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545U - 리프트의자 - Google Patents

리프트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545U
KR20000009545U KR2019980021544U KR19980021544U KR20000009545U KR 20000009545 U KR20000009545 U KR 20000009545U KR 2019980021544 U KR2019980021544 U KR 2019980021544U KR 19980021544 U KR19980021544 U KR 19980021544U KR 20000009545 U KR20000009545 U KR 200000095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iston rod
shaft
sea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74728Y1 (ko
Inventor
유희수
Original Assignee
유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희수 filed Critical 유희수
Priority to KR2019980021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728Y1/ko
Publication of KR200000095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5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728Y1/ko

Link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이미용 의자 또는 의료용 의자로 사용되는 것으로, 시트의 승강시에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시트의 정지시에는 이 시트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전후좌우측 어느 곳에서도 위치를 옮기지 않고 레버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레버 조작시에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억제하며, 조작을 좀 더 부드럽게 할 수 있고, 마모 또한 줄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리프트의자에 관한 것으로, 레버(40)를 지지하는 요동축(42)과, 이 레버(40)의 움직임에 의해 승강되는 피스톤 로드(44)를 갖는 리프트의자에 있어서, 상기 요동축(42)의 중앙에 편심축(60)을 형성하고, 양측에 원호면(72)(74)이 형성된 브레이크패드(70)를 상기 편심축(60)과 상기 피스톤 로드(44)의 사이에 개재시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리프트의자
본 고안은 주로 이미용 의자 또는 의료용 의자로 사용되는 리프트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심축에 의해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떨어지는 브레이크 패드를 구비하여 시트의 승강시에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시트의 정지시에는 이 시트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전후좌우측 어느 곳에서도 조작이 가능한 레버를 구비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레버 조작시에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억제하며, 레버의 조작을 좀 더 부드럽게 할 수 있고, 마모 또한 줄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리프트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리프트의자는 첨부도면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10), 착석자의 배(背)부위를 받치는 등받이(11), 팔을 지지하는 암레스트(12), 시트(10)를 지지하는 다리부(13)로 구성된 것으로, 다리부(13)에는 캐스터(14)를 설치하여 이동이 편리하도록 되어 있고, 다리부(13)와 시트(11) 사이에는 리프트장치(20)를 두어 착석자의 신장에 따라 시트(10)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리프트장치(20)는 첨부도면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21)에 지지된 요동축(22)이 레버(23)에 의해 소정각도로 요동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었으며, 이 요동축(22)에는 "U"자 모양의 걸림바(24)가 설치되어 상기 헤드(2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승강봉(25)을 가압하도록 되어 있었고, 이 승강봉(25)은 상기 헤드(21)의 안쪽으로 관통되어 오일을 저장하는 원통형의 오일탱크(26)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피스톤펌프(27)를 가압하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스프링(28)에 의해 상측으로 탄성력을 받으면서 복귀되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 피스톤펌프(27)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에 의해 상승되는 유압실린더(30)의 피스톤 튜브(32)는 상기 오일탱크(26)의 내부에 설치되고, 피스톤 로드(34)는 상기 헤드(21)를 통해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었고, 상기 피스톤펌프(27)와 유압실린더(30)의 유로상에는 체크밸브(도시 않됨)가 설치되어 이 유압실린더(30)로부터 상기 피스톤펌프(27)로 오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34)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오일탱크(26)는 상기 다리부(13)의 위에 얹혀져 지지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34)의 상단부에는 시트(10)가 얹혀져 있었다.
