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107B1 -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콘솔장치,무전중계장치, 매니저장치 및 통신 연결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콘솔장치,무전중계장치, 매니저장치 및 통신 연결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107B1
KR100898107B1 KR1020070093627A KR20070093627A KR100898107B1 KR 100898107 B1 KR100898107 B1 KR 100898107B1 KR 1020070093627 A KR1020070093627 A KR 1020070093627A KR 20070093627 A KR20070093627 A KR 20070093627A KR 100898107 B1 KR100898107 B1 KR 100898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radio
relay
console
relay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8205A (ko
Inventor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주)넥타르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타르소프트 filed Critical (주)넥타르소프트
Priority to KR1020070093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107B1/ko
Publication of KR20090028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3Registration or de-reg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콘솔장치, 무전중계장치, 매니저장치 및 통신 연결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콘솔장치;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중계무전장치; 및 상기 콘솔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중계무전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중계무전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콘솔장치로 송신하는 매니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전신호 전달 중에 무전 시스템 내부 장치가 이동을 하게 되어도, 연속적이고 끊김 없는(Seamless) 무전신호 전달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및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내부 장치들간의 연결 설정 방법을 제공해주며, 그에 따라 무전신호의 신뢰성 있는 전달을 보장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동성, 무전, 패킷

Description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콘솔장치, 무전중계장치, 매니저장치 및 통신 연결 설정 방법 {Packet Based Mobile Radio Integration System, Console, Radio Broker, Manager and Connection Method}
본 발명은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콘솔장치, 무전중계장치, 매니저장치 및 통신 연결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무전신호 전달 중에 무전 시스템 내부 장치가 이동을 하게 되어도, 연속적이고 끊김 없는(Seamless) 무전신호 전달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및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내부 장치들간의 연결 설정 방법을 제공해주며, 그에 따라 무전신호의 신뢰성 있는 전달을 보장해주는 효과가 있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콘솔장치, 무전중계장치, 매니저장치 및 통신 연결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전 시스템은 고층 건물 및 지하철 건설 현장, 대형유통 마트와 전국 지점 등의 일반 산업 현장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재난, 구호 및 전쟁 등의 긴급한 상황에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전 시스템은 상황실로부터 원격지에 있는 무전기로 또는 무전기 간에 음성 신호 및 제어 신호가 포함된 아날로그신호 및 패킷데이터를 전달해주는 기 능을 수행하며, 아날로그 신호와 패킷으로 된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비/회선과 패킷으로 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비/회선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아날로그신호를 패킷데이터로 패킷타이징하여 패킷으로 된 데이터와 함께 하나의 장비 및 회선으로 전송해줄 수 있는 패킷 기반 무전 시스템 기술이 나타나게 되었으며, 이러한 패킷 기반의 무전 시스템 기술을 RoIP(Radio over Internet Protocol)라고 부른다.
종래의 이러한 RoIP 기술을 이용한 무전 시스템은 동일한 네트워크 회선을 통해서 아날로그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해줌으로써, 전송 효율성을 높일 수는 있었으나, 무전 시스템 내 장치들이 이동한 상황에서는 무전신호를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한다. 후술할 도 1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RoIP 기술을 이용한 무전 시스템에 존재하는 장치들의 이동상황에서 상세히 정의한다.
도 1은 종래 무전시스템에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무전시스템 내 장치의 이동시에는 끊김없는(Seamless) 무전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콘솔장치 이동과 중계무전장치 이동으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선 화살표는 콘솔장치 또는 중계무전장치가 이동 전에 콘솔장치와 중계무전장치 간에 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포함한 아날로그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를 의미하며, 점선 화살표는 콘솔장치 또는 중계무전장치가 이동 후에 콘솔장치와 중계무전장치 간에 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포함한 아날로그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를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1, 2, 3 및 4는 유선 인터페이스 및 무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진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를 의미하며, 유무선 통신시스템의 액세스(Access) 단이 이동통신시스템이라면, 1, 2, 3 및 4는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이 될 수도 있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중계무전장치가 이동 전에는, 중계무전장치가 2번 액세스포인트를 통해서 1번 액세스포인트에 접속한 콘솔장치로부터 아날로그신호를 실선 화살표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서 전달받고 있었으며, 만약 중계무전장치가 이동하여 2번 액세스포인트의 전파도달범위 또는 운용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중계무전장치는 콘솔장치로부터 수신중이던 아날로그신호를 계속해서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콘솔장치가 이동 전에는, 콘솔장치가 1번 액세스포인트를 통해서 2번 액세스포인트에 접속한 중계무전장치로 아날로그신호를 실선 화살표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서 전달하고 있었으며, 만약 콘솔장치가 이동하여 1번 액세스포인트의 전파도달범위 또는 운용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콘솔장치는 중계무전장치로 송신중이던 아날로그신호를 계속해서 송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1의 (a)와 (b)를 참조하면, 종래의 무전 