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024B1 - 분말상 제올라이트에 적조구제용 활성제가 함유된적조구제제 - Google Patents

분말상 제올라이트에 적조구제용 활성제가 함유된적조구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024B1
KR100460024B1 KR10-2002-0027100A KR20020027100A KR100460024B1 KR 100460024 B1 KR100460024 B1 KR 100460024B1 KR 20020027100 A KR20020027100 A KR 20020027100A KR 100460024 B1 KR100460024 B1 KR 100460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tide
zeolite
red
hypochlorite
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0201A (ko
Inventor
이제근
임준혁
김경희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2-0027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024B1/ko
Publication of KR20020050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0Prevention of biofou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조가 발생한 해상 및 해수 양식장에서 적조를 구제하기 위한 적조구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적조원인생물 외에 타 생물과 해저 생태계를 고려하여 적조구제제를 적조발생해수에 적절히 살포함으로써 2차적인 환경피해를 최소화하면서 보다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적조를 제거할 수 있는 제올라이트에 적조구제용 활성제가 함유된 적조구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조구제제는 해수(또는 물) 1ℓ에 분말 제올라이트 100~ 20,000mg과,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을 형성하는 적조구제용 활성제 1~5,000mg이 혼합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적조구제제의 적조제거 원리는 적조구제 활성제인 차아염소산 (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에 의해 적조의 세포벽이 파괴되면서 적조를 사멸시키는 한편 제올라이트의 뛰어난 흡착능력으로 살아있는 적조와 적조구제용 활성제인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에 의해 사멸된 적조의 표면에 달라붙어 큰 덩어리를 형성한 후 해저로 침강시켜 제거함으로써, 신속하고 경제적인 적조구제 효과와 더불어 해양저질의 개선효과가 높아 적조원인생물의 사멸뿐만 아니라 적조발생원인을 미연에 차단 및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말상 제올라이트에 적조구제용 활성제가 함유된 적조구제제{Red Tide Organism Removal Reagent Containing Active Agent in Zeolite Powders}
본 발명은 적조가 발생한 해상 및 해수 양식장에서 적조를 구제하기 위한 제올라이트와 적조구제용 활성제가 함유된 적조구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적조원인생물 외에 타 생물과 해저 생태계를 고려하여 제올라이트와 차아염소산 또는 차아염소산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의 적조구제용 활성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적조구제제를 적조발생 해수에 적절히 살포함으로써 2차적인 환경피해를 최소화하면서 보다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적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올라이트와 적조구제용 활성제가 함유된 적조구제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조(赤潮:red tide, red water)란 어떤 해역에서 플랑크톤이 환경 변화에 따라 크게 번식을 하게 되어 해수가 붉은색을 띠는 현상을 뜻하며, 이러한 적조의 원인이 되는 생물은 생태에 따라 3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 첫째로는 규조류, 남조류, 엽록소를 가지고 광합성에 의해 무기물을 유기물화하는 순수한 식물로 이것들에 의한 피해는 적다. 둘째로는 편모류, 광합성을 하지만 용존유기물을 필요로 하며, 편모로 운동하고, 어패류에 직접 피해를 끼치는 적조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셋째로는 원생동물·갑각류 등 이들에 의한 적조는 피해를 주는 일은 거의 없고, 오히려 먹이연쇄의 과정에서 유용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적조의 원인이 되는 생물이 크게 증식하려면 물이 성층(成層)되어 있고, 상하의 대류가 적고 유광층(有光層)에 영양염류가 풍부하며, 빛의 세기와 파장·수온·염분이 그 종에 대해 알맞아야 한다. 온대지방에서는 봄부터 초여름에 걸친 시기의 바다가 이에 해당된다. 특히 장마 후에 갠날이 계속되면 적조가 발생하기 쉽다. 이것은 육지에서 영양염류가 보급됨과 동시에 또 증식조건이 강화되기 때문으로 증식한 생물이 해류, 조석류, 또는 바람의 영향으로 집적되거나 주광성 등 생물 자체의 운동으로 집합하면 적조현상이 뚜렷해진다.
