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554A - 입체 주륜장 - Google Patents

입체 주륜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554A
KR20000008554A KR1019980028427A KR19980028427A KR20000008554A KR 20000008554 A KR20000008554 A KR 20000008554A KR 1019980028427 A KR1019980028427 A KR 1019980028427A KR 19980028427 A KR19980028427 A KR 19980028427A KR 20000008554 A KR20000008554 A KR 20000008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parking lot
card
bicycle parking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로 쓰보타
Original Assignee
다카히로 쓰보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히로 쓰보타 filed Critical 다카히로 쓰보타
Priority to KR1019980028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8554A/ko
Publication of KR20000008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55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05Garages for vehicles on two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주륜장의 실질적인 수용대수를 약2배로 하고 주륜시간이나 주륜장이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른 공평한 과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불카드로 입체 주륜장의 주륜권을 제공하고 이용자별로 주륜위치를 고정시키지 않고 야간 주륜형과 주간 주륜형으로 같은 주륜위치를 2회에 나누어 사용한다. 또한 주륜시간에 따라 과금을 하고 또한 관리인 부재시의 심야시간은 과금대상에서 공제한다.

Description

입체 주륜장
본 발명은 자전거나 바이크, 오토바이 등 이륜차의 입체 주륜장에 관한 것이다.
발명자는 자전거, 바이크, 오토바이 등을 수대 정도씩 팔레트에 수용하고 리프트로 격납선반까지 반송하는 입체 주륜장을 발명하였다(특개평8-189220호 공보). 이륜차의 반송은 팔레트 단위로 하고, 팔레트에는 주륜기(駐輪器)를 다수 설치하여 예를 들어 콘베어로 주륜기의 전륜 받침대를 전후진시킨다. 이와 같은 입체 주륜장은 컴퓨터 제어에 의한 전자동의 입체 주륜장으로서 관리인은 트러블을 방지하거나 이용자를 돕는다. 또한 사용자는 입출고통로에서 이륜차를 입고시키고 빈팔레트가 있으면 어떤 팔레트에 이륜차를 입고시켜도 좋으므로 이륜차의 입고위치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event-driven).
다음에 발명자는 입체 주륜장의 제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종래의 입체 주륜장에서는 정기권(定期券) 등으로 이용권을 제공하고 이용자마다 전용의 주륜공간(駐輪空間)을 제공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방법으로는 하나의 주륜공간에는 한명의 전용 이용자가 있으므로 정기권의 발행 총수는 주륜공간의 수 이하로 한정된다. 즉 주륜공간과 이용자는 1 : 1로 대응하여 주륜공간의 2중화는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입체 주륜장의 물리적인 수용대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실질적인 수용대수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의 과제에 따라 공평하게 주륜장을 제공한 서비스에 대한 과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2의 과제는, 심야 등의 관리인 부재시를 과금대상에서 제외시켜 입체 주륜장으로부터 출고가 불가능한 시간대를 과금대상에서 제외시킴으로써 보다 공평한 과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3의 과제는, 입체 주륜장이 항시 전불카드(前拂card ; pre-paid card)의 소유자에게 주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실시예의 입체 주륜장의 단면도,
도2는 실시예에서 전륜받침대나 문의 구동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실시예에서 입체 주륜장의 입출고 통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실시예에서 이륜차의 입고작업을 나타내는 도면,
도5는 실시예의 입체주륜장의 제어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6은 실시예의 입체 주륜장에서 출고의 제어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01 : 이륜차(자전거) 2 : 입체 주륜장