즉, 상기 레버(23)를 누르게 되면, 요동축(22)과 함께 걸림바(24)가 도면중 화살표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승강봉(25)을 아래쪽으로 가압되고, 이 과정에서 피스톤펌프(27)는 오일탱크(26)에 저장되어 있던 오일을 유압실린더(30)를 구성하고 있는 실린더 튜브(32)로 압송하게 되어 피스톤 로드(34)가 시트(10)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후 누르고 있던 레버(23)로부터 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스프링(28)의 복원력에 의해 승강봉(25), 걸림바(24), 레버(23) 그리고 요동축(22)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리프트의자는 적은 힘으로도 비교적 큰 체중을 가진 착석자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는 장점은 가지고 있으나 피스톤 로드(34)가 실린더 튜브(32)에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므로, 이미용실에서 머리손질하는 과정 또는 병원에서 환자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피스톤 로드(34)와 함께 시트(10)가 갑자기 회전되면, 착석자의 자세가 갑자기 변하게 되므로, 머리손질이 잘못되거나 환자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종래의 리프트장치(20)에서 레버(23)는 일측으로만 뻗어 있는 "U"자 모양으로 되어 있었으므로, 옆에서 작업(머리손실 또는 환자치료)하는 사람이 시트(10)의 높낮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레버(23)가 뻗은 방향으로 이동하여 조작하여야 하는 사용상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예컨대, 레버(23)가 후방측에 위치되고, 작업하는 사람이 옆에 위치된 경우에 레버(23)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후방측으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게 된다.
또, 상기 요동축(22)에 고정되는 걸림바(24)는 "U"자 모양으로 절곡가공을 한 연후에 세트스크류(24a)(24b)를 이용하여 요동축(22)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요동축(22)에 상기 걸림바(24)를 삽입하기 위한 압입구멍(24c)(24d)과, 나사구멍(24e)(24f)을 가공하여야 되고, 별도의 부품인 세트스크류(24a)(24b)를 필요로하여 원가를 상승시키고, 조립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레버(23)를 움직이는 과정 또는 스프링(28)에 의해 복귀되는 과정에서 걸림바(24)가 승강봉(25)에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걸림바(24)는 각운동하고, 승강봉(25)은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되므로, 걸림바(24)가 승강봉(25)의 상단에서 약간 미끄러지면서 금속성의 소음공해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걸림바(24)가 승강봉(25)의 상단에 접촉하여 각운동과 미끄럼운동을 동시에 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므로, 마모가 심하게 되고, 레버(23)를 움직일 때 걸림바(24)와 승강봉(25)간의 마찰력에 의해 움직임이 부드럽게 되지 않아 제품의 구매욕구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작업중에 시트가 갑자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시트의 승강시에 사방에서 조작이 가능하며, 조립공수 및 부품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하고 조립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피스톤펌프를 움직이기 위한 승강봉과, 이에 접촉하는 걸림바간에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고, 마모를 줄일 수 있으며, 레버의 움직임이 좀 더 부드럽게 될 수 있는 리프트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레버를 지지하는 요동축과, 이 레버의 움직임에 의해 승강되는 피스톤 로드를 갖는 리프트의자에 있어서, 상기 요동축의 중앙에 편심축을 형성하고, 양측에 원호면이 형성된 브레이크패드를 상기 편심축과 상기 피스톤 로드의 사이에 개재시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레버는 상기 요동축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반대편을 향해 전방측에서 후방측 아래쪽으로 만곡선형태를 이루면서 교차되는 두 개의 곡선바와, 상기 승강봉의 상측에서 상기 곡선바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一"자 모양의 걸림바와, 이 걸림바의 외측에 설치되는 파이프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도 1a 는 종래 리프트의자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1b 는 종래 리프트의자의 구성을 보이는 요부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자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자에 의해 피스톤 로드가 언록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자에 의해 피스톤 로드가 언록된 상태를 보이는 평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자에 의해 피스톤 로드가 록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자에 의해 피스톤 로드가 록된 상태를 보이는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40 : 레버 60 : 편심축
42 : 요동축 72,74 : 원호면
44 : 피스톤 로드 70 : 브레이크패드
72e : 요입부 80 : 걸림바
40d,40e : 곡선바 80g : 파이프
81 : 승강봉 82 : 피스톤펌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자를 보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자에 의해 피스톤 로드가 언록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자에 의해 피스톤 로드가 언록된 상태를 보이는 평단면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자에 의해 피스톤 로드가 록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며,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자에 의해 피스톤 로드가 록된 상태를 보이는 평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축(42)과 피스톤 로드(44)를 안내하기 위해 헤드(46)에 형성된 구멍(46a)(46b)을 관통하는 관통홀(46c)을 이 헤드(46)에 형성하는 한편, 상기 요동축(42)의 중앙에 편심축(60)을 형성하고, 양측에 원호면(72)(74)이 형성된 브레이크패드(70)를 상기 편심축(60)과 상기 피스톤 로드(44)의 사이에 개재시켜 구성하였다.
