와, 재물대(21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Y축 작동모터(212b)와, 재물대(210)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Z축 작동모터(212c)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X,Y,Z축 작동모터(212a, 212b, 212c)는 스텝(Step)모터나 LP(Linear Pulse)모터를 사용하여 재물대를 X,Y,Z축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재물대(210)가 외부와 차폐되어 있기 때문에 재물대(210) 위해 피검체를 놓기 위해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으로 배출된 상태에서 피검체를 올려놓고 다시 흡입하여 관찰하게 된다.
그리고, 재물대(210)의 이동의 한계지점을 설정하여 대물렌즈(220)와의 접촉에 의한 플레파라트(211) 및 대물렌즈(22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리미트 센서(214)를 각각 이동축의 한계지점에 설치하여 재물대(210)의 이동에 한계지점을 설정하고 재물대(210)의 배출시 차폐막(205)에 형성된 도어(207)를 통해 재물대(210)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배출위치 센서(214a)를 구비하여 재물대(210)가 아무위치에서나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재물대(210)가 제일 낮은 위치에 있을 때 배출되도록 하였다.
또한, 광원부(200)에서 발생된 빛은 집광기(206)를 통해 재물대(210)에 놓인 피검체의 해상도를 높이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대물렌즈(220)에 의해 1차 확대된 피검체의 상을 넓게 잡아주기 위해 광시야 렌즈를 사용하여 다시금 확대하고 렌즈의 구면수차와 색수차를 보정하는 디지털 아답터(230)와, 디지털 아답터(230)와 결합되어 디지털 아답터(230)에서 2차 확대된 피검체의 상을 디지털 신호로 입력받기 위한 디지털 화상입력부(240)가 연결된다.
만약, 디지털 화상입력부(240)에 줌(zoom)렌즈를 결합구성하여 피검체의 상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할 경우에는 디지털 아답터(230)의 보정값을 변화시켜야 한다.
그리고 디지털 화상입력부(240)에 의해 피검체의 상을 넓은 화면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표시부(290)로써 관찰표시창(292)을 TFT LCD를 사용하였다.
또한, 디지털 화상입력부(240) 위로는 유무선 출력부(280)의 무선출력수단으로 사용하는 안테나(286)가 설치되어 원격지에서 관찰하고자 하는 관찰자에게 관찰되는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서 디지털 현미경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여기에서 보는 같이 정면에는 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현미경을 작동시키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배치된다.
제어부(250)의 작동상태 즉, 관찰되는 이미지를 캡쳐시켜 저장하고 편집하고 비교하고 기억된 자료를 불러내는 등의 작동을 관찰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272)와, 위와 같이 제어부(250)의 작동상태를 먼거리에서 작동시키기 위한 리모콘부(274)로서 리모콘 수신창(274a)가 설치된다.
또한, 재물대 이동스위치(216)로써 재물대(21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X축 이동스위치(216a)와, 재물대(21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Y축 이동스위치(216b)와, 재물대(210)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Y축 이동스위치(216c)와, 재물대(210)위에 피검체를 놓기 위해 재물대(210)를 배출·흡입시키도록 작동시키는 배출/흡입 스위치(216d)가 설치되고, 광원부(200)의 광원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광원조절스위치(202)와, 다수개의 대물렌즈(220)를 절환하기 위한 대물렌즈 절환스위치(224)가 설치된다.
그리고, 위와 같이 작동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작동표시창(294)이 전면에 설치된다.
한편, 관찰 표시창(292)인 LCD화면을 보면서 피검체의 변화 과정이나 상황을 녹음하기위해 음성입출력부(260)인 마이크(262)를 LCD화면 하단부에 설치하여 관찰하면서 용이하게 녹음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영상과 함께 녹음된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차폐막(205)전면에 스피커(264)를 부착하였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아답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지털 아답터(230)는 디지털 화상입력부(240)에서 디지털 소자와 자동촛점 거리를 연산하는 렌즈와의 관계 때문에 화각이 넓게 구성되어 있어 피검체의 관찰상을 관찰표시창에 넓게 잡아주기 위해 광시야렌즈로 구성된다.
또한, 디지털 아답터(230)는 종래의 대안렌즈(도1의 50)와 같은 배율로 확대하기 위한 증배렌즈(232)와, 디지털 화상입력부(240)의 줌기능 등을 위한 렌즈들에 의한 구면수차를 보정하는 구면수차 보정렌즈(234)와, 디지털 아답터(230)의 경통에서 생기는 빛의 프리즘효과에 의한 색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색수차 보정렌즈(236)로 이루어진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현미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여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현미경에 컴퓨터(310)와, 모니터(320)와, 프로젝터(340) 그리고 무선으로 원격지에 있는 무선수신장치(330)와 연결되는 모니터(320)에서도 동시에 많은 사람들이 피검체의 상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카드(302)를 이용하여 저장된 내용을 다른 장소의 컴퓨터에 입력하여 저장된 이미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스위치(204)를 작동시킨후 광원부(200)를 조절하여 피검체에 올라오는 광량을 조절하여 해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조절한 후 재물대(210)의 배출/흡입 스위치(216d)를 작동시켜 배출된 재물대(210) 위에 관찰하고자 하는 피검체를 올려놓고 다시금 배출/흡입 스위치(216d)를 작동시킨다. 그런다음 관찰표시창(292)인 LCD 화면에 나타나는 피검체의 상을 보면서 재물대 이동스위치(216)인 XYZ축 이동스위치(216a, 216b, 216c)를 조절하여 초점을 맞춘다.
