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994B1 - 굴 패각을 활용한 황토벽돌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굴 패각을 활용한 황토벽돌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994B1
KR100415994B1 KR10-2001-0011628A KR20010011628A KR100415994B1 KR 100415994 B1 KR100415994 B1 KR 100415994B1 KR 20010011628 A KR20010011628 A KR 20010011628A KR 100415994 B1 KR100415994 B1 KR 100415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weight
brick
temperature
bri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1548A (ko
Inventor
김순호
오대민
성진경
진상환
진순한
황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그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그린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그린산업
Priority to KR10-2001-0011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994B1/ko
Publication of KR20020071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9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Lime, magnesia or dolomite
    • C04B2/005Lime, magnesia or dolomite obtained from an industrial by-produc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2Waste materials; Refuse from quarries, mining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10Lime cements or magnesium oxide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241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산업폐기물인 굴패각을 활용화하여 건자재인 황토벽돌 제조에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토의 특성인 원적외선 방출, 온·습도조절, 탈취작용 등의 기능을 유지시키면서, 현재 환경오염의 문제가 되는 폐기물을 전처리 및 가공하여 활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제조방법인 황토, 시멘트방수약, 적색산화철 등을 혼합하여 제조된 벽돌은 원적외선 방사율이 미량 방출되며, 탈취 및 온·습도 조절기능이 미약하다.
본 발명은 활성화된 황토와 슬래그, 굴 패각을 활용화한 생석회, 이산화티탄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혼련한 후 프레스를 이용, 성형하고 자연건조를 10~100℃로 실시한 후 제조된 황토벽돌은 기존의 시멘트, 유기결합제 등을 이용한 황토벽돌과 비교시 원적외선 방사율이 92%로 높고, 실내공기정화 및 온·습도 조절기능과 탈취율 98%의 특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굴 패각을 활용한 황토벽돌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The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wangtho of Brick using Waste Oyster Shell}
본 발명은 해양산업폐기물인 굴패각을 활용화하여 건자재인 황토벽돌을 얻을 수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근 해양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는 굴패각을 부착 염분(Cl-이온)을 제거하고, 조쇄한 후 700~1300℃로 소성과정을 거쳐 생석회(CaO)로 활용화한 생석회와 제철공정의 부산물인 슬래그, 활성화 황토, 촉매반응을 일으키는 이산화티탄을 복합물로하여 활성화를 시킴으로서 기존의 시멘트벽돌보다 온·습도 조절기능, 원적외선 방사율, 탈취·흡착성능이 우수한 황토벽돌을 얻을 수 있는 굴 패각을 활용한 황토벽돌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토를 재료로하는 황토벽돌은 충분한 강도와 원적외선 방사율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제조하여 사용될 경우 온·습조절과 원적외선효능 등의 효과를얻을 수 있다.
