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339U - 도로용 가이드레일의 충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용 가이드레일의 충격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339U
KR20000011339U KR2019980023749U KR19980023749U KR20000011339U KR 20000011339 U KR20000011339 U KR 20000011339U KR 2019980023749 U KR2019980023749 U KR 2019980023749U KR 19980023749 U KR19980023749 U KR 19980023749U KR 20000011339 U KR20000011339 U KR 200000113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pedestal
support
buffer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현
Original Assignee
박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현 filed Critical 박세현
Priority to KR2019980023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1339U/ko
Publication of KR200000113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339U/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가이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레일 본체(1)의 일면을 반원형으로 만곡지게 만곡부(2)를 형성하고 그 배면 상, 하부는 상, 하 대응되게 절곡하여 받침대(3)를 형성하되 받침대(3)의 중간 중간에 지주(4)와 결합되는 부위에 장홈(5)을 형성하며, 받침대(3)와 가이드레일 본체(1)사이에는 결합볼트(6)가 설치되어 있는 1차 완충재(7)를 삽입하고, 받침대(3)와 지주(4) 사이에는 2차 완충제(8)를 삽입 체결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가이드레일이 휘면서 충격파를 완충시키기 때문에 자동차의 차체와 탑승자를 보호하므로서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가 있으며 또한 가이드레일이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는 완충제의 복원력에 의하여 복원되기 때문에 약한 충격에는 가이드레일을 수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지출을 줄일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도로용 가이드레일의 충격 완충장치
본 고안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가이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레일을 반원형으로 구성하되 가이드레일을 지주에 설치할 때 체결부위에 충격완충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차와 추돌시 가이드레일이 완충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가이드레일이 충격에 의하여 휘었다가 원상복귀 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의 가장자리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사람을 방지하고 자동차의 도로를 안내하기 위하여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바, 종래에 사용되어온 가이드레일을 도로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지주를 설치한 다음 그 지주에 지그재그형상으로 절곡된 금속판을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하였다.
상기와 같이 금속판을 지주에 직접 고정하였기 때문에 자동차가 가이드레일에 부딪칠 경우 그 충격에 의하여 금속판이 휘게되는 단점이 있으며, 한번 휜 금속판은 원상복구가 되지 않기 때문에 가이드레일을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가이드레일이 금속판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된 것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가 금속판에 직접 부딪칠 경우 그 충격파가 차체에 직접 전달되고 이로 인하여 내부의 탑승객이 다치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자동차 또한 크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전자가 부주의하여 자동차가 가이드레일을 가볍게 밀 경우 가이드레일이 밀린 상태에서 그 상태로 있기 때문에 미관상 보기가 흉한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도로관리공단에서 가이드레일을 교체 하므로 서 원자재의 낭비와 불필요한 인건비의 지출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가이드레일 또한 강도를 강하게 하기 위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강도가 강한 반면에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의 효과가 없기 때문에 가벼운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가이드레일을 반원형으로 구성하되 지주에 고정되는 부분에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완충장치를 설치하여 추돌시 가이드레일이 완충재의 역할을 하므로 서 자동차와 탑승객을 보호하는 한편 가벼운 추돌을 가이드레일의 자체 탄력에 의하여 원상 복귀되게 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확대 평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가이드레일 본체 (2) 만곡부 (3) 받침대
(4) 지주 (5) 장홈 (6) 결합볼트
(7) 1차 완충제 (8) 2차 완충제 (9) 스프링
지면에 수개의 지주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금속으로 된 판체를 체결 고정하여서 된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가이드레일 본체(1)의 일면을 반원형으로 만곡지게 만곡부(2)를 형성하고 그 배면 상, 하부는 상, 하 대응되게 절곡하여 받침대(3)를 형성하되 받침대(3)의 중간 중간에 지주(4)와 결합되는 부위에 장홈(5)을 형성하며, 받침대(3)와 가이드레일 본체(1)사이에는 결합볼트(6)가 설치되어 있는 1차 완충재(7)를 삽입하고, 받침대(3)와 지주(4) 사이에는 2차 완충제(8)를 삽입 체결하여서 된 것으로서 미 설명부호 10은 결합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 11은 너트, 13은 반사판을 보인 것이다.