여기에서 상기 편심축(60)은 상기 요동축(4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이들 사이에 형서된 턱에 상기 브레이크패드(70)의 양측면이 걸리도록 구성하였으나 꼭 이러한 크기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패드(70)의 양측에 형성된 원호면(72)(74)은 각각 중심이 직교하도록 형성하였으며, 상기 피스톤 로드(44)와 접촉하는 원호면(72)의 중앙에는 요입부(72e)를 추가로 형성하여 이 브레이크패드(70)와 피스톤 로드(44)가 선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요동축(42)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에 편심축(6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레버(40)를 구성하는 곡선바(40d)(40e)의 끝단이 각각 삽입되도록 축의 직각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멍(42a)(42d)이 형성되고, 요동축(42)의 끝단으로부터는 상기 관통구멍(42a)(42d)으로 이어지는 나사구멍(42e)(42h)이 형성되어 이 나사구멍(42e)(42h)에 스크류(5a)(5d)가 나사결합되면서 요동축(42)에 레버(40)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레버(4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요동축(42)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반대편을 향해 전방측에서 후방측 아래쪽으로 만곡선형태를 이루면서 교차되어 용접되는 두 개의 곡선바(40d)(40e)와, 승강봉(81)의 상측에서 상기 곡선바(40d)(40e)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一"자 모양의 걸림바(80)와, 이 걸림바(80)의 외측에 설치되는 파이프(80g)로 구성하였다.
즉, 상기 레버(40)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전체적인 모양이 하트모양을 그리도록 구성되어 보는 이로 하여금 심미감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 파이프(80g)는 상기 걸림바(80)에서 회전자재케 설치하여 상기 레버(40)를 움직일 때 각운동하는 걸림바(80)와 상하직선운동하는 승강봉(81) 사이에서 구르면서 소음발생을 억제하고, 움직임을 좀 더 부드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82는 상기 승강봉(81)에 의해 압력을 받는 피스톤펌프를 나타낸 것이며, 83은 상기 피스톤펌프(82)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에 의해 상승되는 유압실린더를 나타낸 것이고, 84는 상기 피스톤펌프(82), 유압실린더(83)의 실린더튜브(83a)가 수용되고, 상측에는 상기 헤드(46)가 기밀하게 결합되어 내부에 오일을 저장하여 두는 원통형의 오일탱크를 나타낸 것이며, 85는 시트를 나타낸 것이고, 86은 암레스트를 나타낸 것이며, 87은 등받이를 나타낸 것이고, 88은 다리부를 나타낸 것이며, 89는 캐스터를 나타낸 것이고, 90은 상기 피스톤펌프(82)를 복귀시키면서 상기 승강봉(81)을 상측으로 밀어올려주기 위한 스프링을 나타낸 것이며, 91은 상기 오일탱크(84)를 감싸는 커버를 나타낸 것이고, 100은 상기 헤드(46)를 상기 오일탱크(84)의 상단부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나타낸 것이며, 101은 상기 볼트(100)와 헤드(46)의 사이에 끼워지는 와셔를 나타낸 것이고, 102는 상기 헤드(46)와 오일탱크(84)의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을 나타낸 것이며, 200,202는 상기 요동축(42)을 지지하기 위한 오일리스 베어링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40)를 아래쪽으로 누르게 되면, 이 레버(40)와 연결되어 있는 요동축(42)과 걸림바(84)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이 걸림바(84)에 접촉되어 있는 승강봉(81)과 스프링(90)이 압력을 받아 승강봉(81)은 아래쪽으로 하강되고, 스프링(90)은 압축되는 일반적인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승강봉(81)은 오일탱크(84)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피스톤펌프(82)와 접촉하고 있으므로, 이 피스톤펌프(82)가 움직이게 되어 오일탱크(84)에 저장되어 있던 오일이 유압실린더(83)의 실린더튜브(83a)를 향해 압송되며, 동시에 유압실린더(83)의 피스톤 로드(44)가 위쪽으로 상승되는 일반적인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첨부도면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축(42)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편심축(60)이 이 요동축(42)과 함께 회동되면서 피스톤 로드(44)로부터 멀어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편심축(60)과 피스톤 로드(44)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던 브레이크패드(70)가 피스톤 로드(44)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피스톤 로드(44)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누르고 있던 레버(40)로부터 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9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승강봉(81)이 상측으로 상승되면서 동시에 걸림바(80)를 밀어올리게 되고, 동시에 걸림바(80)가 회동되면서 요동축(42)과 레버(40)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첨부도면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축(42)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편심축(60)이 이 요동축(42)과 함께 회동되면서 피스톤 로드(44)와 