종래의 황토벽돌에 관한 것으로서 특허등록 제029853호 및 공개특허 제 2000-0012566호, 공개특허 제2000-0033318호에서는 천연의 황토를 이용하여 볏짚, 유기결합제 등을 넣어 압축강도가 40~50kgf/㎠ 정도이기 때문에 내수성이 없으며, 공개 특허 제1999-0064871호 및 공개특허 제 2000-0012566에서는 강도를 보완하기 위하여 시멘트, 유기결합제 등을 첨가한 방법으로서 원적외선 방사율과 탈취·흡착, 온·습도 조절기능이 떨어지고 황토의 함유량도 제한된다. 또한 황토, 시멘트 방수약, 적색 산화철 등을 혼합한 벽돌 제조방법이 국내공개 특허공보 공개번호 제89-358호, 제85-5395호 및 제90-12862호에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의 종래 방법은 원적외선 방사율 및 탈취 및 온·습도조절기능이 미약하여 내구성, 내마모성, 안전성 등이 부족하여 널리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한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65053호와 같은 황토와 폐패각을 재활용한 건축자재에 있어서는 골제형태의 반응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2000-56382호와 같은 황토와 슬래그를 이용한 수경성몰탈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황토와 슬래그를 이용한 마감처리용 몰탈에 관한 것이다.상기 종래의 기술은 압축강도가 낮으며 형태변형이 이루어지며, 또한 건자재로서 적합한 사용을 이룰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존의 황토고유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압축강도가 높고, 원적외선 방사율 및 탈취흡착율이 높으며, 또한 현재 우리나라의 해양오염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굴 패각을 이용 건자재로 활용함으로써 환경보호라는 국제화추세에 부응하며 제품단가를 낮추어 경쟁력 향상을 추구할 수 있는 굴 패각을 활용한 황토벽돌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황토벽돌의 생성공정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굴패각으로 제조된 생석회, 활성화된 황토와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이산화티탄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수분을 5~25%로 보정하고, 진동프레스로 가압 성형하여 10~100℃에서 24~72시간동안 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재활용된 생석회는 굴패각 분쇄시 이물질과 염분을 제거하기 위해 수세한 후, 조쇄로 분쇄하여 700~1300℃로 소성한다. 이때 입자를 200메쉬(mesh)이하로 균일하게 분쇄에 유의하여야 한다. 활성화된 황토는 천연의 황토를 입자 크기가 최대 1.0㎜ 이하로 활성화시켜야 균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입자가 1.0㎜ 이상이 되면 표면이 거칠게 나타날 수도 있다.
믹셔를 이용한 혼련은 전체적으로 함수율이 균일해야만 성형시에 입도의 몰림현상 및 이중층을 없앨 수 있다. 이러한 황토벽돌의 조성물은 기존의 건축물의 내, 외벽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음이온의 방출기능을 위하여 토루말린을 첨가할 수 있다. 황토의 활성화온도는 700~980℃로써 고온건조시 승온속도는 1.5~5.0℃/min 정도 로 서서히 가열하여야 하며, 최고온도 승온 후 최적의 유지시간은 1~5시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재료의 정의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1〕생석회(패각을 재활용한 원료)
패각류는 방해석이나 선석결정의 고순도 탄산칼슘으로서 분쇄성과 미세기공의 구조로 성분의 변동이 적고 해안의 일정한 곳에 대량으로 집적되기 때문에 이를 자원화하는데에는 암석상의 천연광물인 석회석에서 볼 수 없는 장점을 지니고 있는 훌륭한 무기질 재료이다.
굴양식장 패기물로된 굴 패각을 정제 가공하여 생석회, 소석회를 제조하고,산업부산물인 슬래그를 이용한 기술개발은 대부분 폐기 매립되고 있는 굴패각과 슬래그의 재활용 범위의 확대 및 고부가가치형 제품으로의 용도개발 뿐만 아니라, 적용 용도별 특성에 맞는 환경친화적 제품의 품질개발로 환경에 안정하고, 폐차원의 재활용면과 환경보전측면을 고려 할 때 본 기술개발이 절실이 필요하다.
구분 패각을 활용한 생석회의 특징
성인 및 산지 경남, 전라 남해안 연안
주성분 탄산칼슘(CaCO3)
범주 및 입자 분말도: 2400㎠/g 이상, 염분: 1% 이하강열감량: 5% 이하, 산화칼슘: 45% 이상
〔2〕황토
구분 황토의 특성
성인 및 산지 암석 풍화에 의해 생성되고, 주로 채굴되는 장소는 산(山)
주성분 SiO2:35~50%, Al2O3:25~40%, Fe2O3:3~20%
범주 및 입자 넓게는 1차 점토에 속하며, 입자크기는 조립
〔3〕슬래그
구분 슬래그의 특성
성인 및 산지 제철공정의 선철후 수냉슬러지
주성분 SiO2:20~35%, CaO:40~60%, Al2O3:5~15%
범주 및 입자 분말도 3200㎠/g~7600㎠/g
〔4〕이산화티탄
구분 이산화티탄의 특성
성인 및 산지 티탄철광형으로 산출 황산법·염소법으로 제조
주성분 주성분이 이산화티탄으로 결정상은 정방정으로 티탄철광형 금홍석형과 애주석형이 있다.
