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668A - 고밀도 광기록매체 및 그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고밀도 광기록매체 및 그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668A
KR20000009668A KR1019980030230A KR19980030230A KR20000009668A KR 20000009668 A KR20000009668 A KR 20000009668A KR 1019980030230 A KR1019980030230 A KR 1019980030230A KR 19980030230 A KR19980030230 A KR 19980030230A KR 20000009668 A KR20000009668 A KR 20000009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light beam
information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교
김천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30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9668A/ko
Publication of KR20000009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66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for focusing and track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2007/00763Track cross-section, e.g. V-shaped, trapezoid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밀도 기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광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기록매체는, 삼각형의 정보기록트랙들에 수직으로 조사된 광빔에 의해 현재 액세스 하는 정보기록트랙에 음영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 정보기록트랙을 구비한다.
이에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는 대용량의 정보를 기록함과 아울러, 인접 트랙간의 간섭에 의한 크로스토크를 제거하게 된다.

Description

고밀도 광기록매체 및 그 재생방법(High-Density Optical Recording Media and Method of Re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광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밀도 기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광기록매체 및 그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 기록/재생분야 또는 광자기 기록/재생분야에 있어 기하급수 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대용량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따라 DVD-RAM(Digital Versatile Disc - Random Access Memory) 등의 광디스크에서는 산(Land)과 골(Groove) 모두에 정보를 기록하는 소위 산/골 기록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광기록매체는 기판(2)의 상부에 산/골 형상으로 구성된 양측에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기록층(4)과, 정보기록층(4)을 보호하는 보호층(6)을 구비한다. 보호층(6)은 자외선 경화수지 등을 소저의 두께로 코팅함에 의해 형성하게 된다. 정보기록층(4)은 산의 트랙(4a)과 골의 트랙(4b)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의 트랙에 광빔을 조사하여 기록정보에 대응하는 기록마크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대용량화에 따라 고밀도 광기록매체를 요구하게 되어 산/골 구조를 갖는 광기록매체의 트랙피치(Track Pitch)는 더욱 좁아지는 추세에 있다. 이로인해, 트랙피치가 좁은 광기록매체의 산(Land)의 영역과 골(Groove)의 영역 일부분에 광스폿이 동시에 조사 되어 인접한 트랙간의 간섭에 의한 크로스 토크(Crosstalk)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광학적 초해상방법 또는 회로적 초해상방법을 적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에 의해서도 기록밀도를 높이는데에는 한계가 있을뿐만 아니라, 인접 트랙간의 간섭에 의한 크로스토크(Crosstalk)를 줄이는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따라, 인접 트랙간의 간섭에 의한 크로스토크를 발생하지 않으면서 대용량의 정보를 기록할수 있는 고밀도 광기록매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밀도 기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광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밀도 광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고밀도 광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밀도 광기록매체의 정보를 안정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고밀도 광기록매체의 재생방법을 제공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광기록매체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기울어진 각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의 광로차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광빔의 조사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다른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신호검출시의 옵셋보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2 : 기판 4,14 : 정보기록층
6,16 : 코팅층 18 : 정보기록면
20 : 대물렌즈 22 : 비대칭렌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기록매체는, 삼각형의 정보기록트랙들에 수직으로 조사된 광빔에 의해 현재 액세스 하는 정보기록트랙에 음영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 정보기록트랙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기록매체의 기록/재생장치는,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삼각형의 양측면에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정보기록트랙이 형성된 광기록매체와, 광기록매체의 양측면에 수직인 광빔을 조사하여 상기 정보기록트랙에 정보의 기록/재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광학계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기록매체의 재생방법은 광기록매체의 전면 트랙에 수직인 광빔을 조사하여 상기 전면 트랙에 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단계와, 광기록매체의 후면 트랙에 수직인 광빔을 조사하여 상기 후면 트랙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 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기록매체는, 기판(12)의 상부에 삼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된 전면 및 후면에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기록층(14)과, 정보기록층(14)을 보호하는 보호층(16)을 구비한다. 