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161B1 -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 Google Patents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161B1
KR100282161B1 KR1019980031398A KR19980031398A KR100282161B1 KR 100282161 B1 KR100282161 B1 KR 100282161B1 KR 1019980031398 A KR1019980031398 A KR 1019980031398A KR 19980031398 A KR19980031398 A KR 19980031398A KR 100282161 B1 KR100282161 B1 KR 100282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rotating shaft
tube
pipe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857A (ko
Inventor
장종복
Original Assignee
장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복 filed Critical 장종복
Priority to KR1019980031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161B1/ko
Priority to FR9811349A priority patent/FR2783274B1/fr
Priority to DE19859235A priority patent/DE19859235C1/de
Priority to CA002273680A priority patent/CA2273680A1/en
Priority to GB9915961A priority patent/GB2340177B/en
Priority to AU41083/99A priority patent/AU4108399A/en
Priority to NZ336967A priority patent/NZ336967A/xx
Priority to TR1999/01838A priority patent/TR199901838A3/tr
Publication of KR20000012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1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08Function thereof for bra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6Pis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8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첩동체 설치되는 회전축의 양측에 우회전 나선형 돌출캠을 형성하여 왕복작동관에 형성한 우회전 나선형 안내홈에 끼워 설치하고, 왕복작동관의 외주양측에 좌회전 나선형 안내홈을 형성하여 고정관의 하부 양측에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돌출편이 삽입되게 설치하므로서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왕복작동관이 하강하거나 상승할때 왕복작동관의 하단부에 형성하거나 별개로 설치한 피스턴이 실린더 내에서 상, 하 왕복작동 하면서 오일을 피스턴 상부로 이동시키거나 피스턴의 하부로 이동시키게 한다. 이때 오일이 이동중에 작용하는 유압에 의하여 완충작용이 발생하여 문이 서서히 닫히도록한 것이다. 여기에서 회전축에 작용되는 유압에 의한 부하는 회전축에 균일하게 작용되므로 회전축이 좌 우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나선형 안내홈이나, 나선형 캠과 안돌출편이 파손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하여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문이 자동으로 닫히게 하여 화염이 번지는 것을 최대한으로 감소시켜 재산피해 및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SHOCK ABOSORBING HINGE USING OIL PRESSURE}
본 발명은 유압식 자동완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경첩의 외동체에 설치되는 회전축의 양측에 우회전 나선형 돌출캠을 형성하여 왕복작동관에 우회전 나선형 안내홈에 끼워 설치하고, 왕복작동관의 외주 양측에 좌회전 나선형의 안내홈을 형성하여 외동체에 고정설치 된 고정관의 하부 양측에 좌회전 경사지게 형성한 안내돌출편이 삽입되게 설치하므로서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왕복작동관이 하강하거나, 상승할때 왕복작동관의 하단부에 형성하거나, 별개로 설치한 피스턴이 실린더 내에서 상, 하 왕복작동 하면서 오일을 피스턴 상부로 이동시키거나, 피스턴의 하부로 이동시키게 한다. 