시스템 기술에서는, 무전신호 전달 중에 무전 시스템 내부 장치가 이동을 하게 되면 연속적이고 끊김 없 는(Seamless) 무전신호 전달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래의 무전 시스템이 재난, 구호 및 전쟁 등의 긴급한 상황에 적용되는 경우라면, 장치 이동에 의하여 연속적이고 끊김 없는 무전신호 전달이 불가능한 문제점은 더욱 심각한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전신호 전달 중에 무전 시스템 내부 장치가 이동을 하게 되어도, 연속적이고 끊김 없는(Seamless) 무전신호 전달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및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내부 장치들간의 연결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전신호 전달 중에 무전 시스템 내부 장치가 이동을 하게 되어도, 연속적이고 끊김 없는(Seamless) 무전신호 전달을 제공함으로써, 무전신호의 신뢰성 있는 전달을 보장해주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이동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콘솔장치;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중계무전장치; 및 상기 콘솔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중계무전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중계무전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콘솔장치로 송신하는 매니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이동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시스템에서의 콘솔장치에 있어서, 변경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매니저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통신환경 설정 관리부; 패킷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패킷데이터 송수신 관리부; 아날로그신호를 송수신하는 아날로그신호 송수신 관리부; 수신한 아날로그신호를 패킷타이징하는 패킷타이징(Packetizing) 관리부; 및 수신한 패킷데이터를 디패킷타이징하는 디패킷타이징(De-Packetizing)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으로 이동형 무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콘솔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이동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시스템에서의 중계무전장치에 있어서, 변경된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매니저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통신환경 설정 관리부; 패킷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아날로그신호를 송수신하고, 수신한 패킷데이터를 디패킷타이징하여 아날로그신호를 생성하고, 수신한 아날로그신호를 패킷타이징하여 패킷데이터를 생성하는 중계관리부; 및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를 상기 중계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중계관리부로부터 아날로그신호를 전달받는 무전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으로 이동형 무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중계무전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이동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시스템에서의 매니저장치에 있어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송수신하고,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환경정보 송수신 관리부; 및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 및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갱신하는 통신환경정보 저장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으로 이동형 무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매니저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콘솔장치가 이동한 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통신 연결 설정 방법에 있어서, (a) 콘솔장치가 이동을 인지하는 이동감지단계; (b) 상기 콘솔장치가 매니저장치로 접속시도메시지를 송신하는 변경식별정보보고단계; (c) 상기 매니저장치가 상기 접속시도메시지를 통해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갱신하는 변경식별정보갱신단계; 및 (d) 상기 매니저장치가 중계무전장치로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변경식별정보통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장치 이동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통신 연결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중계무전장치가 이동한 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통신 연결 설정 방법에 있어서, (a) 중계무전장치가 이동을 인지하는 이동감지단계; (b) 상기 중계무전장치가 매니저장치로 접속시도메시지를 송신하는 변경식별정보보고단계; (c) 상기 매니저장치가 상기 접속시도메시지를 통해서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갱신하는 변경식별정보갱신단계; 및 (d) 상기 매니저장치가 콘솔장치로 상기 중계무전 장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변경식별정보통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무전장치 이동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통신 연결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전신호 전달 중에 무전 시스템 내부 장치가 이동을 하게 되어도, 연속적이고 끊김 없는(Seamless) 무전신호 전달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및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내부 장치들간의 연결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전신호 전달 중에 무전 시스템 내부 장치가 이동을 하게 되어도, 연속적이고 끊김 없는(Seamless) 무전신호 전달을 제공함으로써, 무전신호의 신뢰성 있는 전달을 보장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무전 시스템에게 제공되는 이동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서 전술한 종래 무전 시스템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 한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되는 점을 나타낸 도면이며,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이동성(Mobility)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이동성(Mobility)을 콘솔장치 이동과 중계무전장치 이동상황으로 각각 나누어서 도 2의 (a) 및 도 2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선 화살표는 콘솔장치 또는 중계무전장치가 이동 전에 콘솔장치와 중계무전장치 간에 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포함한 아날로그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를 의미하며, 점선 화살표는 콘솔장치 또는 중계무전장치가 이동 후에 콘솔장치와 중계무전장치 간에 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포함한 아날로그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를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1, 