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683U - 실내자동 테니스 연습장치용 공제어기 - Google Patents

실내자동 테니스 연습장치용 공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683U
KR20000007683U KR2019980019138U KR19980019138U KR20000007683U KR 20000007683 U KR20000007683 U KR 20000007683U KR 2019980019138 U KR2019980019138 U KR 2019980019138U KR 19980019138 U KR19980019138 U KR 19980019138U KR 20000007683 U KR20000007683 U KR 200000076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tennis
contact
power
t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주
Original Assignee
장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주 filed Critical 장경주
Priority to KR2019980019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683U/ko
Publication of KR200000076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683U/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에서 자동으로 테니스연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테니스공을 자동을 투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연습자가 필요로 하는 시간에 맞추어 테니스공을 1개씩 공투척기에 안정적으로 공급할수 있고, 정비가 간편한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용 공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네트(5)의 반대측에 위치한 연습자(H)에게 테니스공(7)을 투척하는 공투척기(10)를 갖추어 실내에서 테니스연습을 실행할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공투입관(67)의 하단에 클램프(98)로서 조립되는 제어베이스(91);와, 상기 제어베이스(91) 하단에 장착되어 전원인가시 발생되는 자속에 의해서 내부공(92a)내에 조립된 로드(93)를 당김작동시켜 이에 연결되고, 회전핀(97c)에 조립된 작동편(95)을 선회작동시키는 전자접촉기(92);와, 상기 작동편(95)의 하단과 제어베이스(91)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편(95)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프링(96);을 포함하는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용 공제어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공투입관을 케이싱의 후면에 착탈이 용이하고,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장착하여 타구된 공에 의한 충돌을 줄여 파손을 예방하고, 연습자가 필요로 하는 시간간격에 맞추어 공투입시기를 자유롭게 조절할수 있어 연습효율성을 높일수 있다.

Description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용 공제어기
본 고안은 실내에서 자동으로 테니스연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테니스공을 자동을 투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연습자가 필요로 하는 시간에 맞추어 테니스공을 1개씩 공투척기에 안정적으로 공급할수 있고, 정비가 간편한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용 공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니스코트에는 네트가 설치된 게임장과 측면에 벽보드가 설치된 연습장이 있는데, 초보자인 경우(미숙달자 포함)는 벽보드를 사용하여 테니스공의 타구-감과 타구방향 및 타구강도 등을 연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습장에서 테니스연습을 하는 경우, 초보자는 라켓으로 공 콘트롤이 안되어 공이 연습장으로부터 이탈되면 주으러가기 바쁘고, 이러한 이탈현상이 반복되면 테니스 연습을 하고싶은 열의가 식어 중도에 포기하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테니스 지도교수로 하여금 테니스 연습공을 던져주도록 하여 이를 받아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테니스 연습공을 받아치기는 쉬우나 지속적으로 연습시켜줄 지도교수가 없는 실정에서 초보자는 테니스를 배우기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고안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1997년 제 38287호에 테니스를 배우려는 사람 또는 건강을 위하여 운동을 하고자 하는 사람과 선수로서 실력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하는 사람들이 실내에서 테니스공의 타구방향과 타구감 및 종합적인 연습을 실행할 수 있도록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를 출원하였다.
이러한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내공간의 중앙에 설치되는 네트(5) 반대측에 위치한 연습자(H)에게 테니스공(7)을 투척하는 공투척기(10)와, 라켓으로 친 테니스공(7)이 표적판에 적중되었음을 감지하는 전자감지 표적판(40)과, 상기 전자감지 표적판(40)에서 송출된 신호에 근거하여 숫자로서 외부로 출력시키는 숫자 전광판(60)과, 공투입관(67)을 통하여 상기 공투척기(10)로 테니스공(7)을 공급하는 공리프터(65)및, 상기 공투입관(67), 공투척기(10), 숫자 전광판(60)과 연결된 전자감지 표적판(40)및, 공리프터(65) 등에 전원을 공급하고, 자동으로 이들을 동작시켜 연습자(H)에게 연속적으로 테니스공(7)을 투척하고, 연습자(H)에 의해 타격된 테니스공(7)이 전자감지 표적판(40)에 맞게 되면, 이 숫자를 외부로 출력시키도록 한 숫자 전광판(60)을 동작시키는 콘트롤러(100)등으로 구성되어있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34는 공투척기(10)를 지지하는 지주이고, 45는 표적판(40)을 지지하는 지지대이며, 62는 그물이며, 105는 코인기이다.