이때 오일이 이동중에 작용하는 유압에 의하여 완충작용이 발생하여 문이 서서히 닫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회전축에 작용되는 유압에 의한 부하는 회전축에 균일하게 작용되므로 회전축이 좌, 우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나선형 안내홈이나, 나선형 캠 또는 안돌출편이 파손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하여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문이 자동으로 닫히게 하여 화염이 번지는 것을 최대한으로 감소시켜 재산피해 및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의 경첩은 대부분 문틀과 문에 연결시켜 문을 열거나 닫을 수 있게 연결해주는데 그첫고 문을 자동으로 닫히게 하면서도 서서히 닫히도록 하는 완충장치는 경첩과는 별개로 구성한 도어 크로저와 같은 것을 문틀과 무의 상부에 설치하여 완충되게 하는 것이 보통이나, 이것은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율이 많고 문틀과 문의 상부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장소에 많은 구애를 받을 뿐 아니라, 설치된 완충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미관상 좋치 못한 문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인이 국내에서 선특허받은 특허번호 제156093호 "유압작동 자동 완충경첩"은 개폐밸브와 채크밸브를 갖은 피스턴을 단부에 설치하고 대향으로 우회전 나선형 캠 장공과 좌회전 나선형캠 장공이 형성된 왕복이동관을 실린더 내에 설치하여 회전축에 돌출 형성된 우회전 나선형 캠 돌출편이 우회전 나선형 캠 장공에 맏물리게 설치하고, 다른 하나의 좌회전 나선형 캠 장공에는 실린더에서 나사물림시킨 보울트가 삽입되어 상, 하 이동시 균형을 잡아주게 한 것이나, 이것은 문의 개폐시 유압에 의하여 완충작용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나, 회전축의 일측에 형성된 우회전 나선형 캠 돌출편이 왕복 이동관에 형성된 우회전 나선형 캠 장공에 맛물려 상, 하 자동하는 과정에서 유압에 의하여 완충작용이 이루어질 때 회전축의 일측에 형성된 나선형 캠 돌출편에 의하여 회전축의 일측면에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어 회전축이 절단되거나, 나사물림시킨 보울트가 절단되거나, 파손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유압에 의한 완충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경첩외동체 설치되는 회전축의 양측에 우회전 나선형 돌출캠을 형성하여 왕복작동관에 형성한 우회전 나선형 안내홈에 끼워지게 하고, 왕복작동관의 외주 양측에 좌회전 나선형 안내홈을 형성하여 외동체에 고정설치 된 고정관의 하부양측에 형성한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안내돌출편이 삽입되게 설치하므로서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왕복작동관이 하강하거나, 상승할때 왕복작동관의 하단부에 단일체로 형성하거나, 별개로 설치한 피스턴이 실린더 내에서 상, 하 왕복작동 하면서 오일을 피스턴 상부로 이동시키거나, 피스턴의 하부로 이동시키게 한다. 이때 오일이 이동중에 작용하는 유압에 의하여 완충작용이 발생하여 문이 서서히 닫히도록한 것이다. 여기에서 회전축에 작용되는 유압에 의한 부하는 회전축에 균일하게 작용되므로 회전축이 좌, 우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나선형 안내홈이나, 나선형캠 또는 안내돌출편이 파손되지 않게하는 동시에 화재가 발생하여 일정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문이 자동으로 닫히게하여 화염이 번지는 것을 최대한으로 줄릴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요부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부절개된 요부전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Ⅰ-Ⅰ선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Ⅱ-Ⅱ선 단면도.
제5, 6도는 본 발명의 다른예의 요부 발취 단면도.
제7, 8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요부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요부발췌 작동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 연결편 11 : 외동체
12, 70 : 실린더 13 : 안내돌출편
14 : 고정관 15, 16 : 나선형 안내홈
17 : 작동관 18 : 피스턴
