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760A - 석회와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 또는 황토를이용한 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석회와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 또는 황토를이용한 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760A
KR20000009760A KR1019980030387A KR19980030387A KR20000009760A KR 20000009760 A KR20000009760 A KR 20000009760A KR 1019980030387 A KR1019980030387 A KR 1019980030387A KR 19980030387 A KR19980030387 A KR 19980030387A KR 20000009760 A KR20000009760 A KR 20000009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me
loess
weight
oxide
ce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5091B1 (ko
Inventor
최식영
Original Assignee
최식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식영 filed Critical 최식영
Priority to KR1019980030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5091B1/ko
Publication of KR20000009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0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04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using waste materials or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45Thermal treatment of powders or mixtures thereof other than sintering
    • C04B35/62655Drying, e.g. freeze-drying, spray-drying, microwave or supercritical 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05Alkaline earth oxide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beryllium oxide
    • C04B2235/3208Calcium oxide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l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Catalyst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석회와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형성되는 미분사 또는 황토를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얻어지는 다공질 세라믹에 관한 것으로서, 석회의 흡착작용, 분해작용 및 미분사 또는 황토의 기공성을 이용하여 정화가 어려운 녹조 및 적조, 하수를 쉽게 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 소결체의 세라믹 제조방법은 입자 크기가 2.0내지 700㎛인 석회와 200mesh 이하의 미분사 또는 황토를 5 : 95 내지 80 : 20의 중량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와, 혼합물에 20% 중량비율의 물을 첨가한 후 입경이 0.3 내지 0.7㎝가 되도록 혼합물을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물을 3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1시간 정도 건조시킨 후 500 내지 1,150℃로 소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성형물에는 1 내지 30%의 중량비율로 산화아연(ZnO) 분말, 산화구리(CuO), 산화타이타늄(TiO2), 산화은(AgO), 제올라이트(백토), 벤토나이트, 투르말린 중 어느 하나가 첨가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석회와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 또는 황토를 이용한 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석회와 폐주물사 또는 황토를 이용한 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회는 특히 탄산칼슘 제조 등 연마제의 제조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일종의 석분 또는 산화칼슘(CaO, Ca(OH)2, CaCO3)을 중량비율로 10%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이하 "석회"라 칭함)로서 현재 미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제철소 등 주물공장에서 발생되는 폐주물사의 집진분진은 그 일부를 소결하여 식물성장 토양재로 재활용하고 있으나, 그 대부분은 재활용이 불가능한 미세한 입자상태(이하 "미분사"라 칭함)이기 때문에 그 대부분을 매립 등의 방법으로 폐기하고 있다. 그러나, 산업폐기물인 미분사를 매립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매립비용이 발생될 뿐 아니라 매립의 장소에도 한계가 있으며, 또한 매립으로 인하여 주변환경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술한 석회는 산화칼슘(CaO, Ca(OH)2, CaCO3)이 중량비율로 10% - 100%와 규소(SiO2)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미분사는 규소(SiO2)와 알칼리 토금속들의 산화물로 구성되어 양질의 토양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으나, 이 미분사 또는 황토만을 소결한 세라믹 만으로는 녹조 및 적조, 하수 등을 치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폐기 처분되고 있는 석회와 미분사 또는 황토를 혼합한 다공질 소결체의 세라믹인 환경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업용수, 녹조 및 적조 치료제, 하수 정화제, 중금속 고정 및 흡착제, 토양 개량제, 수질 및 공기 정화제, 식물성장토양, 광촉매에 의한 유해화학물질 및 유기물질 분해제, 탈취제, 살균제, 향균효과에 의한 신선도 유지제로 사용될 수 있는 무균성 다공성 소결체의 세라믹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소결체의 세라믹 제조방법은 입자 크기가 2.0 내지 700㎛인 석회와 200mesh이하의 미분사 또는 황토를 5 : 95 내지 80 : 20의 중량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와, 혼합물에 20% 중량비율의 물을 첨가한 후 입경이 0.3 내지 0.7㎝가 되도록 혼합물을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물을 3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1시간 정도 건조시킨 후 500 내지 1,150℃로 소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성형물은 1 내지 30% 중량비율의 산화아연(ZnO) 분말, 산화구리(CuO), 산화타이타늄(TiO2), 산화은(AgO), 제올라이트(백토), 벤토나이트, 투르말린 중 어느 하나가 첨가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정화제는 석회와 미분사 또는 황토가 5 : 95 내지 80 : 20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에 20% 중량비율의 물을 첨가하얻어지는 성형물을 건조, 소결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때 성형물의 건조는 3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소결은 500 내지 1,150℃의 온도에서 각각 진행되며, 성형물에 1 내지 30% 중량비율의 산화아연(ZnO) 분말, 산화구리(CuO), 산화타이타늄(TiO2), 산화은(AgO), 제올라이트(백토), 벤토나이트, 투르말린 중 어느 하나가 첨가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황토의 구성비율은 표 1과 같다.
