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254U - 휴대용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254U
KR20000006254U KR2019980017317U KR19980017317U KR20000006254U KR 20000006254 U KR20000006254 U KR 20000006254U KR 2019980017317 U KR2019980017317 U KR 2019980017317U KR 19980017317 U KR19980017317 U KR 19980017317U KR 20000006254 U KR20000006254 U KR 200000062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lephone
recording
portable
ja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부
김광만
Original Assignee
이상태
김종부
김광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태, 김종부, 김광만 filed Critical 이상태
Priority to KR20199800173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6254U/ko
Publication of KR200000062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254U/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기록재생장치의 원격조정기에 휴대용 전화기를 연결하여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출력되는 통화요구용 벨소리(또는 멜로디)를 원격조정기에 연결된 잭을 통해 사용자가 이용중인 이어폰(또는 헤드 셋)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이어폰에 연결된 소형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휴대용 전화기로 출력하는 휴대용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장치는 휴대용 전화기와 연결되고,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송화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수화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 1 잭과, 휴대용 기록재생장치와 연결되며, 휴대용 기록재생장치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고, 기록재생장치의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 2 잭과, 제 1 잭으로부터 송화자의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고, 소형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수화자의 음성신호를 휴대용 전화기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 2 잭으로부터 저장매체의 재생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고, 소형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저장매체에 기록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원격조정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휴대용 전화기로 통화요구신호가 수신될 경우 사용자의 이어폰(또는 헤드 셋)을 통해 알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청취할 수 있어 그 수신감도 또한 탁월하다는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장치
본 고안은 휴대용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기록재생장치(이하, '기록재생장치'라 칭함)의 원격조정기에 휴대용 전화기를 연결하여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출력되는 통화요구용 벨소리(또는 멜로디)를 원격조정기에 연결된 잭을 통해 사용자가 이용중인 이어폰(또는 헤드 셋)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이어폰(또는 헤드 셋)에 연결된 소형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휴대용 전화기로 출력하는 휴대용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즘 통신망의 발달로 인한 휴대용 전화기의 보급율이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으며, 휴대용 전화기를 이용하는 연령층 또한 그 세대가 낮아지고 있다. 상술한 휴대용 전화기의 장점은 휴대용 전화기가 중계기의 중계범위 내에 있는 경우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휴대용 전화기는 중계기의 통화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벨소리를 발생시켜, 외부로 출력하기 때문에 지하철과 같이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휴대용 전화기의 벨소리가 소음으로서 공해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휴대용 전화기는 벨소리를 일반 벨소리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다양한 취양에 맞게 진동, 경음악, 클래식, 민요 등과 같은 그 장르를 다양하게 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시켜 둔 후 사용자가 선택하여 세팅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사용자들은 외부로 벨소리가 출력되지 않도록 주로 휴대용 전화기를 진동모드로 세팅하여 둔다.
그러나, 상술한 것과 같이 휴대용 전화기를 진동모드로 세팅하여 두고 이동중일 경우 손이나 몸에 밀착시켜 휴대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전화가 왔는지의 여부를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용 전화기는 외부 노출된 공간 내에서 통화하는 경우가 많으며, 통신망을 통해 무선으로 음성신호가 송수신 되므로 그 수신감도가 떨어지게 되어 통화자들은 주변 상황에 아랑곳없이 큰소리로 통화를 하기 때문에 주변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사례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기록재생장치의 원격조정기에 휴대용 전화기를 연결하여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출력되는 통화요구용 벨소리(또는 멜로디)를 원격조정기에 연결된 잭을 통해 사용자가 이용중인 이어폰(또는 헤드 셋)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이어폰에 연결된 소형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휴대용 전화기로 출력하는 휴대용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격조정기가 유선으로 휴대용 전화기 및 휴대용 기록재생장치에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격조정기가 무선으로 휴대용 전화기 및 휴대용 기록재생장치에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적용된 스피커 부분이 이어폰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 또는 도 2에 적용된 스피커 부분이 헤드 셋(Head Set)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제 1 잭 20 : 제 2 잭
30 : 원격조정기 31, 40 : 송수신부
32 : 제어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치는 휴대용 전화기와 연결되고,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 1 잭과, 기록재생장치와 연결되며, 기록재생장치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고, 기록재생장치의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 2 잭과, 제 1 잭으로부터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고, 소형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휴대용 전화기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 2 잭으로부터 저장매체의 재생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고, 소형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저장매체에 기록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원격조정기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격조정기가 유선으로 휴대용 전화기 및 기록재생장치에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화기와 연결되고,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 1 잭(10)과, 기록재생장치와 연결되며, 기록재생장치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고, 기록재생장치의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 2 잭(20)과, 제 1 잭(10)으로부터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고, 소형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휴대용 전화기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 2 잭(20)으로부터 저장매체의 재생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고, 소형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저장매체에 기록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원격조정기(30)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원격조정기(30)는 휴대용 전화기 및 기록재생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원격조정기(30)는 휴대용 전화기 또는 기록재생장치와 이어폰(헤드 셋) 사이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송수신부(31)와, 기록재생장치의 각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및 휴대용 전화기와 통화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송수신부(31)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32)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격조정기가 무선으로 휴대용 전화기 및 기록재생장치에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도 1에서 동일한 부분인 제 1 잭(10), 제 2 잭(20), 원격조정기(30)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송수신부(40)는 제 1 잭(10) 및 제 2 잭(10)에 의해 휴대용 전화기 및 기록재생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휴대용 전화기의 상대방 음성신호 및 기록재생장치의 재생신호를 출력한다.
상술한 제 2 송수신부(40)와 원격조정기(30)는 상호 무선으로 연결된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적용된 스피커 부분이 이어폰임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으로 휴대용 전화기의 상대방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이어폰의 연결라인 소정 부위에 소형 콘덴서 마이크를 구비시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휴대용 전화기로 출력하여 상대방에게 송출되도록 한다.
도 4는 도 1 또는 도 2에 적용된 스피커 부분이 헤드 셋임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셋에 마이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조정기(30)가 유선으로 휴대용 전화기 및 기록재생장치에 연결된 경우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라인이 제 1 잭(10)에 의해 기록재생장치에 구비된 원격조정기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록재생장치를 구동시켜 저장매체로부터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제 2 잭(20)을 통해 이어폰(또는 헤드 셋)으로 청취하고 있던 중 휴대용 전화기로 통화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휴대용 전화기는 벨소리를 발생시켜 제 1 잭(10)을 통해 사용자의 이어폰(또는 헤드 셋)으로 송출한다.
그러면 사용자가 이어폰(또는 헤드 셋)을 통해 송출되는 벨소리를 듣고 원격조정기(30)에 구비된 통화가능버튼을 선택하여 상대방의 음성신호가 제 1 잭(10)을 통해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이어폰(또는 헤드 셋)으로 출력되고, 이어폰(또는 헤드 셋)에 구비된 소형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제 1 잭(10)을 통해 휴대용 전화기로 출력되어 상대방에게 송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조정기(30)가 무선으로 휴대용 전화기와 기록재생장치에 연결된 경우 휴대용 전화기, 기록재생장치와 원격조정기 상호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를 이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가 휴대용 전화기를 가방에 넣어 둔 채 이어폰(또는 헤드 셋)을 이용하여 기록재생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청취하면서 이동하고 있는 도중 휴대용 전화기로 통화요구신호가 수신된 경우 외부로 벨소리(또는 멜로디)가 울리지 않고, 이어폰(또는 헤드 셋)을 통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청취할 수 있어 그 수신감도 또한 탁월해 진다는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4)