특히, 최근에는 우리나라 내만(內灣)이나 연안에서 적조가 광역화, 독성화되어 발생하고 있으며, 그 배경에는 그 해역의 부영양화가 있다. 즉, 육상의 오염물질들이 연안해역에 대량 유입됨으로 인해 항시 영양염류가 보급되므로 식물플랑크톤이 계속해서 증식하게 되고, 해상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 중에서 금속류나 유기물의 보급은 편모류의 증식을 촉진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부영양화라는 환경변화에 따라 생물상(生物相)이 변하여 종래에는 볼 수 없었던 생물이 적조화하여 크게 번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적조의 발생은 사람과 어패류에 치명적인 피해를 초래하게 된다. 즉, 편모류에는 유독종이 많아 어패류의 폐사는 물론, 이 유독화된 어패류를 식용할 경우 중독을 일으키게 되며, 어패류의 아가미에 달라붙어 질식사시키기도 하고, 적조 의 산화분해로 말미암아 수중의 산소가 결핍되어 어패류를 폐사시키는 요인이 됨으로써 국내 양식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적조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화학적인 방법과 물리적인 방법 그리고 생물학적인 방법이 있다.
첫째, 화학적인 방법은 전기분해법으로서 해수중의 H2O와 NaCl이 동시에 전기분해 될 때 발생되는 음이온이 적조를 제거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나, 전기분해법의 경우 해수를 직접 전기분해 하면 동력비가 막대하고 전극의 성능이 빠른 시간 내에 저하되어 실용적인 연속조업이 어려우며, 조제된 전해수를 살포하는 경우에는 저장 및 운송의 문제가 크게 되어 경제성면에서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둘째, 생물학적인 방법으로는 적조 생물의 천적을 찾아 천적생물을 살포하는 방법과 적조생물을 죽이는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현재까지 적당한 천적이나 미생물이 없고 연구중인 천적이나 미생물의 경우에도 그 효과가 입증되고 있지 않다.
셋째, 물리적인 적조제거 방법으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방법은 적조발생지역에 황토를 뿌리는 황토 살포법이다. 이 황토살포법은 황토 자체의 흡착효과와 구성성분인 알루미늄 등이 적조생물 파괴효과로 적조생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나 적조제거효율이 낮을 뿐 만 아니라, 과다 살포된 황토가 해저에 침강하여 조개, 전복 등의 어패류와 해저생물을 폐사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어 해양생태계를 파괴하는 2차 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분말 제올라이트를 해수에 현탁시킨 제올라이트 현탁액을 형성하고, 이 제올라이트 현탁액에 일정비율의 HOCl 또는 OCl-성분을 형성하는 물질인 적조구제용 활성제를 혼합한 적조구제제를 제조하고, 이 적조구제제를 적조 발생해역에 살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적조를 사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적조구제제를 해수 양식장에 살포하여 어류의 폐사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해양저질 개선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2차적인 환경피해를 최소화하면서 보다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적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조구제제는 양식장 및 해양의 부영양화로 생성되는 식물플랑크톤인 적조를 제거하는 적조구제제에 있어서, 해수(또는 물) 1ℓ에 분말 제올라이트 100~20,000mg과,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을 형성하는 적조구제용 활성제 1~5,000mg이 혼합된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적조구제제를 이용하여
적조의 개체수에 따른 적조제거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적조구제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적조구제제에 사용되는 제올라이트와 적조구제용 활성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올라이트(zeolite)는 경고한 삼차원 구조를 지닌 결정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crystalline aluminosilicate)로 정의되며 40여종의 천연제올라이트와 80여종의 합성제올라이트까지 합쳐 130여종의 다양한 세공구조를 지니고 있다.
제올라이트는 이온교환성을 지닌 혼합물로서 이온교환체로서의 용도를 가지며, 골격구조의 공공(空孔)의 크기를 다양하게 바꿈으로써, 크기에 따른 분자를 선택해서 흡착하는 흡착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제올라이트는 미세한 다공질 결정구조를 갖는 이온교환성 화합물로서 양이온 교환특성, 흡착 및 분자체 특성, 촉매특성, 탈수 및 재흡수 특성이 다른 물질에 비해 월등하게 높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올라이트는 동공크기(channel size)가 3-20Å 정도인 천연제올라이트 Clinoptilolite((Na2,Ca)Al2Si7O18·6H2O), Mordenite (Na2[AlSi5O12]2· 7H2O)와 합성제올라이트 Linde type A({Na12[Al12Si12O48]·27H2O}8), Phillipsite (K2(Na2,Ca)2[Al6Si10O32·12H2O), Linde X(Na86[(AlO2)86(SiO2)106]·264H2O), Linde Y(Na56[(AlO2)56(SiO2)136]·250H2O)이다.
