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482B1 - 도어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482B1
KR101975482B1 KR1020170074954A KR20170074954A KR101975482B1 KR 101975482 B1 KR101975482 B1 KR 101975482B1 KR 1020170074954 A KR1020170074954 A KR 1020170074954A KR 20170074954 A KR20170074954 A KR 20170074954A KR 101975482 B1 KR101975482 B1 KR 101975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cylinder
piston rod
elas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6249A (ko
Inventor
홍찬호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Priority to KR1020170074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482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0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in which a torsion spring rotates a member around an axi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pis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7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mounted at the top of wings, e.g. details related to closer housings, covers, end caps or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어 힌지장치는 도어가 닫힐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장치와,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탄성력을 제공하는 자동 복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장치는 내부에 유동저항을 발생시키는 오일이 충진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오일이 통과할 때 유동저항에 의해 댐핑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 유닛과, 상기 피스톤 유닛에 연결되고 도어에 접촉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유닛과 실린더 내면 사이에 지지되어 피스톤 유닛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도어의 회전반경에 대응하여 상기 실린더를 회전시켜 피스톤 로드가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하는 회전장치로 구성되어, 도어의 회전반경에 대응하여 실린더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피스톤 로드에는 항상 축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댐핑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도어 힌지장치{HINGE APPARATUS FOR DOOR}
본 발명은 냉장고 등의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가 닫히거나 열릴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장치와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자동 복귀장치가 구비된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도어에 장착되는 힌지장치에는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장치와 스프링 장치에 의해 열림 충격 및 닫힘 충격을 흡수하고 도어가 천천히 닫히거나 열리도록 하는 댐핑장치가 구비된다.
종래의 자동복귀 힌지장치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00874633(2008년 12월 11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어를 자동으로 열고 닫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원장치와 도어가 열고 닫힐 때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되고, 복원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탄성케이싱과, 탄성케이싱 내부에 설치되고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와, 제1탄성부재의 한쪽 끝에 체결되어 탄성력을 일정한 크기로 제한하는 클러치장치와, 도어의 회전력을 클러치 장치에 전달하기 위해 클러치장치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샤프트와, 제1탄성부재 다른 쪽 끝단에 결합되고 나사 홈이 형성된 스프링 고정부재와, 스프링 고정부재 한 쪽 끝단에 형성된 돌기와 샤프트 한 쪽 끝단 사이에 설치되어, 샤프트와 도어의 지지부재의 견고한 체결을 위해 도어의 지지부재를 향하여 샤프트를 밀어주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완충장치는 완충 케이스가 고정되고 피스톤 로드가 완충 케이스에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완충작용을 수행하는데, 일반적인 도어의 경우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피스톤 로드가 회전 운동하는 도어에 연결되어 직선 왕복운동을 할 경우 피스톤 로드에 축의 직각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져 피스톤 로드에 변형이 발생되어 완충작용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종래의 복원장치는 제1스프링의 탄성력이 한번 세팅되면 변경이 어려워 사용자 선택에 따라 복원력을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00874633(2008년 12월 11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가 열고 닫힐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장치가 도어의 회전반경에 따라 동일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회전운동하는 도어에 대응함으로써, 댐핑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자동 복귀장치의 스프링 탄성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직접 도어의 열리고 닫히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도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 힌지장치는 도어가 닫힐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장치와,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탄성력을 제공하는 자동 복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장치는 내부에 유동저항을 발생시키는 오일이 충진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오일이 통과할 때 유동저항에 의해 댐핑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 유닛과, 상기 피스톤 유닛에 연결되고 도어에 접촉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유닛과 실린더 내면 사이에 지지되어 피스톤 유닛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도어의 회전반경에 대응하여 상기 실린더를 회전시켜 피스톤 로드가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하는 회전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장치는 실린더의 외면에 