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777U - 휴대형 전자 차계부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전자 차계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777U
KR20000009777U KR2019980021857U KR19980021857U KR20000009777U KR 20000009777 U KR20000009777 U KR 20000009777U KR 2019980021857 U KR2019980021857 U KR 2019980021857U KR 19980021857 U KR19980021857 U KR 19980021857U KR 20000009777 U KR20000009777 U KR 200000097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date
input
details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정
Original Assignee
김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정 filed Critical 김현정
Priority to KR2019980021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9777U/ko
Publication of KR200000097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777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27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input arrangement with other functional units of a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형 전자 차계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유지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대금 지불시 직접 항목별로 대금을 입력시키도록 하고 관리 내역 검색시 날짜별, 항목별로 내역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차량 유지 관리를 가능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고안은 차량 유지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날짜별, 항목별 지불 내역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20)와, 지불 내역의 항목 선택을 간편화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 키, 숫자키, 저장키 및 검색키등을 구비한 키 패드(210)와, 현재의 연월일을 계수하는 타이머(230)와, 전원 온시 현재의 연월일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 및 금액을 표시하는 표시부(240)와, 상기 타이머(230)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현재의 년월일을 연산하고 상기 키 패드(210)에서 입력되는 날짜별, 항목별 지불 내역을 상기 표시부(240)에 표시한 후 상기 키 패드(210)에서 저장 키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220)에 날짜별, 항목별로 저장하며 상기 키 패드(210)에서 검색 키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220)에 날짜별, 항목별로 저장된 지불 내역을 읽어 상기 표시부(240)에 표시하는 마이크로 컴퓨터(250)로 구성한다.

Description

휴대형 전자 차계부 장치
본 고안은 차량 유지 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유지 관리 내역을 기록하기 위한 휴대형 전자 차계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 유지 관리는 별도의 차계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펜으로 사용 내역을 기입하는 방식 또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항상 소지할 수 없어 주유, 견인, 엔진 점검등과 같은 대금 지불 상황을 메모한 후 별도의 차계부 또는 관리 프로그램에 기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지불 상황을 메모함이 없이 기억력만으로 기재하여 대략적인 상황만을 기재하는 경우 효과적인 차량 유지 관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차량 유지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대금 지불시 직접 항목별로 대금을 입력시키도록 하고 관리 내역 검색시 날짜별, 항목별로 내역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차량 유지 관리를 가능하도록 안출한 휴대형 전자 차계부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위한 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면판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지불 내역의 기록을 위한 신호 흐름도.
도 4은 본 고안에서 지불 내역의 검색을 위한 신호 흐름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메모리의 기록 구조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10 : 키 패드 220 : 메모리
230 : 타이머 240 : 표시부
250 : 마이크로 컴퓨터 260 : 인터페이스부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날짜별, 항목별 지불 내역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지불 내역의 항목 선택을 간편화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 키, 숫자키, 저장키 및 검색키등을 구비한 키 패드와, 내역 기록 또는 검색시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 및 금액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키 패드에서 입력되는 날짜별, 항목별 지불 내역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후 상기 메모리에 날짜별, 항목별로 저장하며 상기 키 패드에서 검색 키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에 날짜별, 항목별로 저장된 지불 내역을 읽어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전원이 온되면 현재의 날짜를 표시하고 특정 항목의 키가 선택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특정 항목의 키가 선택되면 지불 금액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지불 금액이 입력되면 특정 연산키의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특정 연산키의 입력을 판단하면 누산 금액을 표시한 후 다른 항목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특정 연산키의 입력이 없으면 저장키의 선택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저장키가 선택되면 날짜별, 항목별로 지불 금액을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관리 내역을 저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차량 유지 관리 내역 검색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내역 검색이면 항목별 검색인지 또는 날짜별 검색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항목별 검색으로 특정 항목과 검색 기간이 입력되면 확인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확인키가 입력되면 특정 항목의 입력 기간의 내역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날짜별 검색으로 검색 기간이 입력되면 확인 키의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확인 키가 입력되면 입력 기간동안의 모든 항목의 내역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장치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짜별, 항목별 지불 내역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20)와, 지불 내역의 항목 선택을 간편화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 키, 숫자키, 저장키 및 검색키등을 구비한 키 패드(210)와, 현재의 연월일을 계수하는 타이머(230)와, 전원 온시 현재의 연월일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 및 금액을 표시하는 표시부(240)와, 관리 내역의 인쇄를 위해 피씨(PC) 등의 개인용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260)와, 상기 타이머(230)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현재의 년월일을 연산하고 상기 키 패드(210)에서 입력되는 날짜별, 항목별 지불 내역을 상기 표시부(240)에 표시한 후 상기 키 패드(210)에서 저장 키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220)에 날짜별, 항목별로 저장하며 상기 키 패드(210)에서 검색 키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220)에 날짜별, 항목별로 저장된 지불 내역을 읽어 상기 표시부(240)에 표시하고 상기 키 패드(210)에서 인쇄 키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240)에 표시한 날짜별, 항목별 지불 내역을 상기 인터페이스부(260)에 전송하는 마이크로 컴퓨터(250)로 구성한다.