2, 3 및 4는 유선 인터페이스 및 무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진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를 의미하며, 유무선 통신시스템의 액세스(Access) 단이 이동통신시스템이라면, 1, 2, 3 및 4는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이 될 수도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중계무전장치가 이동 전에는, 중계무전장치가 2번 액세스포인트를 통해서 1번 액세스포인트에 접속한 콘솔장치로부터 아날로그신호를 실선 화살표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서 전달받고 있었으며, 만약 중계무전장치가 이동하여 2번 액세스포인트의 전파도달범위 또는 운용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중계무전장치는 4번 액세스포인트에 접속하여 콘솔장치와의 새로운 연결(Connection)을 재설정함으로써, 중계무전장치는 콘솔장치로부터 수신중이던 아날로그신호를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서 계속해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콘솔장치가 이동 전에는, 콘솔장치가 1번 액세스포인트를 통해서 2번 액세스포인트에 접속한 중계무전장치로 아날로그신호를 실선 화살표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서 전달하고 있었으며, 만약 콘솔장치가 이동하여 1번 액세스포인트의 전파도달범위 또는 운용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콘솔장치는 3번 액세스포인트에 접속하여 중계무전장치와의 새로운 연결(Connection)을 재설정함으로써, 중계무전장치는 콘솔장치로부터 수신중이던 아날로그신호를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서 계속해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따라 '이동성(Mobility)'이 제공된 무전 시스템을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또는 '이동형 RoIP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으로 통일하여 기재한다.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여 전술한 이동성(Mobility) 제공을 위한 연결 재설정에 대한 방법 및 그를 제공하는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환경에서 무전을 하기 위한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은 콘솔장치(300), 중계무전장치(310) 및 매니저장치(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솔장치(300)는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콘솔장치(300)는 건물 내 상황실 또는 이동 차량 내 상황실에서 존재하며, 음성 신호가 입출력되는 음성 입출력 단자 및 제어 신호가 입출력된 제어 입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중계무전장치(310)는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중계무전장치(310)는 이동 차량 또는 이동 장비에 설치되어 존재하며, 음성 신호가 입출력되는 음성 입출력 단자 및 제어 신호가 입출력된 제어 입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중계무전장치(310)는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의 감지, 생성 및 보고, 콘솔장치 식별정보의 수신 및 매니저장치 식별정보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환경 설정 관리부, 패킷데이터 및 아날로그신호의 송수신하여 무전관리부로 전달하는 중계관리부 및 중계관리부로부터 아날로그신호를 전달받는 무전관리부를 내부에 포함한다. 중계무전장치(310)에는 복수의 중계관리부가 존재할 수 있으며, 각 중계관리부마다 고유의 중계관리부 식별정보가 부여된다.
매니저장치(320)는 콘솔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중계무전장치(310)로 송신하고, 중계무전장치(310)로부터 수신한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콘솔장치(300)로 송신한다. 즉, 콘솔장치(300) 및 중계무전장치(310)를 포함한 모든 구성 장치들의 변경된 식별정보 보고를 받아 중앙에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을 구성하는 콘솔장치(300), 중계무전장치(310) 및 매니저장치(320)는 각기 유선 인터페이스 및 무선 인터페이스 중 하나 이상의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가지므로, 유무선 통신시스템(330)으로 연결가능하며, 이러한 유무선 통신시스템(330)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 넷, 무선랜 및 이동통신시스템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콘솔장치(300)는 매니저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유무선 통신시스템(330)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된 상태 또는 콘솔 라우터를 통해 유무선 통신시스템(330)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만약 콘솔장치(300)가 유무선 통신시스템(330)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상태인 경우에는, 전술한 콘솔장치(300)의 콘솔장치 식별정보는 콘솔장치 IP주소 및 콘솔장치 포트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만약 콘솔장치(300)가 유무선 통신시스템(330)에 콘솔 라우터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인 경우에는, 전술한 콘솔장치(300)의 콘솔장치 식별정보는 콘솔라우터 IP주소 및 콘솔라우터 포트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콘솔라우터는 IP 주소 할당 기능을 가진 유무선 액세스포인트로서 역할을 하며, 이러한 콘솔라우터의 기능이 콘솔장치(300)에 의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전술한 중계무전장치(310)는 매니저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유무선 통신시스템(330)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된 상태 또는 중계무전장치 라우터를 통해 유무선 통신시스템(330)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만약 중계무전장치(310)가 상기 유무선 통신시스템(330)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상태인 경우에는,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는 중계무전장치 IP주소 및 중계무전장치 포트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만약 중계무전장치(310)가 유무선 통신시스템에 중계무전장치 라우터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인 경우에는,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는 중계무전장치 라우터 IP주소 및 중계무전장치 라우터 포트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중계무전장치 라우터의 기능이 중계무전장치(310)에 의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콘솔장치(300)가 자신의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유무선 통신시스템(330)으로부터의 수신에 의한 생성방법 및 콘솔장치(300)의 자동생성방법 중 하나로 수행되며, 콘솔장치 식별정보는 이동한 이후에는 변하게 되는 유동 식별정보이다.
콘솔장치(300)가 이러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시점은 콘솔장치 식별정보가 최초 생성된 시점 및 콘솔장치(300)가 이동하여 콘솔장치 식별정보가 변동된 시점 중 하나가 된다.
중계무전장치(310)가 자신의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유무선 통신시스템(330)으로부터의 수신에 의한 생성방법 및 중계무전장치의 자동생성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는 이동한 이후에는 변하게 되는 유동 식별정보이다.