황토의 구성성분 및 구성비율
구성 성분 구성 비율(%)
SiO2 20 - 60
Al2O3 0 - 40
Fe2O3 0 - 30
CaO 0 - 4
MgO 0 - 34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미분사는 주물 모래형틀의 개방시에 다량으로 얻어지는 200mesh 이하의 미세한 분말의 모래로서, 주물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며, 그 구성성분 및 구성비율은 하기 표 2와 같다.
미분사의 구성성분 및 구성비율
구성 성분 구성 비율 (%)
SiO2 65 - 75
Al2O3 7 - 12
Fe2O3 1 - 3
Na2O 0.5 - 2
K2O 0.5 - 1.5
CaO 1 - 2
MgO 1 - 3
TiO2 0.05 - 0.1
유기물질 3 - 5
*유기물질은 유기접촉제 수지 전분 및 탄소 등을 포함.
또한 석회의 구성성분 및 구성성분의 비율은 표 3과 같다.
석회의 구성성분 및 구성비율
구성 성분 구성 비율 (%)
Na2O 0 - 2
MgO 0 - 6
Al2O3 0 - 7
SiO2 20 - 40
K2O 0 - 2
CaO, Ca(OH)2, CaCO3 0 - 100
Fe2O3 0 - 3
TiO2 0 -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소결체의 세라믹을 제조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입자의 크기가 20 내지 700㎛인 석회와 200mesh이하의 미분사 또는 황토를 5 : 95 내지 80 : 20의 중량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이 혼합물에 20% 중량비율의 물을 첨가하고, 이 상태에서 입경이 0.3 내지 0.7㎝가 되도록 이 혼합물을 성형한다.
이 성형물을 3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1시간 정도 건조시킨 후, 전기로에서 500 내지 1,150℃로 소결하여 다공성 세라믹으로 제조한다.
소결과정에서 미분사 또는 황토의 구성성분 중 SiO2이외의 광물성분 일부가 용융됨과 아울러 기타 성분은 일부가 연소된다. 이때 얻어지는 소결체는 기공율이 20 내지 45%, 압축강도가 4 내지 8㎏(소결온도가 500℃인 경우) 또는 20㎏ 이상(소결온도가 800 내지 1,150℃인 경우)의 다공성이며, 따라서 강도가 높은 기공성이 우수한 다공성 소결체의 세라믹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소결체의 기공율이 20% 이하인 경우에는 별도의 충진제를 첨가함으로써 20 내지 45%의 기공율을 갖는 소결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하여 얻어지는 다공질 소결체 또는 이 소결체를 분쇄한 분말 세라믹을 수조, 목늪, 호수, 하천, 바다해수 등지에 투입할 경우 수질을 개선할 수가 있으며, 물을 흐르게 하거나 순환시켜 줌으로써 수질정화에 더욱 효과적이다. 수질정화제로서의 사용량은 정화하고자 하는 물의 수질에 따라 달라지며, 사용량이 많을수록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및 화학적 산소요구량, 부유물량, 색도, 탁도 등을 개선할 수 있으며, pH를 약 알칼리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공질 소결체의 세라믹으로부터 얻어지는 토양 개량제 또는 식물 성장용 토양은 높은 강도, 우수한 기공성 그리고 흡습성 때문에 광물질분이 요구되는 잔디의 육성용, 가정의 화원용, 화분용 외에 일반 농지의 토양에 배합하여 토양 대신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소결체의 세라믹을 제조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입자 크기가 20 내지 700㎛인 석회와 200mesh이하의 미분사 또는 황토를 5 : 95 내지 80 : 20의 중량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이 혼합물에 20% 중량비율의 물을 첨가하고, 이 상태에서 입경이 0.3 내지 0.7㎝가 되도록 혼합물을 성형한다.
이 성형물에 1 내지 30% 중량비율의 산화아연(ZnO) 분말, 산화구리(CuO), 산화타이타늄(TiO2), 산화은(AgO), 제올라이트(백토), 벤토나이트, 투르말린 중 어느 하나를 첨가시킨 후 3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1시간 정도 건조시킨 후, 전기로에서 500 내지 1,150℃로 소결하여 다공질 소결체 세라믹을 제조한다.
