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656U - 디지탈trs단말기용 중계기박스 - Google Patents

디지탈trs단말기용 중계기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656U
KR20000007656U KR2019980019100U KR19980019100U KR20000007656U KR 20000007656 U KR20000007656 U KR 20000007656U KR 2019980019100 U KR2019980019100 U KR 2019980019100U KR 19980019100 U KR19980019100 U KR 19980019100U KR 20000007656 U KR20000007656 U KR 200000076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trs
trs terminal
general radio
station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식
Original Assignee
이인혁
주식회사 서울Trs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혁, 주식회사 서울Trs filed Critical 이인혁
Priority to KR2019980019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656U/ko
Publication of KR200000076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656U/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내 스테이션(station)용 일반무전기와 디지탈TRS단말기 사이에 연결되어 이동용 일반무전기와 디지탈TRS단말기와의 사이에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계기박스(interface box)에 관한 것으로, 이 중계기박스는 상기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로부터 SQ(SQUELCH)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디지탈TRS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디지탈TRS단말기로부터 상기 상대측 디지탈TRS단말기를 액세스하였다는 확인신호와 SQ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로 송신하는 PTT동작부; 상기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로부터 입력받는 음성신호의 DC성분과 고역주파수의 잡음을 감쇄시켜 상기 디지탈TRS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디지탈TRS단말기로부터 입력받는 음성신호의 DC성분과 고역주파수의 잡음을 감쇄시켜 상기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로 송신하는 음성신호전달부; 및 상기 PTT동작부 및 음성신호전달부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안정화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디지탈TRS단말기용 중계기박스
본 고안은 이동용 일반무전기와 디지탈TRS단말기 사이의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탈TRS단말기용 중계기박스(interface box)에 관한 것이다.
현 데이터통신을 위한 물리적 접속인 디지탈TRS단말기는 차량에 장착되므로, 사용자는 차량 내에 있거나 차량과 가까이 있을 때에 상대측 디지탈TRS단말기 혹은 관제실과의 통화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디지탈TRS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상대측 디지탈TRS단말기 혹은 관제실과의 상호 통화는 사용자가 차량과 멀리 떨어져 있을 때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본 고안은 사용자가 차량에서 멀리 떨어질 때 이동용 일반무전기를 휴대하여 디지탈TRS단말기와의 사이에 상호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해 차량에 장착되는 스테이션(station)용 일반무전기와 디지탈TRS단말기 사이에 연결하는 디지탈TRS단말기용 중계기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중계기 박스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중계기박스 11 : PTT동작부
12 : 음성신호전달부 13 : 전원안정화부
14 : 이동용 일반무전기 15 :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
16 : 디지탈TRS단말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이동용 일반무전기와 디지탈TRS단말기와의 사이에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계기박스(interface box)에 있어서, 차량내 스테이션(station)용 일반무전기와 디지탈TRS단말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로부터 SQ(SQUELCH)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디지탈TRS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디지탈TRS단말기로부터 상기 상대측 디지탈TRS단말기를 액세스하였다는 확인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로 송신하는 PTT동작부; 상기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로부터 입력받는 음성신호의 DC성분과 고역주파수의 잡음을 감쇄시켜 상기 디지탈TRS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디지탈TRS단말기로부터 입력받는 음성신호의 DC성분과 고역주파수의 잡음을 감쇄시켜 상기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로 송신하는 음성신호전달부; 및 상기 PTT동작부 및 음성신호전달부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안정화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동용 일반무전기와 디지탈TRS단말기사이의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탈TRS단말기용 중계기박스에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중계기박스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PTT동작부(11), 음성신호전달부(12) 및 전원안정화부(13)를 구비하는 중계기박스(10)가 차량내의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15)와 디지탈TRS단말기(16) 사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용 일반무전기(14)와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15)는 무전기무선망을 통하여 상호 신호교환이 이루어지고, 디지탈TRS단말기(16)와 상대측 디지탈TRS단말기(미도시됨)는 디지탈TRS망을 통하여 상호 신호교환이 이루어진다. 이 때, 이동용 일반무전기(14)와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15)는 동일 채널, 동일 주파수 및 동일 볼륨크기로 맞춘다.
이제 이와 같이 연결구성을 이루는 중계기박스의 동작 및 전체적인 신호흐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이동용 일반무전기(14)를 이용하여 상대측 디지탈TRS단말기를 호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용 일반무전기(14)의 PTT키를 누르면, SQ(squelch; SQ)신호가 무전기무선망을 통하여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15)로 입력된다. 이 SQ신호는 중계기박스(10) 내의 PTT동작부(11)로 입력되고, PTT동작부(11)는 SQ신호를 디지탈TRS단말기(16)로 입력한다. 그래서, SQ신호를 입력받은 디지탈TRS단말기(16)는 디지탈TRS망을 통하여 상대측 디지탈TRS단말기를 액세스한다. 그래서, 호출하고자 하는 디지탈TRS단말기가 액세스되면, 액세스되었다는 확인신호를 중계기박스(10)내의 PTT동작부(11)로 송신한다. PTT동작부(11)는 확인신호를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15)로 입력하고,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15)는 무전기무선망을 통하여 이동용 일반무전기(14)로 확인신호를 송신한다. 그래서, 이동용 일반무전기(14)에서는 확인음이 울리거나 레드온(led on)센서가 점등된다. 사용자는 이동용 일반무전기(14)에서 상대측 디지탈TRS단말기에 대한 액세스확인음 및 레드온센서의 점등을 확인한 후 음성통화를 한다. 그래서, 사용자가 이동용 일반무전기(14)의 PTT키를 누르면서 마이크입력단으로 말을 하게 되면, 이 음성신호는 무전기무선망을 통하여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15) 및 중계기박스(10)내의 음성신호전달부(12)로 입력된다. 음성신호전달부(12)는 입력받은 음성신호의 DC성분과 고역주파수의 잡음을 감쇄시켜 디지탈TRS단말기(16)로 입력한다. 디지탈TRS단말기(16)는 입력받은 음성신호를 디지탈TRS망을 통하여 상대측 디지탈TRS단말기로 송신한다. 그리고, 중계기박스(10)내의 전원안정화부(14)는 PTT동작부(11)와 음성신호전달부(12)의 각 동작에 필요한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하여 이동용 일반무전기로 상대측 디지탈TRS단말기의 호출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대측 디지탈TRS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이동용 일반무전기(14)를 호출하고자 하는 경우, 디지탈TRS단말기(16)는 디지탈TRS망을 통하여 SQ신호를 입력받아 상대측 디지탈TRS단말기에 의해 액세스되고, 이 SQ신호를 중계기박스(10)내의 PTT동작부(11)로 입력한다. PTT동작부(11)로 입력된 SQ신호는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15)로 입력되고, 무전기무선망을 통하여 이동용 일반무전기(14)로 입력된다.
그래서, 상대측 디지탈TRS단말기로부터의 음성신호는 디지탈TRS망을 통하여 디지탈TRS단말기(16), 중계기박스(10)내의 음성신호전달부(12)를 거쳐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15)로 입력된다. 그리고,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15)로 입력된 음성신호는 무전기무선망을 통하여 이동용 일반무전기(14)로 송신된다. 이렇게하여 상대측 디지탈TRS단말기와 이동용 일반무전기간의 호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에 미도시된 전원공급부와 디지탈TRS단말기(16) 사이에 전원자동차단부(미도시됨)를 설치함으로써 디지탈TRS단말기(16)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하도록 한다. 즉, 전원자동차단부 내에 타이머를 장착하고, 타이머가 사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지를 체크하여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알람신호 등을 발생하고, 전원자동차단부는 알람신호에 의해 디지탈TRS단말기(16)로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렇게 하면 차량의 전원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지탈TRS단말기용 중계기박스를 사용하면 휴대용 일반무전기를 가지고 차량에서 멀리 이동하는 경우에도 상대측 디지탈TRS단말기와의 음성통화가 가능한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이동용 일반무전기와 디지탈TRS단말기와의 사이에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계기박스(interface box)에 있어서,
    차량내 스테이션(station)용 일반무전기와 디지탈TRS단말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로부터 SQ(SQUELCH)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디지탈TRS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디지탈TRS단말기로부터 상기 상대측 디지탈TRS단말기를 액세스하였다는 확인신호와 SQ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로 송신하는 PTT동작부;
    상기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로부터 입력받는 음성신호의 DC성분과 고역주파수의 잡음을 감쇄시켜 상기 디지탈TRS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디지탈TRS단말기로부터 입력받는 음성신호의 DC성분과 고역주파수의 잡음을 감쇄시켜 상기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로 송신하는 음성신호전달부; 및
    상기 PTT동작부 및 음성신호전달부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안정화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동용 일반무전기와 디지탈TRS단말기사이의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탈TRS단말기용 중계기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일반무전기와 스테이션용 일반무전기는 동일 채널, 동일 주파수, 동일 볼륨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박스.
KR2019980019100U 1998-10-02 1998-10-02 디지탈trs단말기용 중계기박스 KR200000076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100U KR20000007656U (ko) 1998-10-02 1998-10-02 디지탈trs단말기용 중계기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100U KR20000007656U (ko) 1998-10-02 1998-10-02 디지탈trs단말기용 중계기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656U true KR20000007656U (ko) 2000-05-06