장착되고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에 고정되는 힌지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사각 바 형태이고, 그 내부에 실린더가 고정되며, 힌지축은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 브라켓은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힌지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되는 힌지홀이 형성되고, 본체에 볼트 체결되는 볼트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장치는 실린더의 일단이 제1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라켓과, 상기 피스톤 로드의 끝부분에 제2힌지부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중앙측은 제3힌지부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힌지 연결되며, 그 타단은 도어에 접촉되는 링크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피스톤 로드가 인출되면서 댐핑력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장치는 도어가 힌지 연결되는 본체에 고정되고 실린더의 일단이 제1힌지부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제2힌지부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와 도어 사이에 연결되어 도어의 미는 힘을 피스톤 로드에 전달하는 힘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힘 전달부재는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절곡부에 제2힌지부가 형성되며, 그 일단은 피스톤 로드에 제3힌지부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은 도어에 접촉되며, 상기 실린더는 피스톤 로드가 인출되면서 댐핑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 복귀장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과,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측에 설치되어 토션 스프링을 수축 및 이완시켜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력 조절유닛과,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측에 설치되어 도어의 회전각도에 따라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을 전달 및 차단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력 조절유닛은 케이싱의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삽입되고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와, 상기 케이싱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토션 스프링의 일단이 지지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스프링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실린더의 일단에 장착되는 제2캡 부재와, 상기 제2캡 부재의 내면과 회전부재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어 회전부재의 일방향으로 회전은 가능하게 하고 타방향으로 회전을 제한하는 래칫부를 포함한다.
상기 래칫부는 제2캡 부재의 내면에 장착되는 제1기어부와, 상기 제1기어부에 맞물리고, 회전부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어부 및 제2기어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방향 회전은 가능하게 하고, 타방향 회전은 제한하고, 상기 회전부재를 누르면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가 서로 분리되어 회전부재가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힌지장치는 도어가 열고 닫힐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장치가 도어의 회전반경에 따라 동일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회전운동하는 도어에 대응함으로써, 댐핑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자동 복귀장치의 스프링 탄성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직접 도어의 열리고 닫히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가 장착된 본체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핑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핑장치의 종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핑장치의 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댐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댐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복귀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의 댐핑장치가 본체에 장착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의 댐핑장치의 자동 복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의 댐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는 본체(10)에 힌지 연결부(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본체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2)와, 도어(12)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10) 사이에 연결되어 도어(12)가 열리고 닫힐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장치(20)와, 도어(1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연결부(14)에 장착되어 도어(12)가 열리고 닫힐 때 도어(12)의 닫히는 방향 및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자동 복귀장치(30)를 포함한다.
댐핑장치(20)는 내부에 유동저항을 발생시키는 오일이 충진되는 실린더(22)와, 실린더(22)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실린더(22) 내부를 제1챔버(40)와 제2챔버(42)로 구획하며 오일이 통과할 때 유동저항에 의해 댐핑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 유닛(24)과, 피스톤 유닛(24)에 연결되고 도어(12)에 접촉되는 피스톤 로드(26)와, 피스톤 유닛(24)과 실린더(22) 내면 사이에 지지되어 피스톤 유닛(2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8)과, 실린더(22)가 도어(12)의 회전반경에 대응하여 회전되도록 실린더(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장치(50)을 포함한다.
실린더(22)의 일면에는 피스톤 로드(26)가 직선 이동되도록 지지하고 실린더(22)를 밀봉하는 제1밀봉 캡(44)이 장착되고, 실린더(22)의 타면에는 실린더(22)의 타면을 밀봉하는 제2밀봉 캡(46)이 장착된다.
제1밀봉 캡(44)은 실린더(22)의 내면에 고정되고 그 내면에 피스톤 로드(26)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1시일 링(48)이 장착되고, 그 외면에는 실린더(22)의 내면에 밀착되는 제2시일 링(52)이 장착된다. 제2밀봉 캡(46)은 스프링(28)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도록 실린더(22)의 타면에 연장되게 설치되고, 실린더(22)의 내면에 제3시일 링(54)이 밀착된다.
