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048B1 -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048B1
KR100646048B1 KR1020060073501A KR20060073501A KR100646048B1 KR 100646048 B1 KR100646048 B1 KR 100646048B1 KR 1020060073501 A KR1020060073501 A KR 1020060073501A KR 20060073501 A KR20060073501 A KR 20060073501A KR 100646048 B1 KR100646048 B1 KR 100646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valve body
main disk
valve
butterf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케이밸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케이밸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케이밸브
Priority to KR1020060073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6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16K27/0218Butterfly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축의 편심을 작게 하면서도 디스크의 개방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역류에 의하여 디스크가 폐쇄될 때에는 디스크의 폐쇄 동작을 완만하게 함으로써 디스크 및 밸브 본체에 충격을 작게 하고자 하는 것으로, 제1밸브 본체 및 제2밸브 본체로 이루어진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며 밸브 본체를 개폐시키는 메인 디스크로 이루어진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로서, 상기 메인 디스크에는 회전축 보다 높은 위치에 보조 체크밸브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관체의 역류 발생시 역류를 차단시키는 메인 디스크의 폐쇄 동작이 서서히 이루어짐으로써 메인 디스크와 밸브 본체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줄이게 되고, 웨이트와 실린더가 동시에 연동됨에 따라 메인 디스크의 개폐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며, 보조 체크밸브의 개폐로 메인 디스크에 가해지는 수압이 감소되어 메인 디스크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역류하는 유체를 바이패스관으로 통과시켜 역류에 의한 수압을 줄여 밸브 본체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밸브 본체의 파손을 방지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밸브, 디스크, 실린더, 웨이트, 역류

Description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Butterfly Type Two-way Check Valve}
도1a는 종래의 버터플라이형 역지밸브를 보인 단면도.
도1b는 도1a의 횡단면도.
도2a는 종래의 유압식 체크밸브를 보인 종단면도.
도2b는 종래의 유압식 체크밸브를 보인 단면도.
도2c는 도2a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밸브를 보인 평면도.
도4는 도3의 측면도.
도5는 도3의 단면도.
도6은 도4의 횡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메인 디스크를 보인 배면도.
도8은 도7의 평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밸브에 사용되는 유압 실린더를 보인 횡단면도.
도10은 도9의 유압실린더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투웨이 밸브 110,120: 제1,2밸브 본체
111,121: 제1플랜지 112,122: 제1결합공
113,123: 경사 플랜지 114,124: 제2결합공
115,125: 바이패스공 116: 회전축 결합공
117: 보스부 126: 돌기부
127: 단턱 128: 시트 글랜드
128a: 체결공 129: 고무시트
130: 바이패스관 131: 파이프
132: 바이패스 밸브
200: 메인 디스크 201: 회전축
202: 디스크 보스 203: 고정공
204: 리브 210: 보조 체크밸브
211: 관통공 212: 플레이트
213: 봉 214: 고정공
215: 스프링 216: 너트
217: 보조 디스크 218: 축
220: 금속 시트
300: 실린더 작동부 310: 웨이트
311: 링크
320: 실린더 321: 피스톤 로드
322: 유압 탱크 323: 이동 관로
본 발명은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도관, 배수관 등의 관체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유체가 관체 내에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관체에는 펌프 등의 압송수단으로 펌핑된 유체가 관체를 따라 이송되는데, 펌프 등의 고장으로 관체 내의 유체를 이송시키지 못하게 될 경우 관체 내의 유체가 역류하게 된다.
이러한 관체 내의 유체가 역류되지 않도록 관체에 체크밸브를 설치하는 것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00-21263호(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에 "버터플라이형 역지 밸브"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1a 내지 도1b에 도시하였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1의 버터플라이형 역지 밸브는 밸브 본체(1)에 30°정도 경사진 밸브본체 금속제 시트링(2) 및 이에 대향하는 금속제 밸브 디스크 시트링(2a)을 장착하고, 밸브축(3)은 밸브 본체(1)의 유체통 구경 중심 보다 상부에 편심되게 고정하며, 밸브 디스크(4)의 밸브축(3)을 중심으로 무게중심이 조절 가능하도록 혹(4a)이 설치된 밸브 디스크(4)를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밸브 보조 디스크(4b)는 연결암(6)으로 밸브축(3)에 고정되어 밸브축(3)과 일체로 회전하며, 밸브축(3)의 일단(3a)에 장착된 유압실린더(7)에 부착된 유량조 절밸브(8)로 유압실린더(7) 내의 작동유 흐름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1의 역지 밸브는 밸브 본체(1) 내의 수압에 의하여 밸브축(3)이 회전함으로써 밸브축(3)의 일단(3a)에 장착된 유압실린더(7)의 피스톤 로드(7a)가 유압실린더(7) 위쪽으로 이동되어 밸브 본체(1)가 개방되어 밸브 본체(1) 내에 유체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밸브 본체(1)가 개방된 상태에서 펌프 등의 압송수단이 일시 정지됨에 따라 밸브 본체(1) 내의 유체가 역류되고, 밸브 디스크(4)는 역류하는 유체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로 전환되며, 밸브 디스크 시트링(2a)과 밸브 본체 금속제 시트링(2)이 접촉됨에 따라 지수(止水)된다.