산화아연 분말을 흡착시켜 얻어지는 다공질 소결체 세라믹은 유해 유기물질과 중금속 이온의 흡착 및 분해제, 공기 정화제, 탈취제, 촉매제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정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각 다공질 세라믹을 이용하여 적조(Ceratium Furca)가 포함된 바다의 해수를 정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적조(Ceratium Furca)를 포함한 바다 해수의 정화결과 분석표
구분 PH Cells/ml DO(ppm) 탁도(NTU) COD (ml/l)
살포 전 살포 후(30분)
바다 해수 9.0 15,000 - 0.0 high 280
황토+석회 9.7 15,000 3 0.9 3 164
미분사+석회 9.6 15,000 2 1.09 2 172
미분사 또는 황토 9.05 15,000 14,000 0.0 high 170
상기 표 4는 포항 영일만에서 채취한 해수 45리터에 각 세라믹 분말 45g을 넣어 30분 동안 정화시킨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 세라믹을 이용하여 해수를 30분 동안 정화시켰을 경우 미분사 또는 황토만으로 제조된 세라믹을 이용하였을 때 보다 그 정화결과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황토+석회 및 미분사+석회의 세라믹인 경우는 30분 후에 적조류가 거의 소멸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석회와 유기물질이 함유된 미분사 또는 황토를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얻어지는 다공질 세라믹은 석회의 흡착작용, 분해작용과 미분사 또는 황토의 우수한 기공성에 의해 정화가 어려운 녹조 및 적조, 하수 등을 쉽게 정화할 수 있다. 또한 융점이 낮은 광물성분과 가연성의 유기물, 기타 성분을 함유하는 미분원료로 인하여 토양 개량제, 수질 정화제, 식물성장용 토양, 유해 유기화합물의 분해 및 공기 정화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 세라믹은 환경 친화제로 사용한 후 폐기물화 되지 않고 재활용함으로써 환경보전 및 개선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큰 이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입자 크기가 20 내지 700㎛인 석회와 200mesh 이하의 미분사 또는 황토를 5 : 95 내지 80 : 20의 중량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에 20% 중량비율의 물을 첨가한 후 입경이 0.3 내지 0.7㎝가 되도록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3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1시간 건조시킨 후 500 내지 1,150℃에서 소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세라믹 정화제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은 1 내지 30% 중량비율의 산화아연(ZnO) 분말, 산화구리(CuO), 산화타이타늄(TiO2), 산화은(AgO), 제올라이트(백토), 벤토나이트, 투르말린 중 어느 하나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정화제 제조방법.
  3. 석회와 미분사 또는 황토가 5 : 95 내지 80 : 20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에 20% 중량비율의 물을 첨가하여 얻어지는 성형물을 건조, 소결, 분쇄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세라믹 정화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3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상기 소결은 500 내지 1,150℃의 온도에서 각각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정화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은 1 내지 30% 중량비율의 산화아연(ZnO) 분말, 산화구리(CuO), 산화타이타늄(TiO2), 산화은(AgO), 제올라이트(백토), 벤토나이트, 투르말린 중 어느 하나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정화제.
KR1019980030387A 1998-07-28 1998-07-28 석회와주물모래형틀로부터생성되는미분사를이용한세라믹성제올라이트정화제및그제조방법 KR100305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387A KR100305091B1 (ko) 1998-07-28 1998-07-28 석회와주물모래형틀로부터생성되는미분사를이용한세라믹성제올라이트정화제및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387A KR100305091B1 (ko) 1998-07-28 1998-07-28 석회와주물모래형틀로부터생성되는미분사를이용한세라믹성제올라이트정화제및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760A true KR20000009760A (ko) 2000-02-15
KR100305091B1 KR100305091B1 (ko) 2002-04-24

Family

ID=1954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387A KR100305091B1 (ko) 1998-07-28 1998-07-28 석회와주물모래형틀로부터생성되는미분사를이용한세라믹성제올라이트정화제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509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633A (ko) * 2000-12-30 2001-03-05 유한웅 주조공정중 발생되는 미분사를 이용한 다공질 소결체세라믹제조방법
KR20010088729A (ko) * 2001-03-15 2001-09-28 제창국 천연 무기질을 주재로 한 고형 정화제
KR100325396B1 (ko) * 1999-11-08 2002-03-04 김봉경 적조 미생물 제거방법
KR20020072855A (ko) * 2001-03-13 2002-09-19 주식회사 디.아이 주조공정상의 미분사 또는 황토흙을 이용한 인 분해용세라믹소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72856A (ko) * 2001-03-13 2002-09-19 주식회사 디.아이 주조공정상의 미분사 또는 황토흙을 이용한 수질정화용세라믹소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46159A (ko) * 2001-12-05 2003-06-12 유건상 황토볼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415994B1 (ko) * 2001-03-07 2004-01-24 주식회사 대동그린산업 굴 패각을 활용한 황토벽돌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60024B1 (ko) * 2002-05-16 2004-12-1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말상 제올라이트에 적조구제용 활성제가 함유된적조구제제
