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644A - 흡수식히이트펌프장치및그운전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식히이트펌프장치및그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644A
KR20000005644A KR1019990016247A KR19990016247A KR20000005644A KR 20000005644 A KR20000005644 A KR 20000005644A KR 1019990016247 A KR1019990016247 A KR 1019990016247A KR 19990016247 A KR19990016247 A KR 19990016247A KR 20000005644 A KR20000005644 A KR 20000005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liquid
rectifier
heat
ab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다히로유키
아베다다오
구보도시오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184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18760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18440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18756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1843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1875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18440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1876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18438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18763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1843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18755A/ja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00005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64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4Heat pumps of the sorp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8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sorption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효율의 개선을 한층 높인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 및 그 운전방법에 관한다.
증발기(4)에는 바닥에 저류한 냉매액(A)의 액면을 검출하기 위한 액면센서(46)을 설치하고, 중발기(4)의 바닥판에는 펌프(47)을 구비한 냉매액 되돌림파이프(48)을 접속한다.
냉매액 되돌림파이프(48)의 다른 끝은, 응축기(3)의 저부로부터 정류기(2)의 상부에 내장한 냉매액 산포수단(49)에 이르는 냉매액 되돌림파이프(50)의 개폐밸브(51)의 하류측에 접속한다.
냉매액 되돌림파이프(48)의 도중에 열교환기(52)를 설치하며, 냉매액 되돌림파이프(48)내를 흐르는 냉매액(A)와, 버너(7)에 의하여 생성되고, 배출가스관(53)이 안내하는 연소배기가스(G)가 열 교환하도록 구성한다.
펌프(47)은, 증발기(4)에 저류한 냉매액(A)의 액면이 소정의 수준을 초과한 사실이 액면센서(46)에 의하여 검출되었을때 기동하고, 소정시간후에 정지하거나, 액면센서(46)이 소정의 낮은 수준 이하를 검출하였을 때에 정지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냉매로는 TFE(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를 사용하며, 흡수액으로는 NMP(N-메틸-2-피롤리돈)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 및 그 운전방법 {ABSORBING TYPE HEAT PUMP APPARATUS AND THE MOTHOD OF DRIVING}
본 발명은 냉난방기나 급탕기 등에 사용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 및 그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같은 종류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로서,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구조의 것이 제안되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부호(1X)로 나타내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는, 열 교환용의 냉매(A)를 포함하는 흡수액(C)를 가열하고 이 흡수액(C)로부터 냉매(A)를 기화시켜 냉매(A)와 흡수액(B)로 분리하는 정류기(2)와, 이 정류기(2)로부터 공급된 냉매증기(A)를 응축시켜 액화하는 응축기(3)과, 이 응축기(3)으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액(A)가 내부로 공급됨과 동시에, 외면에 강제로 접촉되게 하는 적당한 열 매체, 예를들면, 외부공기(D)로부터 증발잠열을 빼앗아 냉매액(A)를 기화시키는 증발기(4)와, 이 증발기(4)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A)와 정류기(2)로부터 공급되는 흡수액(B)를 반응 시키므로서 흡수액(B)에 냉매(A)를 흡수시켜 냉매(A)를 포함하는 흡수액(C)를 생성함과 동시에, 이 흡수액(C)를 정류기(2)로 순환시키는 흡수기(5)를 구비하는 개략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정류기(2)는, 세워 설치된 통형태의 정류탑(6)과, 이 정류탑(6)의 아래쪽에 연이어 설치되며 냉매(A)를 포함하는 흡수액(C)를 가열하기 위한 버너(7)을 구비하여 가열부로서 기능하는 재생기(8)과, 정류탑(6)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이정류탑(6)내에 냉매액(A)를 산포하는 냉매액 산포수단(9A)와, 정류탑(6)의 대략 중간부에 설치되며 이 정류탑(6)내에 흡수액(C)를 산포하는 흡수액 산포수단(9B)와, 냉매액 산포수단(9A)와 재생기(8) 사이에 끼워 장착된 금속제 부직포 등으로 되는 충전재(1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응축기(3)에는 응축한 냉매(A)가 저류되는 냉매액탱크(11)과 냉매액 산포수단(9A)가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4)는, 세워 설치된 복수의 전열관(12)와, 이들 전열관(12)의 상단을 상호 연이어 통하는 상태로 접속시키는 상부헤더(header)(13)과, 각 전열관(12)의 하단을 상호 연이어 통하는 상태로 접속시키는 하부헤더(14)와, 전열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또한 이들 전열관(12)가 관통상태로 고정된 다수의 열 전달 핀(fin)(15)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다시 각 전열관(12)의 상단부에 냉매액 공급관(16)을 통해서 냉매액 탱크(11)이 연이어 통하고, 동시에 상부헤더(13)이 연통관(17)을 통해서 흡수기(5)의 상부에 연이어 통하고, 다시 하부헤더(14)가 연통관(18)을 통해서 흡수기(5)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흡수액 탱크(19)로 연이어 통하고 있다.