Family

ID=6970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100U KR20000007656U (ko) 1998-10-02 1998-10-02 디지탈trs단말기용 중계기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65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107B1 (ko) * 2007-09-14 2009-05-15 (주)넥타르소프트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콘솔장치,무전중계장치, 매니저장치 및 통신 연결 설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107B1 (ko) * 2007-09-14 2009-05-15 (주)넥타르소프트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콘솔장치,무전중계장치, 매니저장치 및 통신 연결 설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0362A1 (en)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of configuring same when connected to a vehicle
CA2183940A1 (e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usable in two communication modes and personal tele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device
JPH03196723A (ja) 携帯電話装置
US9338275B2 (en) Terminal network for wireless voice communication
ATE207282T1 (de) Sprech- und datenendgerät für funktelefonienetz
KR20000007656U (ko) 디지탈trs단말기용 중계기박스
RU121411U1 (ru) Терминал беспроводной голосовой связи
JPH09107328A (ja) 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システム
KR20020018513A (ko) 인터넷 연동 무전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3011627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332122A (ja) 移動無線通信端末の送信出力制御方式
JPH11154999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970008675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발신장치 및 그 방법
JP3697732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3192870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970001864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연속통화제어방법
JPH0213032A (ja) Catv中継増幅器
KR200333855Y1 (ko) 키폰시스템의내선접속장치
JP2002344637A (ja) ワイヤレス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ワイヤレスコール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H08140147A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端末
KR0136732B1 (ko) 다수개의 휴대장치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의 국선 전환 방법
KR100373502B1 (ko) 단말기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
RU2154922C1 (ru) Устройство вызова и ведения радиосвязи
KR100219269B1 (ko) 2중 소형 기지국을 이용한 무선전화기
JP260671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インタフェース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