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329A - 낚싯줄케이스 - Google Patents
낚싯줄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11329A KR20000011329A KR1019990024283A KR19990024283A KR20000011329A KR 20000011329 A KR20000011329 A KR 20000011329A KR 1019990024283 A KR1019990024283 A KR 1019990024283A KR 19990024283 A KR19990024283 A KR 19990024283A KR 20000011329 A KR20000011329 A KR 200000113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shing line
- case
- spool
- groove
- cutt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41000276420 Lophius pisca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02 bimo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9 user support system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낚싯줄(12)가 감기는 스풀(14)와, 이 스풀을 유지하는 케이스 본체(16)을 구비하는 낚싯줄 케이스(10)에서, 스풀의 제 1 플랜지부(20)의 외경이 제 2 플랜지부(22)의 외경보다도 작으며, 케이스 본체(16)이 스풀의 낚싯줄 권선부(18)를 둘러싸는 환상체를 구비하고, 환상체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플랜지부(20)의 외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환상체의 일측의 단면(24)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플랜지부(22)의 외주연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환상체의 내주면에 제 1 플랜지부(22)의 외주연부와 맞물려서 스풀의 탈락을 방지하는 돌기(28)이 설치되며, 또한 환상체에 낚싯줄을 끌어내기 위한 관통홈(30)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낚싯줄 케이스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낚싯줄을 수납하기 위한 낚싯줄에 케이스에 관한다.
낚싯줄 케이스는 낚싯줄을 감은 스풀을 케이스 본체 내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낚시를 할 때, 낚시꾼은 통상, 복수의 낚싯줄을 각각의 낚싯줄 케이스에 넣은 상태로 휴대하며, 상황에 따라서 낚싯줄을 선택하여, 낚싯대에 세팅하거나 줄을 교환하거나 한다. 이러한 작업은 급속히 행하여지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낚싯줄 케이스에는 기능성 내지 취급의 용이성이 요구된다.
상기 요청에 대응하기 위하여, 종래, 케이스 본체에서 스풀을 꺼내지 않고 낚싯줄의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낚싯줄 케이스나, 클립과 같은 낚싯줄 고정부재를 설치하여 낚싯줄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낚싯줄 케이스 혹은, 인출한 낚싯줄의 절단을 가능하게 하는 낚싯줄 케이스 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낚싯줄 케이스는 어느 쪽도 상기 요청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능성이 우수하며 취급이 용이한 새로운 낚싯줄 케이스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줄 케이스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낚싯줄 케이스 두 개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낚싯줄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낚싯줄 케이스의 낚싯줄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줄 케이스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 : 낚싯줄 케이스 12 : 낚싯줄
14 : 스풀 16, 62 : 케이스 본체(환상체)
18 : 낚싯줄 권선부 20 : 제 1플랜지부
22 : 제 2 플랜지부 28 : 돌기
30 : 관통홈 32 : 슬릿
34 : 낚싯줄 고정구 36 : 커터
44 : 홈 48 : 끼움부재(피복수단)
54 : 조인트 60 : 표시부
본 발명은, 낚싯줄이 감기는 원통형의 낚싯줄 권선부, 이 낚싯줄 권선부의 일단에 설치된 원판형의 제 1 플랜지부,및, 낚싯줄 권선부의 타단에 설치된 원판형의 제 2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스풀과, 스풀을 유지하며, 낚싯줄 권선부에 감겨진 낚싯줄을 커버하는 케이스 본체를 구비하는 낚싯줄 케이스에 관한다. 이 낚싯줄 케이스는, 스풀의 제 1 플랜지부의 외경이 제 2 플랜지부의 외경보다도 작고, 상기 케이스 본체가 상기 낚싯줄 권선부를 둘러싸는 환상체를 구비하며, 환상체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제 1플랜지부의 외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환상체의 한쪽 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제 2플랜지의 외주연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환상체의 내주면에, 제 1플랜지부의 외주연부와 맞물려 스풀의 탈락을 방지하는 돌기가 설치되며, 또한 환상체에 낚싯줄 권선부에 감겨진 낚싯줄을 인출하기 위한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상체로서는, 그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내경이 제 1 플랜지부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원통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단이 스풀을 제 1플랜지부쪽으로부터 수용하기 위하여 개방되어 있으며, 타단의 적어도 일부에, 제 1플랜지를 밀어서 스풀을 케이스 본체로부터 떼어내기 위한 개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스풀 탈락방지용의 돌기가 스풀의 탈락을 가능하도록 치수가 정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스풀의 제 1 플랜지부의 외경을 제 2플랜지부 보다도 작게하므로써, 케이스 본체의 환상체의 내주면 및 단면을 지지면으로 하여, 슬리브를 축선방향 및 원심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제 2플랜지부가 케이스의 본체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이 되므로, 제 2플랜지부를 가지고 슬리브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낚싯줄 케이스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 원통체인 환상체를 상기 요건에 따라서 구성하면, 환상체의 외형치수를 스풀의 외형치수와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풀을 케이스 본체에 끼워 넣어서 장착할 수도 있다.