[실시예]
반원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 본체(1)의 받침대(3)와 지주(4)사이에 스프링(9)이 내장되어 있는 완충제를 설치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도로의 가장자리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지주(4)를 설치한다. 이때 지주(4)는 1차 완충제(7)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볼트(6)와 그 일측에 설치되는 결합볼트의 길이와 같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반원형의 가이드레일 본체(1)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3)에 결합볼트(6)가 설치되어 있는 1차 완충제(7)를 삽입 체결한다. 이때 결합볼트(7)가 설치되어 있는 1차 완충제(7)는 받침대(3)에 형성되어 있는 장홈(5)으로 하단에서 상부측으로 밀어서 체결한 다음 결합볼트(6)의 외부에서 2차 완충제(8)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가이드레일 본체(1)를 들어올려 결합볼트(6)가 지주(4)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으로 삽입되게 한 다음 지주(4)의 후면에서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자동차가 가이드레일에 부딪쳐 충격이 가해질 경우 그 충격파가 가이드레일과 지주사이에 체결되어 있는 2차 완충제(8)에 전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2차 완충제(8)가 압축되면서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레일의 상, 하부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그 충격파는 가이드레일의 배면과 받침대(3)사이에 체결되어 있는 1차 완충제(7)가 압착되면서 완충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충격파가 해제되면 1, 2차 완충제(7)(8)에 의하여 가이드레일 본체(1)가 원상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이드레일 본체(1)에 전해지는 충격파로 인하여 가이드레일 본체(1)가 밀리게 되면 가이드레일 본체(1)와 지주(4)사이에 체결되어 있던 2차 완충제(8)가 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지주(4)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이드레일 본체(1)가 밀리기 때문에 그 힘에 의하여 2차 완충제(8)가 압착하면서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며, 가해지던 충격파가 제거되면 2차 완충제()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던 스프링(9)이 삽입되어 있는 완충제의 복원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원상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가이드레일 본체(1)와 지주(4)사이에 체결되어 있는 2차 완충제(8)는 제3도에서와 같이 지주(4)에 접하는 면이 반원형으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2차 완충제(8)가 지주(4)에 전체적으로 충격파를 전달하기 때문에 충격을 최대로 완충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가이드레일과 지주사이에 체결되는 완충제를 스프링으로 대체하여도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가이드레일을 반원형으로 구성하되 지주에 고정되는 부분에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완충장치를 설치하여 추돌시 가이드레일 이 완충재의 역할을 하므로서 자동차와 탑승객을 보호하는 한편 가벼운 추돌을 가이드레일의 자체 탄력에 의하여 원상 복귀되게 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가이드레일이 휘면서 충격파를 완충시키기 때문에 자동차의 차체와 탑승자를 보호하므로 서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가 있으며 또한 가이드레일이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는 완충제의 복원력에 의하여 복원되기 때문에 약한 충격에는 가이드레일을 수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지출을 줄일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지면에 수개의 지주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금속으로 된 판체를 체결 고정하여서 된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가이드레일 본체(1)의 일면을 반원형으로 만곡지게 만곡부(2)를 형성하고 그 배면 상, 하부는 상, 하 대응되게 절곡하여 받침대(3)를 형성하되 받침대(3)의 중간 중간에 지주(4)와 결합되는 부위에 장홈(5)을 형성하며, 받침대(3)와 가이드레일 본체(1)사이에는 결합볼트(6)가 설치되어 있는 1차 완충재(7)를 삽입하고, 받침대(3)와 지주(4) 사이에는 2차 완충제(8)를 삽입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가이드레일의 충격 완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탄력이 있는 완충제의 내부에 스프링(9)을 내장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가이드레일의 충격 완충장치.
KR2019980023749U 1998-12-01 1998-12-01 도로용 가이드레일의 충격 완충장치 KR200000113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749U KR20000011339U (ko) 1998-12-01 1998-12-01 도로용 가이드레일의 충격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749U KR20000011339U (ko) 1998-12-01 1998-12-01 도로용 가이드레일의 충격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339U true KR20000011339U (ko) 2000-07-05

Family

ID=6950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749U KR20000011339U (ko) 1998-12-01 1998-12-01 도로용 가이드레일의 충격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133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054A (ko) 2017-09-13 2019-03-21 김미진 Pvc 강화용 기능성 안전 가이드레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054A (ko) 2017-09-13 2019-03-21 김미진 Pvc 강화용 기능성 안전 가이드레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1278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구조
KR20020039159A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구조
KR101085888B1 (ko) 가드레일의 충격감쇄 구조
AU2017200567A1 (en) Traffic Barrier Structure
KR200316380Y1 (ko) 가드레일 완충구
KR20000011339U (ko) 도로용 가이드레일의 충격 완충장치
KR100491129B1 (ko) 도로용 가드레일
KR102185578B1 (ko) 가드레일에 대한 충격흡수 및 승월방지를 위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WO2004090234A1 (en) Guardrail for roads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JP2906013B2 (ja) ガードフェンス
KR20070122087A (ko) 도로 설치용 완충장치
KR20080102017A (ko) 이중 상쇄구조의 도로용 충격흡수대
KR200316379Y1 (ko) 블록아웃고정 다중충격완화장치
CN210420773U (zh) 一种市政工程用的防撞路肩
KR20070050539A (ko) 가드레일 이음부 완충장치
KR200229387Y1 (ko) 도로용 가드레일
KR100742304B1 (ko) 도로의 충격 와해 흡수시설
KR20070050673A (ko) 가드레일용 차량충격 완충장치
KR200252272Y1 (ko) 완충가이드 레일
KR200283362Y1 (ko) 이중 가드레일판으로 되는 가드레일
KR20020086370A (ko) 충격 흡수용 가이드 레일
KR200239161Y1 (ko) 도로용 가이드레일
KR100435472B1 (ko) 도로의 교통안전 보호장치
KR200300036Y1 (ko) 충격 흡수용 가이드 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