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430U - 보강재를 구비하고 초기인장력이 가해진 스틸스터드 - Google Patents
보강재를 구비하고 초기인장력이 가해진 스틸스터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12430U KR20000012430U KR2019980025403U KR19980025403U KR20000012430U KR 20000012430 U KR20000012430 U KR 20000012430U KR 2019980025403 U KR2019980025403 U KR 2019980025403U KR 19980025403 U KR19980025403 U KR 19980025403U KR 20000012430 U KR20000012430 U KR 2000001243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 steel stud
- reinforcement
- stud
- reinforcing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1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prestress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73—U- or C-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간성형강으로 건축되는 구조물의 지붕이나 바닥구조물에 사용되는 스틸스터드에 있어서, 스틸스터드에 초기인장력을 가함으로써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며, 보강재가 구비된 스틸스터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냉간성형강으로 건축되는 구조물의 지붕 또는 바닥구조물에 장선으로 사용되는 스틸스터드에 있어서, 장선이 되는 스틸스터드(22)와, 상기 스틸스터드에 수용되는 보강재(30) 및, 상기 보강재를 연결하는 긴장재(40)을 포함하며, 상기 스틸스터드(22)는 길이방향으로 반곡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재(30)는 상기 스틸스터드(22)에 수용되어 다수 곳에서 스틸스터드(2)의 상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긴장재(40)은 상기 스틸스터드(22)에 수용되어 지지하는 상기 보강재(30)를 연결하고, 상기 긴장재(40)은 상기 다수 개의 보강재(30)를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를 구비하고 초기인장력이 가해진 스틸스터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냉간성형강으로 건축되는 구조물의 지붕이나 바닥구조물에 사용되는 스틸스터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스틸스터드에 초기인장력을 가하여 수직하중을 보정하며, 보강재를 스틸스터드의 안쪽에 삽입시켜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보강재를 구비하고 초기인장력이 가해진 스틸스터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냉간성형강으로 건축되는 구조물 및 빌딩 등이 증가하고 있다.
구조물을 냉간성형강으로 건축하면 시공성과 경제성 등에서 많은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구조물은 기둥을 세우고, 벽체를 벽돌이나 시멘트블록 등으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건축되었기 때문에 구조물의 시공속도가 느리며, 경제성에서도 떨어졌다.
그러나, 냉간성형강을 사용하는 구조물의 경우에는 공장에서 제조된 제품을 조립하여 건축물을 시공함으로써, 시공속도가 빠르고 이에 따라 경제성 또한 향상된다.
한편 냉간성형강을 사용하는 구조물의 층수가 높아질수록 층과 층 사이에 바닥구조물의 수는 증가하며, 바닥구조물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건축비용은 많이 소요된다.
또한 고층의 구조물일수록 수직하중은 크게 증가한다. 이러한 큰 수직하중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수직하중이 미치는 곳에 H형강을 설치한다.
일반적으로 H형강이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부분은 기둥 또는 바닥구조물의 큰 보에 많이 사용된다. 그리고 스틸스터드는 바닥구조물의 큰 보와 큰 보 사이를 연결하는 장선으로 사용한다.
그럼으로써, 하중에 대한 역학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구조물이 고층을 이루면서 증가하는 수직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H형강을 많이 사용하게 되면 경제성에서 많은 손실이 따른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바닥구조물에 사용된 스틸스터드와 H형강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틸스터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구조물의 가로방향에 위치한 H형강(1)과, H형강을 세로로 연결하는 스틸스터드(2)를 포함한다.
H형강(1)은 바닥구조물의 큰 보로 사용된다.
