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204U -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204U
KR20000012204U KR2019980025106U KR19980025106U KR20000012204U KR 20000012204 U KR20000012204 U KR 20000012204U KR 2019980025106 U KR2019980025106 U KR 2019980025106U KR 19980025106 U KR19980025106 U KR 19980025106U KR 20000012204 U KR20000012204 U KR 200000122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gas
duct member
discharge device
generated d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식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80025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204U/ko
Publication of KR200000122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204U/ko

Links

Landscapes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금형으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안내하는 배연관과, 배연관을 통해 가스를 집진하고 정화하여 배출하는 집진기를 포함하는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배연관은 유리 섬유 원단으로 된 원형의 덕트 부재; 및 덕트 부재의 내주면에 이 덕트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원형 스프링을 포함하여 신축 가능하게 된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덕트 부재는 내피 및 외피로 이루어지고, 내피 및 외피는 각각 열접착된 2겹의 원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덕트 부재의 유리 섬유 원단 양측면에는 각각 폴리염화비닐 수지가 코팅된다. 이에 따르면, 배연관의 재질이 유리 섬유 원단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연관을 따라 안내되는 가스가 배연관의 내면에 쉽게 흡착되지 않는다. 또한, 배연관의 내부에 다수의 스프링이 설치되어 강성이 증대되므로 배연관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엔진의 실린더 블록과 같은 금속 제품의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엔진의 실린더 블록과 같은 금속 제품의 주조시에는 다량의 가스가 발생된다. 이러한 가스는 특히 용탕과 코어 재질의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메탄, 페놀 등과 같은 유해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주조 작업시에는 이러한 가스를 신속하게 집진하고, 정화한 다음 배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도 1에는 주조시 발생되는 이러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배출 장치는 금형(10)으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안내하는 배연관(20)과, 배연관(20)을 통해 안내되는 가스를 집진하여 정화하는 집진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배연관(20)은 신축성있는 통상의 주름관이며, 집진기(30)는 내장된 펌프(미도시)로부터 발생된 흡입력으로 금형(10)에서 발생된 가스를 배연관(20)을 통해 흡입한 다음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배연관의 재질이 통상의 주름관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약하여 집진기의 흡입력 및 설비 구조에 따른 요동에 쉽게 뒤틀리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가스에 함유된 유해 성분이 배연관의 내면에 흡착되어 집진기의 집진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연관의 내구성 및 집진기의 집진 성능이 향상된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출 장치의 주요부인 배연관의 구조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금형 20 ; 배연관
30 ; 집진기 40 ; 덕트 부재
42 ; 외피 44 ; 외피
50 ; 원형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은, 금형으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안내하는 배연관과, 배연관을 통해 가스를 집진하고 정화하여 배출하는 집진기를 포함하며, 배연관이 유리 섬유 원단으로 된 원형의 덕트 부재; 및 덕트 부재의 내주면에 이 덕트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원형 스프링을 포함하여 신축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덕트 부재는 내피 및 외피로 이루어지고, 내피 및 외피는 각각 열접착된 2겹의 원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덕트 부재의 유리 섬유 원단 양측면에는 각각 폴리염화비닐 수지가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덕트 배관의 직경은 200 내지 2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프링의 굵기는 1.4 내지 1.8mm이고, 소정 간격은 19 내지 2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배연관의 재질이 유리 섬유 원단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연관을 따라 안내되는 가스가 배연관의 내면에 쉽게 흡착되지 않는다. 또한, 배연관의 내부에 다수의 스프링이 설치되어 강성이 증대되므로 배연관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가스 배출 장치와 동일하게 배연관과 집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출 장치는 배연관이 종래의 것과 다른 구성 및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에는 이러한 배연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연관은 크게 관 형상의 덕트 부재(40)와 이 덕트 부재(40)의 내주면에 덕트 부재(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원형 스프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덕트 부재(40)는 내피(44)와 외피(42)를 가지며, 내피(44)와 외피(42)는 또한 서로 열접착된 2겹의 유리섬유 원단(fiber glass cloth)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유리 섬유 원단의 양면은 각각 폴리염화비닐(PVC) 재질로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덕트 부재(40)의 직경은 대략 200 내지 220mm, 바람직하게는 210mm이다.
원형 스프링(50)은 그 직경이 대략 1.4 내지 1.8mm, 바람직하게는 1.6mm인 강철 재질의 부재로서, 덕트 부재(40)의 내주면에 대략 19 내지 23mm, 바람직하게는 21mm의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연관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출 장치는 유리 섬유 원단으로 된 덕트 부재의 특성상 배연관을 따라 안내되는 가스가 덕트 부재의 내면에 용이하게 흡착되지 않는다. 또한, 덕트 부재의 내부에 다수의 스프링이 설치되어 배연관의 강성이 증대된다. 따라서, 집진기의 흡입력 및 설비 구조에 따른 요동시에도 그 강성과 유동성을 유지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배연관의 재질이 유리 섬유 원단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연관을 따라 안내되는 가스가 배연관의 내면에 쉽게 흡착되지 않아 집진기의 집진 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연관의 내부에 다수의 스프링이 설치되어 강성이 증대되므로, 배연관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집진기의 흡입력 및 설비 구조에 따른 요동에도 쉽게 뒤틀리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금형으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안내하는 배연관과, 상기 배연관을 통해 가스를 집진하고 정화하여 배출하는 집진기를 포함하는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연관이 유리 섬유 원단으로 된 원형의 덕트 부재; 및 상기 덕트 부재의 내주면에 상기 덕트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원형 스프링을 포함하여 신축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부재는 내피 및 외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 및 외피는 각각 열접착된 2겹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부재의 유리 섬유 원단 양측면에 각각 폴리염화비닐 수지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배관의 직경은 200 내지 2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굵기는 1.4 내지 1.8mm이고, 상기 소정 간격은 19 내지 2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
KR2019980025106U 1998-12-15 1998-12-15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 KR200000122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106U KR20000012204U (ko) 1998-12-15 1998-12-15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106U KR20000012204U (ko) 1998-12-15 1998-12-15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204U true KR20000012204U (ko) 2000-07-05

