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622B1 - 도어 클로저 - Google Patents

도어 클로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622B1
KR101835622B1 KR1020170015355A KR20170015355A KR101835622B1 KR 101835622 B1 KR101835622 B1 KR 101835622B1 KR 1020170015355 A KR1020170015355 A KR 1020170015355A KR 20170015355 A KR20170015355 A KR 20170015355A KR 101835622 B1 KR101835622 B1 KR 101835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fixing
door
accommoda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두
유충현
Original Assignee
에스씨위너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씨위너스(주) filed Critical 에스씨위너스(주)
Priority to KR1020170015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622B1/ko
Priority to PCT/KR2017/013752 priority patent/WO2018143551A1/ko
Priority to US16/069,174 priority patent/US2021020741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025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or tract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luid brakes of the rotary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용성이 높고, 시공비가 절약될 수 있는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는 제1클로저부 그리고 제2클로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클로저부는 도어틀 및 도어에 결합되고,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2클로저부는 제1클로저부에 의해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 시에, 내측에 수용된 점성 유체의 댐핑력에 의해 도어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도어 클로저{DOOR CLOSER}
본 발명은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활용성이 높고, 시공비가 절약될 수 있는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회전력을 제어하여 도어가 급격하게 닫히지 않도록 하거나,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 클로저(Door Closer)가 사용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1563936호에는 자동수동겸용 도어 개폐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수동겸용 도어 개폐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위 선행문헌에 개시되는 도어 개폐시스템에서는 개폐를 위한 구성, 유압유지해제를 위한 구성의 대부분이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미 설치된 도어에 이러한 개폐시스템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어 자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는 시공비 증가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0431191호에는 도어의 자동 폐쇄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위 선행문헌에 개시되는 자동 폐쇄장치에서는 유압식 도어 체커, 유압실린더, 제1작동봉, 제2작동봉 등이 도어 및 벽체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한 파손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이미 설치된 도어 및 벽체가 전술한 위 구성이 마련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지 못하는 형태인 경우, 위 구성이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미 설치된 도어의 설치형태에 의한 제약이 적어 활용성이 높고, 시공비도 절약될 수 있는 도어 클로저가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1563936호(2015.10.29.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0431191호(2006.11.23.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활용성이 높고, 시공비가 절약될 수 있는 도어 클로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어틀 및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클로저부; 그리고 상기 제1클로저부에 의해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 시에, 내측에 수용된 점성 유체의 댐핑력에 의해 상기 도어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도록 하는 제2클로저부를 포함하는 도어 클로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클로저부는 제1수용부를 가지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양단부에 위치되는 제2수용부 및 제3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제1고정부와 힌지 회전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제1경첩부와, 상기 제1수용부, 제2수용부 및 제3수용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를 결합하는 원통 형상의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일단부에 상기 제2수용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조절슬릿이 형성되는 헤드부를 가지는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1하우징부의 내측에 구비되되, 일단부는 상기 제3수용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헤드부에 조절핀으로 결합되며, 비틀림 탄성력에 의한 회전력을 상기 제2고정부에 제공하는 회전력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에는 내측으로 제1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코어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코어부가 상기 제1수용부에 제1방향으로 삽입 시에 상기 제1고정돌기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코어부의 길이 방향으로 제1결합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제공부는 상기 코어부의 내측에 상기 코어부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을 감싸면서 상기 가이드축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토션 스프링과, 상기 가이드축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1고정홈을 가지며, 상기 제3수용부에 결합되는 장력고정부와, 상기 가이드축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고정홈을 가지며, 상기 헤드부에 수용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조절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조절홈이 형성되는 장력조절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수용부에는 내측으로 제2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장력고정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장력고정부가 상기 제3수용부에 제2방향으로 삽입 시에 상기 제2고정돌기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장력고정부의 길이 방향으로 제2결합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클로저부는 제4수용부를 가지는 제3고정부와, 상기 제4수용부의 양단부에 위치되는 제5수용부 및 제6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제3고정부와 힌지 회전하는 제4고정부를 포함하는 제2경첩부와, 상기 제4수용부, 제5수용부 및 제6수용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4수용부와 결합되며, 내주면에 길이방향의 제1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제2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의 내측에 구비되되, 일부는 상기 제2하우징부와 결합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5수용부와 결합되며, 내측에 수용된 점성 유체의 댐핑력에 의해 상기 제4고정부의 회전 속도를 줄이는 속도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수용부에는 내측으로 제3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하우징부가 상기 제4수용부에 삽입 시에 상기 제3고정돌기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제2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제3결합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속도제어부는 