또한, 보조디스크(4b)는 밸브 본체(1) 내의 역류에 의하여 밸브축(3)이 회전됨과 함께 일단(3a)에 장착된 피스톤 로드(7a)를 하강시키고, 피스톤 로드(7a)의 하강으로 실린더(7) 내부에 채워진 작동유에 의해 반발력이 발생하게 되고, 실린더(7) 내부의 작동유는 유량조절밸브(8)를 통과하여 실린더(7) 위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보조 디스크(4a)는 밸브 디스크(4) 보다 느리게 닫히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1의 밸브축(3)에 결합된 밸브 디스크(4)는 수압에 의해 개방됨과 함께 역류에 따른 수압에 신속하게 개폐됨에 따라 밸브 본체(1)에 충격을 가하게 되어 밸브 본체(1)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69339호(이하, "종래기술2"라 함)에 "유압식 체크밸브"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2a 내지 도2c에 도시하였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2의 유압식 체크 밸브는 밸브 본체(10)의 축지부(11,12)에 디스크(20)가 축(21)의 회전으로 개폐되게 결합되고, 상기 축(21)의 소정 위치에는 웨이트(22)가 암(22a)으로 고정된다. 또한, 축(21)의 일측 축지부(11)에 결합된 브라켓트(13)에 힌지부(42)를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크 개폐용 실린더(40)의 플런저(41)가 상기 축(21)의 단부에 결합된 작동암(30)의 하단부에 연결핀(41a)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울러 브라켓트(13) 내측의 일측 축(21) 단부에는 작동암(30)이 그 작동암(30)과 일측 축(21)의 동력전달을 연결 및 차단하기 위하여 전동부(51)와 유압 작동부(52) 및 스프링 작동부(53)가 구비된 클러치를 개재하여 상기 디스크(20)가 개폐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2의 유압식 체크 밸브는 디스크 개폐용 실린더(40)의 고장 또는 정전 등의 원인으로 유압이 해제되면, 실린더(52a)의 플런저(52b)가 슬라이더(51a)의 지지판(51b)을 밀어주지 못하므로, 슬라이더(51a)가 스프링 작동부(53)의 압축 코일스프링(53)의 탄력으로 이동되어 슬라이더(51a)의 중간착탈부(51c)와 축(21)이 중간 단차부(21a)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이 클러치(50)가 분리된 상태에서 배수관로에 역류가 발생되면, 역류하는 수압과 웨이트(22)의 중량으로 디스크(20)가 밸브 본체(10)를 닫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2는 유압에 의한 작동이 되지 않을 경우 웨이트에 의해 디스크를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디스크의 개폐 동작을 상시 얻을 수 있으나, 웨이트에 의해 디스크 개폐 동작시 밸브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이 커 밸브 본체를 파손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2는 유압장치와 웨이트를 별도로 작동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유압식 체크 밸브의 조립 공정이 많아짐은 물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체크 밸브의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체크밸브의 디스크는 밸브 본체의 중심선으로부터 회전축의 편심을 크게 하면 할수록 디스크의 개폐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나, 이 경우에는 역류에 의한 수압으로 디스크가 폐쇄될 때 디스크가 급격하게 닫힘에 따라 밸브 본체와 접촉하는 충격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반면에 디스크를 설치하는 회전축의 편심을 작게 하면 디스크의 개폐 동작을 원활하게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디스크의 편심을 설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축의 편심을 작게 하면서도 디스크의 개방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역류에 의하여 디스크가 폐쇄될 때에는 디스크의 폐쇄 동작을 완만하게 함으로써 디스크 및 밸브 본체에 충격을 작게 할 수 있는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는, 제1밸브 본체 및 제2밸브 본체로 이루어진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 체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며 밸브 본체를 개폐시키는 메인 디스크로 이루어진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로서, 상기 메인 디스크에는 회전축 보다 높은 위치에 보조 체크밸브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4는 도3의 정면도이며, 도5는 도4의 횡단면도이고, 도6은 도5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7은 본 발명의 메인 디스크를 보인 배면도이고, 도8은 도7의 평단면도이며, 도9는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에 사용되는 유압 실린더를 보인 횡단면도이고, 도10은 도9의 유압실린더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100)는 플랜지로 결합되는 2개의 제1,2밸브 본체(110,120)와, 제1,2밸브 본체(110,120) 내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시키는 메인 디스크(200)와, 메인 디스크(200) 일측에 고정된 웨이트(310)와 연동되는 실린더(320)로 이루어진 실린더 작동부(300)를 구비한다.