또, 환상체에는, 관통홈과 환상체의 상기 타단에 설치된 개구를 연통하는 폭이 좁은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슬릿을 형성한 경우, 스풀을 케이스 본체에 장착할 때, 낚싯줄을 미리 개구로 통하여 두면, 스풀 장착후에 낚싯줄을 슬릿으로부터 관통홈으로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 인출용의 관통홈에 인접하는 부분에, 낚싯줄 절단용 커터를, 그 커터날 선단 둘레가 낚싯줄 권선부의 중심축선과 거의 평행하도록 배설하는 것이 유효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낚싯줄을 인출하는 방향으로, 커터날의 선단 둘레가 직교하므로, 낚싯줄의 인출에서 절단까지의 일련의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 커터를 합성수지 등의 피복수단으로 피복하며, 피복수단의 폭이 좁은 절결을 통해서만 커터날 선단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면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관통홈에 인접하는 부분으로서, 커터와는 반대측의 위치에 관통홈을 통하여 인출된 낚싯줄을 유지하기 위한 낚싯줄 고정구를 설치하는 것이 유효하다. 이 위치에 낚싯줄 고정구를 설치한 경우, 낚싯줄을 커터로 절단하기 전에 고정해 둘 수가 있으며, 절단이 용이하게 된다.
낚싯줄 고정구로서 클립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낚싯줄 고정구가 접하는 케이스 본체의 외면부분에서, 그 중앙부에서 해당 외면부분의 외연까지 연장하는 홈, 특히 V자형의 홈을 형성하며, 그 폭 및 깊이를 바깥쪽으로 갈수록 크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홈을 형성한 경우, 낚싯줄이 홈에 끼워져, 낚싯줄의 유지위치가 일정하게 된다. 낚싯줄의 유지위치가 일정해지므로써, 클립식의 낚싯줄 고정구의 유지효율이 안정된다. 또, 홈의 깊이나 폭을 바깥쪽으로 갈수록 크게 하므로써, 여러 가지 두께의 낚싯줄에 대응 가능해진다. 또, 케이스 본체에 동형의 다른 낚싯줄 케이스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조인트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로 인하여, 복수개의 낚싯줄 케이스를 일괄하여 휴대할 수가 있다.
또한, 환상체의 외주면에 낚싯줄의 호수 등을 나타내는 표시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낚싯줄 케이스를 연결한 경우에도 환상체의 외주면 내지는 측면은 인접하는 낚싯줄 케이스에 의해 피복되지 않으므로, 이에 표시부를 설치하는 것은, 낚싯줄의 종류를 판별함에 있어서 편리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특징이나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을 읽으므로써, 당업자에게 충분히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도면중,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인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상」「하」등의 용어는 편의상 붙인 것으로, 한정적인 용어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낚싯줄 케이스의 일실시 형태가 나타나 있다. 도시의 낚싯줄 케이스(10)은, 낚싯줄(12)가 감겨진 스풀 (14)와, 이 스풀(14)를 수용, 유지하는 케이스 본체(16)으로 구성된다. 스풀(14) 및 케이스본체(16)은 모두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바람직하게는 스풀(14)은 폴리스틸렌, 케이스 본체(16)은 투명한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된다.