그리고, 실린더(22) 내부는 내경이 큰 제1내경부(56)와, 제1내경부(56)에 비해 내경이 작게 형성되는 제2내경부(58)가 형성된다. 즉, 피스톤 유닛(26)이 제1내경부(56)를 통과할 때에는 피스톤 유닛(24)의 외경에 비해 실린더(22)의 내경이 크기 때문에 피스톤 유닛(56)이 저항없이 빠르게 이동될 수 있고, 피스톤 유닛(56)이 제2내경부(58)를 통과할 때에는 피스톤 유닛(24)의 내경과 일치되므로 피스톤 유닛(24)이 천천히 이동된다.
피스톤 유닛(24)은 피스톤 로드(26)에 고정되고 실린더(22) 내면에 밀착되며 그 외면에 오일이 통과하는 통로가 둘레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오리피스 통로가 형성되는 제1링 부재(60)와, 제1링 부재(60)의 일측에 배치되고 그 내면에 오일이 통과하는 제2통로가 형성되는 제2 링 부재(62)와, 제2링 부재(62)의 일측에 배치되고 둘레방향으로 오일이 통과하는 제3통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3링 부재(64)를 포함한다.
피스톤 로드(26)의 끝부분에는 수지 또는 고무재질의 접촉부재(66)가 장착되어 도어(12)의 측면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댐핑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피스톤 로드(26)가 도어에 접촉되어 실린더(22)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제1챔버(40)에 충진된 오일이 제1링 부재(60)에 형성되는 오리피스 통로를 통해 제2챔버(42)로 이동되면서 오일의 유동저항 및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댐핑 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26)가 더 이동되어 실린더(22)의 제1내경부(56)에 도달되면 실린더(22)의 내경이 피스톤 유닛(24)의 외경에 비해 크기 때문에 오일이 한꺼번에 통과하여서 피스톤 로드(26)가 신속하게 이동된다.
그리고, 도어(12)가 열린 상태가 되면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 로드(26)가 실린더(22)에서 인출되어 원래 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댐핑장치(20)는 도어(12)가 닫힐 때 피스톤 로드(26)가 도어(12)에 접촉되어 피스톤 로드(26)가 피스톤 유닛(24)의 오일이 통과하는 유동저항에 의해 천천히 이동되면서 완충작용을 수행한다. 이때, 도어(12)는 힌지 연결부(14)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고, 피스톤 로드(26)는 직선 운동을 한다. 따라서, 도어(12)와 피스톤 로드(26)가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되는 도어(12)의 닫히는 힘이 피스톤 로드(26)의 축방향으로 작용하지 않고 축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변경되게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은 힘이 반복작용하게 되면 피스톤 로드(26)에 휘어짐이 발생되어 댐핑장치(20)의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전장치(5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12)의 회전반경에 대응하여 실린더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피스톤 로드(26)에 항상 축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도록 한다.
회전장치(50)는 실린더(22)의 외면에 장착되고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하우징(70)과, 하우징(7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힌지축(72,74)과, 힌지축(72,7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본체(10)에 고정되는 힌지 브라켓(76)을 포함한다.