아울러 밸브 본체(110,120)는 일직선상으로 연결되게 2개의 제1밸브 본체(110)와 제2밸브 본체(120)로 이루어지며, 이들 밸브 본체(110,120)의 일측면에는 상수도관, 배수관 등의 관체와 연결되도록 제1플랜지(111,121)를 형성하며, 제1플랜지(111,121)에는 다수개의 제1결합공(112,122)을 형성한다.
또한, 밸브 본체(110,120)의 타측면에는 일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 플랜지(113,123)를 형성하고, 경사 플랜지(113,123)에는 제1플랜지(111,121)와 같이 각 각 제2결합공(114,124)을 형성하며, 이들 제1결합공(112,122) 및 제2결합공(114,124)을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한다.
이와 함께 밸브 본체(110,120)에는 바이패스관(130)을 연결하도록 각각 바이패스공(115,125)을 형성하며, 제2밸브 본체(120)의 측부에는 중심선 보다 위쪽으로 편심되게 회전축(201)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회전축 결합공(116)을 형성하고, 이들 회전축 결합공(116)의 외측으로 돌출된 보스부(117)를 형성한다.
또한, 바이패스관(130)은 제1,2밸브 본체(110,120)의 바이패스공(115,125)에 파이프(131)를 연결하고, 파이프(131)의 소정 위치에 바이패스 밸브(132)를 설치하여 임의로 조작되게 설치한다.
아울러 제2밸브 본체(120)의 경사 플랜지(123)에는 제2밸브 본체(120)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부(126)를 형성하며, 제1밸브 본체(110)의 경사 플랜지(113)와 접하는 돌기부(126)에 일정 깊이의 단턱(127)을 다단으로 형성하고, 단턱(127)에 고정되는 시트 글랜드(Seat Gland, 128)를 구비한다.
즉, 단턱(127)과 시트 글랜드(128) 사이에는 메인 디스크(200) 방향으로 돌출되어 메인 디스크(200)의 개폐 동작시 메인 디스크(200)와 밀착되는 고무시트(129)를 고정하고, 시트 글랜드(128)에는 다수개 형성된 체결공(128a)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돌기부(126)에 체결한다.
또한, 메인 디스크(200)는 밸브 본체(110,120)의 경사 플랜지(113,123)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 디스크(200)의 배면 즉, 도5에서 볼 때 우측면에는 일정 폭으로 돌출된 디스크 보스(202)를 형성하며, 디스크 보스(202)의 중심에 는 회전축(201)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공(203)을 형성한다. 이와 함께 회전축(201)의 양단에는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부시(201a)를 결합한다.
이러한 디스크 보스(202)는 메인 디스크(200)의 중심으로부터 상부에 형성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메인 디스크(200)를 제2밸브 본체(120)에 편심되게 설치한다. 이와 함께 디스크 보스(202) 하부에는 돌출된 리브(204)를 형성한다.
또한, 메인 디스크(200)의 디스크 보스(202) 상부에는 보조 체크밸브(210)를 설치한다. 이러한 보조 체크밸브(210)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체크밸브를 사용하면 되는데, 여기서는 그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대 보조 체크밸브(210)는 메인 디스크(200)의 배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보조 체크밸브(210)는 메인 디스크(200)에 일정 직경의 관통공(211)을 형성하며, 이 관통공(211)의 배면에 밀착되는 플레이트(212)를 구비한다.