흡착제 및 세제의 품질을 표시하는 기준인 칼슘이온교환능력을 제올라이트와 기존에 적조구제제로 사용되고 있는 황토를 서로 비교해 보면 황토의 이온교환능력이 100~150 (mg/g)인데 비하여 제올라이트는 200~300(mg/g)로써 이온교환능력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활성이 뛰어나면서도 생체에 무해한 환경친화적인 물질이다.
이러한 제올라이트가 적조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면 제올라이트는 구조 가운데 작은 동공이 일정한 분포로 존재하는데 이 동공들에 의해 이온흡착능력이 뛰어나며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제올라이트 입자가 적조 세포 표면에 달라붙어(흡착하여) 제올라이트와 적조 세포와의 덩어리(응집)가 형성되고 덩어리가 점차 성장하면서 해저로 침강함으로써 적조를 제거하게 된다. 즉, 적조는 해수표면에 있어야 광합성을 하고 성장을 하는데 침강하여 해저로 가라앉게 되면 광합성이 중지되어 자연히 사멸하게 된다.
특히, 대표적인 적조생물이면서 어류에 독성이 강한 코클로디니움 폴리크리코이드스(Cochlodinium polykrikoides)의 경우에는 표면에 끈적한 점성이 있는 체액을 분비함에 따라 이 체액으로 인해 제올라이트가 적조표면에 닿으면 쉽게 흡착하게 됨으로써 적조제거율의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적조구제용 활성제는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을 형성하는 물질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아염소산나트륨(NaClO2), 염소산나트륨 (NaClO3), 차아염소산칼슘(Ca(ClO)2), 차아염소산(HClO), 차아염소산칼륨(KClO) 등을 사용한다.
적조구제용 활성제가 적조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을 형성하는 적조구제용 활성제가 해수중에 유입되면 Na+(또는 Ca+, H+, K+)와 해수의 pH 조건에 따라 HOCl 또는 OCl-이온으로해리(海狸)되는데 HOCl 또는 OCl-이온에 적조가 접촉하게 되면 적조 세포의 세포벽이 파괴되어 적조를 사멸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Na+(또는 Ca+, H+, K+) 이온은 해수중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성분으로 해양 생태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적조를 제거하고 남은 차아염소산 또는 차아염소산이온은 해수표면에서 자외선에 의해 자연분해 되기 때문에 해양생태환경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올라이트 및 차아염소산 또는 차아염소산이온을 생성하는 적조구제용 활성제를 동시에 병행 사용함으로써 적조제거에 대해 상승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적조구제제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수(海水)(또는 물) 1ℓ에 분말 제올라이트를 상온에서 투입 및 혼합하여 제올라이트의 농도 범위가 100~20,000mg 유지되는 제올라이트 혼탁액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올라이트 현탁액에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을 형성하는 적조구제용 활성제를 상온에서 투입 및 혼합하여 상기 차아염소산이온의 농도 범위가 1~5,000mg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적조구제제의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적조구제제는 제올라이트와 적조구제용 활성제를 각각 일정용량으로 하거나,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밀봉 포장하여 출하하며 이 적조구제제를 적조가 발생된 해수에 살포하여 적조를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제올라이트는 천연제올라이트 및 합성제올라이트를 사용하여 적조구제제를 제조하였으며,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을 형성하는 적조구제용 활성제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아염소산나트륨(NaClO2), 염소산나트륨 (NaClO3), 차아염소산칼슘(Ca(ClO)2), 차아염소산칼륨(KClO)을 선택적으로 단독 사용하거나, 이들 중에서 2종을 선택하여 선택되어진 물질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조구제용 활성제로 사용된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아염소산나트륨(NaClO2), 염소산나트륨(NaClO3), 차아염소산칼슘(Ca(ClO)2), 차아염소산칼륨 (KClO)으로부터 발생되는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의 농도는 해수 단위체적(1입방미터)당 1∼5,000mg 범위내에서는 어류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궁극적으로 해수 내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됨으로써 2차적인 환경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제올라이트와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의 농도를 제한하는 이유는 이들 농도가 기준농도 범위 이하로 너무 낮을 경우 적조원인 생물을 충분히 사멸하여 적조를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고, 기준농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적조원인 생물 외의 생물, 예를 들어 상위 영양단계인 타 플랑크톤과 어류의 많은 수가 사멸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규모 적조발생 해역에 제올라이트 현탁액에 적조구제 활성제로 사용되며 