스풀(14)는, 낚싯줄(12)가 감겨지는 원통형상의 낚싯줄 권선부(18)과, 낚싯줄 권선부(18)의 각 단부 동축에 설치된 원판형상의 플랜지부(20)(22)로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한쪽의 플랜지부(이하,「제 1플랜지부」라 함)(20)의 외경은 또 다른 쪽의 플랜지부(이하, 「제 2플랜지부」라 함)(22)의 외경보다도, 작게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스풀(14)를 굴린 경우에는 스풀(14)는 직행하지 않고, 원호를 그리듯이 진행한다. 따라서, 낚시꾼이 잘못하여 스풀(14)를 지면에 떨어트려도, 낙하지점으로 부터 멀리 떨어진 곳으로 스풀(14)가 굴러가는 일은 없다.
케이스 본체(16)은, 스풀(14)의 낚싯줄 권선부(18)을 감싸도록 거의 원통체 형상의 환상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단은 개방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6)의 내경은 스풀(14)의 제 1 플랜지부(20)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 케이스 본체(16)의 외경은, 스풀(14)의 제 2플랜지부(22)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있다. 따라서, 제 1 플랜지부(20) 쪽에서 스풀(14)를 케이스본체(16)내로 삽입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제 2 플랜지부(22)의 외주연부의 내측면(낚싯줄 권선부(18)의 측면)이 케이스 본체(16)의 한쪽 단면(상단면)(24)에 접한다.
케이스 본체(16)의 높이(케이스 본체(16)의 중심축선을 따르는 길이)h는, 스풀(14)의 제 1플랜지부(20)의 외측면(낚싯줄 권선부(18)과는 반대쪽 측면)에서 제 2 플랜지부(22)의 내측면까지의 길이 이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치수로서는, 스풀(14)를 케이스 본체(16)에 완전히 삽입하였을 때, 스풀(14)에 감겨지는 낚싯줄(12)가 케이스 본체(16)으로 커버된다.
또,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16)의 높이 h와 제 1 플랜지부(20)의 외측면에서 제 2 플랜지부(22)의 내측면까지의 길이를 동일하게 한 경우에는, 케이스 본체(16)의 하단면(26)과 제 1플랜지부(20)의 외측면이 일면이 되고, 요철이 적으며, 휴대하기 쉬운 낚싯줄 케이스(10)이 된다.
케이스 본체(16)의 내주면에는, 도 1 및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풀(14)의 탈락방지용의 돌기(28)이 복수 개소에 형성된다. 돌기(28)은 여러 가지의 형태가 생각되지만, 도시된 실시형태에서의 돌기(28)은, 케이스 본체의 둘레방향으로 연장한 원호 형상의 것이다. 제 2 플랜지부(22)가 케이스 본체(16)의 상단면(24)에 접할 때까지 스풀(14)를 케이스 본체(16)내로 밀어 넣은 경우, 제 1플랜지부(20)은, 이들 돌기(28)을 넘어 도3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로, 돌기(28)은, 제 1플랜지부(20)의 외주연부의 내측둘레에 맞물려, 스풀(14)가 케이스 본체(16)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역으로, 스풀(14)의 제 1 플랜지부(20) 측에서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한 경우에는, 스풀(14)를 케이스 본체(16)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 케이스 본체(16)은, 양단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케이스 본체(16) 자체가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스풀(14)의 착탈시 돌기(28)이나 제 1플랜지부(20)의 마모가 경감되며, 반복시의 착탈에 견딜 수 있게 된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맞물린 상태에서, 이들의 돌기(28)은 스풀(14)를 회전이 가능하게는 하지만, 축선 방향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구속한다. 그래서, 제 2 플랜지부(22)의 외주연부는 케이스 본체(16)의 상단면(24)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제 1플랜지부(20)의 외주면은 케이스 본체(16)의 내주면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스풀(14)는, 케이스본체(1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도면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플랜지부(22)가 케이스 본체(16)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 2플랜지부(22)의 외주연부를 잡고 스풀(14)를 돌릴 수 있다. 이것은, 낚싯줄(12)를, 후술하는 관통홈(30)을 통하여 스풀(14)의 낚싯줄 권선부(18)로 되감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낚싯줄 케이스(10)의 외형 치수는, 스풀(14)의 외형 치수와 거의 동등하게 이루어져, 대단히 콤펙트화 된다. 통상, 낚시꾼은 복수개의 낚싯줄 케이스(10)을 주머니에 넣어 휴대하므로, 낚싯줄 케이스(10)이 콤펙트화 되는 것은 대단히 유효하다.