이러한 플레이트(212)는 다수개의 봉(213)이 고정되는 고정공(214)을 형성하되, 고정공(214)은 봉(213)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며, 봉(213)의 외측에는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215)을 봉(213)의 선단과 고정공(214) 사이에 끼우고, 이들 봉(213)이 이탈되지 않도록 너트(216)를 체결한다(도8 참조).
이와 함께 플레이트(212) 전면에는 메인 디스크(200)의 관통공(211)에 끼워지는 보조 디스크(217)를 결합하고, 보조 디스크(217)는 배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축(218)에 너트를 체결하여 플레이트(212)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또한, 메인 디스크(200) 외주연에는 금속 재질로 된 금속 시트(220)을 고정 한다.
아울러 실린더 작동부(300)는 메인 디스크(200)의 회전축(201) 선단에 고정되는 웨이트(310)와, 상기 웨이트(310)와 함께 연동되는 실린더(3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웨이트(310)는 회전축(201)의 일측에 설치되는데, 회전축(201) 선단에 링크(311)를 키이(Key)로 고정하여 회전축(201)과 웨이트(310)가 일정 각도 만큼 회전되게 고정하며, 링크(311) 사이에 실린더(320)의 피스톤 로드(321)를 고정한다.
이와 같은 실린더(320)는 일측에 유압 탱크(322)를 연결하고, 실린더(320) 내부에 채워진 유체가 이동하도록 이동 관로(323)를 연결한다(도9 참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밸브(100)는 상수도관, 배수관 등 관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유체가 역류하지 않도록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 설치된다.
이와 같이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밸브(100)는 펌프 등의 펌핑장치 고장이나 전원 차단으로 일시 정지되는 경우에 관체 내부에 들어있는 유체가 역류할 때, 밸브가 닫힌 상태로 전환되어 역류하지 않도록 자동적으로 닫히게 된다.
즉, 펌프장치의 작동으로 관체에는 유체를 이송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흐르는 유체의 수압에 의하여 제1,2밸브 본체(110,120) 내의 메인 디스크(200)가 개방된다.
이러한 메인 디스크(200) 개방은 메인 디스크(200)의 배면 상부에 회전 축(201)이 편심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경사지게 설치된 메인 디스크(200)에 수압이 작용하게 되고, 메인 디스크(200)를 고정시키고 있는 웨이트(310)의 중량 보다 메인 디스크(200)에 작용하는 수압이 강해짐에 따라 메인 디스크(200)의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웨이트(310)가 상승된다.
이와 같은 메인 디스크(200) 개방시 보조 체크밸브(210)는 회전축(201) 보다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메인 디스크(200) 상부의 보조 체크밸브(210)가 수압에 의하여 먼저 개방된다. 즉, 보조 체크밸브(210)의 플레이트(212)는 봉(213)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215)의 탄성력 보다 수압이 강하게 작용함에 따라 플레이트(212)가 후퇴되어 개방된다.
이러한 메인 디스크(200)에 작용하는 수압은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메인 디스크(200) 하부의 단면적이 메인 디스크(200) 상부의 단면적 보다 크므로, 메인 디스크(200) 하부에 작용하는 수압은 메인 디스크(200)의 상부에 작용하는 수압 보다 크게 작용되고, 이때 메인 디스크(200) 상부에 작용하는 수압은 보조 체크밸브(210)의 개방으로 단면적이 더욱 작아짐에 따라 메인 디스크(200)의 하부 수압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된다.
그러므로 메인 디스크(200)는 편심된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개방되며, 보조 체크밸브(210)의 설치로 편심된 회전축(201)의 편심을 작게 하여도 메인 디스크(200)의 개방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보조 체크밸브(210)가 개방된 상태에서 메인 디스크(200) 하부에 작용하는 수압이 웨이트(310)의 중량과 실린더(320)의 작동 압력 보다 강하게 작용 됨에 따라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메인 디스크(200)가 회전되어 유로를 개방시킨다. 이러한 메인 디스크(200) 개방 동작에 따라 웨이트(310)가 상승됨과 함께 실린더 작동부(300)의 피스톤 로드(321)는 하강된다.
이와 같은 메인 디스크(200) 개방 동작은 강한 수압이 필요하므로, 바이패스관(130)의 바이패스 밸브(132)를 조작하여 폐쇄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렇게 메인 디스크(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펌프장치의 고장이나 전원 차단으로 일시 정지됨에 따라 관체에 들어있는 유체는 역류된다. 이에 따라 메인 디스크(200) 배면에 수압이 작용된다.
