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385U - 디지탈 텔레비젼의 출력 화면 크기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텔레비젼의 출력 화면 크기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385U
KR20000014385U KR2019980027688U KR19980027688U KR20000014385U KR 20000014385 U KR20000014385 U KR 20000014385U KR 2019980027688 U KR2019980027688 U KR 2019980027688U KR 19980027688 U KR19980027688 U KR 19980027688U KR 20000014385 U KR20000014385 U KR 200000143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orizontal
blank
vertical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7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4385U/ko
Publication of KR200000143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385U/ko

Links

Landscapes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탈 텔레비젼에서 출력 화면의 수평 및 수직 폭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출력 화면의 수직폭과 수평폭을 조절하기 위한 수직폭 및 수평폭 조절신호가 제공될 때, 상기 수직폭 조절신호의 설정 값과 수평동기신호펄스의 카운트 값이 일치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액티브시키는 데이터 액티브 신호의 타이밍을 조절하는 액티브 신호 생성부와, 상기 수평폭 조절신호의 설정값과 상기 수평동기신호구간내 픽셀 개수 카운트값이 일치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수평동기신호 구간의 픽셀이 시작되게하는 블랭크디스에이블 신호의 타이밍을 조절하는 블랭크 디스에이블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며, 주사부는 상기 데이터 액티브신호와 블랭크디스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신호를 모니터상에 주사하여 설정된 수직폭 및 수평폭 값에 따라 크기가 조절된 출력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텔레비젼의 출력 화면 크기 조절 장치
본 고안은 디지탈 텔레비젼의 신호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탈 텔레비젼의 출력 화면의 수직 및 수평 폭을 원하는 크기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한 출력 화면 크기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의 대표적인 매체중의 하나인 텔레비젼은 디지탈 시대의 도래와 함께 디지탈 기술을 도입하여 발전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고화질 텔레비젼(HDTV)과 같은 디지탈 텔레비젼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 HDTV와 같은 디지탈 텔레비젼은 기존의 아날로그 텔레비젼에 비하여 선명도가 다섯배, 컴팩트 디스크 수준의 음질, 화면의 가로 비율을 늘려 현장감을 최대한 살려줄수 있는 새로운 미디어로써 주목받고 있다.
텔레비젼의 화면의 질은 수신기가 받아들이는 신호에 비례하기 때문에, 스크린을 아무리 크게 만들 수 있다고 하여도 받는 정보의 양이 같다면 화면은 흐릿해져 화질은 더욱 떨어지게 되므로, 더 좋은 화질의 화상을 얻기위해서는 프레임을 형성하는 주사선의 수를 늘려주는 기법을 사용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미국의 NTSC 표준은 주사선수가 525개 이고, 유럽의 PAL 및 SECOM 방식은 625 선을 가지고 있는데 반하여, 현재 HDTV와 같은 디지탈 텔레비젼은 기존의 아날로그 텔레비젼의 주사선 수를 2배로 늘려 최소한 5배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화질을 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방송의 영상으로서는 통상 종횡비가 4 : 3인 화면 크기를 갖는 신호가 이용되고 있으며, 일반 텔레비젼에서는 이러한 수신 영상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는 화면비, 즉 4 : 3 의 화면비를 갖는 모니터를 채용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디지탈 텔레비젼은 1920 x 1080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방송 방식에서는 상술한 방식과는 달리 종횡비가 16 : 9의 광폭 크기의 화면이 채용되고 있다.