차아염소산이온(OCl-)을 형성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아염소산나트륨 (NaClO2), 염소산나트륨(NaClO3), 차아염소산칼슘(Ca(ClO)2), 차아염소산칼륨(KClO)을 투입할 경우 투입농도를 다른 해양생물에는 피해가 최소화 할 수 있는 농도로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적조구제제를 적조가 발생된 해수에 살포할 경우 적조가 제거되는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올라이트는 미세동공이 일정한 분포로 존재함에 따라 이 미세동공들에 의해 이온흡착능력이 뛰어나며, 이러한 이온흡착능력에 의해 제올라이트 입자가 적조세포 표면에 달라붙어(흡착하여) 제올라이트와 적조세포와의 덩어리(응집)가 형성되고, 이 덩어리가 점차 성장하면서 해저로 침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적조구제용 활성제인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은 적조 세포벽을 파괴하여 적조를 사멸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며, 아울러 제올라이트와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은 적조제거에 있어서 상호 상승작용을 하는데 차아염소산 또는 차아염소산이온에 의해 사멸된 적조와 살아있는 적조 표면에 제올라이트가 흡착되어 큰 덩어리를 형성함으로 인해 보다 용이하게 해저로 침강시키게 되고, 제올라이트에 흡착되어 해저로 침강된 살아있는 적조는 광합성이 중지되어 자연히 사멸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적조구제제의 일실시예를 들어 제조방법을 설명하고,적조가 사멸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해수(海水) 1ℓ에 평균 2.5㎛ 직경의 입자로 구성되어 있는 분말 제올라이트를 상온에서 투입 및 혼합하여 제올라이트의 농도 범위가 1,000mg 유지되도록 하여 제올라이트 혼탁액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올라이트 현탁액에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을 형성하는 적조구제용 활성제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 (NaClO)을 상온에서 투입 및 혼합하여 차아염소산이온의 농도 범위가 500mg 유지되도록 적조구제제의 제조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조구제제를 적조가 발생된 해수에 살포할 경우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은 Na+와 OCl-이온 또는 HOCl으로 해리되는데 HOCl 또는 OCl-이온이 적조와 접촉하게 되면 적조 세포의 세포벽이 파괴되어 적조가 사멸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올라이트는 살아있는 적조나 파괴된 적조 세포에 흡착하여 해저로 침강시키게 되며, 제올라이트에 흡착되어 해저로 침강된 살아있는 적조는 광합성이 중지되어 자연히 사멸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살아있는 적조에 제올라이트만 살포하여도 흡착하여 적조를 침강 및 제거하게 되지만 차아염소산나트륨에 의해 파괴된 적조세포에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난다. 그 이유는 적조세포가 파괴될 때 세포막 내의 체액이 흘러나오는데 이 액체의 점성이 일반 해수보다 크므로 제올라이트에 훨씬 더 잘 흡착되는 것이다.
또한,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부터 해리된 Na+이온은 해수중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성분으로 해양 생태환경에 영향이 없으며, 적조를 제거하고 남은 차아염소산나트륨은 해수표면에서 자외선에 의해 자연분해 되기 때문에 해양생태환경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차아염소산 또는 차아염소산이온과 제올라이트는 서로 상승작용에 의해 적조를 높은 효율로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제올라이트 동공으로 들어간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OCl-)이온은 쉽게 분해 되지 않으므로 적조제거에 보다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적조구제제를 사용하여 해수내의 적조구제제 농도에 따른 적조발생원인 생물의 제거정도를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실험예 1)
해수내의 적조구제제 농도에 따른 적조발생원인 생물의 제거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적조발생원인 생물로써 국내 연안에서 해마다 빈번하게 적조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식물 플랑크톤 코클로디니움 폴리크리코이드스를 선택하여 실험용기에 투입하고 실시예에서 제조된 적조구제제의 주입량을 변화시키며 황토 및 제올라이트와 비교 하였다.
즉, 식물 플랑크톤 코클로디니움 폴리크리코이드스의 개체수가 ㎖당 2,500 셀(cells) 및 ㎖당 8,800cells을 유지하는 해수가 유입된 실험용기를 준비하고, 해수에 제올라이트와 차아염소산이온(OCl-)을 형성하는 적조구제용 활성제가 혼합된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적조구제제를 0g/ℓ∼12g/ℓ로 주입하여 30분이 경과한 후 활동성 있는 적조생물과 운동이 정지되어 치사한 적조생물의 개체수를 계수하거나 클로로필-a를 분석하여 각 농도에 따른 적조생물 치사율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적조구제제(제올라이트와 적조구제용 활성제 혼합 현탁액)는 0.1g/ℓ 주입에서도 95%이상 적조생물을 제거할 수 있는 반면에, 황토는 과다한 투입량으로도 80%이상의 적조생물 제거효율을 기대할 수 없고, 제올라이트 만을 8g/ℓ이상 주입시 90%이상의 적조생물 제거효율을 보였다.