이와 같이 역류하는 수압은 개방된 메인 디스크(200)에 작용하여 메인 디스크(200)를 역회전시켜 관체의 유로를 폐쇄시키게 되는데, 스프링(215)의 탄성력에 의하여 보조 체크밸브(210)가 먼저 닫히게 되고, 경사진 메인 디스크(200)에 수압이 작용된다.
이때 메인 디스크(200)에 작용하는 수압은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하였을 때 메인 디스크(200) 하부의 단면적이 메인 디스크(200) 상부의 단면적 보다 크므로, 메인 디스크(200)의 하부에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닫히게 된다.
즉, 역류에 의한 수압은 메인 디스크(200)의 회전축(201)이 편심되어 있어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메인 디스크(200)의 하부 단면적이 상부 단면적 보다 넓으므로, 메인 디스크(200)의 상부와 하부의 단면적 차이 만큼 메인 디스크(200) 하부에 강한 수압이 작용된다.
이와 함께 메인 디스크(200)는 중량체인 웨이트(310)가 수직선에 가깝게 올 라간 상태이므로, 메인 디스크(200) 하부에 작용하는 수압이 커짐에 따라 웨이트(310)가 서서히 내려오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 디스크(200)는 수압과 함께 웨이트(310) 중량에 의해 하강되며, 실린더 작동부(300)의 피스톤 로드(321)는 상승되므로, 메인 디스크(200)는 서서히 회전된다.
이와 같이 메인 디스크(200)에 역류가 작용하면, 역류하는 수압이 메인 디스크(200)의 배면 하부에 작용되고, 이러한 수압과 함께 웨이트(310) 중량이 메인 디스크(200)에 작용하더라도 실린더(320)가 웨이트(310)를 서서히 하강시키도록 메인 디스크(200)에 작용하는 수압에 대한 반발력을 가지므로, 메인 디스크(200)는 서서히 폐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메인 디스크(200)를 설치하는 회전축(201)의 편심을 밸브 본체(110,120)의 수평 중심선으로부터 근접하게 설치된 상태, 즉, 메인 디스크(200)의 편심 위치를 작게 하더라도 메인 디스크(200)의 개방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반면, 역류하는 수압에 의해 메인 디스크(200)가 폐쇄될 때에는 보조 체크밸브(210)가 폐쇄됨으로써 메인 디스크(200)의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상부 단면적 전체에 수압이 작용된다.
따라서, 메인 디스크(200)의 개방 동작시에 비하여 하부에 작용하는 수압과 상부에 작용하는 수압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되어 메인 디스크(200)는 완만한 상태로 회전되면서 유로를 폐쇄시킴으로써 밸브 본체(110,120)에 가해지는 충격 및 수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 디스크(200)는 외주연에 고정된 금속 시트(220)과 고무시트(129)의 밀착으로 역류하는 유체를 차단시킨다.
한편, 밸브 본체(110,120)에 설치된 바이패스관(130)은 역류하는 수압을 낮추기 위하여 개방된 상태로 전환시켜 두면, 바이패스관(130)을 통하여 유체가 흐르게 되어 메인 디스크(200)에 작용하는 수압을 낮출 수 있어 메인 디스크(200)의 폐쇄동작이 더욱 느리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인 디스크(200)에 설치된 보조 체크밸브(210)는 스프링(215)에 의해 개폐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스윙 체크 밸브, 틸팅 디스크 체크 밸브 등 다양한 형태의 체크밸브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디스크를 고정시키는 회전축의 편심을 작게 하더라도 메인 디스크의 개방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역류 발생시 역류를 차단하는 메인 디스크의 폐쇄 동작이 서서히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메인 디스크와 밸브 본체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웨이트와 실린더가 동시에 연동됨에 따라 메인 디스크의 개폐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며, 보조 체크밸브의 개폐로 메인 디스크에 가해지는 수압이 감소되어 메인 디스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역류하는 유체를 바이패스관으로 통과시켜 역류에 의한 수압을 줄여 밸브 본체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밸브 본체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제1밸브 본체 및 제2밸브 본체로 이루어진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며 밸브 본체를 개폐시키는 메인 디스크로 이루어진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크에는 회전축 보다 높은 위치에 보조 체크밸브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체크밸브는 관통공 배면에 플레이트를 위치시키고, 관통공 전면으로 고정된 다수개의 봉 외측에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 본체와 제2밸브 본체는 경사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제2밸브 본체의 경사 플랜지에는 메인 