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0718U -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위성 방송 신호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위성 방송 신호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718U
KR20000010718U KR2019980023104U KR19980023104U KR20000010718U KR 20000010718 U KR20000010718 U KR 20000010718U KR 2019980023104 U KR2019980023104 U KR 2019980023104U KR 19980023104 U KR19980023104 U KR 19980023104U KR 20000010718 U KR20000010718 U KR 200000107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ignal
satellite
broadcasting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1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31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0718U/ko
Publication of KR200000107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718U/ko

Link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신호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성 방송 신호의 채널수 증가에 따른 케이블 전송 대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케이블 방송의 위성 방송 신호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위성 방송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위성 방송 신호의 QPSK 복조 신호를 QAM 변조 즉, 디지탈로 재변조하여 부호화율을 높인 위성 방송 신호와 아날로그 변조된 케이블 방송 신호를 고주파 영역의 소정 채널로 할당한 후, 혼합하여 해당 전송 대역 주파수에 실어 케이블 전송 라인을 통하여 전송하므로써, 케이블 전송 라인의 대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위성 방송 신호 전송 장치
본 고안은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신호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성 방송 신호의 채널수 증가에 따른 케이블 전송 대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케이블 방송의 위성 방송 신호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주목받고 있는 뉴미디어로는 위성 통신, 위성 방송, HDTV, 쌍방향 케이블 방송(CATV) 등이 있으며, 이들 각종 뉴미디어를 이용하여 생활 영상정보, 홈쇼핑, 홈뱅킹, TV학습, TV회의, 각종 상담 등의 시스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뉴미디어는 정보를 일방적으로 받는 것 뿐만 아니라 원하는 정보를 필요시에 자유롭게 입수할 수 있고 또한 받는 쪽에서도 반대로 보내는 쪽이되는 쌍방향 통신이 기본으로 된다. 뉴미디어중에서 일반 가정에의 보급면에서 주목되고 있는 것은 전송 미디어로 동축 케이블이나 광 파이버를 사용한 쌍방향 케이블 방송 시스템이다.
이러한 케이블 방송 시스템은 일반 NTSC 방송 신호를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각 방송 프로그램을 소정의 케이블 방송 반송파에 실어서 전송하는 시스템으로서,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최대 특징은 다채널의 TV 프로그램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각종 정보 서비스가 고도화, 다양화되고 있는 정보화 사회의 중요한 매체로 각광받고 있으며, 그 전송로로서는 동축 케이블과 광파이버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위성 방송은 지표면에서 수십 내지 수백킬로 정도의 고도에 위치하는 위성체로부터 제공되는 위성 방송 신호를 위성 방송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직접 수신하는 바, 수신된 위성 방송 신호는 IF(Intemediate Frequency)로의 변환, 복조 및 오류 정정 등의 과정을 거쳐 패킷 단위의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형태의 디지탈 방송 신호로 복원하고, 복원된 디지탈 방송 신호는 트랜스포트 역다중화(Transport Demultiplexor) 과정을 거쳐 수신된 디지탈 방송 신호중 선택된 채널의 방송 신호를 추출한 후, 추출된 방송 신호를 MPEG(Motion Picture Expert Group)방식으로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방송 프로그램이나 채널을 보다 더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위성 방송 신호 전송 장치 즉, 유선 방송국에서 위성 방송 신호와 케이블 방송 신호를 케이블 전송 라인을 통하여 각 가정에 전송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튜너 및 복조부(10), 역다중화부(20), MPEG 디코더(30), 제어부(40), D/A 변환부(50), NTSC 인코더(60), 아날로그 변조부(7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위성 방송 신호 전송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다.
제어부(70)는 다수의 방송 채널중 소정 채널을 선국하기 위한 키조작이 이루어지면 이를 선국하기 위한 튜닝 제어 신호를 튜너 및 복조부(10)로 제공하고, 튜너 및 복조부(10)는 위성 방송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위성 방송 신호중 제어부(70)의 튜닝 제어에 따른 해당 채널의 위성 방송 신호에 대하여 중간 주파(IF)로 변환, 복조, 오류 정정 등의 과정을 거쳐 전송 스트림으로 복원한다음 역다중화부(20)로 제공한다. 역다중화부(20)는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튜너 및 복조부(10)로부터 제공되는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소정 방송 채널의 신호만을 검출하여 MPEG 디코더(30)로 제공한다.
MPEG 디코더(30)는 역다중화부(20)에서 제공되는 방송 신호를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MPEG 디코딩 즉, 압축부호화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여 부호화 이전의 원래 신호로 복원하여 디지탈 오디오 신호는 D/A 변환부(40)로 제공하고, 디지탈 영상 신호는 NTSC 인코더(50)로 제공한다. 즉, D/A 변환부(40)는 MPEG 디코더(30)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변조부(60)로 제공하고, NTSC 인코더(50)는 MPEG 디코더(30)에서 제공되는 디지탈 영상 신호를 NTSC 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변조부(60)로 제공한다.