그리고 스틸스터드(2)는 ㄷ자형상이며, 바닥구조물의 큰 보와 큰 보를 연결하는 장선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H형강(1)은 바닥구조물의 가로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고, 스틸스터드(2)의 일단부는 H형강(1)과 수직으로 연결되고 스틸스터드(2)의 타단부는 근접한 H형강(1)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부에 바닥재(3)가 덮어진다. 그러나, 스틸스터드(2)는 한계 이상의 하중을 받게되면 변형하게 되어, 수직하중을 지탱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수직하중의 크기를 계산하여 스틸스터드(2) 또는 H형강(1)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측면의 폭(TO)이 넓은 스틸스터드(2) 또는 측면두께가 두꺼운 스틸스터드(2)를 사용하여 증가하는 수직하중을 지탱한다.
스틸스터드(2) 또는 H형강(1)의 수를 증가시키면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측면의 폭이 넓은 스틸스터드(2)를 사용하게 되면 폭이 넓은 만큼 바닥구조물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측면의 두께가 두꺼운 스틸스터드을 사용하면 기존의 제품의 규격을 변형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스틸스터드에 초기인장력을 가함으로써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고, 또한 보강재가 삽입되어 있는 스틸스터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바닥구조물에 사용된 스틸스터드와 H형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틸스터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보강재를 구비하고 초기인장력이 가해진 스틸스터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강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H형강 2, 22 : 스틸스터드
3 : 바닥재 7 : 꺽쇠
30 : 보강재 40 : 강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냉간성형강으로 건축되는 구조물의 지붕 또는 바닥구조물에 장선으로 사용되는 스틸스터드에 있어서, 장선이 되는 스틸스터드와, 상기 스틸스터드에 수용되는 보강재 및, 상기 보강재를 연결하는 긴장재을 포함하며, 상기 스틸스터드는 길이방향으로 반곡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재는 상기 스틸스터드에 수용되어 다수 곳에서 스틸스터드의 상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긴장재은 상기 스틸스터드에 수용되어 지지하는 상기 보강재를 연결하고, 상기 긴장재은 상기 다수 개의 보강재를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를 구비하고 초기인장력이 가해진 스틸스터드가 제공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보강재를 구비하고 초기인장력이 가해진 스틸스터드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보강재를 구비하고 초기인장력이 가해진 스틸스터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강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구조물의 장선으로 사용되는 스틸스터드(22)와, 스틸스터드의 상단과 하단 및 중앙에 설치되는 보강재(30) 및, 보강재(30)를 연결하는 강선(40)을 포함한다.
스틸스터드(22)는 ㄷ자형상으로 상하면의 끝단부는 개방부(4) 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굴절되어 있다. 또한 스틸스터드(22)에 초기인장력을 가하여, 길이방향으로 반곡시키고, 초기인장력에 의해 반곡된 볼록부분을 수직하중이 가해지는 쪽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보강재(30)는 스틸스터드(22)와 같은 형태를 가지며, 보강재(30)의 길이(Tl)는 스틸스터드(2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스틸스터드(22)의 안쪽 측면의 폭(Ti)와 동일하다.
이런 보강재(30)는 스틸스터드(22)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보강재(30)의 상하면은 스틸스터드(22)의 상하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강선(40)은 보강재(30)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옆에 위치한 보강재로 연결된다.
강선(40)은 보강재(30)와 보강재를 대각선으로 연결하며 따라서, 보강재(30)의 상단에서 옆 보강재의 하단으로 연결된다.