한편, 상기 공투척기(10)는 테니스공(이하, 공이라함)(7)을 일정시간에 맞추어 튀어나가도록 투척하게 되며, 이는 도 2의 a)와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의 내측에 한 쌍의 구동용 모터(12)를 갖추며, 상기 구동용 모터(12)의 회전축(12a)에는 각각 원반형의 투척휠(14)이 장착되고, 상기 투척휠(14)은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서 공(7)이 투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용 모터(12)의 사이에는 투척휠(14)의 사이로 공(7)을 공급하는 공안내구(16)가 형성되고, 그 하부측에는 공안내레일(18)이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공안내레일(18)의 일측에는 리미트 스위치(20)가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안내레일(18)의 상부측에는 하나의 공(7)이 투입될 때마다 1/4회전하는 회전구(22)가 장착되며, 상기 회전구(22)가 1/4회전만 할 수 있도록 차단기(24)가 부착된 전자접촉기(124)가 순간동작(왕복운동)되면, 회전구(22)의 날개(22a)가 1개만 통과한 후, 다음 날개(22b)가 차단기(24)에 부딛혀 정지됨으로서 하나의 공(7)만이 고속회전하는 상기 투척휠(14)사이로 공급되어 전방으로 튀어나가 투척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26은 케이싱(11)하부에서 나사부재(28)로서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쏘아지는 테니스공(7)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판이고, 22c,22d 는 상기 회전구(22)의 또다른 날개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공투척기(10)에서는 공(7)을 공급하는 공투입관(67)이 케이싱(11)의 상부면에 형성된 공안내구(16)에 선단일부가 끼워져 조립되어 상기 케이싱(11)상부측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연습도중 연습자가 타구한 공(7)이 상기 공투입관(67)과 부딪혀 파손될 우려가 매우 높아 테니스연습을 곤란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정비작업시 상기 공투입관(67)을 케이싱(11)으로부터 착탈하는 작업이 조립구조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공(7)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회전구(22)의 회전작동이 항상 일정시간의 간격으로만 이루어지면서 공(7)의 개별공급이 이루어져 타구가능하게 투척이 이루어기 때문에, 연습자가 필요로 하는 시간간격에 맞추어 공(7)을 투척휠(14)사이로 공급하는 것이 곤란하여 연습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공투입관을 케이싱의 후면에 착탈이 용이하고,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장착하여 타구된 공에 의한 충돌을 줄여 파손을 예방하고, 연습자가 필요로 하는 시간간격에 맞추어 공투입시기를 자유롭게 조절할수 있어 연습효율성을 높일수 있는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용 공제어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의 a) 및 b)도는 종래의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에 갖춰진 공투척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용 공제어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제어기의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공제어기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공제어기에 채용되는 전기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 7 ...... 테니스공
10 ..... 공투척기 11 ..... 케이싱
12 ..... 구동용 모터 14 ..... 회전휠
16a .... 공안내구 91 ..... 제어베이스
92 ..... 전자접촉기 92a .... 내부공
93 ..... 로드 94 ..... 스핀들
95 ..... 작동편 95a .... 타격단
95b .... 정지단 96 ..... 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네트의 반대측에 위치한 연습자에게 테니스공을 투척하는 공투척기를 갖추어 실내에서 테니스연습을 실행할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공투입관의 하단에 클램프로서 조립되는 제어베이스;와, 상기 제어베이스 하단에 장착되어 전원인가시 발생되는 자속에 의해서 내부공내에 조립된 로드를 당김작동시켜 이에 연결되고, 회전핀에 조립된 작동편을 선회작동시키는 전자접촉기;와, 상기 작동편의 하단과 제어베이스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편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용 공제어기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용 공제어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제어기의 조립구성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공제어기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공제어기에 