중계무전장치(310)가 이러한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시점은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가 최초 생성된 시점 및 중계무전장치(310)가 이동하여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가 변동된 시점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을 구성하는 콘솔장치(300)와 중계무전장치(310)가 무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서로 각각의 식별정보를 인지하고 있어야하고, 콘솔장치(300)와 중계무전장치(310)를 포함한 두 장치 중 한 장치가 이동하게 되더라도,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범위에서, 이동 후 변경된 식별정보를 나머지 장치가 인지할 수 있어야만 사용자들의 끊김 없는 연속적인 무전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솔장치(300)와 중계무전장치(310)를 포함한 두 장치 중 한 장 치가 이동하게 되면, 이동한 한 장치가 변경된 식별정보를 나머지 다른 장치로 통보해줄 수 있다. 또한, 콘솔장치(300)와 중계무전장치(310)를 포함한 두 장치의 모든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변경된 식별정보를 통보받아 저장하고 있는 매니저장치(320)가 이동한 한 장치의 변경된 식별정보를 이동한 한 장치를 대신하여 나머지 다른 장치로 통보해줄 수도 있다. 두 번째 매니저를 통한 변경된 식별정보 통보 방법은 콘솔장치(300)와 중계무전장치(310) 간의 연결이 끊어져서 변경된 식별정보를 통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식별정보 통보가 수행될 수가 있으므로, 매니저를 통한 변경된 식별정보 통보 방법은 보다 안정성 있는 이동성 제공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콘솔장치(300)가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매니저장치로부터의 수신방법 및 중계무전장치(310)로부터의 수신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방법을 택할 수 있다. 또한, 중계무전장치(310)가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방법도 매니저장치(320)로부터의 수신방법 및 콘솔장치(300)로부터의 수신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이동환경에서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내 콘솔장치(300), 중계무전장치(310) 및 매니저장치(320) 간의 무전을 위한 연결(Connection) 설정을 위한 필요한 식별정보 인식 기능과 관련한 설명이었으며, 이어서 설명할 내용은 이러한 연결(Connection) 설정에 된 이후 장치 간에 무전신호가 전달되는 것에 대한 내용이다.
콘솔장치(300)는 입력된 제 1 아날로그신호를 제 1 패킷데이터로 패킷타이 징(Packetizing)하여 중계무전장치(310)로 전송하고, 중계무전장치(310)는 수신한 제 1 패킷데이터를 디패킷타이징(De-Packetizing)하여 제 1 아날로그신호로 복원함으로써, 콘솔장치 사용자로부터 중계무전장치 사용자로의 무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중계무전장치(310)로부터 콘솔장치(300)로의 무전도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는 데, 중계무전장치(310)는 입력된 제 2 아날로그신호를 제 2 패킷데이터로 패킷타이징하여 콘솔장치(300)로 전송하고, 콘솔장치(300)는 제 2 패킷데이터를 디패킷타이징하여 제 2 아날로그신호로 복원함으로써, 중계무전장치 사용자로부터 콘솔장치 사용자로의 무전이 가능하게 된다. 즉, 아날로그신호의 패킷타이징 및 패킷데이터의 디패킷타이징을 이용하여 콘솔장치(300) 및 중계무전장치(310) 간의 양방향 무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이 제공하는 '무전'이란, 종래 무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송신측과 수신측간의 RF(Radio Frequency: RF, 이하 'RF'라 칭함) 기반의 무전은 물론, 송신된 무전신호(아날로그신호)가 패킷데이터로 패킷타이징되어 전달 경로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측으로 전송되어 다시 아날로그신호로 디패킷타이징되는 패킷기반의 무전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중계무전장치(310) 내부에는 중계기로서의 역할을 하는 중계관리부가 있어서, 중계무전장치(310)에 포함된 무전관리부가 콘솔장치(300)와 무전이 가능하게 된다.
중계무전장치(310) 내부에는 무전기로서의 역할을 하는 무전 관리부는 중계무전장치(310)에 포함된 중계관리부를 통한 콘솔장치(300)와 무전이 가능하고, 또 한 다른 중계무전장치에 포함된 무전관리부 또는 휴대형 외부무전기와도 직접 RF방식으로 무전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은 중계무전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휴대형 외부무전기(3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에서의 콘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에서의 콘솔장치(400)는 변경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매니저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통신환경 설정 관리부(410), 패킷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패킷데이터 송수신 관리부(420), 아날로그신호를 송수신하는 아날로그신호 송수신 관리부(430), 수신한 아날로그신호를 패킷타이징하는 패킷타이징(Packetizing) 관리부(440) 및 수신한 패킷데이터를 디패킷타이징하는 디패킷타이징(De-Packetizing) 관리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에서의 중계무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에서의 중계무전장치(500)는 변경된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감지하고,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매니저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통신환경 설정 관리부(510), 패킷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아날로그신호를 송수신하고, 수신한 패킷데이터를 디패킷타이징하여 아날로그신호를 생성하고, 수신한 아날로그신호를 패킷타이징하여 패킷데이터를 생성하는 중계관리부(520) 및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를 중계관리부(520)로 전달하고, 중계관리부(520)로부터 아날로그신호를 전달받는 무전관리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중계관리부(520)는 패킷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패킷데이터 송수신 관리부(524), 아날로그신호를 송수신하는 아날로그 송수신 관리부(521), 수신한 패킷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디패킷타이징하는 디패킷타이징(De-Packetizing) 관리부(523) 및 수신한 아날로그신호를 패킷데이터로 패킷타이징하는 패킷타이징(Packetizing) 관리부(5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중계관리부(520)는 콘솔장치 또는 다른 중계무전장치와 무전 관리부(530)간 패킷 기반의 무전(통신)이 가능하도록 중계기능을 제공한다.