도2 는 본 고안 장치의 전면판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패드(210)는 숫자 키 및 연산 키는 물론 지불 내역의 항목 선택을 간편화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 키와 그 선택된 항목의 내역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키 등으로 이루어진 특정 키부(210-1)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메모리(220)는 이이피롬(EEPROM)으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항목별, 날짜별로 차량 유지 관리 내역을 기록하는 동작을 도3 의 신호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이 온되면 타이머(230)에서 계수값을 이용하여 연월일을 판단한 마이크로 컴퓨터(250)는 이를 표시부(240)에 표시하고 키 패드(210)에서 현재 표시된 연월일을 수정하기 위한 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만일, 입력시키려는 관리 내역이 기일을 경과하여 연월일을 수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수정 키를 입력한 후 원하는 연월일로 수정하면 마이크로 컴퓨터(250)는 이를 표시부(240)에 표시한다.
이 후, 사용자는 주유, 부속 교체, 부동액 교체, 윤활유 교체등과 같은 항목을 위해 배정된 키 패드(210)의 특정 키부(210-1)에 구비된 특정키중 해당 항목 키를 누른 다음 숫자키를 이용하여 지불 금액을 입력시킨다.
이때, 마이크로 컴퓨터(25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항목과 지불 금액을 메모리(220)에 임시 저장하고 이 후, 특정키(예로, 덧셈키)가 눌리면 현재 입력시키는 항목들에 대한 누산 금액을 표시부(240)에 표시한다.
이 후, 마이크로 컴퓨터(250)는 더 입력할 항목이 있는지 판단하며 다른 특정 항목의 키가 눌린 후 지불 금액이 입력되면 이를 표시부(240)에 표시한다.
이 후, 특정키가 눌리면 마이크로 컴퓨터(250)는 현재 입력시키는 항목들에 대한 누산 금액을 표시부(240)에 표시하고 더 입력할 항목이 있는지 판단한다.
만일, 더 입력할 항목이 있다고 판단하면 마이크로 컴퓨터(250)는 상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에 따라, 입력할 항목이 없어 키 패드(210)에서 저장 키가 선택되면 마이크로 컴퓨터(250)는 상기의 과정으로 입력된 내역을 날짜별, 항목별로 메모리(220)에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220)에는 도5 의 예시도와 같이 관리 내역이 저장된다.
따라서, 모든 항목에 대한 기록이 종료되면 사용자는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날짜별, 항목별로 기록한 관리 내역을 검색하는 과정을 도4 의 신호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원이 온되면 마이크로 컴퓨터(250)는 키 패드(210)의 출력 신호를 점검하여 내역 검색이 설정되는지 판단한다.
