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570A -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570A
KR20000012570A KR1019990057074A KR19990057074A KR20000012570A KR 20000012570 A KR20000012570 A KR 20000012570A KR 1019990057074 A KR1019990057074 A KR 1019990057074A KR 19990057074 A KR19990057074 A KR 19990057074A KR 20000012570 A KR20000012570 A KR 20000012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plate
forming
forming step
d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4668B1 (ko
Inventor
박유복
Original Assignee
박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복 filed Critical 박유복
Priority to KR1019990057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4668B1/ko
Publication of KR20000012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6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5/00Methods for boring or drilling, or for working essentially requiring the use of boring or drilling machine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는, 소정 두께(t), 폭(d) 및 높이(h)를 가지는 판형 원자재(10)에 드릴(20)을 이용하여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드릴구멍(11)을 형성하는 드릴구멍형성단계와, 톱(30)을 이용하여 판형 원자재(10)의 단부에서 드릴구멍(11)까지 절단하여 양날(12)(13)을 형성하는 양날형성단계 및 양날(12)(13)에 두께 방향으로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구멍(14)을 형성하는 체결구멍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2실시예는, 소정 두께(t), 폭(d) 및 높이(h)를 가지는 판형 원자재(30)의 폭 방향의 양측면에 드릴(20)을 이용하여 2개의 드릴홈(31)(32)을 형성하는 드릴홈형성단계와 톱(25)을 이용하여 판형 원자재(30)의 단부에서 드릴홈(31)(32)까지 절단하여 단날(33)을 형성하는 단날형성단계 및 단날(33)에 두께 방향으로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구멍(34)을 형성하는 체결구멍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형틀을 제작하지 않고 기계적인 가공으로도 큰 중량을 지탱할 수 있는 크레비스 엔드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clevis end using in a tie bar}
본 발명은 인장봉의 단부에 체결되어 그 인장봉을 강구조물 각부 또는 중량물 각부와 연결시키기 위한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이나 크레인등과 같은 강구조물 또는 중량물은 인장봉이 의하여 긴장된 상태에서 연결되고 지탱된다. 이러한 강구조물 또는 중량물은 그 중량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인장봉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인장봉과 인장봉 또는 인장봉과 중량물 또는 강구조물을 체결시키기 위한 것이 크레비스 엔드이다. 크레비스 엔드는 그 단부에 인장봉의 단부와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대략 중앙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크레비스 엔드는 통상적으로 형틀을 이용한 주조를 통하여 만들어진다.
그런데, 주조를 통하여 크레비스 엔드를 만들기 위하여, 크레비스 엔드에 대응하는 형틀이 먼저 제작되어야 하였다. 크레비스 엔드는 상당히 큰 경우가 많아서 이에 따라 제작되는 형틀의 크기 또한 커지게 된다. 또한 크레비스 엔드의 수요는 소량인데 상대적으로 크레비스에 엔드의 종류는 많다. 이러한 상황에 의하여 크레비스 엔드 제조에 많은 노력과 함께 과도한 비용이 발생되었다.
또한, 형틀을 만든 후, 쇳물을 부어서 크레비스 엔드를 형성하는 경우, 쇳물을 균일하게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공정이 필수적인데, 큰 형틀에 수용된 쇳물을 균일하게 냉각시키는 것은 매우 고난이도의 기술이 필요하며 냉각공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제조된 크레비스 엔드 내부에 균열 및 결함등이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크레비스 엔드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형틀을 제조하지 않고, 기계 가공을 통하여 크레비스 엔드를 제조하기 위한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판형 원자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라운드형성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일단이 라운드된 판형 원자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판형 원자재에 드릴구멍을 형성하는 드릴구멍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판형 원자재에 양날을 형성하는 양날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판형 원자재에 체결구멍을 형성하는 체결구멍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판형 원자재에 나사결합홈을 형성함으로써 완성된 크레비스 엔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라운드형성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일단이 라운드된 판형 원자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판형 원자재의 양측면에 드릴홈 형성하는 드릴홈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의 판형 원자재의 단날을 형성하는 단날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판형 원자재에 체결구멍을 형성하는 체결구멍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판형 원자재에 나사결합홈을 형성함으로써 완성된 크레비스 엔드의 사시도.