4 : 입출고 통로 6 : 리프트 스페이스(lift space)
8 : 리프트 10, 12 : 격납선반
14 : 팔레트 16 : 전륜 받침대
17 : 주륜기 18 : 문
20 : 콘베어 22 : 구동모터
30 : 입고가능 램프 32 : 출고램프
34 : 카드리더/라이터 40 : 발권기
42 : 관리인실 44 : 키보드
46 : CRT 50 : 버스
52 : 통신I/O 54 : 팔레트 관리부
56 : 팔레트 카드 58 : 리프트 제어부
59 : 리프트 카드 60 : 입고관리부
62 : 입고 레코드 64 : 과금처리부
66 : 카드 관리부 68 : 카드 레코드
70 : 가동률 관리부 72 : 주간 레코드
74 : 야간 레코드 76 : 해석경고부
본 발명은 이륜차를 복수대 수용하기 위한 팔레트를 리프트로 입출고층과 격납선반의 사이를 반송하도록 하고 컴퓨터로 관리하는 이륜차의 입고격납 팔레트가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입체 주륜장에 있어서, 입체 주륜장의 이용권을 전불카드의 형식으로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또한 각 이용자의 입고시각을 기억하여 출고시각과 입고시각의 차로부터 상기 전불카드의 과금액을 결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심야 등을 비과금 시간대(非課金 時間帶)로 설정하고 상기 출고시각과 입고시각의 차로부터 구한 주륜시간에서 비과금시간대에 속하는 시간을 공제하고 공제후의 주륜시간으로부터 과금액을 결정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체 주륜장의 시간대별 가동률과 상기 전불카드의 발행 매수를 기억하여 이들의 추이로부터 전불카드의 발행을 제한하도록 경고하는 수단을 설치한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도6에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1∼도3에서 01은 자전거, 오토바이, 바이크 등의 이륜차이고, 2는 입체 주륜장 전체이고 4는 지상층의 입출고 통로이다. 입출고 통로의 양측에는 바람직하게는 4∼8기 정도의 리프트 스페이스(6)가 있고, 8은 리프트이고, 지상층에서의 입출고통로(4)의 반대측과 상층의 양측에는 격납선반(10, 12)이 있으며 10-1∼10-3이나 12-1∼12-2 등 개별의 격납위치가 있다. 그리고 리프트(8)는 팔레트(14)를 격납선반(10, 12)으로 보내고 혹은 이들로부터 받을 수 있다. 리프트(8)당 수용대수는 예를 들어 100∼200대로서 입체 주륜장(2)당 수용대수는 예를 들어 1000대이다. 또한 팔레트(14)당 주륜기(17)(도2 참조)는 자전거의 경우에 6대, 바이크의 경우에 3대이다. 실시예에서는 6대의 경우를 설명한다. 18은 문으로서 리프트(8)당 6개가 있어 개개의 주륜기마다 별개의 문이 있다. 또한 입체 주륜장은 자전거용과 바이크용을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자전거와 바이크에 대한 팔레트(14) 등의 규격이 다르기 때문이다.
리프트(8)는 격납선반(10, 12)의 사이에서 팔레트(14)를 횡송(橫送)하는 기구를 갖추고, 리프트 스페이스(6)의 바닥에는 콘베어(20)와 구동모터(22)가 있고, 예를 들어 클러치로 구동모터(22)의 접속을 절체(切替)하고 문(18)의 개폐와 콘베어(20)의 동작을 1대의 구동모터(22)로 한다. 주륜기(17)는 오목한 형상의 부재로서 그 안을 전륜 받침대(16)가 주행할 수 있고 후륜은 오목부의 안에 유지된다.
입출고 통로(4)에는 리프트(8)마다의 구획이 있고 또한 리프트(8)의 표시, 예를 들어 도3에서의 A, B, C의 표시가 있다. 그리고 문(18)마다 입고가능 램프(30)(靑), 출고램프(32)(赤)가 있다. 램프대신에 다른 표시를 사용하여도 좋고 문(18) 2장마다 각 1개의 표시(30, 32)를 설치하여도 좋다. 34는 전불카드의 카드리더/라이터로서 주륜장의 전불카드(자기 혹은 IC)를 읽어 입고나 출고의 스위치(카드리더/라이터(34)에 형성되어 있다)로부터의 입력으로 입고와 출고를 접수한다. 카드리더/라이터(34)는 문(18) 2장마다 하나씩 설치한다.
입고시의 순서를 나타내면 도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불카드를 넣으면 문(18)이 열리고 이 때에 전륜 받침대(16)는 입출고 통로(4)측에서 대기하고 있다. 도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륜차를 전륜 받침대(16)에 넣고 가볍게 밀면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전륜 받침대(16)의 하중을 검출하여 구동모터(22)를 기동시키고 콘베어(20)가 전륜 받침대(16)를 주륜기(17)의 안쪽으로 보내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전륜 받침대(16)는 도시하지 않은 키 등에 의하여 콘베어(20)와 결합되어 도4-3과 같이 주륜기(17)의 안쪽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도4-4와 같이 전륜 받침대(16)가 주륜기(17) 안쪽으로 다 들어가면 콘베어(20)가 정지하고 문(18)이 닫힌다. 6대분의 입고가 끝나면 도4-5와 같이 리프트(8)가 상승하여 격납선반(10, 12)으로 팔레트(14)를 이송시킨다.