이 때, 아날로그 변조부(60)는 D/A 변환부(40)와 NTSC 인코더(50)에서 제공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와 아날로그 영상 신호 그리고, 케이블 방송 신호를 아날로그 변조하여 즉, 아날로그 아날로그 영상 신호인 경우에는 AM(Amplitude Modulation) 방식,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인 경우에는 FM(Frequency Modulation) 방식으로 변조하여 케이블 전송 라인을 통하여 케이블 방송 가입자들의 각 가정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 위성 방송 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경우 많은 전송 대역이 필요로하게 된다. 즉, 위성 방송 신호의 경우 한 개 중계기(현재 구성된 중계기는 6개 중계기가 있음)당 4개 채널의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위성 방송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위성 방송 신호를 케이블 전송 라인을 통하여 전송할 경우 4개 채널 대역 즉, 24㎒(1개 채널당 6㎒의 대역 할당)이 필요하다. 즉, 한 개 중계기당 4개 채널의 대역을 필요로 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재 6개 중계기를 통하여 신호로 전송하게 되는 경우에는 24㎒×6㎒=144㎒의 케이블 전송 대역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디지탈 위성 방송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복조하여 기존 케이블 채널에 아날로그 신호로 재변조하여 전송하는 종래의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전송 방식은 위성 방송 채널이 증가하게 되는 경우 더 많은 케이블 전송 대역이 필요로하게되어 케이블 전송 대역 이용에 한계를 느끼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위성 방송 신호를 변조하여 전송할 때, 종래에서와 같이 디지탈 위성 방송 신호를 아날로그 복원 채널에 변조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탈 복조된 위성 방송 신호를 디지탈로 재변조하므로써, 적은 케이블 전송 대역으로 많은 정보를 전송하도록하여 케이블 전송 대역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위성 방송 신호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 채널의 위성 방송 신호 및 케이블 방송 신호를 케이블 전송 라인을 통하여 케이블 방송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위성 방송 신호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 채널의 위성 방송 신호중 소정 채널의 방송 신호에 대하여 디지탈 복조 방식에 의하여 전송 스트림으로 복원하는 튜너 및 복조부; 상기 튜너 및 복조부에서 제공되는 전송 스트림 데이터의 부호화율을 높여 변조하는 QAM 변조부; 상기 케이블 방송 신호를 아날로그 변조하는 아날로그 변조부; 상기 QAM 변조부에서 제공되는 위성 방송 신호의 QAM 변조 신호와 상기 아날로그 변조부에서 제공되는 케이블 방송 신호의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 영역의 소정 채널로 할당한 후 혼합하여 해당 전송 대역 주파수에 실어 케이블 전송 라인을 통하여 전송하는 혼합부로 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위성 방송 신호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방송의 위성 방송 신호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0 : 튜너 및 복조부 20 : 역다중화부
30 : MPEG 디코더 40 : D/A 변환부
50 : NTSC 인코더 60, 120 : 아날로그 변조부
70 : 제어부 110 : QAM 변조부
130 : 혼합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위성 방송 신호 전송 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소정 채널의 위성 방송 신호에 대하여 전송 스트림으로 복원하는 튜너 및 복조부(100), 튜너 및 복조부(100)에서 전송되는 전송 스트림 데이터를 QAM 변조하는 QAM 변조부(110), 케이블 방송 신호를 아날로그 변조하는 아날로그 변조부(120), 상기 QAM 변조부(110)에서 제공되는 QAM 변조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 영역의 소정 채널로 할당한 후 혼합하여 해당 전송 대역 주파수에 실어 케이블 전송 라인을 통하여 전송하는 혼합부(130) 및 튜너 및 복조부(100)의 튜닝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전송 라인의 대역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위성 방송 신호 전송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다.
튜너 및 복조부(100)는 위성 방송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위성 방송 신호로부터 제어부(140)의 튜닝 제어 신호에 따른 소정 채널의 튜닝하고 튜닝한 채널의 위성 방송 신호에 대하여 복조 즉,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복조 방식에 의하여 전송 스트림으로 복원하게 된다.
즉, 위성 방송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위성 방송 신호는 송신측으로부터 송신시 QPSK 변조 방식 즉, 디지탈로 변조되어 튜너 및 복조부(100)에 수신된다. 이 때, PSK 변조 방식은 하나의 주파수와 복수의 위상을 사용하는 바, QPSK 변조 방식은 2개 비트로 4개 데이터 정보(4상 PSK)를 압축하여 전송되어 진다.
이와 같은 QPSK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되어 송신되는 위성 방송 신호는 QPSK 복조 방식에 의하여 원신호로 복조 즉, 전송 스트림으로 복원하여 QAM 변조부(110)로 제공되어 디지탈로 재변조되어 데이터가 압축되는 결과를 낳게된다. 즉, QPSK 복조 방식에 의해 복조된 전송 스트림 데이터를 케이블 전송 라인을 통하여 전송할 때, 본 고안에 따른 목적에 맞게 즉, 전송 대역을 많이 차지않고 전송하기 위하여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 의하여 데이터를 압축하여 케이블 전송 라인을 통하여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QAM 변조 방식은 하나의 주파수와 복수의 위상을 사용하는 점에서 상기한 PSK 변조 방식과 동일하지만, 부호화율(데이터 압축율)을 높이기 위해 진폭의 차이도 식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32치 QAM인 경우 4상 PSK에 5종류의 진폭을 추가하여 32계통으로 부호화를 하면 1부호화에 5비트가 채워지는 바, 5개 비트로 32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되어 진다.