또, 케이스 본체(16)의 적당한 곳에는 관통홈(30)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풀(14)는 케이스 본체(1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므로, 이 관통홈(30)을 통하여 낚싯줄(12)를 인출하거나 되감거나 할 수 있다. 종래의 대부분의 낚싯줄 케이스는, 낚싯줄 사용시에 스풀을 케이스 본체로부터 꺼내야만 되었지만, 본 발명과 같이 스풀(14)를 케이스 본체(16)으로부터 떼어내지 않고, 낚싯줄(12)를 인출되도록 하면, 낚싯줄(12)를 단시간 내에 준비하여만 하는 상황 등에 대단히 유효하게 된다.
관통홈(30)에 낚싯줄(12)를 통하는 작업은, 스풀(14)를 케이스 본체(16)에 장착할 때에 행한다. 상기 경우, 바늘구멍에 실이 통과하듯이 낚싯줄(12)의 선단을 관통홈(30)에 직접 통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러나, 낚싯줄(12)의 선단을 관통홈(30)으로 통과하는 작업은 시간이 걸리며, 특히 낚시 현장에서 이와 같은 작업을 행하는 것은 곤란하다. 여기서,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 본체(16)의 하단으로부터 관통홈(30)으로 연장되는 폭이 좁은 슬릿(32)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슬릿(32)를 설치한 경우,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플랜지부(20)의 둘레부에서 낚싯줄(12)를 늘어뜨린 상태로 스풀(14)를 케이스 본체(16)에 장착하고, 그후 낚싯줄(12)를 제 1 플랜지부(20)과 케이스 본체(16)과의 사이를 슬라이드 시켜, 슬릿(32)에서 관통홈(30)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작업은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슬릿(32)는 제 1플랜지부(20)의 인접측 단부(26)에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단부(24)에서 슬릿을 넣은 형태이어도 좋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낚싯줄 케이스(10)은, 또한 케이스 본체(16)에 낚싯줄 고정구(34)와 커터(36)이 설치된다. 또, 낚싯줄 고정구(34)와 커터(36)은 관통홈(30)을 사이에 두고 설치된다.
종래부터, 낚싯줄 고정구 및 커터가 각각 단독으로 설치된 낚싯줄 케이스나낚싯줄 고정구 및 커터 양쪽 모두를 구비하고는 있지만, 그 위치 관계에 있어서 특별한 의미가 없는 낚싯줄 케이스가 알려져 있다. 예컨대, 커터만을 갖는 낚싯줄 케이스의 경우, 인출한 낚싯줄을 절단할 때에는, 낚싯줄을 손가락으로 케이스 측면에 밀어 붙여 고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조작은, 양손을 필요로 한다.
이에 대하여, 도 1또는 도 2에 나타내는 특정의 위치관계에서 낚싯줄 고정구 (34) 및 커터(36)이 배설된 낚싯줄 케이스(10)에서는 관통홈(30)으로부터 인출한 낚싯줄(12)를 절단하는 경우 , 낚싯줄 고정구(34)에 낚싯줄(12)를 걸어 돌려 고정하여 두면, 낚싯줄(12)를 손가락으로 누르지 않고 절단할 수 있다. 이것은, 한 손으로의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사용자가 낚싯대를 지지하고 있을 때에는 특히 유효하게 된다. 또, 절단후 낚싯줄(12)는 낚싯줄 고정구(34)로 유지되므로, 낚싯줄 케이스(10)의 내부로 되감기는 일은 없다.