무전관리부(530)는 중계관리부(520)를 통하여 콘솔장치 또는 다른 중계무전장치와 패킷기반의 무전이 가능하고, 외부에 존재하는 휴대형 외부무전기 및 외부에 존재하는 다른 중계무전장치와도 직접적인 RF 기반의 무전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에서의 매니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에서의 매니저장치는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송수신하고,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환경정보 송수신 관리부(610) 및 콘솔장치 식별정보 및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갱신하는 통신환경정보 저장 관리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이 제공하는 콘솔장치의 이동성 보장에 따른 연결 재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콘솔장치가 이동한 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통신 연결 설정 방법은 콘솔장치가 이동을 인지하는 이동감지단계, 콘솔장치가 매니저장치로 접속시도메시지를 송신하는 변경식별정보보고단계, 매니저장치가 접속시도메시지를 통해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갱신하는 변경식별정보갱신단계 및 매니저장치가 중계무전장치로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변경식별정보통보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전술한 변경식별정보통보단계에서의 콘솔장치 식별정보는 매니저장치가 콘솔장치로도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콘솔장치가 중계무전장치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통보할 수 있다.
이렇게 변경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통보해주는 주체가 매니저장치 또는 콘솔장치가 될 수 있으므로, 만약 중계무전장치가 매니저장치 및 콘솔장치를 포함한 두 주체 중 하나와의 연결이 끊어진 상태에서도 안정성 있게 콘솔장치의 변경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중계무전장치로 통보해줄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안정성 있는 이동성을 보장해줄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을 도 8에서의 예시를 통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콘솔장치가 이동 전에, 매니저장치가 IP1인 매니저장치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콘솔장치는 IP2라는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고, 중계무전장치는 IP3인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고, 콘솔장치가 이동하여 또 다른 액세스포인트를 통해서 유무선 통신시스템에 접속을 하게 되어 콘솔장치의 콘솔장치 식별정보가 IP2에서 IP4로 변경된 경우를 가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콘솔장치가 콘솔장치 식별정보가 변경된 것을 감지하고(S 700), 콘솔장치에 저장된 매니저장치 식별정보로 접속시도메시지를 전송하여 콘솔장치 식별정보의 변경사실을 알려주고(S 702), 접속시도메시지를 수신한 매니저장치는 변경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기저장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갱신하고(S 703), 변경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중계무전장치 및 콘솔장치로 전송(S 704)한다. 이를 수신한 콘솔장치는 변경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중계무전장치로 다시 한번 전송(S 706)하여 알려준다.
따라서, 중계무전장치는 매니저장치 및 콘솔장치로부터 두 차례의 변경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전송받게 되고, 비로소 콘솔장치와 중계무전장치 간의 연결이 재설정이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이 제공하는 중계무전장치의 이동성 보장에 따른 연결 재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중계무전장치가 이동한 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통신 연결 설정 방법은 중계무전장치가 이동을 인지하는 이동감지단계, 중계무전장치가 매니저장치로 접속시도메시지를 송신하는 변경식별정보보고단계, 매 니저장치가 접속시도메시지를 통해서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갱신하는 변경식별정보갱신단계 및 매니저장치가 콘솔장치로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변경식별정보통보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전술한 변경식별정보통보단계에서의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는 매니저장치가 중계무전장치로도 중계무전장치 식별정 송신가능하고, 이에 따라 중계무전장치가 콘솔장치로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통보할 수 있다.
이렇게 변경된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통보해주는 주체가 매니저장치 또는 중계무전장치가 될 수 있으므로, 만약 콘솔장치가 매니저장치 및 중계무전장치를 포함한 두 주체 중 하나와의 연결이 끊어진 상태에서도 안정성 있게 중계무전장치의 변경된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콘솔장치로 통보해줄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안정성 있는 이동성을 보장해줄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을 도 8에서의 예시를 통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을 참조하면, 중계무전장치가 이동 전에, 매니저장치가 IP1인 매니저장치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콘솔장치는 IP2라는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고, 중계무전장치는 IP3인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고, 중계무전장치가 이동하여 또 다른 액세스포인트를 통해서 유무선 통신시스템에 접속을 하게 되어 중계무전장치의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가 IP3에서 IP5로 변경된 경우를 가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중계무전장치가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가 변경된 것을 감지하고(S 800), 중계무전장치에 저장된 매니저장치 식별정보로 접속시도메시지를 전송하여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의 변경사실을 알려주고(S 802), 접속시도메시지를 수신한 매니저장치는 변경된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기저장된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갱신하고(S 803), 변경된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콘솔장치 및 중계무전장치로 전송(S 804)한다. 이를 수신한 중계무전장치는 변경된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콘솔장치로 다시 한번 전송(S 806)하여 알려준다.