한편, 흡수기(5)는, 증발기(4)의 상부헤더(13)에 연이어 설치되어 있는 연통관(17)이 접속된 흡수액 적하수단(滴下手段)(20)과, 이 흡수액 적하수단(20)의 하방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냉매증기(A)와의 반응에 의해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B), 즉 흡수액(C)를 저류하는 흡수액 탱크(19)와, 흡수액 적하수단(20)과 흡수액 탱크(19)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복수의 전열관(21)과, 이들 전열관(21)을 에워싸고 설치됨과 동시에, 흡수액 적하수단(20)과 흡수액 탱크(19) 사이에 냉각수유로(22)를 형성하는 외장체(23)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 압력을 저하시키므로서 증발기(4)의 전열관(12)에서 기화한 냉매(A)를 흡인하도록 되어 있다.
또, 흡수액 적하수단(20)은, 그 상부에, 재생기(8)에서 농축한 흡수액(B)를 공급하는 흡수액 공급관(24)가 접속되며, 또, 내부에는, 이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2분할하도록 배설된 분산판(25)가 장착되며, 이 분산판(25)보다 하방에는, 전열관(21)이 관통하여 고정됨과 동시에, 흡수액 적하수단(20)과 냉각수 유로(22)를 분리하는 격리벽(26)이 설치되고, 이 격리벽(26)과 분산판(25)의 사이에 연통관(17)이 접속되어 있어 이 연통관(17)에 의해 증발기(4)에서 기화한 냉매(A)가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흡수액탱크(19)는, 흡수액 되돌림파이프(27)을 통해서 정류기(2)의 흡수액 산포수단(9B)로 연이어 통하고 있으며, 이 흡수액 되돌림파이프(27)의 도중에는 흡수액탱크(19)에 저류되어 있는 흡수액(C)를 흡수액 산포수단(9B)로 송출시키기 위한 흡수액 순환펌프(28)이 설치되어 있다.
흡수기(5)의 외장체(23)의 상단부와 응축기(3)의 사이에는 냉각수관(29)가 설치되어 양자가 연통되도록 하고 있음과 동시에, 응축기(3)과 흡수기(5)의 외장체(23)의 하단부 사이에는 냉각수관(30)이 설치되어 이들이 연통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들 외장체(23), 냉각수관(29), 응축기(3), 및 냉각수관(30)에 의해 냉각수 순환용 폐쇄회로가 형성되고, 냉각수관(30)의 도중에는 난방용 실내기(31)과 냉각수(E)를 순환하게 하는 냉각수 순환펌프(32)가 설치되어 있다.
또, 부호 33은, 흡수액 공급관(24)와 흡수액 되돌림파이프(27)의 각각을 흐르는 흡수액끼리 열교환을 시키기 위한 열교환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부호 34는, 증발기(4)에 대하여 외부공기(D)를 공급하는 송풍팬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부호 35는, 흡수기(5)로 공급되는 냉각수(E)와 흡수액 적하수단(20)에 공급되는 흡수액(B)와의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X)에서는, 응축기(3)에서 액화한 냉매액의 일부는 냉매액 산포수단(9A)로부터 정류탑(6)의 상부에 되돌려지고, 거의 대다수는 냉매액탱크(11)로 들어가서 체류한다.