따라서, 금방, 낚싯줄(12)가 필요해졌을 때에 재빨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낚싯줄 고정구(34)는, 도 4에서 명시하는 바와 같이 클립식이며,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U자형상 부재(38)의 일단측 부분(39)를 케이스 본체(16)의 상단부에 설치한 요부(42)에 끼워 넣어 접착제로 고정하므로써, 구성된다. U자형상의 부재(38)의 타단측 부분(40)은 케이스 본체(16)의 외면에 접하여, 케이스 본체(16)과의 사이에서 낚싯줄(12)를 끼워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은 순서로, 낚싯줄(12)를 절단하는 경우에는, 낚싯줄 고정구(34)의 낚싯줄(12)를 삽입하는 부위(부분 40의 선단)는, 커터(36)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이 적절하다.
또, U자 형상의 부재(38)의 부분(40)에 접하는 케이스 본체(16)의 외면부분에는, 케이스 본체(16)의 중심축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홈(44)가 형성된다. 이 홈(44)는 V자형의 홈이며, 상기 외면 부분의 중앙부에서 케이스 본체(16)의 상단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 홈(44)의 폭 및 깊이는, 케이스 본체(16)의 상단을 향하여 점차로 증대한다.
이와 같이, 낚싯줄 고정구(34)가 접하는 외면 부분에는 V자형의 홈(44)를 설치하므로써, 낚싯줄 고정구(34)로 통하여진 낚싯줄(12)는 V자형의 홈(44)에 끼워지고, 그 위치에 낚싯줄(12)를 부분(40)으로 밀어붙일 수가 있다. 또, V자형의 홈(44)는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고 깊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여러 가지 크기의 낚싯줄(12)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V자형의 홈(44)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낚싯줄(12)는 U자 형상의 부재(38)의 끝(46)까지 들어간다. 이 위치에서는, U자 형상 부재(38)의 부분(40)에 의한 누름 압력이 약하며, 또 제조 오차에 의해서 부분(40)의 끝부분(46)과 케이스 본체(16)과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낚싯줄(12)의 확실한 유지를 보증할 수 없다. 따라서, 케이스 본체(16)의 외면부분에 홈(44), 특히 V자형의 홈을 형성하는 것은, 낚싯줄(12)를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커터(36)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의 부착 방법이 고려될 수 있지만, 적어도 커터(36)의 커터날 선단 둘레가 케이스 본체(16) 내지는 스풀(14)의 중심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또한 원심방향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향으로, 커터(36)을 부착한 경우, 낚싯줄(12)의 절단이 용이해진다. 낚싯줄(12)를 절단하기 위하여 관통홈(30)으로부터 인출할 때, 통상 스풀(14)의 중심축선에 직교하는 면을 따라서, 낚싯줄(12)를 인출하게 된다. 그리고, 그 면을 따라서, 낚싯줄(12)를 커터(36) 쪽으로 이동시키면, 낚싯줄(12)는 커터(36)의 커터날 선단 둘레에 직각으로 닿아, 효과적인 절단이 행하여지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에 있어서, 낚싯줄 케이스(10)이나 낚싯줄 자체를 과도하게 비틀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성이 대단히 양호해진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커터(36)은, 이분형의 끼움부재(피복수단)(48)의 반체(48a)(48b)사이에 끼워진 후, 케이스본체(16)의 외면에 설치된 수용부(50)에 감합되어 접착제로 고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것은, 낚싯줄 케이스(10)의 제조시, 커터(36)을 노출한 상태에서, 취급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낚싯줄(12)의 절단은, 끼움부재(48)의 측면에 형성된 슬릿(52)를 통하여 행할 수 있다. 이 슬릿(52)의 폭은, 손가락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가능한 한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된 실시형태에서의 낚싯줄 케이스(10)은, 다른 동형의 낚싯줄 케이스(10)과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54)를 가지고 있다. 도시된 조인트(54)는, 케이스 본체(16)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이며, 일단에 철부(56), 타단에 상기 상기 철부(56)과 상호 보충적인 형상을 이루는 요부(58)을 갖는, 이른바 암·수형의 조인트이다.