출고시의 순서는 상기와 거의 역순으로서 전불카드를 카드리더/라이터(34)에 넣으면 리프트(8)는 당해 이륜차를 싣고 있는 팔레트(14)를 격납선반(10, 12)으로부터 받아 입출고통로(4)의 위치까지 하강한다.
계속하여 콘베어(20)의 키가 전륜 받침대(16)와 결합하고 문(18)이 열린뒤에 콘베어(20)가 작동하여 이륜차를 입출고 통로(4)로 보낸다. 이 때에 예를 들어 전륜이 입출고 통로(4)로 나온 시점에서 콘베어(20)는 정지하면, 안장을 잡고 앞으로 당기면 이륜차는 입출고 통로(4)로 나오고 동시에 전륜 받침대(16)는 문 입구에서 정지한다. 그리고 완전히 이륜차가 통로로 나오면 전륜 받침대(16)의 하중이 변하고 이를 도시하지 않은 센서로 검출하여 문(18)이 닫힌다.
도5, 도6에 입체 주륜장의 제어를 나타낸다. 도5에 있어서 34는 상기한 카드리더/라이터로서 전불카드의 데이터를 읽고 또한 출고후에 주륜시간으로 결정되는 주륜회수 만큼의 이용권을 감소시킨다. 40은 전불카드의 발권기로서 관리인실 등에 설치하고 예를 들어 주륜회수 10회분과 50회분 등 2종류를 발급한다. 발권기(40)에는 도시하지 않은 표시화면이 있어 전불카드의 안내나 카드의 발급을 제한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표시를 한다. 입체 주륜장의 장소에 따라 전불카드 이외에 1회씩의 주륜을 인정하여도 좋다. 주륜권 50회분은 1개월간의 통근·통학형 이용에 대용하고, 10회분은 쇼핑 등 비정기적인 이용의 1개월분에 대응하는 것이다. 그리고 50회권의 발행매수는 금후 1개월 정도의 주륜대수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이 동안 거의 매일 주간 혹은 야간에 주륜이 이루어진다고 기대하여도 좋다. 또한 10회형의 전불카드의 발행매수는 금후 1개월정도의 기간에 부정기적으로 예를 들어 1일당 이용률이 0.3 정도로 이용되는 주륜대수와 대응한다. 여기서 전불카드의 발행매수를 알 수 있으면 금후의 입체 주륜장의 가동률을 예측할 수 있다.
42는 관리인실로서 관리인이 상주하여 입체 주륜장을 운영하며 특히 이용자가 입고나 출고를 할 때에 필요한 도움을 주며 또한 고충을 해결해 준다. 44는 관리인용 키보드이고 46은 CRT 등의 표시부이다. 그리고 키보드(44)로부터의 입력은 우선권을 가지며 또한 CRT(46)에는 입체 주륜장에 관한 임의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입고시각으로부터 이륜차를 검색하는 것이나 전불카드의 발행일로 주륜하고 있는 이륜차를 검색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키보드(44)는 트러블의 복귀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카드를 분실한 이용자 등에 대하여 주륜되어 있는 임의의 이륜차를 출고할 수 있다.
50은 제어 시스템의 버스(bus), 52는 통신I/O로서 카드리더/라이터와 버스(50)를 접속시킨다. 제어 시스템의 처리부를 버스(50)의 우측에 나타낸다. 54는 팔레트 관리부, 56은 팔레트별 카드로서 각 팔레트별 고유의 번호 및 유휴수(遊休數), 즉 그 팔레트에 현재 수용가능한 이륜차의 수, 팔레트의 상태, 즉 격납선반에 고정되어 있는가, 리프트에 의하여 하강중에 있는가, 입출고층에서 입출고를 기다리고 있는가 아니면 리프트에 의하여 상승중에 있는가의 4종류의 상태를 기억한다. 또 각 팔레트에는 6개의 주륜기가 있고 각 구륜기마다의 구륜의 유무를 기억하고 있다. 58은 리프트제어부, 59는 각각의 리프트별 카드로서 리프트의 번호 및 현재 반송하고 있는 팔레트의 번호 및 리프트의 상태, 즉 대기중, 하강중, 입출고층에서의 입출고작업중, 상승중의 4가지의 상태를 기억한다. 리프트의 제어에서는 이밖에 문이나 표시의 제어, 전륜 받침대(16)의 제어가 필요한데 이들은 도1∼도4에 나타내는 것처럼 이루어진다.