범주 및 입자 0.1~4.1㎛로서 광촉매, 항균, 탈취, 산화분해 작용
〔5〕활성화 황토조성물
구분 활성화 황토조성물의 특성
성인 및 산지 천연황토의 고온건조(300~980℃)에 의해 생성되고, 주로 나타나는 상(相)은 비정질(非晶質)이며, 화학적으로 활성도(活性度)가 높다.
주성분 SiO2:45~55%, Al2O3:30~45%, Fe2O3:3~10%, TiO2: 5~10%
범주 및 입자 300~980℃의 고온건조로 결정수가 탈수된 상태로 기공율과 흡수율이 큰 다공성 황토로 핑크색을 띤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해안에서 채취한 굴패각을 깨끗한 물은 이용 이물질을 제거한 후 2㎜이하의 입도로 분쇄한 후 700~1300℃로 가열 소성하여 생석회를 제조한다.
활용화된 생석회 및 활성화한 황토와 본 발명의 황토벽돌의 생성공정이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배합비율(적정비율)은 황토가 40중량%, 슬래그중량부는 30중량%, 굴패각으로 제조된 생석회는 10중량%, 이산화티탄은 5중량%로 조성되며, 수분이 15중량%로 배합하여 진동프레스를 이용하여 성형한 후, 10~100℃ 범위로 24~72시간 건조를 유지한 후, 습윤양생을 통하여 최종 제품화한다.
(실시예 1)
굴 패각 황토벽돌의 시간경과에 따른 탈취율
경과시간(분) 블랭크(Blank)농도(0㎝) 시료농도(0㎝) 탈취율(%)
초기 500 500 -
30 480 90 81
60 470 60 87
90 450 40 91
120 440 30 93
(실시예 2)
경과시간(분) 블랭크(Blank)농도(0㎝) 시료농도(0㎝) 탈취율(%)
0 500 500 -
30 480 220 54
60 470 200 57
90 450 180 60
120 440 170 61
(실시예 3)
시험체의 흡방수량의 측정결과
시험체 방습비
발명한 굴 패각 황토벽돌 66%
시멘트 벽돌 13%
(실시예 4)
벽돌의 표면온도 변화
구분 시멘트벽돌 온도(℃) 황토벽돌 온도(℃)
가열진행중 34.93 36.29
가열종료 30분 후 28.19 31.91
가열종료 1시간 후 25.93 27.40
(실시예 5)
황토벽돌과 일반벽돌의 물리적 특성
구분 압축강도(kgf/㎠) 기공율(%) 원적외선 방사율(%)
굴 패각 황토벽돌 204 39.57 92
시멘트벽돌 250 12.00 79
기존 황토벽돌 40 측정불가 89
적벽돌 305 22.10 88
본 발명으로 제품화된 황토벽돌은 압축강도가 150kgf/㎠ 이상이며, 원적외선 방사율은 92%, 탈취흡착율은 98%로 건축용 벽돌의 KS규격을 충족시키며, 본 발명에 의한 황토벽돌로 시공된 건물은 타제품으로 시공된 건물보다 오랫동안 실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뛰어나 흡착력으로 악취를 제거하고 우수한 항균성으로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요염의 주요인이 되는 패각을 처리, 가공하여 건축용 자재로 재활용함으로서 환경보호라는 현추세에 부응하며 제품의 경쟁성을 확보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우리나라의 전통 건자재인 황토를 현대건축에 사용하여 우리의 주거환경의 변화를 도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활성화된 황토벽돌은 압축강도와 흡방수량, 기공율 등이 건축용 내·외장용 자재에 적합한 물성을 충분히 만족시켰으며 뛰어난 축열효과로 실내공간을 적정온도로 유지시켜준다.