도 12는 도 6의 크레비스 엔드와 도 11의 크레비스 엔드가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크레비스 엔드가 체결부재에 의하여 강구조물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판형 원자재 11 ... 드릴구멍
12, 13 ... 양날 14 ... 체결구멍
15 ... 나사결합홈 20, 21 ... 드릴
25 ... 톱 30 ... 판형 원자재
31, 32 ... 드릴홈 33 ... 단날
34 ... 체결구멍 35 ... 나사결합홈
40 ... 볼트 41 ... 너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는, 소정 두께(t), 폭(d) 및 높이(h)를 가지는 판형 원자재(10)에 드릴(20)을 이용하여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드릴구멍(11)을 형성하는 드릴구멍형성단계; 톱(30)을 이용하여 상기 판형 원자재(10)의 단부에서 상기 드릴구멍(11)까지 절단하여 양날(12)(13)을 형성하는 양날형성단계; 및 상기 양날(12)(13)에 두께 방향으로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구멍(14)을 형성하는 체결구멍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톱 또는 그라인드를 이용하여 상기 판형 원자재(10)의 일단을 폭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가공하는 라운드형성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의 제2실시예는, 소정 두께(t), 폭(d) 및 높이(h)를 가지는 판형 원자재(30)의 폭 방향의 양측면에 드릴(20)을 이용하여 2개의 드릴홈(31)(32)을 형성하는 드릴홈형성단계; 톱(25)을 이용하여 상기 판형 원자재(30)의 단부에서 상기 드릴홈(31)(32)까지 절단하여 단날(33)을 형성하는 단날형성단계; 및 상기 단날(33)에 두께 방향으로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구멍(34)을 형성하는 체결구멍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톱 또는 그라인드을 이용하여 상기 판형 원자재(30)의 일단을 폭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가공하는 라운드형성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판형 원자재의 사시도이다. 크레비스 엔드를 제조하기 위하여 단조된 원자재(10)가 사용되는데, 이때의 판형 원자재(10)는 소정 두께(t), 폭(d) 및 높이(h)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판형 원자재는 직육면체만 국한되지 않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타원형체, 다각형체등 다양한 형상의 판형 구조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라운드형성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일단이 라운드된 판형 원자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라운드형성단계는, 톱(미도시) 또는 그라인드(미도시)로 판형 원자재(10)의 일단을 라운딩 시킴으로서 수행된다.
도 3은 도 2의 판형 원자재에 드릴구멍을 형성하는 드릴구멍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드릴구멍형성단계는, 드릴(20)로 도 2의 판형 원자재를 폭(d) 방향으로 관통하여 드릴 구멍(11)을 형성함으로써 수행된다.
도 4는 도 3의 판형 원자재에 양날을 형성하는 양날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양날형성단계는, 톱(25)으로 도 3의 판형 원자재(10)의 단부에서 드릴구멍(11)까지 절단하여 양날(12)(13)을 형성함으로써 수행된다.
도 5는 도 4의 판형 원자재에 체결구멍을 형성하는 체결구멍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체결구멍형성단계는, 20 드릴의 직경과 다른 드릴(21)로 도 4의 판형 원자재의 양날(12)(13)에 체결부재, 예를 들면 핀 또는 볼트가 삽입되는 체결구멍(14)을 형성함으로써 수행된다.
도 6은 도 5의 판형 원자재에 나사결합홈을 형성함으로써 완성된 크레비스 엔드의 사시도이다. 크레비스 엔드는 양날(12)(13) 및 체결구멍(14)이 형성된 판형 원자재(10)의 하단부에 인장봉(미도시)과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홈(15)을 형성함으로써 완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라운드형성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일단이 라운드된 판형 원자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라운드형성단계는, 톱(미도시) 또는 그라인드(미도시)로 판형 원자재(30)의 일단을 라운딩 시킴으로서 수행된다.
도 8은 도 7의 판형 원자재의 양측면에 드릴홈 형성하는 드릴홈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드릴홈형성단계는, 드릴(20)로 도 7의 판형 원자재(30)의 폭(d) 방향의 양측면에 드릴홈(31)(32)을 형성함으로써 수행된다.
도 9는 도 8의 판형 원자재의 단날을 형성하는 단날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날형성단계는, 톱(25)으로 판형 원자재(30)의 단부에서 드릴홈(31)(32)까지 절단하여 단날(33)을 형성함으로써 수행된다.
도 10은 도 9의 판형 원자재에 체결구멍을 형성하는 체결구멍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체결구멍형성단계는, 20 드릴의 직경과 다른 드릴(21)로 도 9의 판형 원자재(30)의 단날(33)에 두께(t) 방향으로 체결부재, 예컨데 핀 또는 볼트가 삽입되는 체결구멍(34)을 형성함으로서 수행된다.
도 11은 도 10의 판형 원자재에 나사결합홈을 형성함으로써 완성된 크레비스 엔드의 사시도이다. 크레비스 엔드는 단날(33) 및 체결구멍(34)이 형성된 판형 원자재(30)의 하단부에 인장봉(미도시)과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홈(35)을 형성함으로써 완성된다.