60은 입고 관리부, 62는 각각의 카드별의 레코드를 나타내며 각 카드번호와 입고시각 및 격납하고 있는 팔레트번호와 팔레트내의 어드레스를 기억하고 있다. 64는 과금처리부로서 입고관리부(60)에서 카드별로 기억하고 있는 입고시각과 카드리더/라이터(34)로부터 출고지령을 받은 시점으로 결정되는 출고시각의 차에 의거하여 주륜시간을 구하고 이를 예를 들어 6시간이나 5시간 등의 1회분의 주륜시간으로 나누어 과금해야 할 주륜회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6시간 이하를 1회로 하는 과금 시스템의 경우 7시간의 주륜에 대하여는 주륜회수를 2회분으로 하여 과금한다. 즉 나머지는 절상한다. 입체 주륜장은 심야에는 관리인이 없으므로 출고작업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는 관리인이 없는 상황에서 출고를 하다가 일어나는 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이 동안의 시간대에 대하여는 과금대상에서 100% 공제하고 심야의 시간대 이외의 시간대를 과금대상으로 한다.
66은 카드 관리부, 68은 카드별 레코드로서 카드번호, 발행일, 잔액(남은 회수)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과금처리부(64)는 카드관리부(66)를 통하여 각 카드에 대하여 주륜회수를 뺀다. 전불카드의 발행매수는 카드처리부가 기억하고 소정 회수 사용하여 사용이 끝난 매수를 발행매수로부터 뺀다. 또 카드 처리부는 일별 전불카드의 발행매수를 기억하고 있다.
70은 가동 관리부로서 예를 들어 주간 레코드(72)와 야간 레코드(74)를 작성하고 경고해석부(76)에서 이들을 해석하여 CRT(46)를 통하여 경고하며 발권기(40)는 사용이 끝난 카드 대신에 새로운 카드를 발행하도록 동작이 제한된다. 주간 레코드(72)에는 예를 들어 과거 3개월 동안의 주간 가동률과 1개월마다 발행한 카드의 매수(카드 처리부에서 전송)가 기억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야간레코드(74)에는 과거 3개월간의 야간 가동률과 1개월마다의 카드 발행매수가 기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50회형의 전불카드는 발행후 약 1개월간 주간 또는 야간에 매일 주륜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 10회형의 전불카드에서는 발행후 1개월정도 3일에 1회정도의 주륜이 예상된다. 또 과거의 총발행 매수가 문제가 아니라 사용이 완료된 전불카드나 수개월 이전에 발행되고 최근에 사용되고 있지 않는 전불카드는 중요하지 않다. 경고해석부(76)에서는 과거 3개월정도의 범위에서 카드 발행매수의 추이를 조사하고 발행매수가 증가기조에 있는가 아니면 감소기조에 있는가를 판단한다. 이것이 증가기조에 있다면 다음 달의 가동률은 현재보다도 증가할 것이다. 또 주간과 야간의 가동률의 추이를 레코드(72, 74)로 조사하고 있으므로 다음 달의 가동률은 이번달의 가동률에 카드의 발행매수가 증가하였는가 아니면 감소하였는가를 감안하여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경고해석부(76)는 가동률의 상한으로서 예를 들어 90%의 값을 갖고 다음 달의 예상 가동률이 주간 혹은 야간중 어느하나가 이 값을 넘는 경우에 CRT(46)에 그 뜻을 경고한다. 이 경고는 예를 들어 이른 아침에 입체 주륜장이 스타트하는 시점에서 CRT에 표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발권기(40)는 예를 들어 관리인실(42)에 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경고가 이루어지면 전불카드의 발행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전불카드와 교환하는 방법으로만 새로운 전불카드를 발행한다. 즉 가동률이 초과할 염려가 있다는 경고가 이루어지면 발권기(40)에 대하여 현재 보유하고있는 전불카드를 꽂아 그것과 교환하여 새로운 전불카드가 발행되어 발권기(40)는 사용이 끝난 전불카드를 반환하지 않는 상태로 들어간다. 혹은 야간의 가동률에는 여유가 있으나 주간의 가동률에는 여유가 없는 등의 경우에 발권기(40)의 화면에 「주간은 만차상태입니다」등의 경고를 하여 전불카드는 통상적으로 발매한다. 이렇게 하여도 주간 이용형의 이륜차에 대하여도 야간 이용을 전제로 전불카드가 판매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이륜차의 대수는 적으므로 예를 들어 1시간 사용하는 주륜공간을 할당하거나 임시 주륜용의 공간 등을 할당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전불카드의 발행 초과에 의한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도6에 출고작업을 예로 들어 입체 주륜장의 제어를 나타낸다. 카드리더/라이터(34)에 출고의 요구가 있으면 카드번호로부터 팔레트번호를 특정하여 리프트가 팔레트를 입출고 영역으로 반송하면 해당하는 주륜기에 대응하는 문이 열리고 전륜받침대가 문측으로 이동하여 이륜차를 통로측으로 출고한다. 이와 동시에 과금처리부(64)는 출고시각에서 입고시각을 빼어 주륜시간을 구하고 이 동안에 심야의 무료시간대(비과금 시간)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무료 주륜시간을 100% 공제하고 공제후의 주륜시간이 6시간을 초과하였는가를 판단한다. 그리하여 주륜시간이 6시간 이하인 경우에는 주륜회수를 1회로 하고, 6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2회로 하며, 이하 같은 방법으로 6시간마다 1회의 주륜회수로 한다. 그리고 이 주륜회수를 전불카드에서 뺀다. 이것으로 1회분의 출고작업이 종료하고 다음의 출고요구가 있으면 그 처리로 옮겨간다.