외주면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제2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하우징부의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내주면에는 나선형태의 제3가이드부가 형성되며, 내측과 외측으로 상기 점성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1유로홀이 관통 형성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더 방향으로 축관 형성되고 내측에는 체크볼이 구비되는 제2유로홀을 가지는 조절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의 일단부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하우징부의 일단부를 밀폐하여 상기 점성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제1캡부와, 상기 제1캡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절부에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3유로홀에 삽입되되, 상기 제3유로홀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제어바와, 상기 제1캡부에 상기 제1캡부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어바와 결합되어 상기 제어바의 돌출 길이를 조정하는 조정부와, 일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3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제4가이드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의 제5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4고정부와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더가 직선 이동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가 결합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점성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제2캡부와, 내주면에는 상기 제5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제6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은 상기 제5수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4고정부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부에 전달하는 축고정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5수용부에는 내측으로 제4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축고정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축고정부가 상기 제5수용부에 삽입 시에 상기 제4고정돌기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축고정부의 길이방향으로 제4결합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에는 상기 체크볼이 상기 제2유로홀의 확관 부분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유로홀의 적어도 일부분을 막는 커버링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클로저부 및 제2클로저부가 경첩의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미 설치된 도어에 적용이 가능하여 활용성이 높고, 시공비도 절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코어부가 제1방향으로 삽입 결합 시에, 제1결합슬릿에는 제1고정돌기가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하우징부는 제1고정부와 일체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력고정부가 제3수용부에 제2방향으로 삽입 시에, 제2고정돌기는 제2결합슬릿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데, 회전력제공부는 제2고정부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도어가 회전 시에 도어와 연동하여 제2고정부가 회전하게 되면 장력고정부도 연동하여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하우징부가 제4수용부에 삽입 결합 시에, 제3결합슬릿에는 제3고정돌기가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하우징부는 제3고정부와 일체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5수용부에는 내측으로 제4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축고정부의 외주면에는 제4결합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제4결합슬릿은 축고정부가 제5수용부에 삽입 시에, 제4고정돌기가 삽입 결합되도록 축고정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4고정부가 회전 시에 축고정부도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면서 회전축부에 회전력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회전축부가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더(는 제2하우징부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제1클로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제1클로저부의 제1경첩부에 제1하우징부와 회전력제공부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제1클로저부의 회전력제공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제1클로저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제2클로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제2클로저부의 제2경첩부에 제2하우징부와 속도제어부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제2클로저부의 제2하우징부와 속도제어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제2클로저부의 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제2클로저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제1클로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 클로저는 제1클로저부(100) 및 제2클로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클로저부(100)는 도어틀(10) 및 도어(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도어(20)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20)를 열고 손을 놓게 되면, 도어(20)는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제2클로저부(500)는 제1클로저부(100)에 의해 도어(20)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 시에, 내측에 수용된 점성 유체의 댐핑력에 의해 도어(20)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20)가 빠른 속도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2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으며,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제1클로저부(100) 및 제2클로저부(500)는 도어(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제1클로저부(100)는 제1경첩부(210), 제1하우징부(310) 및 회전력제공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경첩부(210)는 제1고정부(220) 및 제2고정부(230)를 가질 수 있다. 제1고정부(220)는 중앙에 제1수용부(221)를 가질 수 있으며, 제2고정부(230)는 서로 이격 형성되는 제2수용부(231) 및 제3수용부(232)를 가질 수 있다. 제2수용부(231) 및 제3수용부(232)는 제1수용부(221)의 양단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1고정부(220) 및 제2고정부(230)는 제1, 제2, 제3수용부(221,231,232)의 축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할 수 있다.
제1고정부(220) 및 제2고정부(230)에는 도어틀(10) 및 도어(2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미도시)가 결합되도록 제1체결공(222,233)이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고정부(220)는 도어틀(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고정부(230)는 도어(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수용부(221)와, 제2수용부(231) 및 제3수용부(232)의 사이에는 제1끼움링(2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제1클로저부의 제1경첩부에 제1하우징부와 회전력제공부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제1클로저부의 회전력제공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제1클로저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제1하우징부(310)는 코어부(311) 및 헤드부(312)를 가질 수 있다. 코어부(311)는 제1수용부(221), 제2수용부(231) 및 제3수용부(232)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1고정부(220) 및 제2고정부(230)의 회전축 역할을 할 수 있다.