도 12는 도 6의 크레비스 엔드와 도 11의 크레비스 엔드가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도 6의 크레비스 엔드(10)와 도 11의 크레비스 엔드(30)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로서 볼트(40) 및 너트(41)를 채용하였다. 이때, 도 6의 크레비스 엔드 및 도 11의 크레비스 엔드의 나사결합홈에는 각각 중량물(미도시)과 연결된 인장봉(42)(43)의 단부가 나사결합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중량물과 중량물을 상호 연결시키거나 지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서는 2개의 크레비스 엔드를 상호 결합시키는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크레비스 엔드가 특정의 강구조물(50)의 단부에 직접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알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에 따르면, 주조를 위한 형틀을 제조하지 않고 단순히 드릴 및 톱을 사용하여 크레비스 엔드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큰 인장력을 지탱할 수 있는 크레비스 엔드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크레비스 엔드는 철강공장에서 미리 단조하여 출하된 판형 원자재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쇳물을 부어서 크레비스 엔드를 형성하였을 때와는 달리 냉각 공정이 필요없으며 이로써 냉각중에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방지할 수 있어 큰 인장강도를 가지는 크레비스 엔드를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소정 두께(t), 폭(d) 및 높이(h)를 가지는 판형 원자재(10)에 드릴(20)을 이용하여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드릴구멍(11)을 형성하는 드릴구멍형성단계;
    톱(30)을 이용하여 상기 판형 원자재(10)의 단부에서 상기 드릴구멍(11)까지 절단하여 양날(12)(13)을 형성하는 양날형성단계; 및
    상기 양날(12)(13)에 두께 방향으로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구멍(14)을 형성하는 체결구멍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톱 또는 그라인드를 이용하여 상기 판형 원자재(10)의 일단을 폭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가공하는 라운드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
  3. 소정 두께(t), 폭(d) 및 높이(h)를 가지는 판형 원자재(30)의 폭 방향의 양측면에 드릴(20)을 이용하여 2개의 드릴홈(31)(32)을 형성하는 드릴홈형성단계;
    톱(25)을 이용하여 상기 판형 원자재(30)의 단부에서 상기 드릴홈(31)(32)까지 절단하여 단날(33)을 형성하는 단날형성단계; 및
    상기 단날(33)에 두께 방향으로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구멍(34)을 형성하는 체결구멍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톱 또는 그라인드을 이용하여 상기 판형 원자재(30)의 일단을 폭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가공하는 라운드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
KR1019990057074A 1999-12-13 1999-12-13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 KR100354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074A KR100354668B1 (ko) 1999-12-13 1999-12-13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074A KR100354668B1 (ko) 1999-12-13 1999-12-13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570A true KR20000012570A (ko) 2000-03-06
KR100354668B1 KR100354668B1 (ko) 2002-10-04

Family

ID=19625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074A KR100354668B1 (ko) 1999-12-13 1999-12-13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4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652B1 (ko) * 2000-07-22 2003-06-25 박유복 조립식 난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63105A (en) * 1923-04-25 1925-11-24 John A Amos Electrical attachment plug
JPS55116735U (ko) * 1979-02-06 1980-08-18
US4414726A (en) * 1981-07-16 1983-11-15 Cale Jr Roland E Method of manufacturing clevis end connecting rod
JPS58209438A (ja) * 1982-06-01 1983-12-06 Jidosha Kiki Co Ltd クレビ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37604B2 (ja) * 1998-09-07 2007-06-27 日本軽金属株式会社 リンク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652B1 (ko) * 2000-07-22 2003-06-25 박유복 조립식 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4668B1 (ko) 200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rickson et al. Minimizing stress concentrations around circular holes in uniaxially loaded plates: Stress concentrations associated with circular holes in uniaxially loaded plates can be reduced from 13 to 21 percent by introducing auxiliary holes on either side of the original hole
DE102016124801B3 (de) Kokillenplatte und Kokille
KR100354668B1 (ko) 크레비스 엔드 제조방법
EP0729696B1 (en) A three dimensional frame construction and a use thereof
HU226197B1 (en) Method for reducing crop losses during ingot rolling, an ingot and a bottom casting block
CN213451263U (zh) 一种防滑丝新型螺母
CN201250826Y (zh) 修复用平键组件
CN218909592U (zh) 一种桥梁施工用钢箱梁吊装装置
CN218517700U (zh) 一种便易式多功能取模装置
CN111437929A (zh) 一种反击式破碎机的转子结构
CN217493477U (zh) 一种圆弧零件装夹装置
DE921124C (de) Verfahren zum Teilen von Stahlstangen durch Brechen
CN218715134U (zh) 一种用于模板龙骨的连接卡扣
CN219274674U (zh) 一种管料截面等分锯切下料工装
CN217424693U (zh) 一种发动机叶片热振试验通用工装
CN212477432U (zh) 一种波形钢腹板悬臂梁桥梁施工用现浇模架
CN213224650U (zh) 槽型螺母割槽工装
CN210023679U (zh) 一种铸造用紧固装置
CN217054374U (zh) 一种建筑工程预应力混凝土施工装置
CN214109546U (zh) C型冷剪设备的龙门式加固装置
CN220407896U (zh) 一种销轴铣扁工装
CN214359858U (zh) 一种可调式悬挂连接件
CN210318102U (zh) 一种防松动性能好的新型螺母
CN219732744U (zh) 一种不易变形的模板
CN217449701U (zh) 一种防螺栓磨损的搅拌叶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