하우징(70)은 사각 바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실린더(22)가 고정되며, 전방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힌지축(72,74)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힌지 브라켓(76)은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힌지축(72,74)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홀(78,80)이 형성되고, 양쪽으로 연장되어 본체(10)에 볼트 체결되는 볼트 체결부(8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회전유닛(50)은 힌지축(72,74)에 의해 실린더(22)가 좌우방향으로 설정된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피스톤 로드(26)가 도어(12)의 회전각도에 맞게 회전될 수 있어 피스톤 로드(26)에는 항상 축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도록 하여 피스톤 로드(26)가 휘어지거나 피스톤 유닛(2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구성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는 실린더(22)의 일단이 제1힌지부(9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라켓(90)과, 일단이 피스톤 로드(26)의 끝부분에 제2힌지부(96)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중앙측은 제3힌지부(98)에 의해 브라켓(90)에 힌지 연결되며, 그 타단은 도어(12)에 접촉되는 링크로드(9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는 도어(12)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링크로드(94)가 도어(12)에 접촉되어 도어(12)를 따라 제3힌지부(98)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피스톤 로드(26)가 실린더(22)에서 인출되면서 댐핑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실린더(22)는 제1힌지부(92)에 의해 브라켓(90)에 힌지 연결되어 링크로드(94)의 회전각도에 따라 설정된 범위 내에서 회전 운동된다. 따라서 피스톤 로드(26)에는 항상 축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구성도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는 본체(10)에 고정되고 실린더(22)의 일단이 제1힌지부(102)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브라켓(100)과, 브라켓(100)에 제2힌지부(108)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26)와 도어(12) 사이에 연결되어 도어(12)의 미는 힘을 피스톤 로드(26)에 전달하는 힘 전달부재(106)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힘 전달부재(106)는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에 제2힌지부(108)가 형성되며, 그 일단은 피스톤 로드(26)에 제3힌지부(104)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은 도어(12)에 접촉된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는 도어(12)가 닫히면 힘 전달부재(106)가 도어(12)의 닫히는 힘에 의해 제2힌지부(108)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힘 전달부재(106)가 연결된 피스톤 로드(26)가 실린더(22)에 인출되면서 댐핑작용을 수행한다. 이때, 피스톤 로드(26)는 힘 전달부재(106)에 의해 항상 축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장치는 도어(12)의 회전 운동을 피스톤 로드(26)에 축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도록 변경해줌으로써, 피스톤 로드(26)에 휘어짐이 발생되거나 댐핑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자동 복귀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싱(110)과, 케이싱(110) 내부에 설치되어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112)과, 토션 스프링(112)의 일측에 설치되어 토션 스프링(112)을 수축 및 이완시켜 토션 스프링(112)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력 조절유닛(114)와, 토션 스프링(112)의 타측에 설치되어 도어(12)의 회전각도에 따라 토션 스프링(112)의 탄성력을 전달 및 차단하는 클러치부(116)를 포함한다.
클러치 장치(116)는 도어 개방 시 연결로드(118)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토션 스프링(112)에 전달해주며, 일정한 각도 이상이 되면 연결로드(118)의 회전력을 토션 스프링(116)에 전달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클러치 장치(116)는 케이싱(110)의 일측에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고 연결로드(118)가 인출되는 제1캡 부재(120)와, 연결로드(118)에 일체로 형성되고 둘레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의 홈(122)이 형성되는 내부 클러치(124)와, 내부 클러치(124)의 홈(122)에 삽입되는 적어도 두 개의 롤러 볼과, 일단이 토션 스프링(112)과 연결되고 내부 클러치(124)가 삽입되며 둘레방향으로 롤러 볼이 삽입되는 적어도 두 개의 홈이 형성되는 외부 클러치(12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클러치 장치(116)는 내부 클러치(124)의 홈(122)에 롤러 볼이 위치하고 롤러볼 외부로 외부 클러치(126)에 형성된 홈이 위치할 경우 롤러 볼이 내부 클러치(124)의 회전력을 외부 클러치(126)에 전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로드(118)의 회전력이 토션 스프링(112)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일정 각도 이상 회전이 되면 롤러 볼이 내부 클러치(124)에 형성된 홈(122)에서 이탈하게 되고, 이 경우 내부 클러치(124)와 외부 클러치(126)는 서로 헛돌게 되어 연결로드(118)의 회전력이 토션 스프링(112)에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반대로 도어의 클로징 시 도어(12)의 회전각이 일정 각도 이하에 도달할 경우 이탈해 있던 롤러 볼이 다시 내부 클러치(124)의 홈(122)에 결합되어 토션 스프링(112)의 회전력이 외부 클러치(126)를 통해 내부 클러치(124)에 전달되어 도어(12)가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탄성력 조절유닛(114)은 클러치 장치(116)에 위치되는 지지부재(132)와, 지지부재(132)에 삽입되고 스프링(134)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130)와, 케이싱(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토션 스프링(112)의 일단이 지지되는 회전부재(136)와, 회전부재(136)와 스프링 지지부(13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부재(136)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34)과, 케이싱(110)의 일단에 장착되는 제2캡 부재(140)와, 제2캡 부재의 내면과 회전부재(136)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어 회전부재(136)가 일방향으로 회전은 가능하게 하고 타방향으로 회전을 제한하는 래칫부(142,144)를 포함한다.
