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932U - 유압경첩과 스프링경첩을 이용한 문의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유압경첩과 스프링경첩을 이용한 문의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932U
KR20000011932U KR2019980024717U KR19980024717U KR20000011932U KR 20000011932 U KR20000011932 U KR 20000011932U KR 2019980024717 U KR2019980024717 U KR 2019980024717U KR 19980024717 U KR19980024717 U KR 19980024717U KR 20000011932 U KR20000011932 U KR 200000119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hydraulic
spring hing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7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55881Y1 (ko
Inventor
장종복
Original Assignee
장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복 filed Critical 장종복
Priority to KR20199800247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881Y1/ko
Publication of KR200000119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9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8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881Y1/ko

Lin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과 문틀 일측면 사이의 중앙에 유압경첩을 설치하고 상, 하에 스프링경첩을 설치하므로서 열려 있던 문이 스프링경첩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빠른속도로 닫히는 것을 유압경첩에서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왕복작동관이 하강하면서 왕복작동관의 하부에 설치한 피스턴을 하강시켜 실린더 내에 충만된 오일을 유로를 통하여 피스턴의 상부로 유동시킬 때 발생되는 유압에 의하여 완충작용을 하게 되므로 문이 서서히 닫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압경첩과 스프링경첩을 이용한 문의 설치장치
본 고안은 유압경첩과 스프링경첩을 이용한 문의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더 자세하게는 문과 문틀 일측면 사이의 중앙에 유압경첩을 설치하고 상, 하에 스프링경첩을 설치하므로서 열려 있던 문이 스프링경첩의 탄발력에 의하여 빠른속도로 닫히는 것을 유압경첩의 유압에 의하여 완충작용을 하게되어 문이 서서히 닫히게한 유압경첩과 스프링경첩을 이용한 문의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문과 문틀의 일측면 사이에 스프리경첩을 설치하고 문과 문틀의 상면에 도어 크로져를 설치하여 열려있던 문이 서서히 닫히게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사용되는 도어 크로져는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율이 많아 제기능을 하지못하여 교체하거나 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도어 크로져는 외부로노출되어 있어 외부충격에 의하여 고장을 일으키는 동시에 문의 설치상태의 외관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문과 문틀 일측면 사이의 중앙에 유압경첩을 설치하고 상, 하에 스프링경첩을 설치하므로서 열려 있던 문이 스프링경첩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빠른속도로 닫히려는 것을 유압경첩에서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왕복작동관이 하강하면서 왕복작동관의 하부에 설치한 피스턴을 하강시켜 실린더 내에 충만된 오일을 유로를 통하여 피스턴의 상부로 유동시킬 때 발생되는 유압에 의하여 완충작용을 하게 되므로 문은 서서히 닫히게 된다. 따라서 유압경첩과 스프링경첩에 의하여 문은 유연하고 원활하게 닫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유압경첩의 부분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스프링경첩의 부분 단면도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
10 : 문 10a : 문틀 20 : 동체
20a : 돌조 21 : 연결캡 22 : 회전축
22a : 스크류 캠 30 : 왕복작동관 30a,30b : 스크류 홈
31 : 피스턴 40 : 유압경첩 50 : 스프링경첩