Family

ID=69503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106U KR20000012204U (ko) 1998-12-15 1998-12-15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20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9901957U1 (de) Leitungselement für Abgasleitungen von Kraftfahrzeugen
JPS5726220A (en) Thermal shock resisting ceramic honeycomb-type catalyzer converter
BRPI0418088A (pt) conjunto de silencioso
DE69405675D1 (de) Luftspaltisolierte gemusterte Abgaslei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KR20000012204U (ko) 주조시 발생되는 가스 배출 장치
BR0003280A (pt) Tubo de sucção para um motor de combustão interna
KR950004354B1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JP4501971B2 (ja) 排気浄化装置
JPH06108838A (ja) 船外機の排気浄化用触媒支持構造
JPH06146844A (ja) 脱硝・消音兼用複合装置
JP2001317325A (ja) エンジンのマフラー
JP3955291B2 (ja) 内燃エンジンの触媒付きマフラー
DE9308419U1 (de) Schalldämpfer für vorzugsweise gasförmige Medien
KR960006032Y1 (ko) 차량용 진동흡수관
JPS6314017Y2 (ko)
JPS61252822A (ja) パイプのジヨイント部構造
JPH03286947A (ja) ダクト形サイレンサー
JPS5851364Y2 (ja) 小型エンジンの排気ガス浄化装置
JPH033913A (ja) エアー・サイレンサー
JP2816990B2 (ja) 内燃機関の排気ガス浄化装置
JPH09184418A (ja) 内燃機関の排気マフラー
KR200180704Y1 (ko) 공기정화유닛
KR20120012071A (ko) 촉매 컨버터용 매트
JPH0420967Y2 (ko)
KR200176151Y1 (ko) 공기정화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