디스크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에 다단으로 형성된 단턱을 형성하며, 상기 단턱에 고정되는 시트 글랜드를 구비하여 단턱과 시트 글랜드 사이에 고무시트를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일단에는 메인 디스크 회전시 회전되는 웨이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에는 링크를 개재하여 실린더를 연결하되, 상기 실린더는 웨이트의 승강에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회전축 선단에 고정된 웨이트 링크와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를 연동되게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크는 그 외주연에 금속 시트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
KR1020060073501A 2006-08-03 2006-08-03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 KR100646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501A KR100646048B1 (ko) 2006-08-03 2006-08-03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501A KR100646048B1 (ko) 2006-08-03 2006-08-03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6048B1 true KR100646048B1 (ko) 2006-11-15

Family

ID=3765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501A KR100646048B1 (ko) 2006-08-03 2006-08-03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0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0060A (zh) * 2011-11-08 2013-05-08 安徽铜都阀门股份有限公司 新型蝶式微阻缓闭止回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3241A (ja) 1997-01-30 1998-08-11 Tomoe Gijutsu Kenkyusho:Kk デュアルプレート逆止弁
JP2002081553A (ja) 2000-09-05 2002-03-22 Kurimoto Ltd 安全弁付き開閉弁
KR200352379Y1 (ko) 2004-03-24 2004-06-05 주식회사현대밸브 역류방지밸브
KR100509237B1 (ko) 2004-07-20 2005-08-22 주식회사 대한종합밸브 몸통 시트 볼형 메탈시트 버터플라이밸브
KR100567927B1 (ko) 2005-09-14 2006-04-05 주식회사 삼진정밀 공기흡배기부를 갖는 체크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3241A (ja) 1997-01-30 1998-08-11 Tomoe Gijutsu Kenkyusho:Kk デュアルプレート逆止弁
JP2002081553A (ja) 2000-09-05 2002-03-22 Kurimoto Ltd 安全弁付き開閉弁
KR200352379Y1 (ko) 2004-03-24 2004-06-05 주식회사현대밸브 역류방지밸브
KR100509237B1 (ko) 2004-07-20 2005-08-22 주식회사 대한종합밸브 몸통 시트 볼형 메탈시트 버터플라이밸브
KR100567927B1 (ko) 2005-09-14 2006-04-05 주식회사 삼진정밀 공기흡배기부를 갖는 체크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0060A (zh) * 2011-11-08 2013-05-08 安徽铜都阀门股份有限公司 新型蝶式微阻缓闭止回阀
CN103090060B (zh) * 2011-11-08 2014-10-15 安徽铜都阀门股份有限公司 新型蝶式微阻缓闭止回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17953B (zh) 用于挖掘机铲斗的减振器
US5735067A (en) Snubber for excavator bucket door
JP5120774B2 (ja) 低損失型フラップ弁
KR100646048B1 (ko)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
US9260840B2 (en) Main valve for dry barrel fire hydrant
KR102211180B1 (ko) 차수문
KR100572341B1 (ko) 체크밸브 일체형 버터플라이 밸브
CN110388484B (zh) 一种旋启式止回阀
KR101071909B1 (ko) 유압식 완충경첩
KR200355906Y1 (ko) 수문의 구조
JP3413598B2 (ja) オーバーリンクゲート
CN113202957A (zh) 一种轴流式止回阀
CN114811121A (zh) 旋启式内螺纹止回阀
KR200352379Y1 (ko) 역류방지밸브
CN219450658U (zh) 一种齿轮齿条液压缸复合驱动翻板闸门
CN112412260A (zh) 设门吸的门
JP6347876B1 (ja) 多点支持型フラップゲート
KR101204446B1 (ko) 스윙 체크 밸브
KR200326120Y1 (ko) 무게중심이동형 플랩 밸브
US20150376877A1 (en) Biased Drain Valve for Dry Barrel Fire Hydrant
KR101332784B1 (ko) 수문 구동장치
KR100831921B1 (ko) 쿠션 체크밸브
CN217634056U (zh) 可控制无泄漏止回阀
JP4066356B2 (ja) ポンプの取付構造
CN214367808U (zh) 一种液压驱动蝶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