헤드부(312)는 코어부(311)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312)는 제1하우징부(310)가 제1경첩부(210)에 결합되었을 때, 제2수용부(231)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312)에는 원주방향으로 조절슬릿(313)이 형성될 수 있다.
코어부(311) 및 헤드부(31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하우징부(310)의 내측에는 회전력제공부(4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코어부(311)의 타단부에는 코어부(311)의 길이 방향으로 제1결합슬릿(314)이 형성될 수 있다. 코어부(311)는 제2수용부(231)로 삽입되어 제1수용부(221) 방향(제1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수용부(221)에는 내측으로 제1고정돌기(2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코어부(311)가 상기 제1방향으로 삽입 결합 시에, 제1결합슬릿(314)에는 제1고정돌기(223)가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하우징부(310)는 제1고정부(22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회전력제공부(410)는 가이드축(420), 토션 스프링(430), 장력고정부(440) 및 장력조절부(450)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축(420)은 코어부(311)의 내측에 코어부(311)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430)은 가이드축(420)을 감싸면서 가이드축(42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장력고정부(440)는 가이드축(420)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장력고정부(440)는 가이드축(420)의 일단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장력고정부(440)에는 제1고정홈(4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고정홈(441)에는 토션 스프링(430)의 일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장력고정부(440)는 제3수용부(232)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수용부(232)에는 내측으로 제2고정돌기(23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장력고정부(440)의 외주면에는 장력고정부(440)의 길이방향으로 제2결합슬릿(442)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력제공부(410)는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제1하우징부(310)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하우징부(310)가 상기 제1방향으로 제1, 제2수용부(221,23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력제공부(410)는 상기 제2방향으로 제1하우징부(310)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장력고정부(440)가 제3수용부(232)에 상기 제2방향으로 삽입 시에, 제2고정돌기(234)는 제2결합슬릿(442)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력제공부(410)는 제2고정부(23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도어(20)가 회전 시에 도어(20)와 연동하여 제2고정부(230)가 회전하게 되면 장력고정부(440)도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장력조절부(450)는 가이드축(420)의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축(420)의 타단부는 장력조절부(450)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력조절부(450)는 가이드축(420)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가이드축(420)의 타단부에 나사홈이 없고, 장력조절부(450)의 내부에도 나사홈이 없는 상태에서 단순히 가이드축(420)의 타단부가 장력조절부(450)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장력조절부(450)는 제2고정홈(451)을 가질 수 있으며, 제2고정홈(451)에는 토션 스프링(430)의 타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장력조절부(450)는 헤드부(312)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장력조절부(450)의 외주면에는 조절슬릿(313)을 통해 노출되는 조절홈(452)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홈(452)은 장력조절부(450)의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조절홈(452)에는 조절슬릿(313)을 통해 외측에서 조절핀(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절핀은 장력조절부(450)가 헤드부(31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력조절부(450)는 제1하우징부(310)와 함께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회전력제공부(410)는 도어(20)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어(20)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 시, 도어(20)와 함께 제2고정부(230)가 회전하게 되면서 장력고정부(44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제1고정부(220)와 결합된 제1하우징부(310)는 회전하기 않기 때문에, 장력조절부(450)는 회전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토션 스프링(430)이 감기면서 비틀림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고, 사용자가 도어(20)를 놓게 되면, 토션 스프링(430)의 복원력에 의해 도어(20)는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제3수용부(232)에는 제1마개(250)가 결합될 수 있고, 제2수용부(231)에는 제2마개(26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마개(250)는 제3수용부(232)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제2마개(260)는 가이드축(420)의 일단부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헤드부(312)에는 헤드부(312) 및 제2마개(260)를 덮는 커버(2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제2클로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제2클로저부의 제2경첩부에 제2하우징부와 속도제어부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제2클로저부의 제2하우징부와 속도제어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제2클로저부의 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클로저부(500)는 제2경첩부(610), 제2하우징부(710) 그리고 속도제어부(8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경첩부(610)는 제3고정부(620) 및 제4고정부(630)를 가질 수 있다. 제3고정부(620)는 중앙에 제4수용부(621)를 가질 수 있으며, 제4고정부(630)는 서로 이격 형성되는 제5수용부(631) 및 제6수용부(632)를 가질 수 있다. 제5수용부(631) 및 제6수용부(632)는 제4수용부(621)의 양단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3고정부(620) 및 제4고정부(630)는 제4, 제5, 제6수용부(621,631,632)의 축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할 수 있다.