따라서, 일반 텔레비젼과 광폭 텔레비젼이 공존할 수밖에 없는 과도기적인 현재의 실정을 고려한다면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화면 크기를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술한 필요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디지탈 영상 데이터 보간 장치에서 메모리 버스의 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디지탈 영상 데이터 보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고안에 따른 디지탈 텔레비젼의 출력 화면 크기 조절 장치는: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동기신호 발생부; 상기 동기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수직 동기신호로부터 수평동기신호의 펄스를 카운트하는 수평동기신호 카운터; 상기 동기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수평 동기신호의 구간에 포함된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블랭크 신호 카운터; 상기 출력 화면의 수직 폭을 조절하기 위한 수직폭 조절신호를 생성하는 수직폭 설정부; 상기 출력 화면의 수평 폭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폭 조절신호를 생성하는 수평폭 설정부; 상기 수직폭 설정부에 이해 생성된 수직폭 조절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수평동기신호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발생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액티브시키는 데이터 액티브 신호의 타이밍을 조절하는 액티브 신호 생성부; 상기 수평폭 설정부에 이해 생성된 수평폭 조절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블랭크신호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발생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수평동기신호 구간의 픽셀이 시작되게하는 블랭크 디스에이블 신호의 타이밍을 조절하는 블랭크 디스에이블 신호 생성부; 상기 데이터 액티브신호와 블랭크디스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신호를 상기 모니터상에 주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주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구성된 디지탈 텔레비젼의 출력 화면 크기 조절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탈 텔레비젼의 출력 화면 크기 조절 장치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파형도,
도 3은 디지탈 텔레비젼의 모니터에서 생성되는 출력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모리 블록 12, 14, 16, 18 : 데이터 메모리
30 : 데이터 래치부 32, 34, 36, 38 : 래치
40 : 보간 필터 50 : 데이터 분배부
70 : 데이터 충돌 방지부 100 : 제어부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탈 텔레비젼의 출력 화면 크기 조절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동기신호 발생부(100), 수직동기신호 검출부(200), 수평동기신호 카운터(220), 수직폭 설정부(240), 수평동기신호 검출부(300), 블랭크신호 카운터(320), 수평폭 설정부(340), 데이터 액티브 신호 생성부(400), 블랭크 디스에이블 신호 조절부(500) 및 주사부(600)를 포함한다.
동기신호 발생부(100)는 디지탈 영상 신호를 모니터(도시안됨)에 디스플레이하는데 필요한 수직동기신호(Vsync) 및 수평동기신호(Hync)를 발생한다. 이때, 동기신호 발생부(100)에서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의 펄스 수는 1920 개이고, 수평동기신호의 구간내에 픽셀개수는 1080 개이다.
수직동기신호 검출부(200) 및 수평동기신호 검출부(300)는 각기 동기신호 발생부(100)로부터 발생된 수직동기신호 및 수평동기신호를 검출한다.
수직동기신호 카운터(220)는 수직동기신호 검출부(200)에 의해 검출되는 수직동기신호로부터 수평동기신호의 펄스개수를 카운트한다.
블랭크 신호 카운터(320)는 수평동기신호 검출부(300)에 의해 검출되는 수평동기신호의 구간내의 유효 픽셀의 개수를 카운트한다.
수직폭 설정부(240) 및 수평폭 설정부(340)는 디지탈 텔레비젼(700)(도 3 참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화면의 수직폭 및 수평폭을 조절하기 위한 수직폭 조절신호 및 수평폭 조절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b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폭 설정부(240) 및 수평폭 설정부(340)는 각기 다수개의 스위치 접점(10, 20, 30, 40, . . )으로 구성된 딥(dip) 스위치를 구비하며, 딥 스위치내 각각의 스위치 접점(10, 20, 30, 40, . . )은 서로 조합됨으로써, 2진 코드화 10진수(BCD)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치 접점(10, 20, 30, 40)에 BCD 코드의 가중치 1, 2, 4, 8, . . 로 부여하는 경우, 스위치 접점(10)이 열리고, 나머지 스위치 접점(20, 30, 40)이 닫히면, 10진수 "1"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스위치 접점(10 및 20)이 열리고, 나머지 스위치 접점(30, 40)이 닫히면, 10진수 "3"에 해당한다. 