이렇게 초점을 맞춘다음 조작부(270)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사진촬영을 하여 저장부(300)에 저장하거나 기억된 내용을 불러와 비교하거나 관찰에 필요한 각종 조작을 행한다. 많은 사람이 동시에 관찰할 경우에는 무선으로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하여 다른 방이나 원격지의 관찰자에게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강의나 교육장소에서는 프로젝터(340)나 대형 모니터(320)와 연결하여 살아있는 이미지 영상을 보면서 교육할 수 있도록 유무선 출력부(280)를 통해 관찰되는 이미지를 전송한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현미경의 다른 실시예로서 완전 밀폐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폐막(205)를 통해 현미경의 모든 부위를 밀폐시켜 렌즈나 피검체를 외부와 완전히 차단시킨 상태에서 피검체를 관찰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찰하고자 하는 피검체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시킴으로서 관찰자의 호흡이나 분진등 외부의 환경요인에 의한 오염없이 관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찰되는 상을 곧바로 디지털 화상입력장치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입력받기 때문에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현미경에서 자체 소프트웨어에 의해 관찰된 이미지를 편집· 합성· 비교· 전송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관찰되는 피검체의 상을 디지털 신호로 입력받아 넓은 LCD화면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안렌즈를 통해 관찰할 때 밝은 광원이 눈을 직접 자극하여 시력을 저하시키는 문제나 밀착관찰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넓은 LCD 화면으로 피검체의 상을 관찰할 수 있어 많은 사람이 동시에 관찰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다른 이점으로, 관찰되는 피검체의 화상을 현미경 내에 장착된 저장부의 메모리카드에 저장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관찰된 결과를 컴퓨터등으로 읽어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관찰되는 피검체의 화상을 유무선 수단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설치없이 현미경과 대형모니터나 프로젝터와 연결하여 현미경에서 관찰되는 피검체의 상을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관찰할 수 있어 최대의 교육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무선으로 송신될 경우에는 유선 연결을 위한 거리제한 없이 현미경을 통해 관찰되는 상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리모콘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원거리에서도 현미경을 조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피검체의 해상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부(200)와,
    상기 광원부(200)의 빛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광원조절 스위치(202)와,
    피검체가 올려지는 받침대로써 광원부(200)에서 발생된 빛이 통과하며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되어 전동식으로 작동되는 재물대(210)와,
    상기 재물대(210)를 XYZ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재물대 구동부(212)와,
    상기 재물대 구동부(212)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상기 재물대(210)를 옮기는 재물대 이동스위치(216)와,
    상기 재물대(210) 위에 놓인 피검체의 상의 확대하기 위한 대물렌즈(220)와,
    상기 대물렌즈(220)를 다른 배율의 대물렌즈(220a)로 절환하기 위한 대물렌즈 절환구동부(222)와,
    상기 대물렌즈 절환구동부(222)의 작동을 선택하기 위한 대물렌즈 절환스위치(224)와,
    상기 대물렌즈(220)에 의해 확대된 상을 다시금 확대하고 구면수차와 색수차를 보정하는 디지털 아답터(230)와,
    상기 디지털 아답터(230)에 의해 관찰되는 상을 디지털로 입력받는 디지털 화상입력부(240)와,
    피검체를 관찰하면서 관찰상황을 녹음하기위한 음성을 받아들이고 녹음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입출력부(260)와,
    상기 디지털 화상입력부(240)와 음성입출력부(26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편집· 합성· 비교·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250)와,
    상기 제어부(250)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270)와,
    상기 제어부(250)에 의해 편집되는 이미지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위한 저장부(300)와,
    상기 제어부(250)에 의해 디지털 화상입력부(240)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나 편집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위한 표시부(290)와,
    상기 제어부(290)의 작동상태를 유선 및 무선으로 출력하기 위한 유무선 출력부(28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현미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물대(210)의 이동 한계점을 설정하기 위해 XYZ방향의 각 끝지점에 리미트센서(214)와, 상기 재물대(210)의 배출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배출위치 센서(214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현미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화상입력부(240)에 줌렌즈를 결합구성하여 피검체의 상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현미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물대 이동스위치(216)는
    상기 재물대(21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X축 이동스위치(216a)와,
    상기 재물대(21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Y축 이동스위치(216b)와,
    상기 재물대(210)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Z축 이동스위치(216c)와,
    상기 재물대(210)위에 피검체를 놓기 위해 상기 재물대(210)를 배출·흡입시키도록 작동시키는 배출/흡입 스위치(216d)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현미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290)는
    상기 디지털 화상입력부(240)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관찰표시창(292)과,
    상기 제어부(25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작동표시창(294)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현미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70)는
    상기 제어부(250)의 작동을 관찰자가 임의로 설정하기 위한 키패드(272)와,
    상기 제어부(250)의 작동을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리모콘부(274)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현미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답터(230)는
    피검체의 화상을 확대하기 위한 증배렌즈(232)와,
    상기 디지털 화상입력부(240)의 줌기능 등을 위한 렌즈들에 의한 구면수차를 보정하는 구면수차 보정렌즈(234)와,
    경통에서 생기는 빛의 프리즘효과에 의한 색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색수차 보정렌즈(236)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현미경.