문(10)과 문틀(10a) 사이의 일측 중앙에는 동체(20)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캡(21)에 우회전 스크류형 캠(22a)을 형성한 회전축(22)을 고정시켜 동체(20) 내에 설치되는 하단에 피스턴(31)을 연결시키고 있는 왕복작동관(30)의 내주에 형성된 우회전 스크류 홈(30a)에 맞물려 왕복작동 되게 설치하고, 왕복작동관(30)의 외주에는 좌회전 스크류 홈(30b)을 형성하여 동체(20)의 중앙 내부에 형성된 좌측으로 경사진 돌출편(20a)와 맞물려 왕복작동 되게 설치하며, 동체(20)의 하부에 형성된 실린더(20c)의 외주벽에 유로(20b)(20b')가 형성된 유압경첩(40)을 설치하고, 이 유압경첩(20)의 상, 하에 동체(50a) 내에 코일스프링(50b)을 내장시켜 사, 하단을 상,하 캡(50c)에 고정시킨 스프링경첩(50)을 설치하므로서 열려 있던 문이 스프링경첩(50) 내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50)의 탄발력에 의하여 빠른속도로 닫히려는 것을 유압경첩(40)에 설치된 회전축(22)이 회전할 회전축(22)에 형성된 우회전 스크류형 캠(22a)와 왕복작동관(30)에 형성한 우회전 스크류 홈(30a)이 맞물려 있어 회전축(22)의 회전방향에 따라 왕복작동관(30)은 상, 하로 작동 되고 왕복작동관(30)의 외주에 형성한 좌회전 스크류 홈(30b)과 동체(20) 내부 중앙에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돌출편(20a)이 맞물려 있어 왕복작동관(30)은 회전되지 않고 상, 하 왕복작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캡(21)에 고정된 회전축(22)이 문(10)이 닫힐때 회전되는 회전축(22)의 회전에 따라 왕복작동관(30)은 하강하면서 왕복작동관(30)의 하부에 설치한 피스턴(31)을 하강시키게 되므로 실린더(20c) 내에 충만된 오일은 유로(20b)(20b')를 통하여 피스턴(31)의 상부로 유동된다. 이 때 발생되는 유압에 의하여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문은 유압경첩(40)의 유압에 의한 완충작용으로 문(10)은 서서히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은 유압에 의한 완충작용은 다른 구조로된 유압경첩을 설치할 경우에도 거의 동일한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본 고안은 문(10)과 문틀(10a) 사이의 일측 중앙에는 유압경첩(40)을 설치하고 그 상, 하에 스프링경첩(50)을 설치하므로서 열려 있던 문(10)이 스프링경첩(50)의 코일스프링(50b)에 탄발력에 의하여 빠른속도로 회전하면서 닫히려는 것을 유압경첩(40)의 유압에 의하여 서서히 닫히도록 완충작용을 하게된다. 여기에서 유압경첩(40)의 구성은 동체(20)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캡(21)에 우회전 스크류형 캠(22a)을 형성한 회전축(22)을 고정시켜 동체(20) 내에 설치되는 하단에 피스턴(31)이 연결된 왕복작동관(30)의 내주에 형성된 우회전 스크류 홈(30a)에 회전축(22)에 형성된 우회전 스크류형 캠(22a)과 맛물려 왕복작동 되게 설치하고, 왕복작동관(30)의 외주에는 좌회전 스크류 홈(30b)을 형성하여 동체(20)의 중앙 내부에 형성된 좌측으로 경사진 돌조(20a)와 맛물려 왕복작동 되게 설치하고 동체(20)의 하부에 형성된 실린더(20c)의 외주벽에 유로(20b)(2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압경첩(20)의 상, 하에 설치되는 스프링경첩(50)의 구성은 동체(50a) 내에 코일스프링(50b)을 내장시켜 상, 하단을 상,하 캡(50c)(50c')에 고정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유압경첩(40)과 스프링경첩(50)으로 설치된 문(10)은 열려 있던 상태에서 스프링경첩(50) 내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50)의 탄발력에 의하여 빠른 속도로 닫히게 되는데 이때 유압경첩(40)에 설치된 회전축(22)이 회전되므로 회전축(22)에 형성된 우회전 스크류형 캠(22a)와 왕복작동관(30)에 형성한 우회전 스크류 홈(30a)이 맞물려 있어 회전축(22)의 회전방향에 따라 왕복작동관(30)은 왕복작동 되고, 왕복작동관(30)의 외주에 형성한 좌회전 스크류 홈(30b)과 동체(20) 내부 중앙에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돌출편(20a)이 맞물려 있어 왕복작동관(30)은 회전되지 않고 상, 하 왕복작동을 원활하고 유연하게 한다. 따라서 연결캡(21)에 고정된 회전축(22)이 문(10)이 닫힐때 회전되는 회전축(22)의 회전방향에 따라 왕복작동관(30)은 하강하면서 왕복작동관(30)의 하부에 설치한 피스턴(31)을 하강시키게 되므로 실린더(20c) 내에 충만된 오일은 유로(20b)(20b')를 통하여 피스턴(31)의 상부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유압이 발생 된다. 