또, 조인트(54)를 적어도 2개소(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3개소)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끼움부재(48)도 조인트로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조인트(54)를 갖는 복수의 낚싯줄 케이스(10)을,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으로 겹쳐 맞추는 경우, 인접하는 낚싯줄 케이스(10)의 대응 조인트(54)의 요부(58)과 철부(56)이 감합하여, 상호 연결된다. 낚시꾼은 여러 가지의 종류의 낚싯줄(12)를 휴대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복수개의 낚싯줄 케이스(10)을 연결할 수 있으면, 낚싯줄 케이스(10)을 복수의 주머니에 분산시켜서 소지하는 일은 적어지며, 원하는 낚시줄(12)를 찾는 시간이 경감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낚싯줄 케이스(10)을 겹쳐 연결하는 경우, 스풀(14)의 플랜지부(22)의 외면에 인쇄된 낚싯줄의 재질이나 호수 등의 표시가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를 피하기 위하여, 케이스 본체(16)의 외면에도 낚싯줄(12)의 호수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60)을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본체(16)은 거의 원통체이지만, 케이스 본체는 도 5에서 나타내고 있는 형상이어도 좋다. 도 5의 케이스본체(62)는, 그 내주면의 일부(64)가 제 1플랜지부(2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원통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부분(64)와, 대향하는 평면부분(66)에 의하여 스풀(14)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5에서, 부호(68)은 낚싯줄 고정구이다. 또, 부호(70)은, 낚싯줄 케이스를 전시할 때에 사용되는 훅이며, 사용할 때에는 제거된다. 커터(36)은, 케이스 본체(62)에 의하여 커터날의 선단 둘레의 일부를 제외하고 피복된다.
또,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케이스 본체(16)은 제 1플랜지부(20)측의 단부가 닫혀 있어도 좋다. 단, 스풀(14)을 용이하게 떼어내기 위해서는, 스풀(14)를 밀어내기 위한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개구를 설치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 및 그에 따른 많은 이점이 이해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 상기의 형태는 단순한 바람직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형상, 구성 및 배열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범위로부터 이탈하는 일이 없거나 혹은 본 발명의 이점을 희생하는 일이 없이, 여러 가지의 형태로 변형이 가능 하는 것은 분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줄 케이스는 소형화 되어 취급이 용이하다. 또, 낚싯줄의 절단이나 지지,표시부가 보기 쉬운 점등 각 기능에 관해서도 우수하다.
Claims (21)
- 낚싯줄이 감기는 원통형의 낚싯줄 권선부, 상기 낚싯줄 권선부의 일단에 설치된 원판형의 제 1 플랜지부 및, 상기 낚싯줄 권선부의 타단에 설치된 원판형의 제 2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스풀과,상기 스풀을 유지하며, 상기 낚싯줄 권선부에 감겨진 낚싯줄을 커버하는 케이스 본체로서, 상기 낚싯줄 권선부를 둘러싸는 환상체를 포함하는 케이스 본체를 구비하는 낚싯줄 케이스에서,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경이 상기 제 2 플랜지부의 외경보다도 작고,상기 환상체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며,상기 환상체 한쪽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플랜지부의 외주연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며상기 환상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1 플랜지부의 외주연부와 맞물려 상기 스풀의 탈락을 방지하는 돌기가 설치되며,상기 환상체에는 상기 낚싯줄 권선부에 감겨진 낚싯줄을 인출하기 위한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체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는, 내경이 상기 제 1 플랜지부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통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상기 환상체의 일단은 상기 스풀을 상기 제 1 플랜지부측에서 수용하기 위하여 개방되며,상기 환상체 타단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제 1플랜지부를 밀어서 상기 스풀을 상기 케이스 본체로부터 떼어내기 위한 개구가 설치되며,스풀 탈락방지용의 상기 돌기는 상기 스풀의 착탈을 가능하도록 치수가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케이스.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과 상기 환상체의 상기 타단에 설치된 상기 개구를 연통하는 폭이 좁은 슬릿이 상기 환상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케이스.