KR1019980034077A 1998-08-21 1998-08-21 디지털 현미경 KR100276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077A KR100276525B1 (ko) 1998-08-21 1998-08-21 디지털 현미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077A KR100276525B1 (ko) 1998-08-21 1998-08-21 디지털 현미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585A true KR20000014585A (ko) 2000-03-15
KR100276525B1 KR100276525B1 (ko) 2001-02-01

Family

ID=1954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077A KR100276525B1 (ko) 1998-08-21 1998-08-21 디지털 현미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65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990B1 (ko) * 2002-11-29 2005-06-16 (주)시원광기술 디지털 현미경
KR100606373B1 (ko) * 2004-12-30 2006-07-31 엘지노텔 주식회사 디바이스로의 2종 전원 공급 장치
KR100798085B1 (ko) * 2006-09-21 2008-01-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반사형 디지털 홀로그래피 현미경 시스템에서 조사면적 및재생면적의 확대 시스템 및 방법
KR100869782B1 (ko) * 2007-03-16 2008-11-2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광학 영상장치
CN115826216A (zh) * 2022-12-30 2023-03-21 广州市明美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微镜的高倍低倍物镜快速切换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990B1 (ko) * 2002-11-29 2005-06-16 (주)시원광기술 디지털 현미경
KR100606373B1 (ko) * 2004-12-30 2006-07-31 엘지노텔 주식회사 디바이스로의 2종 전원 공급 장치
KR100798085B1 (ko) * 2006-09-21 2008-01-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반사형 디지털 홀로그래피 현미경 시스템에서 조사면적 및재생면적의 확대 시스템 및 방법
KR100869782B1 (ko) * 2007-03-16 2008-11-2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광학 영상장치
CN115826216A (zh) * 2022-12-30 2023-03-21 广州市明美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微镜的高倍低倍物镜快速切换装置
CN115826216B (zh) * 2022-12-30 2023-07-18 广州市明美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微镜的高倍低倍物镜快速切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6525B1 (ko) 200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12269B2 (ja) コンパクトなビデオ顕微鏡
US6795238B2 (en) Electronic camera for microscope
EP2194415B1 (en) Imaging system for microscope and microscope system
JP2005157328A (ja) 顕微鏡カメラ
JPH07104193A (ja) ワイドテレビ統合顕微鏡システム
JP4253381B2 (ja) 顕微鏡用電子カメラ
US20020075563A1 (en) Camera for microscope and microscope system
KR100276525B1 (ko) 디지털 현미경
US6292214B1 (en) Microscopic digital photography system
JPH09102899A (ja) 顕微鏡用ビデオカメラ及び顕微鏡用ビデオ装置
JPH07311361A (ja) 眼球投影型映像表示装置
US6738575B2 (en) Lens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JP2509120B2 (ja) ビデオマイクロスコ―プ
JP3152747B2 (ja) 巨視的映像機能を備えた顕微鏡システム
KR100241144B1 (ko)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한 현미경의 영상처리 시스템
JP2002174772A (ja) 倒立型顕微鏡
DE102018110800A1 (de) Mikroskop mit Smartdevice und Verfahren zum Streamen und/oder Aufzeichnen von mit einem Mikroskop gewonnenen Bildern
JP2004040177A (ja) 資料提示装置
US20020051287A1 (en) Imaging apparatus for microscope
JP2001292352A (ja) 顕微鏡用カメラ及び顕微鏡システム
JP2002354319A (ja) 顕微鏡電子カメラ
JPH05127087A (ja) 顕微鏡システム
KR200249571Y1 (ko) 디지털 캠코더를 이용한 광학기기의 화상 녹화장치
JP3019333U (ja) 顕微鏡用の表示装置
US20050094021A1 (en) Auto focus camera optic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