본 발명에서는 바이크나 자전거 등의 이륜차를 복수대 수용하기 위한 팔레트를 리프트로 입출고층과 격납선반과의 사이에서 반송한다. 원칙적으로 리프트는 복수대 설치하고 또한 격납선반은 각층마다 리프트의 양측에 예를 들어 한쌍씩 설치한다. 그리고 이용자는 입출고층에서 주륜이 가능한 리프트에 이륜차를 주륜한다. 이 때문에 이용자마다 주륜위치는 가변적이고 원칙적으로 이용자가 어떤 리프트로 입고시킬 것인가로 결정되는 이벤트 드리븐이므로 각 이용자에 대한 고정된 주륜위치를 제공할 필요는 없다. 그 결과, 야간 등의 주륜시간을 주로 이용하는 이용자와, 낮의 주륜시간을 주로 이용하는 이용자 등 2종류에 대한 주륜 서비스를 제공하고, 예를 들어 하나의 주륜공간을 심야용과 주간용으로 2중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물리적 수용대수가 같더라도 입체 주륜장의 실질적인 수용대수를 약2배로 할수 있다. 그리고 같은 물리적 설비로 실질적인 수용대수를 증가시킨다면 그만큼 값싸게 주륜 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정기권 방식은, 물리적인 주륜공간을 소정의 시간동안 이용자의 전용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각 이용자에 대하여 전용의 주륜공간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 결과, 과금자체도 이용자의 실제의 주륜시간에 의거하므로 공정하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주륜회수를 단위로 하는 이용권을 제공하는 전불카드를 발급하고 발급카드의 과금은 주륜회수를 단위로 하고 또한 주륜회수는 출고시각과 입고시각과의 차로부터 결정한다. 즉 1회의 주륜회수에 대하여 결정된 상한(上限)의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2회 혹은 3회의 주륜으로서 취급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실제의 주륜회수와 주륜시간에 따라 공평한 과금을 매길 수 있다.
청구항2의 발명에서는 비과금 시간대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입체 주륜장은 리프트 등의 구성부분을 갖춘 것으로서 안전상 및 트러블 처리상의 견지에서 관리인이 필요하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심야등의 시간대에는 관리인은 없으므로 이 동안은 출고가 불가능하게 된다. 출고가 불가능하게 되면 주륜장이 제공하는 주륜 서비스의 질이 저하하는 시간대에 다른 시간대와 같은 요금을 받는다는 것은 공평하지 않다. 여기서 비과금 시간대에 속하는 시간을 주륜시간에서 공제하고 공제후의 주륜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전불카드에 과금을 하도록 한다. 또한 비과금 시간대에 대한 공제율은 100%, 즉 비과금 시간대는 주륜시간에서 완전히 공제하는 방식도 좋고, 혹은 비과금 시간대에서도 입고가 끝난 이륜차를 보관한다고 하는 서비스는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 동안의 공제율을 0과 100% 사이의 값, 예를 들어 50%로 하여도 좋다.