회전부재(136)는 케이싱(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부재(136)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토션 스프링(112)을 수축하여 탄성력이 증가하고,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토션 스프링(112)이 이완되어 탄성력이 줄어든다.
래칫부(142,144)는 제2캡 부재(140)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기어부(142)와, 제1기어부(142)와 맞물리고 회전부재(136)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기어부(144)를 포함한다.
이러한 래칫부(142,144)는 회전부재(136)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제1기어부(142)와 제2기어부(144)가 상호 걸림이 없는 형태이기 때문에 회전부재(136)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회전부재(136)를 타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제1기어부(142)와 제2기어부(144)가 상호 걸림되어 회전부재(136)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탄성력 조절유닛(114)의 작용을 살펴보면, 작업자가 회전부재(136)의 공구 삽입홈(138)에 공구를 삽입한 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부재(136)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토션 스프링(112)의 탄성력을 조절한다. 이때, 래킷부(142,144)에 의해 회전부재(136)는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쉽게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공구를 공구 삽입홈(138)에서 분리하면 회전부재(136)에 작용하는 스프링(134)의 탄성력에 의해 제1기어부(142)와 제2기어부(144)가 맞물린 상태로 되어 회전부재(136)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토션 스프링(112)의 탄성력을 재조정하고자 할 경우 원봉 형태의 공구를 공구 삽입홈(138)에 삽입한 후 회전부재(136)를 눌러주면 제1기어부(142)와 제2기어부(144)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되고 토션 스프링(11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부재(136)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력 조절유닛은 회전부재를 눌러주기만 하면 원상태로 복귀되므로 탄성력을 재조정하기 편리하고, 누구나 쉽게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본체 12: 도어
20: 댐핑장치 30: 자동 복귀장치
22: 실린더 24: 피스톤 유닛
26: 피스톤 로드 50: 회전장치
70: 하우징 72,74: 힌지축
76: 힌지 브라켓

Claims (8)

  1. 도어가 닫힐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장치와,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탄성력을 제공하는 자동 복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장치는 내부에 유동저항을 발생시키는 오일이 충진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오일이 통과할 때 유동저항에 의해 댐핑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 유닛;
    상기 피스톤 유닛에 연결되고 도어에 접촉되는 피스톤 로드;
    상기 피스톤 유닛과 실린더 내면 사이에 지지되어 피스톤 유닛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도어의 회전반경에 대응하여 상기 실린더를 회전시켜 피스톤 로드가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장치는 실린더의 외면에 장착되고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에 고정되는 힌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도어 힌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사각 바 형태이고, 그 내부에 실린더가 고정되며, 힌지축은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라켓은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힌지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되는 힌지홀이 형성되고, 본체에 볼트 체결되는 볼트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실린더의 일단이 제1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라켓과,
    상기 피스톤 로드의 끝부분에 제2힌지부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중앙측은 제3힌지부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힌지 연결되며, 그 타단은 도어에 접촉되는 링크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피스톤 로드가 인출되면서 댐핑력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도어가 힌지 연결되는 본체에 고정되고 실린더의 일단이 제1힌지부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제2힌지부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와 도어 사이에 연결되어 도어의 미는 힘을 피스톤 로드에 전달하는 힘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힘 전달부재는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절곡부에 제2힌지부가 형성되며, 그 일단은 피스톤 로드에 제3힌지부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은 도어에 접촉되며, 상기 실린더는 피스톤 로드가 