제3고정부(620) 및 제4고정부(630)에는 도어틀(10) 및 도어(2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미도시)가 결합되도록 제2체결공(622,633)이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고정부(620)는 도어틀(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4고정부(630)는 도어(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4수용부(621)와, 제5수용부(631) 및 제5수용부(631)의 사이에는 제2끼움링(6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하우징부(710)는 제4수용부(621), 제5수용부(631) 및 제6수용부(632)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3고정부(620) 및 제4고정부(630)의 회전축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하우징부(7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하우징부(710)의 내측에는 속도제어부(8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하우징부(710)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의 제1가이드부(7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711)는 세레이션(Serration)일 수 있다.
또한, 제2하우징부(710)의 외주면에는 제2하우징부(710)의 길이방향으로 제3결합슬릿(7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하우징부(710)는 제4, 제5, 제6수용부(621,631,63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4수용부(621)에는 내측으로 제3고정돌기(6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하우징부(710)가 제4수용부(621)에 삽입 결합 시에, 제3결합슬릿(712)에는 제3고정돌기(623)가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하우징부(710)는 제3고정부(62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속도제어부(810)는 슬라이더(820), 조절부(830), 제1캡부(840), 제어바(850), 조정부(860), 회전축부(870), 제2캡부(880) 및 축고정부(890)를 가질 수 있다.
먼저, 슬라이더(820)의 외주면에는 제1가이드부(711)와 결합되는 제2가이드부(8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821)는 제1가이드부(711)와 짝을 이루는 세레이션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슬라이더(820)는 제2하우징부(710)의 내측에서 제2하우징부(7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820)의 내주면에는 제3가이드부(82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가이드부(822)는 나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제3가이드부(822)는 나선 기어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820)에는 슬라이더(820)의 내측과 외측으로 점성 유체(미도시)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1유로홀(82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830)는 슬라이더(820)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조절부(830)에는 조절부(83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유로홀(831)을 가질 수 있다. 제2유로홀(831)은 슬라이더(820) 방향으로 축관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홀(823)의 내측에는 체크볼(832)이 구비될 수 있다. 체크볼(832)은 제2유로홀(831)의 축관부의 지름보다는 큰 지름을 가지고, 제2유로홀(831)의 확관부의 지름보다는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유로홀(831)의 확관부는 조절부(830)의 일측면으로 관통될 수 있으며, 제2유로홀(831)의 축관부는 조절부(830)의 타측면으로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부(830)의 타측면에는 커버링(833)이 구비될 수 있다. 커버링(833)은 조절부(830)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결합부(834)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835)에 결합되는 후크(836)를 가질 수 있다. 커버링(833)은 제2유로홀(831)의 확관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막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유로홀(831)의 확관 부분으로 체크볼(832)이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부(830)의 중앙에는 축방향으로 제3유로홀(837)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3유로홀(837)은 제1지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조절부(830)의 외주면에는 제1링홈(838)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링홈(838)에는 제1실링부재(839)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실링부재(839)는 제2하우징부(7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제2하우징부(710)의 내측에 수용되는 점성 유체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제1캡부(840)는 제2하우징부(710)의 일단부의 내측에 결합되어 제2하우징부(710)의 일단부를 밀폐할 수 있다. 제1캡부(84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제2링홈(8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링홈(841)에는 제2실링부재(842)가 구비되어 점성 유체가 제2하우징부(710)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캡부(840)의 중앙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제1결합공(84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공(843)에는 조정부(860)가 구비될 수 있다. 조정부(860)는 제1결합공(843)과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제1캡부(84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캡부(840)에는 하나 이상의 제1핀홈(84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핀홈(844)은 제2하우징부(710)에 형성되는 제1핀홀(713)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핀홀(713) 및 제1핀홈(844)으로 제1핀(714)이 결합됨에 따라 제1캡부(840)는 제2하우징부(7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어바(850)는 조정부(86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캡부(84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조절부(830)의 제3유로홀(837)에 삽입될 수 있다. 