가까워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편심축(60)과 피스톤 로드(44)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던 브레이크패드(70)가 피스톤 로드(44)에 밀착되어 피스톤 로드(44)가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즉,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편심축(60)의 중심선(C1)이 요동축(42)의 중심선(C2)을 기점으로 회동되는 꼴이 되어 편심축(60)과 브레이크패드(70)가 피스톤 로드(44)에 밀착되므로, 이 피스톤 로드(44)에 레이디얼방향으로 작용되는 압력에 의해 브레이크패드(70)와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피스톤 로드(44)가 회전되거나 상하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됨과 동시에 이 피스톤 로드(44)의 상단에 얹혀져 있는 시트(85)가 수평하게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피스톤 로드(44)와 접촉하는 원호면(72)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요입부(72e)는 가공오차에 의해 이 원호면(72)의 반경이 피스톤 로드(44)의 반경보다 크게 된 경우에 원호면(72)의 가운데 부분이 피스톤 로드(44)와 선접촉되면서 마찰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동시에 브레이크패드(70)의 탄성변형량을 보다 크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브레이크패드(70)의 가운데부분에 형성된 요입부(72e)에 의해 이 부분이 더욱 얇게 형성되므로, 휨강도가 약화되어 탄성변형량이 증대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44)와 원호면(72)의 반경에 약간의 오차가 존재하더라도 브레이크패드(70)가 휘면서 그 오차분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레버(40)가 서로 반대편을 향해 전방측에서 후방측 아래쪽으로 만곡선형태를 이루면서 교차되는 두 개의 곡선바(40d)(40e)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작업중에 시트(85)의 높낮이를 조정하고자 할 경우 그 자리를 옮기지 않더라도 레버(40)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40)를 움직이는 과정 또는 스프링(90)에 의해 복귀되는 과정에서 걸림바(80)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80g)가 승강봉(81)의 상단부에서 구르면서 금속체간이 서로 미끄러지면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발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게 되고, 동시에 움직임이 부드럽게 되어 마모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레버로부터 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편심축에 의해 브레이크패드가 피스톤 로드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피스톤 로드와 시트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머리손질 또는 환자치료)중에 시트가 갑자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브레이크패드의 가운데 부분에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스톤 로드와 원호면에 약간의 가공오차가 존재하더라도 가압시에 브레이크패드가 휘면서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고, 레버가 전방측에서 후방측을 향해 휘어져 있는 형태인 루프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작업중에 자리를 옮기지 않고 전후좌우측에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걸림바가 레버에 직접 용접되는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조립공수 및 부품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조립생산성을 보다 향상킬 수 있는 동시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더 나아가서는 각운동하는 걸림바와 직선운동하는 승강봉 사이에서 구르는 파이프를 걸림바에 설치하였으므로, 레버를 움직일 때 기존과 같이 걸림바가 승강봉의 상단으로부터 미끄러지면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현저하게 줄여줄 수 있고, 걸림바와 승강봉간에 기존과 같이 미끄럼운동이 아닌 구름운동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으므로, 마모를 줄여 제품의 수명을 보다 연장시킬 수 있게 되고, 움직임을 좀 더 부드럽게 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구매욕구를 불러 일으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레버(40)를 지지하는 요동축(42)과, 이 레버(40)의 움직임에 의해 움직이는 승강봉(81)에 의해 펌핑되는 피스톤펌프(82)와, 이 피스톤펌프(82)에 의해 상승되는 피스톤 로드(44)를 갖는 리프트의자에 있어서,
    상기 요동축(42)의 중앙에 편심축(60)을 형성하고, 양측에 원호면(72)(74)이 형성된 브레이크패드(70)를 상기 편심축(60)과 상기 피스톤 로드(44)의 사이에 개재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40)는 상기 요동축(42)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반대편을 향해 전방측에서 후방측 아래쪽으로 만곡선형태를 이루면서 교차되는 두 개의 곡선바(40d)(40e)와, 상기 승강봉(81)의 상측에서 상기 곡선바(40d)(40e)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一"자 모양의 걸림바(80)와, 이 걸림바(80)의 외측에 설치되는 파이프(80g)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의자.