따라서, 콘솔장치는 매니저장치 및 중계무전장치로부터 두 차례의 변경된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전송받게 되고, 비로소 중계무전장치와 콘솔장치 간의 연결이 재설정이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에서의 무전신호 전달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에서의 무전신호 전달은, 무전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에서 보면, 중계무전장치 내부 중계관리부를 통한 패킷기반 무전신호 전달과 송신측과 수신측간의 RF기반 무전신호 전달이 있으며, 무전신호가 전달되는 경로 상에 패킷기반 무전신호 전달 및 RF기반 무전신호 전달이 동시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콘솔장치 또는 중계무전장치가 이동한 이후,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이 콘솔장치에서 중계무전장치로 무전신호를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콘솔장치(400)와 중계무전장치(500) 간에 무전을 하기 위한 연결이 재설정이 도 7 또는 도 8에서 전술한 방법에 따라 수행되어야만 한다. 즉, 콘솔장치(400) 내 통신환경 설정 관리부(410), 중계무전장치(500) 내 통신환경 설정 관리부(510) 및 매니저장치 내 통신환경정보 송수신 관리부/통신환경정보 저 장 관리부의 연동에 의해 변경된 식별정보를 다른 장치들이 인지하게 되어야만 한다. 다음으로, 콘솔장치(400)는 매니저장치로 접속허가를 신청하고, 매니저 장치는 해당 콘솔장치(400)의 등록상태를 확인하고 등록되어있는 콘솔장치인 경우 접속을 허가하게 된다.
이렇게 허가된 콘솔장치(400)는 인지하고 있는 다수의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 중 무전신호를 전송하고자하는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중계무전장치(500) 내부에 존재하는 다수의 중계관리부에 대한 중계관리부 식별정보 중에서 하나의 중계관리부 식별정보를 선택한다. 선택된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는 해당 중계무전장치(500)의 중계무전장치 IP주소 및 중계무전장치 포트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된 중계관리부 식별정보는 중계무전장치(500) 내부에 존재하는 중계관리부 중에서 선택된 중계관리부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정보가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렇게 하여, 콘솔장치(400)가 무전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자를 선택하고 나며, 콘솔장치(400)는 선택된 해당 중계무전장치(500) 내 중계관리부(520)로 전송할 음성 신호 및 제어 신호를 포함한 아날로그신호를 입력하게 되고, 이렇게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는 콘솔장치(400) 내 아날로그 송수신 관리부(430)로 전달되어 패킷타이징 관리부(440)에 의해서 패킷데이터로 패킷타이징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아날로그신호가 패킷타이징된 패킷데이터는 콘솔장치(400) 내 패킷데이터 송수신 관리부(420)에 의해서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통해서 선택된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 및 중계관리부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중계무전장치(500) 내 중계관리부(520)에 포함된 패킷데이터 송수신 관리부(524)로 전송되게 된다.
한편, 중계무전장치(500)의 중계관리부(520) 내 패킷데이터 송수신 관리부(524)는 수신한 패킷데이터로부터 패킷데이터의 송신자인 해당 콘솔장치(400)의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중계무전장치는 자신의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 접속한 콘솔장치(400)의 콘솔장치 식별정보 및 중계무전장치(500) 내 존재하는 중계관리부 중에서 선택된 중계관리부(520)에 대한 중계관리부 식별정보를 포함한 현재 접속 상태 정보를 매니저장치로 전송하여 현재 무전 상황을 보고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중계무전장치(500)의 중계관리부(520) 내 패킷데이터 송수신 관리부(524)로 수신된 패킷데이터는 디패킷타이징 관리부(523)로 전달되어 원래의 음성 신호 및 제어 신호를 포함한 아날로그신호로 복원이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렇게 복원이 된 아날로그신호는 아날로그 송수신 관리부(521)를 통해 중계무전장치(500) 내 존재하는 무전관리부(53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콘솔장치로부터 입력된 무전신호가 중계무전장치(500) 내 무전 관리부(53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전달되며, 이렇게 무전관리부(530)로 전달된 무전신호는 RF기반 무전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무전기(900)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콘솔장치 또는 중계무전장치가 이동한 이후,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이 콘솔장치에서 중계무전장치로의 통신 연결을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도록 재설정하여 이동 전과 동일하게 무전신호를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전달하는 절차를 설명한 것이다. 즉,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은 무전상의 이동성(Mobility) 보장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이다.