이러한 BCD 코드의 가중치를 생성하는 방식은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딥 스위치로 구성된 수직폭 설정부(240)과 수평폭 설정부(340)는 모니터(700)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서 수직방향 시작위치와 수평방향 시작위치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주사부(600)는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를 동기신호 발생부(100)에서 출력된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에 동기하여 모니터(700)상에 순차주사 또는 비월주사 방식으로 디스플레이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a의 타이밍도에 상세히 예시된 바와 같이, 주사부(600)는 수평동기신호(Hsync)의 유효한 구간을 설정하는 데이터 액티브 신호에 따라 그 시점부터 수직동기신호(Vsync)를 받아들여 영상신호를 스캔한다. 또한, 주사부(600)는 도 2b의 타이밍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평동기신호(Hsync)의 특정 구간을 디스에이블 처리하는 블랭크 디스에이블에 따라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 구간에 포함된 영상데이터 부분을 삭제시킴으로써, 모니터(700)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의 일정부분이 디스플레이되지않게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액티브 신호 생성부(400)는 수직폭 설정부(240)에 이해 생성된 수직폭 조절신호의 설정값과 수평동기신호 카운터(220)의 카운트 값을 비교하여 수직폭 조절신호의 설정값과 카운트 값이 일치하는 시점(50)에서 주사부(600)로 제공되는 데이터 액티브 신호의 발생타이밍을 조절한다. 이때, 타이밍 조절된 데이터 액티브 신호는 도 2a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실제의 데이터 액티브 신호보다 수직 조절폭(ΔV) 만큼 지연되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블랭크 디스에이블 신호 생성부(340)는 수평폭 설정부(340)에 이해 생성된 수평폭 조절신호의 설정값과 블랭크신호 카운터(320)의 값을 비교하여 수평폭 조절신호의 설정값과 카운트값이 일치하는 시점에서 주사부(600)로 제공되는 블랭크 디스에이블 신호의 타이밍을 조절한다. 이때, 타이밍 조절된 블랭크 디스에이블 신호는 도 2b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실제의 블랭크 디스에이블 신호보다 수평 조절폭(ΔH) 만큼 지연되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디지탈 텔레비젼의 출력화면 크기 조절장치의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된다.
먼저,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화면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수직폭 설정부(240)와 수평폭 설정부(340)의 딥 스위치를 이용하여 수직폭 조절값과 수평폭 조절값을 설정한다. 수직폭 설정부(240)와 수평폭 설정부(340)에 의해 설정된 수직폭 조절값과 수평폭 조절값은 각기 액티브 신호 생성부(400)와 블랭크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500)로 제공된다.
한편, 동기신호 발생부(100)에서 발생된 수직동기신호(Vsync)와 수평동기신호(Hsync)(도 2a 참조)는 각기 수직동기신호 검출부(200)와 수평동기신호 검출부(300)에 의해 검출된 다음, 수평동기신호 카운터(220)와 블랭크 신호 카운터(320)로 제공된다.
수평동기신호 카운터(220)는 수직동기신호 검출부(200)에 의해 검출된 수직동기신호로부터 수평동기신호의 펄스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수평동기신호펄스의 개수를 액티브신호 생성부(400)로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블랭크신호 카운터(320)는 수평동기신호 검출부(300)에 의해 검출된 각각의 수평동기신호(Hsync)(도 2b 참조)의 구간내에서 픽셀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픽셀의 개수를 액티브신호 생성부(400)로 제공한다.
데이터 액티브 신호 생성부(400)는 수직폭 설정부(240)에 이해 생성된 수직폭 조절신호의 설정값, 즉 디액티브될 수평동기신호들의 개수 설정값0에 대응하는 수평동기신호 카운터(220)의 카운트 값이 발생하는 시점(50)(도 2a 참조)에서부터 데이터액티브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데이터 액티브 신호를 주사부(600)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블랭크 디스에이블 신호 생성부(500)는 수평폭 설정부(340)에 이해 생성된 수평폭 조절신호의 설정값, 즉 블랭크될 수평동기신호구간내 픽셀개수 설정값에 대응하는 블랭크신호 카운터(320)의 값이 발생하는 시점(60)(도 2b 참조)에서부터 블랭크디스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블랭크디스에이블 신호를 주사부(600)로 출력한다.
따라서, 주사부(600)는 데이터액티브 신호 생성부(400)와 블랭크 디스에이블 신호 생성부(5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액티브 신호와 블랭크 디스에이블 신호에 동기하여 영상신호를 모니터(700)상에 주사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3에는 주사부(600)에서 주사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출력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으로, 참조부호(71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제의 데이터액티브 신호와 실제의 블랭크 디스에이블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원래의 화면크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740)는 수직조절폭(ΔV)과 수평조절폭(ΔH)에 의해 타이밍 조절된 데이터액티브 신호와 블랭크디스에이블에 의해 생성되는 크기조절된 화면을 나타낸다.