KR2019980021544U 1998-11-06 1998-11-06 리프트의자 KR200274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544U KR200274728Y1 (ko) 1998-11-06 1998-11-06 리프트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544U KR200274728Y1 (ko) 1998-11-06 1998-11-06 리프트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545U true KR20000009545U (ko) 2000-06-05
KR200274728Y1 KR200274728Y1 (ko) 2002-08-27

Family

ID=6952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544U KR200274728Y1 (ko) 1998-11-06 1998-11-06 리프트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7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272A (ko) * 2001-05-03 2001-08-04 장명수 업소용 의자의 승강제동장치
KR20030074060A (ko) * 2002-03-12 2003-09-19 (주)오오히로 코리아 이미용실용 의자의 스토퍼 기구
WO2007011142A1 (en) * 2005-07-15 2007-01-25 Young-Hwan Yoon The flow control mechanism and stopper mechanism of hydraulic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272A (ko) * 2001-05-03 2001-08-04 장명수 업소용 의자의 승강제동장치
KR20030074060A (ko) * 2002-03-12 2003-09-19 (주)오오히로 코리아 이미용실용 의자의 스토퍼 기구
WO2007011142A1 (en) * 2005-07-15 2007-01-25 Young-Hwan Yoon The flow control mechanism and stopper mechanism of hydraul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728Y1 (ko) 200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8229A (en) Reclining chair
US8047609B2 (en) Infant rocking chair and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same
US5645313A (en) Dentist's or other chairs
JPH02295515A (ja) 人間工学的椅子
KR200274728Y1 (ko) 리프트의자
US6155642A (en) Barber/beauty chair
TW201934051A (zh) 用於床、椅的底座
WO2019051325A1 (en) LIFTING AND INCLINATION SUPPORT APPARATUS
EP0087594A2 (de) Sessel
JP3140955U (ja) ベッド
WO1994008543A1 (en) Adjustable bed with mechanical jack
US3801122A (en) Lounge chair having mobile base
JP2020531237A (ja) 人体昇降装置および人体昇降装置の動力を生成する方法
KR101560750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FR2490085A1 (fr) Meuble tel que table de bureau reglable en hauteur
KR20150038106A (ko) 침대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장치
KR200169971Y1 (ko) 캐스터의 작동대 구조
JP2773896B2 (ja) マッサージ機
KR20210055386A (ko) 캐스터
FR2791536A1 (fr) Systeme permettant l'articulation automatique de support de releve buste, tetiere d'un releve jambes et d'un repose pieds pour fauteuil ou d'un lit par manette unique
CN209075354U (zh) 单电动推杆实现零空间和腿部升降的按摩椅架
KR200158846Y1 (ko)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
DE2416940A1 (de) Sitzmoebel
JP3108955U (ja) 車いす式入浴装置の車いす
KR200250546Y1 (ko) 업소용 의자의 승강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