따라서, QPSK 복조된 데이터를 32치 QAM에 의하여 변조하는 경우, 위성 한 개 중계기의 대역 24㎒ 대역에 포함된 4개 채널 정보를 6㎒의 케이블 전송 대역으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송 대역 이용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
여기서, 송신측에서 위성체로 위성 방송 신호를 송신할 때, QPSK 변조하여 송신하는 이유는 변조시 저전력이 소비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위성 방송 신호를 케이블 전송 라인을 통하여 전송하게 되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중간중간에 앰프가 구비되어 있는 중계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QAM 변조하여 부호화율을 높이어 많은 데이터를 전은 전송 대역으로 전송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혼합부(130)는 QAM 변조부(110)에서 제공되는 QAM 변조 신호 즉, 디지탈 신호와 아날로그 변조부(120)에서 제공되는 아날로그의 케이블 방송 신호를 고주파 영역의 소정 채널로 할당한 후 혼합하여 해당 전송 대역 주파수에 실어 케이블 전송 라인을 통하여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위성 방송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위성 방송 신호를 QAM 변조하여 케이블 라인 전송하므로써, 24㎒ 대역으로 송신하던 4개 채널의 정보를 6㎒ 대역으로 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수 채널의 위성 방송 신호 및 케이블 방송 신호를 케이블 전송 라인을 통하여 케이블 방송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위성 방송 신호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 채널의 위성 방송 신호중 소정 채널의 방송 신호에 대하여 디지탈 복조 방식에 의하여 전송 스트림으로 복원하는 튜너 및 복조부;
    상기 튜너 및 복조부에서 제공되는 전송 스트림 데이터의 부호화율을 높여 변조하는 QAM 변조부;
    상기 케이블 방송 신호를 아날로그 변조하는 아날로그 변조부;
    상기 QAM 변조부에서 제공되는 위성 방송 신호의 QAM 변조 신호와 상기 아날로그 변조부에서 제공되는 케이블 방송 신호의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 영역의 소정 채널로 할당한 후 혼합하여 해당 전송 대역 주파수에 실어 케이블 전송 라인을 통하여 전송하는 혼합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위성 방송 신호 전송 장치.
KR2019980023104U 1998-11-25 1998-11-25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위성 방송 신호 전송장치 KR200000107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104U KR20000010718U (ko) 1998-11-25 1998-11-25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위성 방송 신호 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104U KR20000010718U (ko) 1998-11-25 1998-11-25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위성 방송 신호 전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718U true KR20000010718U (ko) 2000-06-26

Family

ID=6950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104U KR20000010718U (ko) 1998-11-25 1998-11-25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위성 방송 신호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071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065A (ko) * 2000-06-30 2002-01-17 김지혜 위성인터넷 데이터 케이블 연동시스템을 이용한 복합위성-케이블 인터넷 네트워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065A (ko) * 2000-06-30 2002-01-17 김지혜 위성인터넷 데이터 케이블 연동시스템을 이용한 복합위성-케이블 인터넷 네트워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9353A (en) Televisio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59236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forward error correction setting to enable simultaneous use of multiple modulation systems on terrestrial distribution networks
US6134419A (en) Transmodulated broadcast delivery system for use in multiple dwelling units
US8200149B1 (en) Combining transponder bandwidths for source and forward error correction encoding efficiency
US5852612A (en) Terminal for receiving simulcast digital video programs
JP2003526992A (ja) ハイ・データ・レート衛星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11331697A (ja) ディジタル放送装置及びディジタル放送方法
US6622303B1 (en) Digital broadcast transmitting method and digital broadcast transmitting apparatus
KR20000010718U (ko)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위성 방송 신호 전송장치
JP4797088B2 (ja) 送受信システム及び送受信方法
JP2006520161A (ja) 信号を分配する装置及び方法
JPH07283801A (ja) 音声信号の無線伝送方法
JPH08274711A (ja) 光伝送装置、受信装置、および、ケーブルテレビシステム
JP3607560B2 (ja) 視聴制御システム
JP2006512810A (ja) 多重周波数帯域を利用したデジタル放送の送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JPH1132318A (ja) 有線系伝送システム装置
JP3780780B2 (ja) 受信装置
KR19980077374A (ko) 디지탈 엘엠디에스(lmds)의 헤드앤드(headend) 장치
KR20020005065A (ko) 위성인터넷 데이터 케이블 연동시스템을 이용한 복합위성-케이블 인터넷 네트워크
CN1759607A (zh) 用于利用反向信道来控制信号分发的装置和方法
WO1999023820A1 (en) Link adapter interface for upgrading existing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for enhanced modulation and coding
JP4400530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KR19980058352A (ko) 광대역 무선 셋톱 박스
KR100210402B1 (ko) 디지탈 dbs 수신기의 초기 채널 선택 방법
KR100286259B1 (ko) 하이브리드 디지털방송 수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