18a : 연결관 18b : 너트
18c : 두부 20 : "["형 유로
21 : 오일 보충탱크 22 : 오일 배출구
30, 30a : 조절보울트 31, 31a, 61, 61a, 72 : 코일스프링
32, 32a : 리들밸브 33 : 누출방지마개
34 : 역지변 40 : 회전축
41 : 나선형 돌출캠 42 : 저지륜
42a : 0-링 50, 50a, 63, 63a, 64, 64a : 요철부
51 : 지지관 51a : 요입홈
60, 60a : 연결관 62a : 고정캡
65 : 연결링 71 : 연결편
73 : 브라킷 74 : 용융납
연결편(10)의 일측에 단일체로 형성된 외동체(11)의 내 하부에 실린더(12)를 설치하여 일측에 "["형의 유로(20)를 형성하고 외주에는 오일 보충탱크(21)를 형성하여 그 하부에 오일 배출구(22)를 형성시키고, "["형의 유로(20)와 오일 배출구(22)에는 조절보울트(30)(30a)에 코일스프링(31)(31a)으로 압지시킨 리들밸브(32)(32a)를 설치한다. 여기에서 21a는 오일 유도통로이다. 이와같이 오일 통로를 형성하므로서 실린더(12) 내부에서 충격적인 유압이 발생할때 리들밸브(32)(32a)가 열려 유로가 크게 형성되어 완충작용을 하게 하고 유압작용이 균일할 때에는 리들밸브(32)(32a)가 정위치에서 정상적인 작용을 하게 되며, 문이 닫히는 끝 부분에서는 리들밸브(32a)가 문이 서서히 닫히도록 조절해 준다. 이와같이 작용하는 리들밸브(32)(32a)에 의하여 유압조절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외동체(11)의 하단에 오일 누출 방지마개(33)를 나사물림시켜 실린더(12)의 하단을 밀폐시키므로서 오일의 누출을 방지시키며, 누출방지 마개(33)의 내부에 요입부(33a)를 형성하여 영구자석(33b)을 삽입 설치하므로서 작동중이 발생된 미립자의 철분을 모이게하여 오일을 항상 청결하게 해준다. 외동체(11)의 내부 중앙에는 하단부 양측에 좌측으로 경사진 안내돌출편(13)이 형성된 고정관(14)을 나사물림으로 고정 설치하여 그 내부에는 외주 양측에 좌회전 나선형 안내홈(15)과 내주 양측에 우회전 나선형 안내홈(16)을 형성한 상, 하 작동관(17)을 삽입시켜 고정관(14)에 형성된 좌측으로 경사진 안내돌출편(13)이 상, 하 작동관(17)의 외주에 형성된 좌회전 나선형 안내홈(15)에 삽입되어 안내되게 하고, 작동관(17)의 하단에는 중앙에 역지변(34)이 설치된 피스턴(18)을 형성하여 실린더(12)에 삽입시켜 상, 하 작동되게 한다.
또다른 예로서 별개로 형성된 피스턴(18)에 연결관(18a)을 단일체로 형성하여 상, 하 작동관(17)의 하단에 나사물림시켜 너트(18b)로 고정 설치할 수도 있고, 별개로 형성된 피스턴(18)에 두부(18c)를 형성하여 작동관(17)의 하단에 삽입 설치할 수도 있다.
외동체(11)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축(40)의 하부에는 양측에 우회전 나선형 돌출캠(41)을 형성하여 상, 하 작동관(17)의 내부에 형성한 우회전 나선형 안내홈(16)에 삽입되게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하므로서 회전축(4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 하 작동관(17)은 상, 하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턴(18)은 실린더(12)내에서 상, 하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피스턴(18)이 하강하여 "["형 유로(20)의 상부와 배출구(22)를 동시에 차단할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하강을 멈춰 있다가 다시 하강하게 된다. 회전축(40)의 하부에 형성된 우회전 나선형 돌출캠(41)의 상단에는 외동체(11)내에 삽입되게 저지륜(42)을 형성하여 오일 유출 방지 0-링(42a)을 설치하여 외동체(11)내의 오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동체(11)의 상단 내주에 종으로 요철부(50)를 형성하여 회전축(40)을 지지하는 지지관(51)의 하부 외주에 형성한 요철부(50a)가 상호 맞물리게 삽입 설치하여 공회전을 방지시키고 지지관(51)의 외부 중앙에 요입홈(51a)을 형성하여 상, 하 이탈방지 스냅링(51b)을 설치하여 지지관(51)의 이탈을 방지한다. 일측 연결편(10a)에 연결관(60)(60a)을 상, 하로 부착시켜 하부 연결관(60a)은 오일 유출방지마게(33)에 삽입시키고, 하부연결관(60a)내부에는 코일스프링(61)을 설치하여 코일스프링(61)의 상단은 오일 유출방지마개(33)에 고정시키고 하단은 고정캡(62)에 고정시켜 코일스프링(61)의 탄발역에 의하여 경첩을 설치한 문이 자동으로 닫히게 하며, 오일 유출마개(33)내부에 요입홈(33a)을 형성하여 영구자석(33b)을 설치하므로서 작동중에 발생된 미립자의 철분이 오일에 함유된 것을 영구자석에 의하여 요입홈(33a)으로 모이게 하여 오일은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므로서 오일의 상, 하유동을 원활하게 한다.
