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091A -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 - Google Patents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091A
KR20000008091A KR1019980027762A KR19980027762A KR20000008091A KR 20000008091 A KR20000008091 A KR 20000008091A KR 1019980027762 A KR1019980027762 A KR 1019980027762A KR 19980027762 A KR19980027762 A KR 19980027762A KR 20000008091 A KR20000008091 A KR 20000008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take
resonator
air duc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7699B1 (ko
Inventor
안운상
Original Assignee
유철진
현대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진, 현대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철진
Priority to KR1019980027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7699B1/ko
Publication of KR20000008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6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26Plenum chambers
    • F02M35/10045Multiple plenum chambers; Plenum chambers having inner separation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에 구비되는 흡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잡한 흡기 장치의 구조를 변경하여 하나의 박스형으로 간단하게 만들어지면서도 다양한 차종에 공히 사용될 수 있도록 한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공기가 흡입되는 에어 덕트와, 상기 에어 덕트 하류측에 연결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동시에 흡기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기 케이스와, 상기 흡기 케이스의 하류측에서 흡기 메니폴드로 연결되는 흡기 호스로 구성되되; 상기 흡기 케이스는 그 전방측과 후방측에 상기 에어 덕트와 에어 호스가 각각 연결되도록 연결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통로 사이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 덕트를 통해 유입된 흡입 공기가 정화되도록 필터 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필터 수단의 후방측에서 상기 에어 호스와 연결되는 통로의 외측에는 흡기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칸막이로 구획된 복수개의 레조네이터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에 구비되는 흡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잡한 흡기 장치의 구조를 변경하여 하나의 박스형으로 간단하게 만들어지면서도 다양한 차종에 공히 사용될 수 있도록 한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젤 엔진은 스로틀 밸브가 설치된 것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스로틀 밸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연료 분사량으로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불순물을 걸러주는 에어 클리너와, 상기 에어 클리너의 상류측에 위치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동시에 공기 유입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에어 덕트 및 레조네이터(resonator)와, 상기 에어 클리너의 하류측에 연결되어 정화된 공기가 통과되는 에어 클리너 호스와, 상기 에어 클리너 호스의 하류측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 클리너에서 정화된 공기가 일시 저장되어 흡기 맥동을 감소시키게 하는 레조네이터 및 서지 탱크와, 상기 서지 탱크와 엔진의 각 연소실을 연결하여 상기 서지 탱크내의 공기가 통과되는 흡기 매니폴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는 상기 에어 클리너에서 외부 공기를 정화한 다음, 상기 서지 탱크에 일시 저장한 후, 흡기 매니폴드를 통해 엔진의 각 연소실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 클리너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는 레조네이터는 공기 유입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켜 보다 정숙한 엔진의 작동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흡기 장치는 에어 덕트, 레조네이터, 에어 클리너, 에어 클리너 호스, 레조네이터, 서지 탱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 공수 및 투자비가 과다하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엔진룸내의 레이아웃(Layout)도 상당히 불리하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은 흡입 공기의 유속에 따른 공기의 난류 발생 및 특정 주파수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레조네이터가 구비되는 데, 이 레조네이터는 차종별로 각기 별도로 개발되기 때문에 막대한 제조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흡기 장치를 하나의 박스형으로 개조하고 레조네이터의 용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흡기 구조가 간단해져 설치 비용이 절감되게 함은 물론 차종별 공용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는, 공기가 흡입되는 에어 덕트와, 상기 에어 덕트 하류측에 연결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동시에 흡기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기 케이스와, 상기 흡기 케이스의 하류측에서 흡기 메니폴드로 연결되는 흡기 호스로 구성되고;
상기 흡기 케이스는 그 전방측과 후방측에 상기 에어 덕트와 에어 호스가 각각 연결되도록 연결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통로 사이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 덕트를 통해 유입된 흡입 공기가 정화되도록 필터 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필터 수단의 후방측에서 상기 에어 호스와 연결되는 통로의 외측에는 흡기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칸막이로 구획된 복수개의 레조네이터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어 덕트 20 : 흡기 케이스
21, 22, 25 : 통로 23 : 고정부
24 : 필터 수단 26, 28, 29 : 레조네이터실
27 : 칸막이 30 : 에어 호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실의 부압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는 에어 덕트(10)와, 상기 에어 덕트(10) 하류측에 연결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동시에 흡기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기 케이스(20)와, 상기 흡기 케이스(20)의 하류측에서 흡기 매니폴드(미도시 됨)로 연결되는 흡기 호스(30)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흡기 케이스(20)는 그 전방측과 후방측에 상기 에어 덕트(10)와 에어 호스(30)가 각각 연결되도록 연결 통로(21)(2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통로(21)(22) 사이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 덕트(10)를 통해 유입된 흡입 공기가 정화되도록 필터 수단(24)이 설치되며, 상기 필터 수단(24)의 후방측에서 상기 에어 호스(30)와 연결되는 통로(25)의 외측에는 흡기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칸막이(27a)(27b)로 구획된 복수개의 레조네이터실(26)(28)(29)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레조네이터실(26)(28)(29)은 상기 통로(25)를 중심으로 한쪽에 제1레조네이터실(26)이 위치되고, 상기 제1레조네이터실(26)의 맞은편 쪽에 제2 및 제3 레조네이터실(28)(29)이 위치되어 있는데, 상기 제1레조네이터실(26)은 하나의 칸막이(27a)를 통해 개방실(26a)과 폐쇄실(26b)로 나누어지고, 상기 제2 및 제3 레조네이터실(28)(29)은 