(실험예 2)
동물 플랑크톤, 특히, 요각류(적조생물 및 원생동물 포식종, 동물성 플랑크톤)의 직접적인 포식자로 역할을 하는 어류의 생리영향을 시험하기 위하여 어류로서 우럭과 넙치를 선정하였으며, 4일간 육안으로 이들의 활동성과 행동변화를 관찰하였다.
여기서는 해수 단위체적(1입방미터)당 제올라이트 농도를 100ppm, 500ppm, 1,000ppm, 1,500ppm, 3,000ppm, 5,000ppm으로 변화시켰고,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은 10ppm, 20ppm, 30ppm으로 변화시켜 농도별로 시험하고 그 결과를 조사하여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올라이트는 최대 5,000ppm,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은 최대 30ppm에서도 96시간 동안 전혀 이상 없이 어류가 생존함을 알 수 있다.
(표 1)
제올라이트주입농도 HOCl 또는OCl-주입농도 대상어류 비고
넙 치 우 럭
100 ppm 10ppm 정 상 정 상 ◈ 실험조건* 어류 개체수 : 10마리/조* 어류 개체 평균크기 : 18.1cm* 어류 개체 평균무게 : 59.05g◈ 정상판정기준 : LDo
500 ppm 정 상 정 상
1000 ppm 정 상 정 상
1500 ppm 정 상 정 상
3000 ppm 정 상 정 상
5000 ppm 정 상 정 상
100 ppm 20ppm 정 상 정 상
500 ppm 정 상 정 상
1000 ppm 정 상 정 상
1500 ppm 정 상 정 상
3000 ppm 정 상 정 상
5000 ppm 정 상 정 상
100 ppm 30ppm 정 상 정 상
500 ppm 정 상 정 상
1000 ppm 정 상 정 상
1500 ppm 정 상 정 상
3000 ppm 정 상 정 상
5000 ppm 정 상 정 상
전술한 실험예 1, 2를 통해 양어장 및 연안해역 해수에 발생된 적조의 개체수에 따라 제올라이트 및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의 농도를 해수 단위체적(1입방미터)당 아래의 표 2에서와 같이 설정하여 살포할 경우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적조의 제거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사용범위 적조발생농도 제올라이트농도 HOCl, OCl-농도
양어장 및연안해역용 저농도(3,000cells/㎖ 이하) 100~3,000ppm 1~50ppm
연안해역용 중농도(3,000cells/㎖∼7,000cells/㎖) 3,001~10,000ppm 51~2500ppm
연안해역용 고농도(7,000cells/㎖이상) 10,001~20,000ppm 2501~5000ppm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조구제제를 적조가 발생된 해수에 살포할 경우 적조원인 생물인 식물 플랑크톤 코클로디니움 폴리크리코이드스의 생존율이 5%∼10% 이하가 됨으로써 2차적인 환경피해를 최소화하면서 보다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적조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말 제올라이트를 해수에 현탁시킨 제올라이트 현탁액을 형성하고, 이 제올라이트 현탁액에 일정비율의 차아염소산 (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성분을 형성하는 물질인 적조구제용 활성제를 혼합한 적조구제제를 제조하고, 이 적조구제제를 적조 발생해역에 살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적조를 사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양저질의 개선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2차적인 환경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조구제제는 해양의 적조구제 뿐만 아니라 호소 또는 강 등에서 발생하는 녹조 구제에도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하·폐수처리장내의 유해 미생물 제거제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양식장 및 해양의 부영양화로 생성되는 식물플랑크톤인 적조를 제거하는 적조구제제에 있어서,
    해수 1ℓ에 분말 제올라이트 100∼20,000mg과,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을 형성하는 적조구제용 활성제 1∼5,000mg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상 제올라이트에 적조구제용 활성제가 함유된 적조구제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을 형성하는 적조구제용 활성제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아염소산나트륨(NaClO2), 염소산나트륨(NaClO3), 차아염소산칼슘(Ca(ClO)2), 차아염소산(HClO), 차아염소산칼륨(KClO) 중에서 택일하여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상 제올라이트에 적조구제용 활성제가 함유된 적조구제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 (OCl-)을 형성하는 적조구제용 활성제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아염소산나트륨(NaClO2), 염소산나트륨(NaClO3),차아염소산칼슘(Ca(ClO)2), 차아염소산(HClO), 차아염소산칼륨(KClO) 중에서 2종을 선택하여 선택되어진 각 물질을 1:1의 성분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상 제올라이트에 적조구제용 활성제가 함유된 적조구제제.