제어바(850)는 제3유로홀(837)의 제1지름보다 작은 제2지름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제어바(850)는 그 외주면이 제3유로홀(837)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어바(850)는 조정부(860)에 의해 돌출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회전축부(870)의 일단부의 외주면에는 제3가이드부(822)와 결합되는 제4가이드부(871)가 형성될 수 있다. 제4가이드부(871)는 제3가이드부(822)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부(870)의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회전축부(870)의 길이방향으로 제5가이드부(872)가 형성될 수 있다. 제5가이드부(872)는 세레이션일 수 있다. 제5가이드부(872)는 제2하우징부(71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캡부(880)에는 축방향으로 제1관통홀(88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관통홀(881)에는 회전축부(87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캡부(880)는 제2하우징부(710)의 타단부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캡부(88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제3링홈(88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링홈(882)에는 제3실링부재(883)가 구비되어 점성 유체가 제2하우징부(710)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캡부(880)에는 하나 이상의 제2핀홈(88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핀홈(884)은 제2하우징부(710)에 형성되는 제2핀홀(715)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핀홀(715) 및 제2핀홈(884)으로 제2핀(716)이 결합됨에 따라 제2캡부(880)는 제2하우징부(7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캡부(880)의 내주면에는 제4링홈(885)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제4링홈(885)에는 제4실링부재(886)가 구비되어 점성 유체가 회전축부(870)와 제2캡부(880)의 사이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4실링부재(886)는 쿼드링(Quadring)일 수 있다.
축고정부(890)는 내주면에 제5가이드부(872)와 결합되는 제6가이드부(891)가 형성될 수 있다. 제6가이드부(891)는 제5가이드부(872)와 짝을 이루는 세레이션일 수 있다. 축고정부(890)는 제2하우징부(710)의 외측에서 회전축부(870)의 제5가이드부(87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축고정부(890)는 제5수용부(631)에 위치될 수 있다.
제5수용부(631)에는 내측으로 제4고정돌기(634)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축고정부(890)의 외주면에는 제4결합슬릿(892)이 형성될 수 있다. 제4결합슬릿(892)은 축고정부(890)가 제5수용부(631)에 삽입 시에, 제4고정돌기(634)가 삽입 결합되도록 축고정부(89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4고정부(630)가 회전 시에 축고정부(890)도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면서 회전축부(87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회전축부(870)가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더(820)는 제2하우징부(7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6수용부(632)에는 제3마개(650)가 결합될 수 있고, 제5수용부(631)에는 제4마개(660)가 결합될 수 있다. 제3마개(650)는 제6수용부(632)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제4마개(660)는 제5수용부(631)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3마개(650)에는 조정부(860)가 관통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제2관통홀(65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제2클로저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인데, 도 10의 (a)는 도어가 닫힌 상태일 때 속도제어부(810)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의 (b)는 도어가 열린 상태일 때 속도제어부(81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a) 및 (b)를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닫힌 도어가 열리도록 회전하게 되면, 도어(20)에 결합된 제4고정부(630)가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제4고정부(630)와 결합된 축고정부(89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축고정부(890)가 회전하게 되면, 축고정부(890)와 세레이션 결합된 회전축부(870)도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어틀에 결합된 제3고정부(620)는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3고정부(620)에 결합된 제2하우징부(710) 및 제2하우징부(710)와 세레이션 결합된 슬라이더(820)도 회전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회전축부(87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부(870)의 회전력이 슬라이더(820)에 전달되고, 슬라이더(820)는 직선 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20)가 열리도록 회전되면 슬라이더(820)는 상향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2하우징부(710)의 내측에서 제1캡부(840) 및 제2캡부(880) 사이의 공간에는 점성 유체가 채워진 상태이며, 상기 점성 유체는 슬라이더(820)의 제1유로홀(823)을 통해 슬라이더(820)의 내측 및 외측에 모두 채워진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820)가 상향 이동 시에는, 조절부(830) 및 제2캡부(880) 사이의 점성 유체가 가압되게 되면서 점성 유체는 조절부(830)의 제1유로홀(823)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유로홀(823)은 하향으로 확관 형성되기 때문에, 체크볼(832)에 의한 유로의 막힘이 발생하기 않아 저항이 없이 점성 유체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점성 유체는 조절부(830)의 제1유로홀(823)을 통해 조절부(830)의 