이 때 발생되는 유압에 의하여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문(10)은 유압경첩(40)의 완충작용에 의하여 서서히 닫히게 되므로 고장율이 없어 설치된 문의 수명을 길게 하는 동시에 문의 설치가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문(10)과 문틀(10a) 사이의 일측 상, 하에 스프링경첩(50)을 설치하는 공지한 것에 있어서 문(10)과 문틀(10a) 일측 상, 하에 설치된 스프링경첩(50) 사이에 동체(20)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캡(21)에 우회전 스크류형 캠(22a)을 형성한 회전축(22)을 고정시켜 동체(20)내에 설치되는 왕복작동관(30)의 내주에 형성된 우회전 스크류 홈(30a)에 맞물려 왕복작동 되게 설치하고, 왕복작동관(30)의 외주에는 좌회전 스크류 홈(30b)을 형성하여 동체(20)의 중앙 내부에 형성된 좌측으로 경사진 돌출편(20a)와 맛물려 왕복작동 되게 한 유압작동경첩(40)을 설치하여서 된 유압경첩과 스프링경첩을 이용한 문의 설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문(10)과 문틀(10a) 사이의 일측 중앙에는 일반적인 유압경첩(40)을 설치하고 그 상, 하에 스프링경첩(50)을 설치하여 유압에 의하여 완충작용을 하게 하여서 된 유압경첩과 스프링경첩을 이용한 문의 설치장치
  3. 문(10)과 문틀(10a) 시이의 일측 상부에 유압경첩(40)을 설치하고, 하부에 스프링경첩(50)을 설치하여 유압에 의하여 완충작용을 하게 하여서 된 유압경첩과 스프링경첩을 이용한 문의 설치장치
KR2019980024717U 1998-12-11 1998-12-11 유압경첩과 스프링경첩을 이용한 문의 설치장치 KR2002558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717U KR200255881Y1 (ko) 1998-12-11 1998-12-11 유압경첩과 스프링경첩을 이용한 문의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717U KR200255881Y1 (ko) 1998-12-11 1998-12-11 유압경첩과 스프링경첩을 이용한 문의 설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932U true KR20000011932U (ko) 2000-07-05
KR200255881Y1 KR200255881Y1 (ko) 2002-01-17

Family

ID=69507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717U KR200255881Y1 (ko) 1998-12-11 1998-12-11 유압경첩과 스프링경첩을 이용한 문의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8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568B1 (ko) * 2002-03-06 2005-02-22 정순자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602B1 (ko) * 2013-04-01 2014-11-11 김기현 출입문
KR101835622B1 (ko) * 2017-02-03 2018-03-08 에스씨위너스(주) 도어 클로저
US20210207417A1 (en) * 2017-02-03 2021-07-08 Scwinners Co., Ltd. Door closer
KR101983813B1 (ko) * 2017-11-23 2019-05-30 에스씨위너스(주) 도어 클로저
KR102215116B1 (ko) 2020-06-22 2021-02-10 정승대 경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568B1 (ko) * 2002-03-06 2005-02-22 정순자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881Y1 (ko) 200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6051A (en) Door-closer hinge with rotary-movement shock absorber
KR100263251B1 (ko) 도어용 힌지
CN101680254A (zh) 铰链阻尼器
KR200255881Y1 (ko) 유압경첩과 스프링경첩을 이용한 문의 설치장치
CN205298375U (zh) 一种气弹簧阻尼减震器
JP6846523B2 (ja) ダンパー及びその洗濯機
US6116388A (en) Shock absorber
CN201367795Y (zh) 一种旋转阻尼器
KR200219473Y1 (ko) 유압식 완충경첩
KR100282161B1 (ko)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CN109595288B (zh) 一种阻尼力调整机构
CN202575139U (zh) 一种缓冲盖脚踏式垃圾桶和缓冲合页
JP5506525B2 (ja) 油圧緩衝器
KR100211903B1 (ko)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KR200199733Y1 (ko) 완폐식 역지 밸브
KR20110062324A (ko) 여닫이 도어의 개폐속도를 완화할 수 있는 오일댐퍼
KR200178173Y1 (ko) 차량용 완충기
KR0156093B1 (ko) 유압작동 자동완충경첩
CN217234232U (zh) 一种汽车减震器用导向器
JP2004211878A (ja) 油圧緩衝器のボトムバルブ装置
KR100316237B1 (ko) 유압식 자동완충 도어 회전축
KR200260702Y1 (ko) 도어 클로우저
CN212985884U (zh) 一种旋转阻尼器
RU203918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ывания двери
JPH043426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