채용되는 전기회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공제어기(9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장치(1)에 채용되는 공투척기(10)와 연결구성되어 연습자가 필요로 하는 시간간격에 맞추어 공(7)을 반복적으로 개별공급하는 것으로서, 제어베이스(91), 전자접촉기(92), 로드(93), 스핀들(94), 작동편(95) 및 스프링(9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베이스(91)는 도 3과 4에 도시한 바와같이,공(7)을 공급하는 공투입관(67)의 하단에 교체가 용이하도록 볼트부재(98a)로서 체결되는 복수개의 클램프(98)에 의해서 조립되고, 상기 공투입관(67)은 상기 공투척기(10)의 케이싱(11)일측면에 형성된 안내구(16a)에 선단일부가 끼워져 회전휠(14)사이로 상기 공(7)이 개별공급되도록 조립된다. 이때, 상기 공투척기(10)의 선단일부가 조립되는 안내구(16a)의 형성위치는 투척후 타구되는 공(7)과 상기 공투입관(67)과의 충돌에 의한 파손을 예방하도록 연습자(H)와 대응하는 케이싱(11)측면의 반대면에 갖추어지며, 상기 케이싱(11)은 내부구성부품의 수리가 용이하도록 볼트부재(19a)로서 착탈이 용이하도록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자접촉기(92)는 상기 제어베이스(91)하단에 장착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되며, 몸체중앙에 관통형성된 내부공(92)에는 일정길이의 로드(93)가 수평이동가능하도록 조립됨에 따라, 내부권취된 코일(미도시)에 전원이 인가되면 내부공(92a)내에 자속이 형성되어 상기 로드(93)는 자속에 의해 내측으로 당김이동된다.
또한, 상기 로드(93)의 선단은 핀부재(97a)로서 스핀들(94)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스핀들(94)의 타단은 또다른 핀부재(97b)로서 작동편(95)의 하단과 연결되는바, 상기 작동편(95)은 상기 제어베이스(91)에 회전핀(97c)으로서 선회작동가능하도록 조립되며, 상기 전자접촉기(92)의 전원인가 유무에 따른 로드(93)의 왕복운동에 맞추어 상기 공(7)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타격함과 동시에 경사진 공투입관(67)을 통해 공급되는 후속 공(7)을 일시 정지시키도록 승강되고, 정지된 후속 공(7)을 내려보내도록 하강되는 타격단(95a), 이와 반대로 승,하강되어 타격된 공(7)이 공안내구(16a)내로 투입되도록 간섭을 해제하고, 최선단에 공(7)이 배치되도록 이를 정지시키는 정지단(65b)을 'U'자형으로 갖추어 상기 공(7)을 개별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편(95)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스프링(96)은 일측 클램프(98)의 하단에 타단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전자접촉기(92)의 전원인가시 내측으로 작동되는 로드(93)와 연속하여 상기 타격단(25a)이 승강되도록 선회작동된 작동편(95)을 전원인가 해제시 탄성복원력으로서 원상태로 복귀시켜 상기 타격단(25a)과 마주하는 정지단(25b)을 승강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공제어기(90)는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1)를 구성하는 공투척기(10)에 연결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3 내지 6에 도시한 바와같이, 타이머(123)의 작동으로 전자접촉기(92)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전자접촉기(92)의 내부에 설치된 코일에 자속이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전자접촉기(92)의 내부공(92a)내에 선단일부가 삽입된 로드(93)는 발생된 자속에 의해서 내측방향으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이때, 공투척기(10)의 케이싱(11)에 형성된 공안내구(16a)에 선단일부가 조립되어 경사지게 설치된 공투입관(67)내부에는 다수개의 공(7)이 공급되어 있고, 내부에 채워진 다수개의 공(7)중 최선단의 공(7)은 승강된 작동편(95)의 정지단(95b)에 의해서 정지되고, 타격단(95a)은 상기 공(7)과의 간섭이 없도록 하강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자접촉기(92)의 전원인가에 따른 상기 로드(93)의 당김작동과 동시에 스핀들(94)이 당겨지면, 상기 로드(93)의 선단에 상기 작동편(95)의 하단과 연결된 스핀들(94)이 연결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작동편(95)은 회전핀(97c)을 회전축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되어 하강된 타격단(95a)이 승강되면서 최선단의 공(7)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타격하여 공안내구(16a)측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정지단(95b)은 반대로 하강되어 공(7)의 진로를 개방시키는 한편, 자중에 의해서 밀려오던 후속 공(7)은 최선단의 공(7)을 타격공급하도록 승강된 상기 타격단(95a)에 의해서 간섭되어 일시정지된다. 이때, 상기 작동편(95)의 하단과 일측 클램프(98)사이에 연결구성된 스프링(96)은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신장되는 변형이 일어난다.