내측으로 이동한 후, 조절부(830)의 제2유로홀(831)과 제어바(850)의 사이 간격을 통해서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의 개방 회전 시에는 점성 유체의 흐름 저항이 낮아 도어(20)가 비교적 빠르게 열리도록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열렸던 도어(20)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축부(870)의 회전방향이 반대로 되면서 슬라이더(820)는 하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는, 조절부(830) 및 제1캡부(840) 사이의 점성 유체가 압축되게 되는데, 조절부(830)의 제1유로홀(823)의 체크볼(832)이 점성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향 이동하면서 제1유로홀(823)을 막게 되면서 점성 유체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2유로홀(831) 및 제어바(850)의 사이 간격을 통해서만 점성 유체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이는 점성 유체의 흐름 저항을 높이게 되기 때문에, 즉, 댐핑력이 증가되기 때문에, 도어(20)의 닫힘 회전 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클로저부
210: 제1경첩부
223: 제1고정돌기
234: 제2고정돌기
310: 제1하우징부
410: 회전력제공부
420: 가이드축
430: 토션 스프링
440: 장력고정부
450: 장력조절부
500: 제2클로저부
610: 제2경첩부
623: 제3고정돌기
634: 제4고정돌기
710: 제2하우징부
810: 속도제어부
820: 슬라이더
830: 조절부
831: 제2유로홀
832: 체크볼
833: 커버링
837: 제3유로홀
840: 제1캡부
850: 제어바
860: 조정부
870: 회전축부
880: 제2캡부
890: 축고정부

Claims (10)

  1. 도어틀 및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클로저부; 그리고
    상기 제1클로저부에 의해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 시에, 내측에 수용된 점성 유체의 댐핑력에 의해 상기 도어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도록 하는 제2클로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클로저부는
    제1수용부를 가지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양단부에 위치되는 제2수용부 및 제3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제1고정부와 힌지 회전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제1경첩부와,
    상기 제1수용부, 제2수용부 및 제3수용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를 결합하는 원통 형상의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일단부에 상기 제2수용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조절슬릿이 형성되는 헤드부를 가지는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1하우징부의 내측에 구비되되, 일단부는 상기 제3수용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헤드부에 조절핀으로 결합되며, 비틀림 탄성력에 의한 회전력을 상기 제2고정부에 제공하는 회전력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에는 내측으로 제1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코어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코어부가 상기 제1수용부에 제1방향으로 삽입 시에 상기 제1고정돌기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코어부의 길이 방향으로 제1결합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제공부는
    상기 코어부의 내측에 상기 코어부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을 감싸면서 상기 가이드축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토션 스프링과,
    상기 가이드축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1고정홈을 가지며, 상기 제3수용부에 결합되는 장력고정부와,
    상기 가이드축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고정홈을 가지며, 상기 헤드부에 수용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조절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조절홈이 형성되는 장력조절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용부에는 내측으로 제2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장력고정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장력고정부가 상기 제3수용부에 제2방향으로 삽입 시에 상기 제2고정돌기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장력고정부의 길이 방향으로 제2결합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6. 삭제
  7. 삭제
  8. 도어틀 및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클로저부; 그리고
    상기 제1클로저부에 의해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 시에, 내측에 수용된 점성 유체의 댐핑력에 의해 상기 도어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도록 하는 제2클로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클로저부는
    제4수용부를 가지는 제3고정부와, 상기 제4수용부의 양단부에 위치되는 제5수용부 및 제6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제3고정부와 힌지 회전하는 제4고정부를 포함하는 제2경첩부와,
    상기 제4수용부, 제5수용부 및 제6수용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4수용부와 결합되며, 내주면에 길이방향의 제1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제2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의 내측에 구비되되, 일부는 상기 제2하우징부와 결합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5수용부와 결합되며, 내측에 수용된 점성 유체의 댐핑력에 의해 상기 제4고정부의 회전 속도를 줄이는 속도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속도제어부는