본 고안과 관련하여, 상술한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서는 수직 및 수평폭 조절값에 따라 모니터(700)상에서 화면의 상측 및 좌측부분이 조절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에시되었지만, 화면의 하측 및 우측부분이 조절될 수 있도록 수직 및 수평조절폭 설정부를 각기 한쌍으로 구성함으로써, 원하는 크기로 출력화면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라서 사용자가 간단히 딥 스위치를 이용하여 디지탈 텔레비젼의 출력화면의 크기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게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디지탈 텔레비젼에서 출력 화면의 수평 및 수직 폭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동기신호 발생부;
    상기 동기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수직 동기신호로부터 수평동기신호의 펄스를 카운트하는 수평동기신호 카운터;
    상기 동기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수평 동기신호의 구간에 포함된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블랭크 신호 카운터;
    상기 출력 화면의 수직 폭을 조절하기 위한 수직폭 조절신호를 생성하는 수직폭 설정부;
    상기 출력 화면의 수평 폭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폭 조절신호를 생성하는 수평폭 설정부;
    상기 수직폭 설정부에 이해 생성된 수직폭 조절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수평동기신호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발생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액티브시키는 데이터 액티브 신호의 타이밍을 조절하는 액티브 신호 생성부;
    상기 수평폭 설정부에 이해 생성된 수평폭 조절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블랭크신호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발생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수평동기신호 구간의 픽셀이 시작되게하는 블랭크 디스에이블 신호의 타이밍을 조절하는 블랭크 디스에이블 신호 생성부;
    상기 데이터 액티브신호와 블랭크디스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신호를 상기 모니터상에 주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주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텔레비젼의 출력화면 크기 조절장치.
KR2019980027688U 1998-12-30 1998-12-30 디지탈 텔레비젼의 출력 화면 크기 조절 장치 KR200000143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688U KR20000014385U (ko) 1998-12-30 1998-12-30 디지탈 텔레비젼의 출력 화면 크기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688U KR20000014385U (ko) 1998-12-30 1998-12-30 디지탈 텔레비젼의 출력 화면 크기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385U true KR20000014385U (ko) 2000-07-25

Family

ID=69503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688U KR20000014385U (ko) 1998-12-30 1998-12-30 디지탈 텔레비젼의 출력 화면 크기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438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697A1 (ko) * 2019-11-01 2021-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697A1 (ko) * 2019-11-01 2021-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US11881149B2 (en) 2019-11-01 2024-01-23 Lg Electronics Inc.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67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of interlaced images on non-interlaced display
KR20050065369A (ko) 적합 디스플레이 제어기
US5418576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perceived contrast reduction in a predetermined area of a picture where text is superimposed
KR100312146B1 (ko) 텔레비젼수상기
JPH09501806A (ja) テレビジョン装置に対するフリッカを低減する方法および回路装置
JP3289892B2 (ja) 信号切換出力装置
KR20000014385U (ko) 디지탈 텔레비젼의 출력 화면 크기 조절 장치
JP2669546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EP0874521A2 (en) Double-speed image signal display method, display unit and television receiver
JP2923966B2 (ja) 高品位テレビジョン表示装置
WO1990010997A1 (en) Stereo signal monitoring
JP2748496B2 (ja) 高品位テレビジョン表示装置
KR0123769B1 (ko) 16 : 9 화면에서의 픽쳐 인 픽쳐 표시회로
JP3601263B2 (ja) オンスクリーン装置
JPH0432257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0124374B1 (ko) 주화면 크기에 관계없이 부화면 신호를 일정화면비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3642181B2 (ja) 倍速映像表示方法、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280848B1 (ko) 비디오 주사방식 변환회로
JPH0617376Y2 (ja) サイン表示回路
KR0166758B1 (ko) Vga영상신호를 액정패널에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JPH10174012A (ja) 文字表示装置
KR200162110Y1 (ko) 직렬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화면상의 커서 이동장치
JP2609938B2 (ja) 高画質化tv信号/tv信号コンバータ
JPH06308900A (ja) 表示装置
JPH04119771A (ja) ハイビジョ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