그럼으로써, 일차적으로 보강재(30)의 상하면은 스틸스터드(22)의 상하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탱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차적으로 강선(40)이 스틸스터드(22)의 변형을 억제하며, 삼차적으로 하중이 미치는 쪽으로 반곡부의 볼록부분을 위치시켜 수직하중을 지탱하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의 스틸스터드(2)의 하중에 대한 저항력보다 우수한 저항력을 가진다. 그럼으로써, 바닥구조물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경제성도 향상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강재를 구비하고 초기인장력이 가해진 스틸스터드는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바닥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장점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보강재를 구비하고 초기인장력이 가해진 스틸스터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
- 냉간성형강으로 건축되는 구조물의 지붕 또는 바닥구조물에 장선으로 사용되는 스틸스터드에 있어서,장선이 되는 스틸스터드(22)와, 상기 스틸스터드에 수용되는 보강재(30) 및, 상기 보강재를 연결하는 긴장재(40)을 포함하며,상기 스틸스터드(22)는 길이방향으로 반곡되어 있으며,상기 보강재(30)는 상기 스틸스터드(22)에 수용되어 다수 곳에서 스틸스터드(22)의 상하면을 지지하고,상기 긴장재(40)은 상기 스틸스터드(22)에 수용되어 지지하는 상기 보강재(30)를 연결하고,상기 긴장재(40)은 상기 다수 개의 보강재(30)를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를 구비하고 초기인장력이 가해진 스틸스터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25403U KR200294416Y1 (ko) | 1998-12-17 | 1998-12-17 | 보강재를구비하고초기인장력이가해진스틸스터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25403U KR200294416Y1 (ko) | 1998-12-17 | 1998-12-17 | 보강재를구비하고초기인장력이가해진스틸스터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2430U true KR20000012430U (ko) | 2000-07-05 |
KR200294416Y1 KR200294416Y1 (ko) | 2003-01-24 |
Family
ID=4939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25403U KR200294416Y1 (ko) | 1998-12-17 | 1998-12-17 | 보강재를구비하고초기인장력이가해진스틸스터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94416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2319B1 (ko) * | 2009-04-02 | 2012-03-23 | 이승재 | 2차 브레이스를 구비한 제진용 댐퍼 및 그를 적용한 가새골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1726B1 (ko) | 2008-04-16 | 2010-02-12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파형웨브가 구비된 비대칭 합성보 |
KR101329383B1 (ko) * | 2011-12-23 | 2013-11-14 | (주)연우건축구조기술사사무소 |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무지주 거푸집 |
-
1998
- 1998-12-17 KR KR2019980025403U patent/KR20029441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2319B1 (ko) * | 2009-04-02 | 2012-03-23 | 이승재 | 2차 브레이스를 구비한 제진용 댐퍼 및 그를 적용한 가새골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94416Y1 (ko) | 2003-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81534B2 (en) | Formed steel beam for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slab | |
US5099628A (en) | Apparatus for enhancing structural integrity of masonry structures | |
US3336708A (en) | Shoring member for use as temporary support of concrete slabs | |
GB2300436A (en) | Shear reinforcement for reinforced concrete | |
US5560176A (en) | Prefabricated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 |
KR100486448B1 (ko) | 철골구조물에서 h형강보의 상부 플랜지에 데크를결합시킨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 |
WO2004065713A1 (en) | Structural decking system | |
KR100726687B1 (ko) | 창호용 인방 | |
US4065897A (en) | Precast skeleton spatial monolithic structure | |
JP2006144535A (ja) | 柱と梁の接合構造 | |
KR200294416Y1 (ko) | 보강재를구비하고초기인장력이가해진스틸스터드 | |
JP4696843B2 (ja) | 合成梁構造 | |
KR20210130966A (ko) |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 | |
KR20010046494A (ko) | 티형 피씨 슬래브 댑단부 및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 | |
EP1416101A1 (en) | Composite beam | |
JP2004517235A (ja) | 平坦な底板構造を有するダブルプレストレスされた屋根天井複合構造体 | |
KR100457173B1 (ko) | 건축용 골조 | |
KR100381411B1 (ko) | 설비덕트를 포함하는 개량 t형 슬래브 및 이와 관련한 공법 | |
JPH1143994A (ja) | Rc造の扁平梁 | |
KR102577800B1 (ko) | 층고 절감형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 |
JP2824043B2 (ja) | L形擁壁の構築方法 | |
KR102577799B1 (ko) | 층고 절감형 거더 | |
KR200200417Y1 (ko) |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거더 | |
JP4000317B2 (ja) | 柱・梁接合部の構造 | |
KR200311247Y1 (ko) | 조립식 초경량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