연결편(10a)의 상부에 부착시킨 연결관(60)은 지지관(51)의 외주에 삽입시키고 회전축(40)에 종으로 형성된 요철부(64)와 요철부(64a)로 맞물림시킨 연결링(65)의 외주에 종으로 형성한 요철부(63a)에 맞물려 연결되게 연결관(60)의 내부 중앙에는 종으로 요철부(63)를 형성하며, 연결링(65)의 상부에서 괘지핀(66)을 박아 지지관(51)에 형성된 괘지홈(51c)에 상호 괘지되게 하여, 문이 완전히 열리거나 닫힌 상태를 유지시켜주고 열리는 과정이나 닫히는 과정에서는 도9에서와 같이 괘지핀(66)이 지지관(51)의 상면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연결링(65)의 상부에는 코일스프링(61a)을 설치하여 회전축(40)의 상단이 상부로 노출되게 고정캡(62a)을 막아 코일스프링(61a)을 압축시킨 다음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70)내에 연결편(71)을 삽입하여 실린더(70)내의 중앙부로 부터 전방에 코일스프링(72)을 탄발력이 작용되게 설치하고, 실린더(70)의 전방으로 노출된 연결편(71)의 단부에 브라킷(73)을 형성하여 상부로 노출된 회전축(40)의 상단에 삽입 고정시키므로서 코일스프링(61a)의 탄발력에 의하여 고정캡(62a)이 이탈하려는 것을 방지시키며, 실린더(70)내의 연결편(71) 후단부는 용융납(74)으로 실린더(70) 후단에 고정시키므로서 화재로 인하여 일정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용유납(74)이 용융되므로 실린더(70)내의 코일스프링(72)의 탄발력에 의하여 연결편(71)이 후방으로 후퇴되어 연결편(71)의 전단부에 형성한 브라킷(73)은 회전축(40)의 상단에서 이탈고 고정캡(62a)은 코일스프링(61a)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부로 이탈되어 코일스프링(61a)으로 압박하고 있던 여결링(65)에 박아 지지관(51)에 형성된 괘지홈(51c)을 괘지하고 있던 괘지핀(66)이 이탈 하게되므로 코일스프링(61)의 탄발력에 의하여 문은 서서히 닫히게 된다.
본 발명은 문틀과 문 사이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문을 열을 때 에는 연결편(10a)의 하부에 부착시킨 연결관(60a)내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61)이 감기게되고 상부 연결관(60)에 고정시킨 회전축(40)은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하는 회전축(40)의 하단부에 형성된 우회전 나선형 돌출캠(41)이 상, 하 작동관(17)내부에 형성된 우회전 나선형 안내홈(16)에 삽입되어 있어 상, 하 작동관(17)은 상승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 하 작동관(17)이 상승하게 되면 상, 하 작동관(17)의 하부에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하여 설치된 피스턴(18)이 상승하여 피스턴(18)상부에 유입되어 있던 오일은 피스턴(18) 중앙에 설치된 역지면(34)을 통하여 실린터(12)내부로 유입된다. 반대로 문이 닫힐경우에는 감겨 있던 코일스프링(61)의 탄발역에 의하여 문이 닫히게 되고 상부 연결관(60)에 연결링(65)으로 연결 고정시킨 회전축(40)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우회전 나선형 안내홈(16)에 삽입되어 있는 우회전 나선형 돌출캠(41)에 의하여 상, 하 작동관(17)은 하강하게 되어 피스턴(18)이 하강한다. 이 때 실린더(12)내에 유압이 발생하여 오일은 조절된 리들밸브(32)(32a)를 거쳐 오일 보충탱크(21)의 배출구(22)와 "["형 유로(20)를 통하여 피스턴(18)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오일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유압에 의하여 완충작용이 이루어져 문은 서서히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 과정에서 피스턴(18)이 계속 하강하여 "["형 유로(20)와 배출구(22)를 차단한 때에는 순간적으로 문이 닫히는 것을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이 멈춘 과정에서 스프링(61)의 탄발력에 의하여 실린더(12)내의 오일은 실린더(12)와 피스턴(18)의 유격사이로 오일이 유동되어 문이 닫히는 끝 부분에서 "["형 유로(20)가 열리게되면 리들밸브(32a)가 작동되어 문이 서서히 닫히도록 조절해 주게 되어 충격을 완화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회전하는 회전축(40)의 하단부에 형성된 우회전 나선형 돌출캠(41)이 상, 하 작동관(17)내부에 형성된 우회전 나선형 안내홈(16)에 삽입되어 있고 상, 하 작동관(17)의 외주에 형성한 좌회전 나선형 안내홈(15)에는 고정관(14)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좌측으로 경사진 안내 돌출편(13)이 삽입되어 있어 회전축(4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 하 작동관(17)은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될 때 유압에 의한 부하가 회전축(40)에 균일하게 작용하게 되므로 회전축(40)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선형 돌출캠(41) 및 상, 하 작동관(17)에 형성된 나선형 안내홈(15)(16)이나, 고정관(14)의 하단부에 형성된 좌측으로 경사진 안내 돌출편(13)이 파손되는 일이 거의 없어 그 수명이 길어지게 된다.