KR100754272B1 (ko) * 2006-12-07 2007-09-05 (주)다인홀딩스 부유물 응집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76705B1 (ko) * 2008-01-04 2010-08-18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주물사의 재활용을 위한 세라믹 지지체의 제조방법
KR101024224B1 (ko) * 2009-08-27 2011-03-25 백우현 황토(주) 정수용 세라믹 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693B1 (ko) * 2000-12-28 2003-06-02 강양수 폐주물사를 이용한 토양 개량제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5670B1 (ko) * 1996-04-24 1998-11-16 유한웅 주조공정중 발생되는 미분사를 이용한 다공질 소결체의 세라믹 및 그제조방법
KR19980021240A (ko) * 1996-09-14 1998-06-25 김광호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396B1 (ko) * 1999-11-08 2002-03-04 김봉경 적조 미생물 제거방법
KR20010016633A (ko) * 2000-12-30 2001-03-05 유한웅 주조공정중 발생되는 미분사를 이용한 다공질 소결체세라믹제조방법
KR100415994B1 (ko) * 2001-03-07 2004-01-24 주식회사 대동그린산업 굴 패각을 활용한 황토벽돌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72855A (ko) * 2001-03-13 2002-09-19 주식회사 디.아이 주조공정상의 미분사 또는 황토흙을 이용한 인 분해용세라믹소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72856A (ko) * 2001-03-13 2002-09-19 주식회사 디.아이 주조공정상의 미분사 또는 황토흙을 이용한 수질정화용세라믹소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88729A (ko) * 2001-03-15 2001-09-28 제창국 천연 무기질을 주재로 한 고형 정화제
KR20030046159A (ko) * 2001-12-05 2003-06-12 유건상 황토볼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460024B1 (ko) * 2002-05-16 2004-12-1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말상 제올라이트에 적조구제용 활성제가 함유된적조구제제
KR100754272B1 (ko) * 2006-12-07 2007-09-05 (주)다인홀딩스 부유물 응집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76705B1 (ko) * 2008-01-04 2010-08-18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주물사의 재활용을 위한 세라믹 지지체의 제조방법
KR101024224B1 (ko) * 2009-08-27 2011-03-25 백우현 황토(주) 정수용 세라믹 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5091B1 (ko) 200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9760A (ko) 석회와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 또는 황토를이용한 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915782B1 (ko) 유기농 토양개량과 식물성장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450078B1 (ko) 정수기용 세라믹 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 방법
KR20010052328A (ko) 물, 토양, 침강물 및/또는 슬러지의 처리 방법
KR100231738B1 (ko) 투르말린과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를 이용한 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854036B1 (ko)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흙골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흙골재
KR101400483B1 (ko) 블록 조성물
CA2033342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clinkers
KR100393267B1 (ko) 축산폐수 정화처리를 위한 흡착제 및 이를 이용한 계단형폐수처리 시스템
KR102438279B1 (ko) 천연광물 루미라이트 생태 복원제 및 제조방법
KR0155670B1 (ko) 주조공정중 발생되는 미분사를 이용한 다공질 소결체의 세라믹 및 그제조방법
KR100358888B1 (ko) 제선, 제강 및 주물 산업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슬래그와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를 이용하여 다공성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JP3040097B2 (ja) 接触浄化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111172A (ko) 음이온라디칼순환세라믹을 활용한 저수지 수질정화 및 녹조제거 장치
KR100317515B1 (ko) 무기질 재료를 주원료로 하는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24481A (ko) 게르마늄 성분이 함유된 천연광석분말을 이용한 정화제제조방법
KR100872353B1 (ko) 수질정화용 기능성 메디아 및 그 제조 방법
KR100886737B1 (ko) 연탄재를 이용한 수질정화용 기능성 메디아 및 그 제조 방법
KR100211289B1 (ko) 살균 활성을 갖는 세라믹 및 그 제조 방법
RU2294905C2 (ru) Способ утилизации золы
KR101236145B1 (ko) 슬러지 건조후 재활용이 가능한 녹조 제거용 천연무기응집제로부터 발생한 슬러지를 이용한 녹생토의 제조방법
KR100483475B1 (ko) 송이를 사용한 기능성 세라믹 조성물
KR102070386B1 (ko) 수질개선제 및 이를 이용한 세제 조성물
KR100272451B1 (ko) 인 제거용 여재 및 그 제조방법
CN1435382A (zh) 一种用于污水深度处理的过滤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