여기서, 상기 공투척기(10)의 공안내구(16a)로 떨어진 다음 회전휠(14)사이로 투입되어 연습자(H)를 향하여 상기 공(7)이 투척되는 작동은 종래와 동일한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타이머(123)의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어 상기 전자접촉기(92)에 인가되던 전원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전자접촉기(92)의 내부공(92a)내에 발생하던 자속이 없어지면, 상기 로드(93)의 당김작동시 팽창변형되었던 상기 스프링(9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로드(93)는 원상태로 복귀되고, 상기 작동편(95)은 상기와 반대로 시계반대방향으로 선회작동된다.
이러한 경우, 최선단의 공(7)타격시 승강되었던 상기 작동편(95)의 타격단(95a)이 상기와 반대로 하강되면서 후속하는 공(7)을 내려보내고, 하강되었던 상기 작동편(95)의 정지단(95b)은 승강되어 내려오던 상기 공(7)을 최선단의 타격위치에 정지시켜 초기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에서 미설명부호 85a,85b 는 공투입관(67)에 공(7)들이 가득한 상태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발신하는 리미트스위치이고, 86a 는 공투입관(67)에 공(7)이 없는 상태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발신하는 리미트스위치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공제어기에 갖추어지는 콘트롤러의 전기회로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전자접촉기(92)의 반복적인 전원단속이 가능하도록 코인기 전원접점(128-1)과 직렬로 접속하여 코인기 전원접점(128-1)이 온될 때 전원인가로 인해 동작을 개시하여 설정시간, 즉 공(7)이 투척되는 시간간격( 3 내지 4초)이후 내부접점(123-1)을 오프시킴과 동시에, 타이머접점(123-2)을 온시키는 타이머(123)를 갖추며, 상기 타이머(123)의 접점(123-2)이 온될 때 전원접점(98b-1) 및 홀딩용 타이머접점(98a-1)을 통한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전자접촉기(92)를 갖추며, 상기 타이머(123)의 접점이 온될 때 전원접점을 통한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을 개시하여 홀딩용 타이머접점(98a-1)을 설정시간 이후에 오프시켜 상기 전자접촉기(92)로의 전원공급을 차단지연시키어 1개의 공(7)을 반복적으로 투입하는 공제어기(90)의 1싸이클 동작을 완료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공제어기(90)는 타이머(123)에 의해서 공(7)이 연습자(H)에게 투척되는 시간을 설정할수 있고, 상기 홀딩용 타이머(98a)에 의해서 공이 공제어기 내부를 완전히 빠져나갈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가질수 있도록 전자접촉기(92)에 가해지는 전원을 일정시간동안 홀딩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공이 투입되는 공투입관(67)이 투척후 타구된 공(7)과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케이싱(11)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종래와 같은 공투입관(67)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착탈이 용이하여 정비작업성을 향상시킬수있을 뿐만 아니라, 공(7)의 자중에 의한 회전구(22)의 회전동작에 의존하여 공(7)을 공투척기(10)내로 개별공급하던 종래에 비하여 전원인가시 강제작동되는 전자접촉기(92)에 의해서 안전하게 공(7)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급신뢰성, 안정성이 높아 실내에서 다양한 테니스 연습을 수행할수 있는 실질적인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3)

  1. 네트(5)의 반대측에 위치한 연습자(H)에게 테니스공(7)을 투척하는 공투척기(10)를 갖추어 실내에서 테니스연습을 실행할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공투입관(67)의 하단에 클램프(98)로서 조립되는 제어베이스(91);와, 상기 제어베이스(91) 하단에 장착되어 전원인가시 발생되는 자속에 의해서 내부공(92a)내에 조립된 로드(93)를 당김작동시켜 이에 연결되고, 회전핀(97c)에 조립된 작동편(95)을 선회작동시키는 전자접촉기(92);와, 상기 작동편(95)의 하단과 제어베이스(91)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편(95)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프링(96);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용 