그리고 연결편(10a)의 상부에 부착시킨 연결관(60)은 지지관(51)의 외주에 삽입시키고 회전축(40)에 종으로 형성된 요철부(64)와 요철부(64a)로 맞물림시킨 연결링(65)의 외주에 종으로 형성한 요철부(63a)에 맏물려 연결되게 연결관(60)의 내부 중앙에는 종으로 요철부(63)를 형성하며, 연결링(65)의 상부에서 괘지핀(66)을 박아 지지관(51)에 형성된 괘지홈(51c)에 상호 괘지되게 하므로서 문이 완전히 열리거나 닫힌 상태를 유지시켜주고 열리는 과정이나, 닫히는 과정에서는 도9에서와 같이 괘지핀(66)이 지지관(51)의 상면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연결링(65)의 상부에는 코일스피링(61a)을 설치하여 회전축(40)의 상단이 상부로 노출되게 고정캡(62a)을 막아 코일스프링(61a)을 압축시킨 다음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70)내에 연결편(71)을 삽입하여 실린더(70)내의 중앙부로 부터 전방에 코일스프링(72)을 탄발력이 작용되게 설치하고 실린더(70)의 전방으로 인출된 연결편(71)의 단부에 브라킷(73)을 형성하여 상부로 노출된 회전축(40)의 상단에 삽입 고정시키므로서 코일스프링(61a)의 탄발력에 의하여 고정캡(62a)이 이탈하려는 것을 방지시키며, 실린더(70)내의 연결편(71) 후단부는 용융납(74)으로 실린더(70) 후단에 고정시키므로서 화재로 인하여 일정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높아지면 용유납(74)이 용융되므로 실린더(70)내의 코일스프링(72)의 탄발력에 의하여 연결편(71)이 후방으로 후되되어 연결편(71)의 전단부에 형성한 브라킷(73)은 회전축(40)의 상단에서 이탈고 고정캡(62a)은 코일스프링(61a)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부로 이탈되어 코일스프링(61a)으로 압박하고 있던 연결링(65)에 박아 지지관(51)을 괘지하고 있던 괘지핀(66)이 이탈하게되므로 열려있던 문은 코일스프링(61)의 탄발력에 의하여 문은 서서히 닫히게 된다. 따라서 화재로 인한 재산상의 피해와 인명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게한 것이다.

Claims (7)

  1. 연결편(10)이 단일체로 형성된 외동체(11)의 내 하부에 실린더(12)를 설치하여 일측에 "["형의 유로(20)를 형성고 외주에는 오일 보충탱크(21)를 형성하며, 외동체(11)의 하단에 오일 누출 방지마개(33)를 나사물림시켜 실린더(12)의 하단을 밀폐시키고, 외동체(11)의 내부 중앙에는 하단부 양측에 좌측으로 겨사진 안내돌출편(13)이 형성된 고정관(14)을 나사물림으로 고정 설치하고 그 내부에 외주 양측에 좌회전 나선형 안내홈(15)과 내주 양측에 우회전 나선형 안내홈(16)을 혀성한 상, 하 작동관(17)을 삽입시켜 고정관(14)에 형성된 좌측으로 경사진 안내돌출편(13)이 상, 하 작동관(17)의 외주에 형성된 좌회전 나선형 안내홈(15)에 삽입되어 안내되게 하고, 작동관(17)의 하단에는 중앙에 역지변(34)이 설치된 피스턴(18)을 형성하여 실린더(12)에 내에서 상, 하 작동되게 하며, 외동체(11)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축(40)의 하부에는 양측에 우회전 나선형 돌출캠(41)을 형성하여 상, 하 작동관(17)의 내부에 형성한 우회전 나선형 안내홈(16)에 삽입되게 설치하고 회전축(40)의 하부에 형성된 우회전 나선형 돌출캠(41)의 상단에는 외동체(11)내에 삽입되게 저지륜(42)을 형성하여 오일 유출 방지 0-링(42a)을 설치하며, 외동체(11)의 상단 내주에 종으로 요철부(50)를 형성하여 회전축(40)을 지지하는 지지관(51)의 하부 외주에 형성한 요철부(50a)가 상호 맞물리게 삽입 설치하여 공회전을 방지시키고, 지지관(51)의 외부 중앙에 요입홈(51a)을 형성하여 상하 이탈방지 스냅링(51b)을 설치하며, 일측 연결편(10a)에 연결관(60)(60a)을 상, 하로 부착시켜 하부 연결관(60a)은 오일 유출방지마게(33)에 삽입시키고 연결관(60a)내부에는 코일스프링(61)을 설치하여 코일스프링(61)의 상단은 오일 유출방지마개(33)에 고정시키고, 하단은 고정캡(62)에 고정시켜서된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2. 