또한, 도 9는 콘솔장치로부터 중계무전장치로의 무전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에 관한 것으로서, 역으로 중계무전장치로부터 입력된 무전신호가 콘솔장치로 전달되는 절차도 위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전 시스템에 적용되어, 무전신호 전달 중에 무전 시스템 내부 장치가 이동을 하게 되어도, 연속적이고 끊김 없는(Seamless) 무전신호 전달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및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내부 장치들간의 연결 설정 방법을 제공해주며, 그에 따라 무전신호의 신뢰성 있는 전달을 보장해주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무전 시스템에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이 제공하는 이동성 보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에서의 콘솔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에서의 중계무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에서의 매니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이 제공하는 콘솔장치의 이동성 보장에 따른 연결 재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이 제공하는 중계무전장치의 이동성 보장에 따른 연결 재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에서의 무전신호 전달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콘솔장치
310: 중계무전장치
320: 매니저장치
330: 유무선 통신시스템
340: 외부 무전기

Claims (34)

  1. 이동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콘솔장치;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중계무전장치; 및
    상기 콘솔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중계무전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중계무전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콘솔장치로 송신하는 매니저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장치, 상기 중계무전장치 및 상기 매니저장치는,
    유무선 통신시스템으로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장치는,
    매니저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유무선 통신시스템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된 상태 또는 콘솔 라우터를 통해 상기 유무선 통신시스템으로 연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는,
    상기 콘솔장치가 상기 유무선 통신시스템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상태인 경우에는 콘솔장치 IP주소 및 콘솔장치 포트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는,
    상기 콘솔장치가 상기 유무선 통신시스템에 상기 콘솔 라우터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인 경우에는, 콘솔라우터 IP주소 및 콘솔라우터 포트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무전장치는,
    매니저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유무선 통신시스템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된 상태 또는 중계무전장치 라우터를 통해 상기 유무선 통신시스템으로 연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는,
    상기 중계무전장치가 상기 유무선 통신시스템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상태인 경우에는 중계무전장치 IP주소 및 중계무전장치 포트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는,
    상기 중계무전장치가 상기 유무선 통신시스템에 상기 중계무전장치 라우터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인 경우에는, 중계무전장치 라우터 IP주소 및 중계무전장치 라우터 포트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장치로 상기 수신된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송신한 장치는,
    상기 매니저장치 및 상기 중계무전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무전장치로 상기 수신된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송신한 장치는,
    상기 매니저장치 및 상기 콘솔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무전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외부무전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장치는,
    입력된 제 1 아날로그신호를 제 1 패킷데이터로 패킷타이징(Packetizing)하여 상기 중계무전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무전장치는,
    상기 제 1 패킷데이터를 디패킷타이징(De-Packetizing)하여 상기 제 1 아날로그신호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무전장치는,
    입력된 제 2 아날로그신호를 제 2 패킷데이터로 패킷타이징하여 상기 콘솔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장치는,
    상기 제 2 패킷데이터를 디패킷타이징하여 상기 제 2 아날로그신호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1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장치가 상기 생성한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는,
    상기 유무선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생성되거나, 상기 콘솔장치의 자동생성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장치가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시점은,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가 최초 생성된 시점 및 상기 콘솔장치가 이동하여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가 변동된 시점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1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무전장치가 상기 생성한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는,
    상기 유무선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생성하거나, 상기 중계무전장치의 자동생성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무전장치가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시점은,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가 최초 생성된 시점 및 상기 중계무전장치가 이동하여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가 변동된 시점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20. 이동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콘솔장치; 및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콘솔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중계무전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는,
    상기 콘솔장치가 유무선 통신시스템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상태인 경우에는 콘솔장치 IP주소 및 콘솔장치 포트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콘솔장치가 상기 유무선 통신시스템에 콘솔 라우터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인 경우에는 콘솔라우터 IP주소 및 콘솔라우터 포트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는,
    상기 중계무전장치가 유무선 통신시스템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상태인 경우에는 중계무전장치 IP주소 및 중계무전장치 포트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중계무전장치가 상기 유무선 통신시스템에 중계무전장치 라우터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인 경우에는 중계무전장치 라우터 IP주소 및 중계무전장치 라우터 포트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무전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외부무전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장치가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시점은,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가 최초 생성된 시점 및 상기 콘솔장치가 이동하여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가 변동된 시점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25.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무전장치가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시점은,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가 최초 생성된 시점 및 상기 중계무전장치가 이동하여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가 변동된 시점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26. 이동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시스템에서의 콘솔장치에 있어서,
    변경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매니저장치 식별정보를 저 장하는 통신환경 설정 관리부;
    패킷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패킷데이터 송수신 관리부;
    아날로그신호를 송수신하는 아날로그신호 송수신 관리부;
    수신한 아날로그신호를 패킷타이징하는 패킷타이징(Packetizing) 관리부; 및
    수신한 패킷데이터를 디패킷타이징하는 디패킷타이징(De-Packetizing)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으로 이동형 무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콘솔장치.
  27. 이동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시스템에서의 중계무전장치에 있어서,
    변경된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매니저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통신환경 설정 관리부;
    패킷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아날로그신호를 송수신하고, 수신한 패킷데이터를 디패킷타이징하여 아날로그신호를 생성하고, 수신한 아날로그신호를 패킷타이징하여 패킷데이터를 생성하는 중계관리부; 및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를 상기 중계관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중계관리부로부터 아날로그신호를 전달받는 무전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으로 이동형 무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중계무전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관리부는,
    패킷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패킷데이터 송수신 관리부;
    아날로그신호를 송수신하는 아날로그 송수신 관리부;
    수신한 패킷데이터를 디패킷타이징하는 디패킷타이징(De-Packetizing) 관리부; 및
    수신한 아날로그신호를 패킷타이징하는 패킷타이징(Packetizing)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으로 이동형 무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중계무전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관리부는,
    상기 무전 관리부 및 또 다른 중계무전장치와 무전신호 전달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으로 이동형 무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중계무전장치.