    외주면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제2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하우징부의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내주면에는 나선형태의 제3가이드부가 형성되며, 내측과 외측으로 상기 점성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1유로홀이 관통 형성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더 방향으로 축관 형성되고 내측에는 체크볼이 구비되는 제2유로홀을 가지는 조절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의 일단부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하우징부의 일단부를 밀폐하여 상기 점성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제1캡부와,
    상기 제1캡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절부에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3유로홀에 삽입되되, 상기 제3유로홀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제어바와,
    상기 제1캡부에 상기 제1캡부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어바와 결합되어 상기 제어바의 돌출 길이를 조정하는 조정부와,
    일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3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제4가이드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의 제5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4고정부와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더가 직선 이동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가 결합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점성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제2캡부와,
    내주면에는 상기 제5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제6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은 상기 제5수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4고정부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부에 전달하는 축고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5수용부에는 내측으로 제4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축고정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축고정부가 상기 제5수용부에 삽입 시에 상기 제4고정돌기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축고정부의 길이방향으로 제4결합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에는 상기 체크볼이 상기 제2유로홀의 확관 부분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유로홀의 적어도 일부분을 막는 커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KR1020170015355A 2017-02-03 2017-02-03 도어 클로저 KR101835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355A KR101835622B1 (ko) 2017-02-03 2017-02-03 도어 클로저
PCT/KR2017/013752 WO2018143551A1 (ko) 2017-02-03 2017-11-29 도어 클로저
US16/069,174 US20210207417A1 (en) 2017-02-03 2017-11-29 Door clo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355A KR101835622B1 (ko) 2017-02-03 2017-02-03 도어 클로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622B1 true KR101835622B1 (ko) 2018-03-08

Family

ID=6172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355A KR101835622B1 (ko) 2017-02-03 2017-02-03 도어 클로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6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4872B1 (ko) 1998-08-20 2001-03-15 남선오 유압식크로져와 스프링식크로져 및 그것들을 구비한 도어의 경첩
KR200255881Y1 (ko) * 1998-12-11 2002-01-17 장종복 유압경첩과 스프링경첩을 이용한 문의 설치장치
KR100337469B1 (ko) * 1999-10-12 2002-05-23 민병덕 유압식 도어 체커
JP2016186157A (ja) 2015-03-27 2016-10-27 日東工器株式会社 左開き及び右開きドア兼用クローザ機能付きドアヒン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4872B1 (ko) 1998-08-20 2001-03-15 남선오 유압식크로져와 스프링식크로져 및 그것들을 구비한 도어의 경첩
KR200255881Y1 (ko) * 1998-12-11 2002-01-17 장종복 유압경첩과 스프링경첩을 이용한 문의 설치장치
KR100337469B1 (ko) * 1999-10-12 2002-05-23 민병덕 유압식 도어 체커
JP2016186157A (ja) 2015-03-27 2016-10-27 日東工器株式会社 左開き及び右開きドア兼用クローザ機能付きドアヒン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2029A (en) Hydraulic hinge
KR100915101B1 (ko) 로터리 댐퍼를 가진 힌지
EP1331343A2 (en) Damper apparatus
US11072958B2 (en) Damper hinge and western-style toilet using the same
KR101213128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갖는 여닫이 도어
US20210207417A1 (en) Door closer
US4325164A (en) Offset pivot hinges with door closing devices
KR101835622B1 (ko) 도어 클로저
GB2479804A (en) A damped hinge
KR101333385B1 (ko) 실린더 장치
KR101482725B1 (ko)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
KR101983813B1 (ko) 도어 클로저
KR100439421B1 (ko) 도어 힌지 유니트
KR101545436B1 (ko) 프리 스톱 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 클로저
KR101541373B1 (ko) 도어 클로저
KR101784173B1 (ko) 회전식 도어 구동 장치
KR100443623B1 (ko) 분리형 유압식 및 압축스프링식 오토 도어 클로져
KR100549463B1 (ko) 회전롤의 권회속도 제어용 감속장치
KR102117779B1 (ko) 도어의 클로저 속도 조절 허용 구조
KR100511563B1 (ko) 도어 경첩의 저속 개폐장치
US6240598B1 (en)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n angularly movable member
US20180016830A1 (en) Hydraulic hinge
KR840000825B1 (ko) 문짝정지 기구를 가진 폐문장치의 오프셋 피벗힌지
KR200209589Y1 (ko) 수직형 도어 클로져
KR101975482B1 (ko) 도어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