연결편(10a)의 상부에 부착시킨 연결관(60)은 지지관(51)의 외주에 삽입시키고 회전축(40)에 종으로 형성된 요철부(64)와 요철부(64a)로 맞물림 시킨 연결링(65)의 외주에 종으로 형성한 요철부(63a)와 맞물려 연결되게 연결관(60)의 내부 중앙부에 요철부(63)를 형성시키고, 연결링(65)의 상부에서 괘지핀(66)을 박아 지지관(51)에 형성된 괘지홈(51c)에 상호 괘지되게 하며, 연결링(51)의 상부에는 코일스프링(61a)을 설치하여 회전축(40)의 상단이 상부로 노출되게 고정캡(62a)을 막아 코일스프링(61a)을 압축시킨 다음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70)내에 연결편(71)을 삽입하여 실린더(70)내의 중앙부로 부터 전방에 코일스프링(72)을 탄발력이 작용되게 설치하고, 실린더(70)의 전방으로 노출된 연결편(71)의 단부에 브라킷(73)을 형성하여 상부로 노출된 회전축(40)의 상단에 삽입 고정시키며, 실린더(70)내의 연결편(71) 후단부는 용융납(74)으로 실린더(70) 후단에 고정시켜서된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3.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12)에 형성한 "["형의 유로(20)와 오일 배출구(22)에는 조절보울트(30)(30a)에 코일스프링(31)(31a)으로 압지시킨 리들밸브(32)(32a)를 설치하여 실린더 내부에 충격적인 유압이 발생할 때 리들밸브(32)(32a)가 열리어 유로가 크게 형성되어 완충작용을 하게 하고 유압작용이 균일할때는 리들밸브(32)(32a)가 정위치에서 작용하며, 문이 닫히는 끝 부분에서는 리들밸브(32a)가 문이 서서히 닫히도록 유압을 조절케 한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4. 제1항에 있어서 누출방지 마개(33)의 내부에 요입부(33a)를 형성하여 영구자석(33b)을 삽입 설치하여 작동중에 발생된 미립자의 철분을 모이게한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5. 제1항에 있어서 별개로 형성된 피스턴(18)에 연결관(18a)을 단일체로 형성하여 상, 하 작동관(17)의 하단에 나사물림시켜 너트(18b)로 고정 설치한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6. 제1항에 있어서 별개로 형성된 피스턴(18)에 두부(18c)를 형성하여 작동관(17)의 하단에 삽입 설치할 수 있게한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7. 제2항에 있어서 연결링(65)의 상부에서 괘지핀(66)을 박아 지지관(51)에 형성된 괘지홈(51c)에 상호괘지되게 하여 문이 완전히 열린상태와 닫힌 상태를 유지시켜주고 열리는 과정이나 닫히는 과정에서는 괘지핀(66)이 지지관(51)의 상면을 타고 이동되게 한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KR1019980031398A 1998-08-01 1998-08-01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KR100282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398A KR100282161B1 (ko) 1998-08-01 1998-08-01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FR9811349A FR2783274B1 (fr) 1998-08-01 1998-09-11 Dispositif formant charniere hydraulique automatique absorbant les chocs
DE19859235A DE19859235C1 (de) 1998-08-01 1998-12-22 Hydraulische, automatische, stoßdämpfende Scharniervorrichtung
CA002273680A CA2273680A1 (en) 1998-08-01 1999-06-04 Hydraulic automatic-shock-absorbing hinge device
GB9915961A GB2340177B (en) 1998-08-01 1999-07-07 Hydraulic hinge device
AU41083/99A AU4108399A (en) 1998-08-01 1999-07-22 Hydraulic automatic-shock-absorbing hinge device
NZ336967A NZ336967A (en) 1998-08-01 1999-07-30 Hydraulic automatic-shock-absorbing hinge device which can close the door slowly or in a state of emergency such as during a fire
TR1999/01838A TR199901838A3 (tr) 1998-08-01 1999-07-30 Hidrolik otomatik darbe emici mentese cihaz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398A KR100282161B1 (ko) 1998-08-01 1998-08-01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857A KR20000012857A (ko) 2000-03-06