-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체의 상기 관통홈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낚싯줄 절단용의 커터가 그 커터 날의 선단 둘레를 상기 낚싯줄 권선부의 중심축선과 거의 평행하도록 하여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케이스.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그 전체가 피복수단으로 피복되어 있으며, 상기 커터의 커터날 선단의 일부가 상기 피복수단에 설치된 폭이 좁은 절결로 인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케이스.
- 제 4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체의, 상기 관통홈에 인접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커터와는 반대측 위치에, 상기 관통홈을 통하여 인출되는 낚싯줄을 유지하기 위한 낚싯줄 고정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케이스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고정구는, 상기 환상체의 외면과 접하며 낚싯줄을 상기 환상체와 외면과의 사이에 끼우는 부분을 가지며,상기 낚싯줄 고정구의 상기 부분이 접하는 상기 환상체의 외면부분에는, 상기 외면 부분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외면 부분의 외부 둘레까지 연장하는 홈이 형성되며,상기 홈의 폭 및 깊이가 바깥쪽 갈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케이스
- 제 1항 내지 제 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에는, 동형의 다른 낚싯줄 케이스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조인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케이스.
- 제 1항 내지 제 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체의 외주면에는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체는, 내경이 상기 제 1플랜지부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케이스.
- 낚싯줄이 감겨지는 원통형의 낚싯줄 권선부, 상기 낚싯줄 권선부의 일단에 설치된 원판형의 제 1 플랜지부, 및 상기 낚싯줄 권선부의 타단에 설치된 원판형의 제 2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스풀과,상기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며, 상기 낚싯줄 권선부에 감겨진 낚싯줄을 커버하는 케이스 본체를 구비하는 낚싯줄 케이스에서,상기 케이스 본체에는 상기 낚싯줄 권선부에 감겨진 낚싯줄을 인출하기 위한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관통홈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낚싯줄 절단용의 커터가 그 커터 날 선단 둘레를 상기 낚싯줄 권선부의 중심축선과 거의 평행하도록 하여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케이스.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피복수단으로 피복되어 있으며, 상기 커터의 커터날 선단 둘레의 일부가 상기 피복수단에 설치된 폭이 좁은 절결에 의해 외부로 노출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케이스
-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관통홈에 인접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커터와는 반대측의 위치에, 상기 관통홈을 통하여 인출되어진 낚싯줄을 유지하기 위한 낚싯줄 고정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케이스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고정구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면과 접하며 낚싯줄을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면과의 사이에 끼우는 부분을 가지며,상기 낚싯줄 고정구의 상기 부분이 접하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면부분에는, 상기 외면 부분의 중앙부에서 상기 외면 부분의 외연까지 연장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의 폭 및 깊이가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케이스
- 제 11항 내지 제 1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에는 동형의 다른 낚싯줄 케이스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조인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케이스.
- 제 11항 내지 제 1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주면에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케이스.
- 낚싯줄이 감겨지는 원통형의 낚싯줄 권선부, 상기 낚싯줄 권선부의 일단에 설치된 원판형의 제 1 플랜지부, 및 상기 낚싯줄 권선부의 타단에 설치되는 원판형의 제 2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스풀과,상기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며, 상기 낚싯줄 권선부에 감겨진 낚싯줄을 커버하는 케이스 본체를 구비하는 낚싯줄 케이스에서,상기 케이스 본체에는, 상기 낚싯줄 권선부에 감겨진 낚싯줄을 인출하기 위한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관통홈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접하며, 상기 관통홈을 통하여 인출된 낚싯줄을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면과의 사이에 끼우는 부분을 갖는 클립식의 낚싯줄 고정구가 설치되며,상기 낚싯줄 고정구의 상기 부분이 접하는 상기 케이스의 본체의 외면 부분에는, 상기 외면 부분의 중앙부에서 상기 외면 부분의 외연까지 연장하는 홈이 형성되며,상기 홈의 폭 및 깊이가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차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케이스.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에는 동형의 다른 낚싯줄 케이스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조인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케이스.