  30. 이동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시스템에서의 매니저장치에 있어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송수신하고,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환경정보 송수신 관리부; 및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 및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갱신하는 통신환경정보 저장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기반으로 이동형 무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매니저장치.
  31. 콘솔장치가 이동한 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통신 연결 설정 방법에 있어서,
    (a) 콘솔장치가 이동을 인지하는 이동감지단계;
    (b) 상기 콘솔장치가 매니저장치로 접속시도메시지를 송신하는 변경식별정보보고단계;
    (c) 상기 매니저장치가 상기 접속시도메시지를 통해서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갱신하는 변경식별정보갱신단계; 및
    (d) 상기 매니저장치가 중계무전장치로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변경식별정보통보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장치 이동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통신 연결 설정 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의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는,
    상기 매니저장치가 상기 콘솔장치로도 상기 콘솔장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장치 이동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통신 연결 설정 방법.
  33. 중계무전장치가 이동한 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통신 연결 설정 방법에 있어서,
    (a) 중계무전장치가 이동을 인지하는 이동감지단계;
    (b) 상기 중계무전장치가 매니저장치로 접속시도메시지를 송신하는 변경식별정보보고단계;
    (c) 상기 매니저장치가 상기 접속시도메시지를 통해서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갱신하는 변경식별정보갱신단계; 및
    (d) 상기 매니저장치가 콘솔장치로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변경식별정보통보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무전장치 이동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통신 연결 설정 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의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는,
    상기 매니저장치가 상기 중계무전장치로도 상기 중계무전장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무전장치 이동환경에서 패킷 기반으로 무전을 하기 위한 통신 연결 설정 방법.
KR1020070093627A 2007-09-14 2007-09-14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콘솔장치,무전중계장치, 매니저장치 및 통신 연결 설정 방법 KR100898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627A KR100898107B1 (ko) 2007-09-14 2007-09-14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콘솔장치,무전중계장치, 매니저장치 및 통신 연결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627A KR100898107B1 (ko) 2007-09-14 2007-09-14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콘솔장치,무전중계장치, 매니저장치 및 통신 연결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205A KR20090028205A (ko) 2009-03-18
KR100898107B1 true KR100898107B1 (ko) 2009-05-15

Family

ID=4069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627A KR100898107B1 (ko) 2007-09-14 2007-09-14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콘솔장치,무전중계장치, 매니저장치 및 통신 연결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1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424B1 (ko) 2011-11-23 2013-10-22 (주)제이엠피시스템 무선 콘솔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656U (ko) * 1998-10-02 2000-05-06 이인혁 디지탈trs단말기용 중계기박스
KR20020018513A (ko) * 2000-09-02 2002-03-08 여배규 인터넷 연동 무전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656U (ko) * 1998-10-02 2000-05-06 이인혁 디지탈trs단말기용 중계기박스
KR20020018513A (ko) * 2000-09-02 2002-03-08 여배규 인터넷 연동 무전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424B1 (ko) 2011-11-23 2013-10-22 (주)제이엠피시스템 무선 콘솔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205A (ko)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0580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 모션 탐지 채널 작동
US104626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network management
JP458343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7142847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source switching method thereof, network control apparatus included therein, same and network control method
US20180331956A1 (en) Optimized Routing in Connected Environments
US8576818B2 (en) Location of mobile network nodes
CN102106175A (zh) 无线网络中用于基于位置服务的方法和装置
KR20140130952A (ko)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98107B1 (ko) 패킷 기반 이동형 무전통합시스템, 콘솔장치,무전중계장치, 매니저장치 및 통신 연결 설정 방법
EP2750305B1 (en)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US201200165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mote maintenance service for systems on a ship
JP2514287B2 (ja) 複数端末間通信装置
CN109413594A (zh) 一种生产实时信息管理方法及系统
US20160337860A1 (en)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terminal
JP2008011388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通信におけるアドレス変更方法
EP2978164B1 (en) Hybrid nurse call system
JP2022191701A (ja) 通信システム及び中継装置
KR101733113B1 (ko) Ad-Hoc 네트워크를 이용한 재난 알림 시스템 및 방법
TR201922740A2 (tr) Aci̇l durumlarda kisa mesafe si̇nyalleri̇ i̇le i̇leti̇şi̇m si̇stemi̇ ve yöntemi̇
JPH0847045A (ja) デジタル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20048508A (ko) 간이 무선망과 이동전화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그의동작방법
JP2008131286A (ja) 無線lan監視システム、無線lan監視装置、無線lan監視方法、および無線lan監視プログラム
JP2009060235A (ja) 無線通信端末及び認証用送受信装置
KR20140127976A (ko) 밀리미터파 통신을 이용한 보안 장치, 보안 시스템 및 밀리미터파 통신을 이용한 보안 방법
TH62321B (th) วีดิทัศน์ที่ฉลาด, การส่งข้อมูลแบบต่อเนื่องและการเข้าใช้ทรัพยากรที่กระจายในเครือข่ายแบบไร้สา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