  1. 휴대용 전화기와 연결되고,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 1 잭;
    휴대용 기록재생장치와 연결되며, 휴대용 기록재생장치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고, 기록재생장치의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 2 잭; 및
    상기 제 1 잭으로부터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고, 소형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휴대용 전화기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 2 잭으로부터 저장매체의 재생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고, 소형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저장매체에 기록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원격조정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조정기는;
    휴대용 전화기 및 휴대용 기록재생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조정기는;
    휴대용 전화기 및 휴대용 기록재생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마이크는;
    이어폰 연결부위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장치.
KR2019980017317U 1998-09-11 1998-09-11 휴대용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장치 KR200000062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317U KR20000006254U (ko) 1998-09-11 1998-09-11 휴대용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317U KR20000006254U (ko) 1998-09-11 1998-09-11 휴대용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254U true KR20000006254U (ko) 2000-04-15

Family

ID=6952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317U KR20000006254U (ko) 1998-09-11 1998-09-11 휴대용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625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6115A (en) Wireless headphones for entertainment and telephonic communication
JP2002118642A (ja) 携帯電話機
KR20020013808A (ko)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
JP2954150B1 (ja) 携帯電話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通話装置
KR100469847B1 (ko) 다기능 오디오폰
JPS6091756A (ja) 無線式録音機能付電話機
JPH0591016A (ja) カセツトプレーヤ一体型携帯電話機
KR20000006254U (ko) 휴대용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장치
JP2005020435A (ja) 拡声機能付き移動電話機、拡声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H11154999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H08265893A (ja) マイクロホン感度調整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通信機
KR100640409B1 (ko) 휴대전화의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
KR200202265Y1 (ko) 음성발신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용 이어폰
JPH09247249A (ja) 携帯電話機
EP0982914A2 (en) A telephone linked with an external audio set
JP3071731B2 (ja) 携帯電話接続装置
KR200347947Y1 (ko)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
JPH066285A (ja) 携帯電話機
KR200242886Y1 (ko) 벨소리 변경을 위한 전화기 보조 유닛
KR200343145Y1 (ko) 동일한 배경음을 양쪽에서 들을수 있게 한 전화
KR20010090057A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0820552B1 (ko) 무선 단말기의 벨소리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40076910A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
JP3030997B2 (ja) 複合機能付電話装置
KR200228319Y1 (ko) 녹음장치가 내장된 다목적 전화 송수화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