-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주면에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케이스.
- 낚싯줄이 감겨지는 원통형의 낚싯줄 권선부, 상기 낚싯줄 권선부의 일단에 설치된 원판형의 제 1 플랜지부, 및 상기 낚싯줄 권선부의 타단에 설치된 원판형의 제 2 플랜지부로 구성되는 스풀과,상기 스풀을 유지하며, 상기 낚싯줄 권선부에 감겨진 낚싯줄을 커버하는 케이스 본체를 구비하는 낚싯줄 케이스에서,상기 케이스 본체에는, 동형의 다른 낚싯줄 케이스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조인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케이스.
-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주면에 표시부가 설치되는 낚싯줄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998-201631 | 1998-07-16 | ||
JP10201631A JP2000032894A (ja) | 1998-07-16 | 1998-07-16 | 釣糸ケース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1329A true KR20000011329A (ko) | 2000-02-25 |
Family
ID=16444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24283A KR20000011329A (ko) | 1998-07-16 | 1999-06-25 | 낚싯줄케이스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00032894A (ko) |
KR (1) | KR20000011329A (ko) |
TW (1) | TW39329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720969B1 (en) | 2011-06-15 | 2017-03-01 | Scientific Anglers LLC | Filament dispenser and method of assembling a plurality of filament dispensers |
JP6260966B2 (ja) * | 2013-09-30 | 2018-01-17 | 株式会社ヨネプラ | 釣糸用スプール |
CN110733943B (zh) * | 2019-10-29 | 2021-03-12 | 万德辉 | 一种组合式接线收纳盒 |
-
1998
- 1998-07-16 JP JP10201631A patent/JP2000032894A/ja active Pending
-
1999
- 1999-06-24 TW TW088110645A patent/TW39329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6-25 KR KR1019990024283A patent/KR2000001132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393295B (en) | 2000-06-11 |
JP2000032894A (ja) | 2000-0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45722A (en) | Tape dispenser | |
US4558495A (en) | Holder, especially for a drill chuck key | |
US7600286B2 (en) | Lint roller assembly | |
US4586671A (en) | Multiple strip dispenser | |
TWI383943B (zh) | The reel of the container | |
KR20000011329A (ko) | 낚싯줄케이스 | |
US6021597A (en) | Rod connector | |
US4225071A (en) | Tape-severing device | |
US4445645A (en) | Roll retaining means for a dispensing box | |
EP1667928A2 (en) | Cord holder apparatus | |
US4023299A (en) | Fishing line cutter | |
JP2003164245A (ja) | スプール収納ケース及びケース入りのスプール | |
JP2902347B2 (ja) | 糸巻収納ケース | |
JP6694276B2 (ja) | ストラップ収容装置 | |
GB2347922A (en) | A cable reel | |
EP0782539B1 (en) | Winding reel for wire, cable, etc. | |
US5060879A (en) | Fixture for attaching recording tape leader to a tape reel | |
CN219116788U (zh) | 胶带切割器,及胶带切割器与胶带卷套组 | |
JP3003807U (ja) | 線引き具 | |
JP3051516U (ja) | 糸切り具 | |
JP2009106430A (ja) | ミシン用ボビンにおける糸解れ防止用の保持具 | |
KR102071299B1 (ko) | 3가지 장착모드를 갖는 테이프 장착롤러 및 이것이 결합된 테이프 디스펜서 | |
JP2009023742A (ja) | 巻きテープ体用のホルダ | |
JPH0242142Y2 (ko) | ||
KR200325399Y1 (ko) | 롤러 테이프디스펜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