하나의 칸막이(27b)로 나누어지는 동시에 각각 상기 통로(25)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물론, 상기 칸막이(27a)(27b)는 흡기 소음의 주파수나 흡기 유속 등을 고려하여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고, 그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용량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흡기 케이스(20)는 그 내부에 상기 필터 수단(24)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필터 수단(24)의 전후 방향에서 돌출된 고정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흡기 장치를 통해 연소실에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은 먼저, 연소실의 흡기 부압에 의해 에어 덕트(10) 내로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에어 덕트(10)로 유입된 공기는 연결 통로(21)를 거쳐 흡기 케이스(20)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흡기 케이스(20)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 수단(24)을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레조네이터실(26)(28)(29)이 형성된 통로(25)를 거쳐 연결 통로(22) 및 에어 호스(30)로 유동하면서 흡기 매니폴드와 연소실에 유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 수단(24)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가 에어 호스(30)로 유동하기 전에 통로(25)의 양측에 형성된 레조네이터실(26)(28)(29)에 의해 흡기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정 주파수를 상쇄시키게 되어 공기 흡입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필터 수단(24)과 에어 호스(30) 사이를 통과하면서 각기 다른 용적을 갖는 레조네이터실(26)(28)(29)에 공기가 유입되면서 공명 운동을 일으켜 특정 주파수의 소음을 상쇄시킴으로써 흡기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엔진별로 발생되는 특정 주파수에 따라 칸막이(27a)(27b)의 위치를 변경 설치할 수 있으므로 결국 레조네이터실(26)(28)(29)의 용량을 조절하면 다양한 차종에 적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의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는 하나의 박스형으로 제작하여 에어 덕트와 에어 호스 사이에 설치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여 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엔진룸의 배치 구조도 유리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레조네이터실의 칸막이를 변경하여 용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차종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공기가 흡입되는 에어 덕트와, 상기 에어 덕트 하류측에 연결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동시에 흡기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기 케이스와, 상기 흡기 케이스의 하류측에서 흡기 메니폴드로 연결되는 흡기 호스로 구성되되;
    상기 흡기 케이스는 그 전방측과 후방측에 상기 에어 덕트와 에어 호스가 각각 연결되도록 연결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통로 사이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 덕트를 통해 유입된 흡입 공기가 정화되도록 필터 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필터 수단의 후방측에서 상기 에어 호스와 연결되는 통로의 외측에는 흡기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칸막이로 구획된 복수개의 레조네이터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조네이터실은 상기 통로를 중심으로 한쪽에 제1레조네이터실이 위치되고, 상기 제1레조네이터실의 반대쪽에 제2 및 제3 레조네이터실이 위치되되;
    상기 제1레조네이터실은 하나의 칸막이를 통해 개방실과 폐쇄실로 나누어지고, 상기 제2 및 제3 레조네이터실은 하나의 칸막이로 나누어지는 동시에 각각 상기 통로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케이스는 그 내부에 상기 필터 수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필터 수단의 전후 방향에서 돌출된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
KR1019980027762A 1998-07-10 1998-07-10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 KR100287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762A KR100287699B1 (ko) 1998-07-10 1998-07-10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762A KR100287699B1 (ko) 1998-07-10 1998-07-10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091A true KR20000008091A (ko) 2000-02-07
KR100287699B1 KR100287699B1 (ko) 2001-05-02

Family

ID=19543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762A KR100287699B1 (ko) 1998-07-10 1998-07-10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76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979A (ko) * 2002-08-14 2004-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차징 소음저감장치
CN104847546A (zh) * 2015-02-02 2015-08-19 星光农机股份有限公司 一种进气系统及使用该进气系统的履带式自走旋耕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860B1 (ko) * 2009-05-08 2012-04-12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인테이크 사일런스 유니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979A (ko) * 2002-08-14 2004-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차징 소음저감장치
CN104847546A (zh) * 2015-02-02 2015-08-19 星光农机股份有限公司 一种进气系统及使用该进气系统的履带式自走旋耕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7699B1 (ko) 2001-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5279B2 (en) Controllable muffler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287699B1 (ko)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
JP2004190575A (ja) エンジンの吸気構造
JPH08105359A (ja) 内燃機関の吸気マニホールド装置
JP2564867B2 (ja) 内燃機関の消音装置
US4674277A (en) Secondary air supply system for an engine exhaust gas purifying system
KR100559593B1 (ko) 중저속 엔진성능 향상을 위한 가변흡기시스템
KR20010061229A (ko) 흡기 시스템
US4886020A (en) Engine induction system
JPH08319911A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吸気装置
CN208669478U (zh) 一种新型柴油机三法兰进气口进气管
KR100246142B1 (ko) 소음 저감 방식의 자동차 공기청정기
JPH10246161A (ja) 自動車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H06173799A (ja) 吸気コレクタ
KR960007400Y1 (ko) 써지탱크의 구조
KR970045202A (ko) 내연기관의 흡기계
JPH05321675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KR20000004010A (ko) 자동차 공기유도장치의 메인 레조네이터 구조
KR19980037713U (ko) 소음저감용 흡기장치
JPH02199266A (ja) エンジンの吸気構造
JPH061768U (ja) エアクリーナとエンジンとの接続構造
JPH089369Y2 (ja) 内燃機関の二次空気供給装置
KR20080028205A (ko) 차량용 에어 클리너의 구조
JPH07103094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KR19980056246A (ko) 레저네이터가 구성된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