KR10-2002-0027100A 2002-05-16 2002-05-16 분말상 제올라이트에 적조구제용 활성제가 함유된적조구제제 KR100460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100A KR100460024B1 (ko) 2002-05-16 2002-05-16 분말상 제올라이트에 적조구제용 활성제가 함유된적조구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100A KR100460024B1 (ko) 2002-05-16 2002-05-16 분말상 제올라이트에 적조구제용 활성제가 함유된적조구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201A KR20020050201A (ko) 2002-06-26
KR100460024B1 true KR100460024B1 (ko) 2004-12-14

Family

ID=27726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100A KR100460024B1 (ko) 2002-05-16 2002-05-16 분말상 제올라이트에 적조구제용 활성제가 함유된적조구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0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8967A1 (en) * 2006-09-25 2008-04-03 Sang-Ki Ahn Anti-fouling paint composi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5040A (ko) * 1986-10-10 1988-06-27 장을량 탈취 및 중금속 제거용 조성물
JPH01130784A (ja) * 1987-11-14 1989-05-23 Asahi Kanko Kk 浄水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890006523A (ko) * 1987-10-30 1989-06-14 김덕렬 폐수처리 조성물
JPH08164393A (ja) * 1994-12-09 1996-06-25 Kanebo Ltd 抗水中微生物用樹脂組成物
KR19990031003A (ko) * 1997-10-08 1999-05-06 이길홍 투르말린과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를 이용한 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09760A (ko) * 1998-07-28 2000-02-15 최식영 석회와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 또는 황토를이용한 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5040A (ko) * 1986-10-10 1988-06-27 장을량 탈취 및 중금속 제거용 조성물
KR890006523A (ko) * 1987-10-30 1989-06-14 김덕렬 폐수처리 조성물
JPH01130784A (ja) * 1987-11-14 1989-05-23 Asahi Kanko Kk 浄水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164393A (ja) * 1994-12-09 1996-06-25 Kanebo Ltd 抗水中微生物用樹脂組成物
KR19990031003A (ko) * 1997-10-08 1999-05-06 이길홍 투르말린과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를 이용한 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09760A (ko) * 1998-07-28 2000-02-15 최식영 석회와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 또는 황토를이용한 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201A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55838B (zh) 一种复合粉状消臭灭菌毒剂及其制备方法
EP1549145B1 (en) Organic compound and metal ion synergistic disinfection and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RU2687929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численности вредителей, обитающих на поверхности воды
CA2346922A1 (en) Lanthanide halide water treat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WO1995026932A1 (en) Nove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water treatment
Bellir et al. Sorption study of a basic dye “Gentian violet”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activated bentonite
KR101657171B1 (ko) 친환경 녹조 및 적조 제거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오염수역의 수질개선방법
da Silva et al. TiO2 nanoparticles for the remediation of eutrophic shallow freshwater systems: Efficiency and impacts on aquatic biota under a microcosm experiment
Lu et al. Application of PAC-modified kaolin to mitigate Prorocentrum donghaiense: Effects on cell removal and phosphorus cycling in a laboratory setting
Patil et al. Ground water nitrate removal by using ‘Chitosan’as an adsorbent
CN101746865A (zh) 净化材料、其制备方法和利用该材料净化水的方法
KR101701092B1 (ko) 키토산 올리고당 살조력과 오존의 산화력을 연계한 해양적조제거제
KR100460024B1 (ko) 분말상 제올라이트에 적조구제용 활성제가 함유된적조구제제
JP2020196012A (ja) 水中でのメラニンの使用
KR101355177B1 (ko) 녹·적조 및/또는 악취 제거용 수처리제
KR20150144448A (ko) 녹조 또는 적조 제거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Odum et al. Water quality
JPS61133140A (ja) 水浄化用組成物
KR102096664B1 (ko) 굴패각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적조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U2191163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дезинфекции воды
JP2003092998A (ja) 家畜類の養殖用飼料
JP2007332039A (ja) 赤潮の除藻剤および赤潮の除藻方法
KR20000019515A (ko) 조류 제거제 제조방법 및 살포방법
KR101780177B1 (ko) 개구리밥을 이용한 수질오염물질의 제거방법
Olugbade et al. Treatment of borehole water using moringa oleifera seed and activated carb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