또한 입체 주륜장의 운영자는 전불카드 보유자에 대하여 주륜서비스를 제공할 의무가 있다. 이와는 달리 가능한 한 값싸게 주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는 주륜장의 가동률, 즉 주륜하고 있는 이륜차의 대수와 물리적인 수용대수의 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미 발행한 전불카드 매수의 추이를 알 수 있다면 가동률이 금후 증가할 것인가 감소할 것인가를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주간과 야간 등의 시간대별 가동률의 추이와 전불카드의 발행 매수의 추이를 기억한다면 장래의 가동률을 예측할 수 있고 이에 의거하여 전불카드의 발행을 제한하도록 관리인에게 경고할 수 있다. 또한 가동률은 시간대에 따라 달라 예를 들어 야간의 시간대에서는 가동률에 여유가 있으나 주간의 시간대에서는 여유가 없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전불카드를 발권기 등을 통하여 전자동으로 판매하는 경우에 발권기 등에서 「주간의 시간대는 만차상태입니다」 등의 표시를 하고 판매한다. 혹은 전불카드의 판매에 관리인이 개입하여 연락처 등을 확인하여 컴퓨터에 입력하고 판매하는 경우에 야간에 주륜할 것인가 아니면 주간에 주륜할 것인가를 확인하고 판매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전불카드를 보유하고 있으면서 주륜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가동률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이륜차를 복수대 수용하기 위한 팔레트를 리프트로 입출고층과 격납선반과의 사이를 반송하도록 하고 컴퓨터로 관리하는 이륜차의 입고격납 팔레트가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입체 주륜장에 있어서, 입체 주륜장의 이용권을 전불카드의 형식으로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또한 각 이용자의 입고시각을 기억하여 출고시각과 입고시각의 차로부터 상기 전불카드의 과금액을 결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주륜장.
  2. 제1항에 있어서,
    비과금 시간대(非課金 時間帶)를 설정하고 상기 출고시각과 입고시각의 차로부터 구한 주륜시간에서 비과금 시간대에 속하는 시간을 공제하고 공제후의 주륜시간으로부터 과금액을 결정하도륵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주륜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주륜장의 시간대별 가동률과 상기 전불카드의 발행매수를 기억하여 이들의 추이로부터 직불카드의 발행을 제한하도록 경고하는 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주륜장.
KR1019980028427A 1998-07-14 1998-07-14 입체 주륜장 KR20000008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427A KR20000008554A (ko) 1998-07-14 1998-07-14 입체 주륜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427A KR20000008554A (ko) 1998-07-14 1998-07-14 입체 주륜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554A true KR20000008554A (ko) 2000-02-07

Family

ID=1954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427A KR20000008554A (ko) 1998-07-14 1998-07-14 입체 주륜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85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026B1 (ko) * 2007-06-25 2009-09-02 서창원 자전거 주차타워 작동시스템
CN105781166A (zh) * 2016-04-26 2016-07-20 天津远卓科技发展有限公司 地下自行车库自动控制系统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026B1 (ko) * 2007-06-25 2009-09-02 서창원 자전거 주차타워 작동시스템
CN105781166A (zh) * 2016-04-26 2016-07-20 天津远卓科技发展有限公司 地下自行车库自动控制系统及方法
CN105781166B (zh) * 2016-04-26 2018-12-11 天津远卓科技发展有限公司 地下自行车库自动控制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2513B2 (en) Money handling apparatus
US459881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nding and accepting return of re-usable articles
US4572347A (en) Storeroom for transport carts, particularly supermarket shopping carts or the like
JPH03102597A (ja) クレジットカード装置
WO1984004660A1 (en) Means for the storing of carts such as shopping carts
KR100209857B1 (ko) 전자화폐의 유지장치
EP0077690A1 (en) Improvements in control systems for hand propelled vehicles
KR20000008554A (ko) 입체 주륜장
JP3174014B2 (ja) 立体駐輪場
US6230971B1 (en) Transaction-oriented electronic accommodation system
JP2000020769A (ja) 駐車場の遠隔精算システム
SE508038C2 (sv) Förfarande för kontokortsdebitering medelst betalautomater vid parkering
JPS6351312B2 (ko)
JPS5810264A (ja) 競技投票券の自動発券払戻装置
JP2922986B2 (ja) 駐車場用表示装置
JP2003090139A (ja) 駐輪装置の入出庫装置
JPS5853663Y2 (ja) 自動精算機
JP2825240B2 (ja) 改札システム
EP0921502A2 (en) A charging system of a parking space
KR19980068916A (ko) 요금집계가 가능한 버스요금 징수장치
JPS6319864Y2 (ko)
JPH0219880Y2 (ko)
JP3033659U (ja) 駐車システム管理装置
KR20040053058A (ko) 교통카드 무인 판매 및 자동 보충기
JPH0395700A (ja) 駐車装置の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