KR100282161B1 true KR100282161B1 (ko) 2001-02-15

Family

ID=1954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398A KR100282161B1 (ko) 1998-08-01 1998-08-01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282161B1 (ko)
CA (1) CA2273680A1 (ko)
NZ (1) NZ336967A (ko)
TR (1) TR199901838A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296B1 (ko) * 2000-06-12 2003-04-08 주식회사 솔텍 도어 완충기의 구조
KR100483362B1 (ko) * 2002-02-06 2005-04-15 신유진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KR100756641B1 (ko) * 2007-07-03 2007-09-07 김국배 지하철 역사 양방향 비상 게이트
GB2520480B (en) 2013-11-05 2020-08-12 Titus D O O Dekani Improvements in hinge assemblies
KR101895118B1 (ko) * 2016-06-06 2018-09-04 박희범 여닫이문용 경첩
CN114016834B (zh) * 2021-10-29 2023-07-07 佛山市丽漫卫浴有限公司 一种阻尼铰链
CN114412313B (zh) * 2022-01-27 2023-04-25 厦门合立道工程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行动不便者的疏散用防火门及其使用方法
KR102539301B1 (ko) * 2023-02-11 2023-06-02 주식회사 케이디이 도어 힌지의 양방향 유압댐퍼 시스템
CN116592045B (zh) * 2023-05-18 2023-09-19 河北普康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病床护栏合页机构
CN117249137B (zh) * 2023-09-07 2024-03-01 无锡市盛晖液压气动元件有限公司 一种具有双向缓冲的高性能液压油缸及其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199901838A2 (xx) 2000-03-21
NZ336967A (en) 2000-09-29
CA2273680A1 (en) 2000-02-01
TR199901838A3 (tr) 2000-03-21
KR20000012857A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161B1 (ko)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US4067084A (en) Automatic door closer
NL9200798A (nl) Ondergrondse veiligheidsafsluiter voor een stijgbuis.
US5193230A (en) Automatic toilet seat lowering apparatus
US5050268A (en) Door closer with back checking means
JP3984380B2 (ja) 緩衝機構付き自動閉扉蝶番
KR200219473Y1 (ko) 유압식 완충경첩
KR101071909B1 (ko) 유압식 완충경첩
KR100282162B1 (ko)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JP3045290B2 (ja) 油圧式自動緩衝蝶番
KR100211903B1 (ko)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KR100483362B1 (ko)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KR100813876B1 (ko) 스프링 복원력과 유압 완충력을 갖는 내장형 도어 힌지
US4723570A (en) Water Faucet
KR200231032Y1 (ko) 플로어 힌지
KR100340225B1 (ko) 유압식 완충용 경첩
JPH0219355B2 (ko)
KR20020032938A (ko) 유압식 완충경첩
KR100646048B1 (ko)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
JPH0616178Y2 (ja) 流量制御弁
KR100285512B1 (ko) 문 폐쇄 장치
KR200368537Y1 (ko) 연결아암을 이용한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장치
KR0158537B1 (ko) 분리형 실린더를 갖는 유압식 플로어 힌지
JP3113961U (ja) ドアクローザ
KR200271646Y1 (ko) 경첩형 도어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