인출되면서 댐핑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복귀장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과,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측에 설치되어 토션 스프링을 수축 및 이완시켜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력 조절유닛과,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측에 설치되어 도어의 회전각도에 따라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을 전달 및 차단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력 조절유닛은 케이싱의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삽입되고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와,
    상기 케이싱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토션 스프링의 일단이 지지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스프링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케이싱의 일단에 장착되는 제2캡 부재와,
    상기 제2캡 부재의 내면과 회전부재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어 회전부재의 일방향으로 회전은 가능하게 하고 타방향으로 회전을 제한하는 래칫부를 포함하는 도어 힌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부는 제2캡 부재의 내면에 장착되는 제1기어부와, 상기 제1기어부에 맞물리고, 회전부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어부 및 제2기어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방향 회전은 가능하게 하고, 타방향 회전은 제한하고,
    상기 회전부재를 누르면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가 서로 분리되어 회전부재가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장치.
KR1020170074954A 2017-06-14 2017-06-14 도어 힌지장치 KR101975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954A KR101975482B1 (ko) 2017-06-14 2017-06-14 도어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954A KR101975482B1 (ko) 2017-06-14 2017-06-14 도어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249A KR20180136249A (ko) 2018-12-24
KR101975482B1 true KR101975482B1 (ko) 2019-05-07

Family

ID=65010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954A KR101975482B1 (ko) 2017-06-14 2017-06-14 도어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4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220Y1 (ko) * 2002-04-24 2002-07-13 정미경 냉장고의 도어 완충구
JP2007285117A (ja) * 2006-03-20 2007-11-01 Showa Spring Kk 戸体移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633B1 (ko) 2008-04-01 2008-12-17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분리형 자동복귀 힌지장치
KR20110050814A (ko) * 2009-11-09 2011-05-17 세진공업 (주) 힌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220Y1 (ko) * 2002-04-24 2002-07-13 정미경 냉장고의 도어 완충구
JP2007285117A (ja) * 2006-03-20 2007-11-01 Showa Spring Kk 戸体移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249A (ko) 201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462B1 (ko) 가구용 힌지
KR101693409B1 (ko) 가구가동부용 댐핑장치
EP1342875A1 (en) Hinge device with a returning member for automatically closing an open door
KR101418582B1 (ko) 도어 클로저
KR101418581B1 (ko) 도어 폐쇄력을 부가하는 유닛을 구비한 도어 클로저
KR102179930B1 (ko) 도어 힌지장치
KR100720080B1 (ko) 반능동형 구조물 진동 감쇠장치
JP2002031182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1975482B1 (ko) 도어 힌지장치
KR101583649B1 (ko) 도어 힌지장치
CN201326332Y (zh) 一种闭门器
US20210207417A1 (en) Door closer
US20210095506A1 (en) Hinge device for rotating door
EP3456908A1 (en) Closer apparatus
KR102201033B1 (ko) 상향 개폐방식 도어의 힌지장치
KR200424987Y1 (ko) 힌지
US10920476B1 (en) Hinge device for rotating door
KR101745641B1 (ko) 클로저의 토션장치
KR102230565B1 (ko) 산업용 약액저장탱크 뚜껑의 안전개폐장치
CN100585215C (zh) 阻抑旋转体旋转运动的阻尼系统、包含该系统的铰链及包含该铰链的家具
CN112576129A (zh) 旋转门用铰链装置
KR200243185Y1 (ko)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기
EP3887633A1 (en) A furniture hinge with damping adjustment
KR101983813B1 (ko) 도어 클로저
KR101656065B1 (ko) 하우징핀을 가지는 로터리타입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