또한 원적외선이 방사되고 탁월한 흡착력과 항곰팡이성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실내거주공간을 인간에게 적합한 쾌적조건을 제공하여 준다.
그리고 현재 남해안을 비롯 우리나라 해양을 오염시키는 패각을 이용 건자재로 활용함으로써 적극적인 환경보호이념을 실현시키면서 제품단가를 기존보다 낮춤으로써 시장 경쟁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활성화된 황토벽돌은 압축강도와 수축율이 건축용 내, 외장용으로 적합한 물성으로 되어 마감재로 시공된 건물은 원적외선 복사에너지가 방사되고 알카리성 시멘트를 중화시키며 전통의 특성을 재현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실내가 따뜻하고 습기가 차지 않으며 탁월한 흡착력으로 냄새를 제거하고 우수한 항균성으로 곰팡이등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며 우리의 주거환경에 적합하고 쾌적한 실내공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황토와 이산화티탄 등을 주성분으로 조성된 황토벽돌에 있어서;
    골패각으로 제조된 생석회 10중량%, 활성화된 황토 40중량%와,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30중량%, 이산화티탄 5중량%와 수분이 15중량%의 혼합비로 혼합 반죽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패각을 활용한 황토벽돌의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된 생석회는 굴패각 분쇄시 이물질과 염분을 제거하기 위해 수세한 후, 조쇄로 분쇄하여 700~1300℃로 소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 패각을 활용한 황토벽돌의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된 생석회의 입자는 200메쉬(mesh)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패각을 활용한 황토벽돌의 조성물.
  4. 황토벽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굴패각으로 제조된 생석회 10중량%, 활성화된 황토 40중량%,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30중량%, 이산화티탄 5중량%, 수분이 15중량%로 배합하여 진동프레스로 가압 성형하여 10~100℃에서 24~72시간동안 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패각을 활용한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01-0011628A 2001-03-07 2001-03-07 굴 패각을 활용한 황토벽돌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15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628A KR100415994B1 (ko) 2001-03-07 2001-03-07 굴 패각을 활용한 황토벽돌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628A KR100415994B1 (ko) 2001-03-07 2001-03-07 굴 패각을 활용한 황토벽돌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548A KR20020071548A (ko) 2002-09-13
KR100415994B1 true KR100415994B1 (ko) 2004-01-24

Family

ID=27696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628A KR100415994B1 (ko) 2001-03-07 2001-03-07 굴 패각을 활용한 황토벽돌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9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054B1 (ko) * 2005-06-03 2007-04-06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황토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46683B1 (ko) * 2021-07-26 2022-01-03 (주)미라클뮤지엄 패각을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369274B1 (ko) * 2021-11-17 2022-03-02 (주)미라클뮤지엄 패각 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61225A (ko) 2022-10-31 2024-05-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굴 패각을 이용한 화분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286A (ko) * 2001-09-19 2001-11-09 최옥자 황토고형물
JP2003112960A (ja) * 2001-09-28 2003-04-18 Okudagumi:Kk ゼオライトモルタ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72418B1 (ko) * 2002-06-21 2005-03-08 학교법인 한마학원 굴껍질과 고로 슬래그를 이용한 수경성 조합물의 제조방법
KR100486674B1 (ko) * 2002-12-03 2005-05-03 박인진 북방대합 패각분말의 용도
KR20030058996A (ko) * 2003-05-23 2003-07-07 오주희 황토를 이용한 수파 피씨 제조 방법
KR100588304B1 (ko) * 2004-09-14 2006-06-14 조성균 광촉매(TiO2) 함유 황토제품 제조방법
KR101106133B1 (ko) * 2009-07-14 2012-01-16 안재식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성 항균보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71204B1 (ko) * 2009-12-10 2010-07-20 김순호 황토벽돌의 설치구조
KR101151313B1 (ko) * 2011-07-28 2012-06-08 이창섭 석탄재와 패각을 이용한 보도블록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2440A (ja) * 1995-11-13 1997-05-20 Inax Corp 不焼成硬化体