정보기록층(14)은 전면 트랙(4a)과 후면 트랙(14b)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의 트랙에 광빔을 조사하여 기록정보에 대응하는 기록마크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인접 트랙간의 크로스 토크 및 인접 트랙에서 반사된 광빔이 광검출기(도시되지 않음)에 검출되지 않도록 인접 트랙간의 깊이 및 삼각형의 각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즉, 현재 액세스 하는 트랙이 인접한 트랙에 조사된 광빔에 의해 음영이 발생하지 않는 각도를 고려하여 삼각형의 각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고밀도광기록매체의 트랙폭 및 트랙피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밀도 광기록매체의 정보기록면(18)은 전면 트랙(16a)과 후면 트랙(16b)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기 고밀도 광기록매체상의 인접트랙간의 깊이(d)는 수학식 1에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λ는 광빔의 파장, d는 인접트랙간의 깊이를 의미한다. 이때, 광빔의 파장(λ)이 650㎚로 하고, 기울어진 각을 30°라 할 때, d는 162.5㎚가 된다.
또한, 트랙폭(a)은 수학식 2에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θ는 기울어진 각, a는 트랙폭을 의미한다. d가 162.5㎚이고 θ가 30°이면 a는 187.64㎚가 된다.
또한, 트랙피치는 수학식 3에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T.P는 트랙피치를 의미한다. θ가 30°일 때 a가 187.64㎚이므로 T.P는 281.46가 된다. 본 발명의 고밀도 광기록매체는 기존의 산/골 구조를 갖는 광기록매체에 비해 약 2배 이상의 정보를 기록할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기록매체에서는 인접 트랙간의 간섭에 의한 크로스토크를 제거할수 있다. 이를 도 4 및 도 5를 결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바와같이 고밀도 광기록매체의 전면 트랙(16a)과 후면트랙(16b)은 소정의 깊이차(즉, d)를 가지게 되며, 각각의 트랙은 45°이하의 θ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후면 트랙(16b)에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기 위해 조사된 광스폿이 상기 전면 트랙(16a)과 후면 트랙(16b)을 동시에 조사될 경우의 인접 트랙간의 광빔의 경로(이하 "광로"라 함)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1'은 전면 트랙(16a)에 조사된 광빔의 광로를 나타내며, 3'은 후면 트랙(16b)에 조사된 광빔의 광로를 나타낸다. 1'에서 광빔의 파동성질에 의해 인접 트랙간의 깊이가 λ/4일 때, 광빔이 진행하는 거리는 λ/2가 되므로 광검출면에서는 λ/4 만큼 떨어진 전면 트랙(16a)에서의 신호는 검출되지 않는다. 즉, 현재의 재생 트랙에 인접한 트랙은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기록면의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재생시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Hard Disk Driver)의 가드밴드(Guard Band)의 기능을 수행하게되어 크로스토크의 영향을 줄일수 있게된다. 반면에 3'에서 광빔의 파동성질에 의해 인접 트랙간의 깊이가 λ/4일 때, 광빔이 진행하는 거리는 6λ/4가 되므로 후면 트랙(16b)에 조사된 광빔은 반사되어 후면 트랙(16b)에 기록된 정보의 독출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기록매체에서는 인접 트랙간의 광로차가 서로 다르게 되므로 크로스토크가 발생하지 않게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기록매체에 광빔을 기울여서 조사하여야 한다. 이를 도 6 및 도 7을 결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고밀도 광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는 일실시예로써, 광픽업(도시되지 않음)을 전면 트랙(16a)과 후면 트랙(16b)의 기울기에 대응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 광빔을 조사하게 된다. 이 경우, 전면 트랙(16a) 과 후면 트랙(16b)을 재생 하기위해 두 개의 대물렌즈(20)를 사용하거나, 하나의 대물렌즈(20)를 회전시키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전면 또는 후면 트랙(16a,16b)에 기록된 정보의 독출이 가능하게 된다. 즉, 두 개의 대물렌즈(20)를 사용하는 경우 먼저, 두 개의 대물렌즈중 어느 하나의 대물렌즈(20)를 이용하여 전면 트랙(또는, 후면트랙)에 기록된 정보를 독출한다. 이어서, 나머지 하나의 대물렌즈(20)를 이용하여 후면트랙(또는 전면트랙)에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게 된다. 다른방법으로는 하나의 대물렌즈(20)를 사용하는 경우, 먼저 전면트랙(또는 후면트랙)에 기록된 정보를 독출한다. 이어서, 상기 대물렌즈(20)를 회전하여 후면트랙(또는 전면트랙)에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게 된다. 또한,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로써, 광픽업(도시되지 않음)에서 수직으로 조사된 광빔을 좌·우 비대칭인 비대칭렌즈(22)를 사용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 광빔을 조사하게 된다. 이때, 비대칭렌즈(22)는 전면 트랙(16a)과 후면 트랙(16b)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좌·우 비대칭인 렌즈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면 트랙(16a) 과 후면 트랙(16b)을 재생 하기위해 두 개의 비대칭렌즈(22)를 사용하거나, 하나의 비대칭렌즈(22)를 회전시키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전면 및 후면 트랙(16a,16b)에 기록된 정보의 독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도 6과 동일한 방식에 의해 상기 광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독출할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의 방식을 사용하여 포커싱 에러 및 트래킹 에러를 검출시에 도 8에 도시된바와같이 고밀도 광기록매체에서 검출되는 반사광은 광검출기(도시되지 않음)의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옵셋(Offset)이 발생하여 정확한 트래킹 에러 및 포커싱 에러를 검출하기 어려워진다. 이는 정보를 재생하기위해 조사된 광빔이 현재의 재생 트랙 및 인접트랙에도 동시에 조사되는 것에 기인한다. 이에따라, 대물렌즈(20)의 중앙을 기준으로하여 현재의 재생트랙의 왼쪽에 위치한 트랙에서 반사된 광빔이 대물렌즈(20)의 왼쪽으로 진행하게 되며 현재의 재생 트랙의 오른쪽에 위치한 트랙에서 반사된 광빔이 대물렌즈(20)의 왼쪽으로 진행하게 되므로 광검출기(도시되지 않음)에서 검출되는 광빔도 한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이때, 상기 옵셋량은 정보기록면(18)의 높이에 따라서 일정하므로 이에 대응하는 바이어스(Bias)를 인가하여 옵셋을 제거할수 있다. 이로인해,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함에 있어 정확한 트래킹 에러 및 포커싱 에러를 검출할수 있게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기록매체는, 대용량의 정보를 기록함과 아울러, 인접 트랙간의 간섭에 의한 크로스토크를 제거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 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접 트랙간의 깊이를 λ/4로 설정하였으나,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수 있음을 당업자는 알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2)