그리고, 정류탑(6)으로 냉매액 산포수단(9A)로부터 산포되어 되돌려진 냉매액(A)는, 여기서 재기화하여, 응축기(3)으로 들어가는 증기에 포함되는 냉매증기(A)의 비율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한편, 냉매액탱크(11)에 체류한 냉매액(A)는, 냉매액공급관(16)을 통해서 각 전열관(12)로 공급되어 각각의 내부 벽면을 따라서 흘러내리고, 이때 전열 핀(fin)(15) 및 전열관(12)의 표면에 송풍팬(34)가 공급하는 외부공기(D)가 접촉하고 있으므로, 이 외부공기(D)와 전열관(12)의 내벽면을 흘러내리는 냉매액(A)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하여져 냉매액(A)가 외부공기(D)로부터 기화잠열을 빼앗아 기화함과 동시에, 이와같이 하여 생성된 냉매증기(A)가 각 전열관(12)내를 상하로 이동하여, 전열관(12)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헤더(13)에 의해 모아져서 흡수기(5)로 유입한다.
흡수기(5)로 유입한 냉매증기(A)는, 재생기(8)에서 공급되는 흡수액(B)와 접촉하여 흡수액(B)에 흡수되며, 냉매(A)를 흡수한 흡수액(C)가 전열관(21)을 거쳐서 하방의 흡수액 탱크(19)로 회수되고, 다시, 이 흡수액(C)가 흡수액 순환펌프(28)에 의해 정류기(2)로 송출되어 흡수액 산포수단(9B)로부터 정류탑(6)내에 산포된다.
정류탑(6)으로 송출된 흡수액(C)는 충전재(10) 사이를 통과하여 흘러내리는 사이에, 버너(7)이 생성하는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어 흡수하고 있는 냉매(A)를 기화 분리하며, 흡수액(B)가 재생기(8)에 체류한다.
그리고, 정류기(2)에서 분리 생성된 냉매증기(A)는, 응축기(3)을 통과할때에 냉각수(E)와 열 교환을 하여 이에 방열하고, 또, 흡수기(5)를 통과할 때에는 냉매(A)가 증발하게 되어 외부공기(D)에서 흡수한 열이 냉각수(E)로 옮겨진다.
즉, 냉각수(E)는 흡수기(5), 및 응축기(3)으로 순환하는 사이에 서서히 가열되며, 그 후 실내기(31)로 보내져서 난방에 제공된다.
이와같은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X)에 있어서는, 외부공기(D)의 열 에너지를 흡수하여 냉각수(E)의 가열을 보조하게 되므로, 버너(7)의 발열량에 대한 실내기(31)로부터의 방열량을 1.3배 이상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에 있어서는, 고압가스 규제법의 규제를 받지 않도록, 예를들면, 50∼60℃ 정도의 응축온도, -20∼-10℃ 정도의 증발온도에서 작동이 가능한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이하, TFE라고 함) 등을 냉매로 사용하며, 흡수액에 N-메틸-2-피롤리돈(이하, NMP 라고 함) 등을 사용하였을 때에, 재생기에 있어서의 가열이 과잉하게 되면, 정류기에서 기화하는 냉매에 흡수액의 증기가 혼입되어 응축기로 들어가 냉매의 순환에 지장을 초래하게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응축기에서 냉매증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냉매를 액화시키고, 자신의 온도를 높인 냉각수의 온도는 50∼70℃가 상한으로서 급탕이나 바닥난방으로서는 사용하기가 어려워, 급탕이나 바닥난방에도 사용할수 있도록 그 온도를 높일 필요가 있었다.
또, 정류기에 들어가 있는 흡수액의 양이 적을 경우에 쉽게 과열상태로 되어 유기계의 냉매나 흡수액이 분해하거나, 정류기 자체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종래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에 있어서는, 증발기(4)의 바닥과 흡수기(5)의 흡수액 탱크(19) 사이를 연통관(18)에 의해 연이어 통하게 하여 전열관(12)를 흘러내리는 사이에 다 증발하지 못한 냉매액을 드레인으로서 흡수액 탱크(19)로 흘려 넣고, 흡수액과 혼합시키므로서 흡수액에 흡수시키며, 그 후 정류기(2)로 송출하고 가열하여 냉매와 흡수액으로 분리시키고 있다.