KR19990080602A (ko) * 1998-04-20 1999-11-15 백우현 건축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09760A (ko) * 1998-07-28 2000-02-15 최식영 석회와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 또는 황토를이용한 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165053Y1 (ko) * 1999-07-16 2000-02-15 강동윤 황토와폐패각을재활용한건축자재
KR20000012864A (ko) * 1998-08-01 2000-03-06 고석권 수처리 제제
KR20000056382A (ko) * 1999-02-19 2000-09-15 김윤선 황토와 슬래그를 이용한 수경성 몰탈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46987A (ko) * 1999-11-17 2001-06-15 신현택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고강도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20010069281A (ko) * 2001-02-28 2001-07-25 탁성용 건강 기능 벽돌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2440A (ja) * 1995-11-13 1997-05-20 Inax Corp 不焼成硬化体
KR19990080602A (ko) * 1998-04-20 1999-11-15 백우현 건축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09760A (ko) * 1998-07-28 2000-02-15 최식영 석회와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 또는 황토를이용한 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12864A (ko) * 1998-08-01 2000-03-06 고석권 수처리 제제
KR20000056382A (ko) * 1999-02-19 2000-09-15 김윤선 황토와 슬래그를 이용한 수경성 몰탈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65053Y1 (ko) * 1999-07-16 2000-02-15 강동윤 황토와폐패각을재활용한건축자재
KR20010046987A (ko) * 1999-11-17 2001-06-15 신현택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고강도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20010069281A (ko) * 2001-02-28 2001-07-25 탁성용 건강 기능 벽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054B1 (ko) * 2005-06-03 2007-04-06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황토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46683B1 (ko) * 2021-07-26 2022-01-03 (주)미라클뮤지엄 패각을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369274B1 (ko) * 2021-11-17 2022-03-02 (주)미라클뮤지엄 패각 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61225A (ko) 2022-10-31 2024-05-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굴 패각을 이용한 화분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548A (ko) 200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5994B1 (ko) 굴 패각을 활용한 황토벽돌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86696B1 (ko) 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89600B1 (ko) 제올라이트와 황토, 일라이트를 활용한 건축용 모르타르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336711B1 (ko) 친환경 무시멘트 건조모르타르
KR20020021180A (ko) 황토와 일라이트, 이산화티탄을 활성화한 황토벽돌과황토타일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87283B1 (ko) 건강 기능 벽돌
KR101355800B1 (ko) 황토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
KR101589382B1 (ko)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101074770B1 (ko) 재활용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콘크리트 보도블록
KR100495571B1 (ko) 흡방습 건강타일 조성물 및 건강타일의 제조방법
KR100781712B1 (ko) 생화학적 처리 담체 제조방법
KR102134823B1 (ko) 다기능 소재를 함유한 친환경 모르타르 및 실내용 판넬
KR101071575B1 (ko) 황토 타일 조성물, 저온 소성 고강도 황토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71204B1 (ko) 황토벽돌의 설치구조
KR20010038156A (ko) 황토모르타르 균열방지용 혼화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104936A (ko) 무독성 시멘트의 제조방법
KR100391704B1 (ko) 건축용 황토 판넬의 제조방법
KR101600543B1 (ko) 친환경 기능성 세라믹 볼 및 그 제조방법
KR101858395B1 (ko) 보명토와 부산석회를 이용한 경량골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9705B1 (ko) 친환경고형물 및 친환경고형물의 제조방법.
KR20140008682A (ko) 황토 숯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069808B1 (ko) 황토 벽돌
JP2007153627A (ja) ゼオライト建材の製造方法
KR102136043B1 (ko)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인공어초용 대형 세라믹패널의 제조 방법
KR101511517B1 (ko) 천연 고기능 나노 광물을 융합한 내부용 점토 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