이때, 사용자가 키 패드(210)에서 검색 키를 눌러 내역 검색이 설정되면 마이크로 컴퓨터(250)는 상기 키 패드(210)의 출력 신호를 점검하여 항목별 검색인지 또는 날짜별 검색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사용자가 키 패드(210)의 특정 키부(210-1)에서 항목별 검색 키를 누르면 마이크로 컴퓨터(250)는 표시부(240)에 검색 기간을 입력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부(240)을 보면서 키 패드(210)의 숫자키를 이용하여 검색 기간을 입력하고 검색하려는 기간 및 항목이 맞으면 특정 키부(210-1)에 구비된 확인키를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250)는 메모리(220)의 저장 정보중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기간동안에 대한 특정 항목의 내역을 읽어 표시부(240)에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 패드(210)의 특정 키부(210-1)에서 날짜별 검색키를 누르면 마이크로 컴퓨터(250)는 날짜별 검색으로 판단하여 검색 기간을 입력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부(240)에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부(240)에 표시된 메뉴를 보면서 키 패드(210)의 숫자키를 이용하여 검색 기간을 입력하고 입력된 기간이 맞으면 특정 키부(210-1)에 구비된 확인키를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250)는 메모리(220)의 저장 정보중 사용자가 입력한 기간동안에 대한 모든 항목의 내역을 읽어 표시부(240)에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 후,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특정 항목 또는 기간에 대한 내역 검색을 종료하면 마이크로 컴퓨터(250)는 내역 검색을 계속 할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내역 검색을 계속 하기 위해 특정 키부(210-1)에서 항목별 검색키 또는 날짜별 검색키를 누르면 상기와 동일한 과정으로 해당 검색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내역 검색을 종료하려는 경우 사용자가 특정 키부(210-1)의 종료 키 또는 전원 오프키를 누르면 마이크로 컴퓨터(250)는 내역 검색의 종료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도3 과 같은 과정으로 저장된 차량 유지 관리 정보를 인쇄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해 피씨(PC)와 연결하여 메모리(220)에 저장된 내역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종이에 관리 내역을 인쇄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운전자가 사용하기 편한 곳에 부착하거나 또는 휴대하도록 함으로써 항상 관리 내역을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신차 출고부터 폐차시까지 차량 유지 관리 내역을 모두 저장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효율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 유지 관리 장치에 있어서, 날짜별, 항목별 차량 유지 관리 내역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관리 내역의 항목 선택을 간편화하기 위한 복수 항목의 특정 키를 구비한 키 패드와, 관리 내역 기록 또는 검색시 사용자가 입력한 관리 항목 및 내역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키 패드에서 입력되는 날짜별, 항목별 관리 내역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후 상기 메모리에 날짜별, 항목별로 저장하며 상기 키 패드에서 검색 키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에 날짜별, 항목별로 저장된 관리 내역을 읽어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 차계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특정 항목의 키가 선택되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특정 항목의 키가 선택되면 관리 내역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입력된 특정 항목과 그의 관리 내역을 날짜별, 항목별로 저장하는 제3 단계와, 상기에서 특정 항목의 관리 내역이 저장되면 다른 항목의 기록을 위한 키 입력을 판단하는 제4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날짜별, 항목별 차량 유지 관리 내역을 저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 차계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검색 키의 입력을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검색 키가 입력되면 항목별 검색인지 또는 날짜별 검색인지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항목별 검색으로 특정 항목과 검색 기간이 입력되면 입력 기간동안의 그 특정 항목의 내역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제3 단계와, 상기에서 날짜별 검색으로 검색 기간이 입력되면 그 입력 기간에 대해 모든 항목의 내역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제4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차량 유지 관리 내역을 날짜별, 항목별로 검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 차계부 장치.
KR2019980021857U 1998-11-11 1998-11-11 휴대형 전자 차계부 장치 KR200000097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857U KR20000009777U (ko) 1998-11-11 1998-11-11 휴대형 전자 차계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857U KR20000009777U (ko) 1998-11-11 1998-11-11 휴대형 전자 차계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777U true KR20000009777U (ko) 2000-06-05

Family

ID=69522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857U KR20000009777U (ko) 1998-11-11 1998-11-11 휴대형 전자 차계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977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247A (ko) * 1999-11-26 2001-06-15 문해중 전자 차계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247A (ko) * 1999-11-26 2001-06-15 문해중 전자 차계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6577B1 (en) Method for searching trip log of vehicle
JP2788018B2 (ja) 情報伝達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情報販売機とカードリーダ
US4608488A (en) Document issuing apparatus
CN101226538A (zh) 年表提供方法、装置及包含年表提供程序的记录介质
WO2007009098A2 (en)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financial information
JP2865237B2 (ja) デジタル式車両運行記録装置
KR20000009777U (ko) 휴대형 전자 차계부 장치
JP2002230610A (ja) 電子投票用投票端末及び投票結果記録装置並びに投票結果記録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同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KR20010048247A (ko) 전자 차계부
JP2865239B2 (ja) 車両運行記録装置
KR200179061Y1 (ko) 전자 차계부
KR100374110B1 (ko) 교통위반 딱지 발부 시스템
JP2719451B2 (ja) 分類記憶装置
JPH0557640B2 (ko)
JP2001216546A (ja) 電子式タイムレコーダ
KR930003058B1 (ko) 불량신용카드번호를 기억 및 검색하는 신용카드조회기 및 그 데이타 전송방식
CN2921969Y (zh) 汽车记录控制仪
JPH07120473B2 (ja) 情報自動販売機
JPH0346082A (ja) タキシー運行データ収集装置
JP2872157B2 (ja) 切符自動販売システム
JP3214134B2 (ja) Idカード対応の自動販売機
KR19980022538A (ko) 영업소 관리방법
JPH09237297A (ja) 携帯型情報端末における顧客認識方法
JPH056233B2 (ko)
JPH08115490A (ja) 駐車場情報収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