공제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편(95)은 타격단(95a)과 정지단(95b)을 'U'자형으로 갖추어 상기 공(7)을 개별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용 공제어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접촉기(92)의 반복적인 전원단속이 가능하도록 코인기 전원접점(128-1)과 직렬로 접속하여 코인기전원접점(128-1)이 온될 때 전원인가로 인해 동작을 개시하여 설정시간이후 내부접점(123-1)을 오프시킴과 동시에, 타이머접점(123-2)을 온시키는 타이머(123)를 갖추며, 상기 타이머(123)의 접점(123-2)이 온될 때 전원접점(98b-1) 및 홀딩용 타이머접점(98a-1)을 통한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전자접촉기(92)를 갖추며, 상기 타이머(123)의 접점이 온될 때 전원접점을 통한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을 개시하여 홀딩용 타이머접점(98a-1)을 설정시간 이후에 오프시켜 상기 전자접촉기(92)로의 전원공급을 차단지연시키는 셀프홀딩용타이머(98a)를 갖추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용 공제어기.
KR2019980019138U 1998-10-07 1998-10-07 실내자동 테니스 연습장치용 공제어기 KR200000076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138U KR20000007683U (ko) 1998-10-07 1998-10-07 실내자동 테니스 연습장치용 공제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138U KR20000007683U (ko) 1998-10-07 1998-10-07 실내자동 테니스 연습장치용 공제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683U true KR20000007683U (ko) 2000-05-06

Family

ID=6971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138U KR20000007683U (ko) 1998-10-07 1998-10-07 실내자동 테니스 연습장치용 공제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68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712A (ko) * 2001-05-31 2002-12-06 김두한 테니스 연습기
KR101531047B1 (ko) * 2013-10-07 2015-06-24 (주)에프아이엔터테인먼트 투척 게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712A (ko) * 2001-05-31 2002-12-06 김두한 테니스 연습기
KR101531047B1 (ko) * 2013-10-07 2015-06-24 (주)에프아이엔터테인먼트 투척 게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5691A (en) Laser golf club putter assembly
KR100991950B1 (ko) 배드민턴 연습기
US5294109A (en) Ball tossing device for baseball batting practice
WO2010128794A2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134187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20110152011A1 (en) Ball Toss Up Apparatus for Batting Practice and Game Play
CN205287537U (zh) 一种羽毛球练习用发球器
KR20000007683U (ko) 실내자동 테니스 연습장치용 공제어기
EP2019724A1 (en) Golf swing training machine
KR200306604Y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CN211963017U (zh) 一种球类运动训练设备
KR100483036B1 (ko) 골프 연습 장치
CN113813581A (zh) 一种带可旋转网球发球功能的网球训练器
CN111420380A (zh) 一种排球扣球训练装置
KR200175819Y1 (ko)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
CN211025080U (zh) 仿真磁力动物游戏机
CN111888745B (zh) 一种足球射门装置
KR20000025442A (ko) 골프 연습장치
CN218890133U (zh) 一种点杀力量的训练器
KR930007422Y1 (ko) 테니스 라켓의 스매싱연습 장치
CN210302295U (zh) 一种足球训练发球器
TWI691349B (zh) 可調整擊球重心之高爾夫球桿
CN211635154U (zh) 一种排球扣球辅助装置
CN110280001B (zh) 一种可调羽毛球落向的教学装置
CN208160966U (zh) 多功能足球训练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