  1.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삼각형의 양측면에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정보기록 트랙들을 구비하는 광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의 정보기록트랙들에 수직으로 조사된 광빔에 의해 현재 액세스 하는 정보기록트랙에 음영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 정보기록트랙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기록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매체의 트랙피치가 좁아지도록 상기 정보기록트랙들이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기록매체.
  3.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삼각형의 양측면에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정보기록트랙이 형성된 광기록매체와,
    상기 광기록매체의 양측면에 수직인 광빔을 조사하여 상기 정보기록트랙에 정보의 기록/재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광학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장치.
  4.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삼각형의 전면 트랙 및 후면 트랙에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정보기록 트랙들을 구비하는 광기록매체의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매체의 전면 트랙에 수직인 광빔을 조사하여 상기 전면 트랙에 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광기록매체의 후면 트랙에 수직인 광빔을 조사하여 상기 후면 트랙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기록매체의 재생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록트랙에 수직인 광빔을 조사하기위해 광픽업을 상기 정보기록트랙의 각도와 대응하도록 기울여 광빔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기록매체의 재생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매체의 정보기록트랙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도록 상기 전면트랙과 후면트랙에 대응하여 하나의 광픽업을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의 재생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매체의 정보기록트랙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도록 상기 전면 트랙 및 후면 트랙의 각도와 대응하는 2개의 광픽업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의 재생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매체의 정보기록트랙에 수직인 광빔을 조사하기위해 비대칭렌즈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기록트랙의 각도와 대응하도록 광빔을 기울여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기록매체의 재생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매체의 정보기록트랙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도록 상기 전면트랙과 후면트랙에 대응하여 하나의 비대칭렌즈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의 재생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매체의 정보기록트랙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도록 상기 전면 트랙 및 후면 트랙의 각도와 대응하는 2개의 비대칭렌즈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의 재생방법.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록트랙에서 반사된 광빔의 옵셋량에 대응하는 바이어스를 인가하여 상기 반사광빔의 옵셋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의 재생방법.
  12. 제 4 항에 있어서,
    액세스 하는 정보기록트랙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 조사된 광빔이 상기 액세스 하는 정보기록트랙에서 λ/4 만큼 떨어진 인접한 트랙에 동시에 조사될 경우, 광빔의 경로차에 의해 상기 액세스 하는 정보기록트랙에서 반사된 광빔만이 검출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의 재생방법.
KR1019980030230A 1998-07-27 1998-07-27 고밀도 광기록매체 및 그 재생방법 KR20000009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230A KR20000009668A (ko) 1998-07-27 1998-07-27 고밀도 광기록매체 및 그 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230A KR20000009668A (ko) 1998-07-27 1998-07-27 고밀도 광기록매체 및 그 재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668A true KR20000009668A (ko) 2000-02-15

Family

ID=1954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230A KR20000009668A (ko) 1998-07-27 1998-07-27 고밀도 광기록매체 및 그 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96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2701B1 (en) A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a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US4209804A (en) Record carrier containing information in an optically readable radiation reflecting information structure
US4310916A (en) Optical record carrier and apparatus for reading it
US6487147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a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KR100378275B1 (ko) 광 기록 매체, 매체 트래킹 방법, 및 기록/재생 장치
JP2000132868A (ja) 記録再生媒体及びそれを用いる記録再生装置
US62297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focus error signals in a multi-beam optical disk drive
JP3560410B2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
US6532208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prepits deeper than grooves
EP0480125A1 (en) Phase change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H0481816B2 (ko)
JPH0546622B2 (ko)
KR100378938B1 (ko) 광디스크 장치
JPH08297855A (ja) コンパチブル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20000009668A (ko) 고밀도 광기록매체 및 그 재생방법
JPS5930251A (ja) 光学式情報記憶媒体
JP2943928B2 (ja) 光情報記録媒体及び光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269133B1 (ko) 광디스크의 헤더 신호 판독방법
JPH11273083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428016A (ja) 光学式記録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JPS6018832A (ja) 光学式情報円盤及びその記録再生装置
JP2783523B2 (ja) 情報記録媒体の原盤記録方法および記録再生方法
JP3108682B2 (ja) 光磁気メモリ素子の製造方法
JPS5930252A (ja) 光学式情報記憶媒体
KR20020074996A (ko) 호환성 있는 고밀도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