즉, 종래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에 있어서는, 증발기의 바닥에 체류한 냉매액(증발온도가 낮은 냉매가 우선적으로 기화하기 때문에, 실제에 있어서는 흡수액을 수% 포함하는 것을 관례상 냉매액이라고 부른다)을 흡수액과 혼합시켜 흡수액에 흡수시킨 다음, 가열하여 냉매와 흡수액으로 분리시키고 있었기 때문에, 정류기내의 온도상승이 늦고, 정상운전에 이르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열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개선요구에 대응하는데 장해로 되어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종래의 기술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1X.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 2. 정류기
3. 응축기 4. 증발기
5. 흡수기 6. 정류탑
7. 버너 8. 재생기
9A. 냉매액 산포수단 9B. 흡수액 산포수단
11. 냉매액 탱크 12. 전열관
19. 흡수액 탱크 20. 흡수액 적하수단
24. 흡수액 공급관 27. 흡수액 되돌림파이프
33. 열교환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제 1의 발명은, 흡수액을 가열하여 흡수액에 포함되는 냉매를 기화시켜 분리하는 가열부를 구비한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를 제 1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액을 제 2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와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흡수액을 반응시켜 흡수액에 냉매를 흡수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기를 구비한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에 있어서, 흡수액을 흡수기로부터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액 되돌림파이프에 유량조정밸브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유량조정밸브의 양측의 흡수액 되돌림파이프로부터 정류기 상부에 내장한 전열관에 이르는 흡수액 분기관을 연장 설치하고, 또한, 제 1의 열 매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밸브를 설치하며, 냉매로서 알코올계 유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제 2의 발명은, 제 1의 발명에 있어서, 정류기로부터 흡수기에 공급되는 흡수액의 온도가 소정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흡수액 되돌림파이프에 설치한 유량조정밸브의 개방도를 제어하며, 전열관이 내장된 정류기 상부의 온도 또는 압력, 혹은 응축기 내부의 온도 또는 압력이 소정치를 유지하도록 제 1의 열 매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밸브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의 운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제 3의 발명은, 흡수액을 가열하여 흡수액에 포함되는 냉매를 기화시켜 분리하는 가열부를 구비한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를 제 1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액을 하강시키면서 제 2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와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흡수액을 반응시켜 흡수액에 냉매를 흡수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기를 구비한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에 있어서, 증발기의 하부로부터 정류기의 상부에 이르는 냉매액 되돌림파이프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냉매액 되돌림파이프에 펌프를 설치하고, 냉매로서 알코올계 유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제 4의 발명은, 제 3의 발명에 있어서, 냉매액 되돌림파이프의 도중에, 냉매액 되돌림파이프를 흐르는 냉매액보다 온도가 높은 적당한 유체와의 열교환을 행하기 위한 열교환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제 5의 발명은, 제 3 또는 제 4의 발명에 있어서, 냉매액 되돌림파이프에 설치한 펌프를 증발기의 저부에 체류한 냉매액의 양에 기초하여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의 운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제 6의 발명은, 흡수액을 가열하여 흡수액에 포함되는 냉매를 기화시켜 분리하는 가열부를 구비한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를 제 1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액을 하강시키면서 제 2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와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흡수액을 반응시켜 흡수액에 냉매를 흡수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기를 구비한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에 있어서, 증발기에 내장한 제 2의 열 매체가 내부측을 흐르는 전열관의 위에 증발기의 바닥에 체류한 냉매액이 산포 가능하게 냉매액 순환펌프를 구비한 냉매액관을 설치하며, 냉매로서 알코올계 유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제 7의 발명은, 제 6의 발명에 있어서, 응축기에 연이어 통한 제 1의 냉매액 산포수단을 증발기의 내부측 상부에 설치하며, 냉매액 순환펌프를 구비한 냉매액관에 연이어 통한 제 2의 냉매액 산포수단을 증발기의 중단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제 8의 발명은, 제 6 또는 제 7의 발명에 있어서, 냉매액 순환펌프를 증발기의 저부에 체류한 냉매액의 양에 기초하여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의 운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제 9의 발명은, 흡수액을 가열하여 흡수액에 포함되는 냉매를 기화시켜 분리하는 가열부를 구비한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를 제 1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액을 제 2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와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흡수액을 반응시켜 흡수액에 냉매를 흡수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기를 구비한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에 있어서, 응축기에서 액화한 알코올계 유체로 구성되는 냉매를 증발기에 공급하는 냉매액공급관에 제 1의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응축기로부터 정류기의 상부에 이르는 제 2의 개폐밸브를 구비한 냉매액 되돌림파이프를 설치하며, 제 1의 개폐밸브를 닫힘 밸브로 또한 제 2의 개폐밸브를 열림 밸브로한 상태로 정류기에 있어서의 가열을 개시하고, 그 후, 제 1의 개폐밸브를 열림 밸브로 또한 제 2의 개폐밸브를 닫힘 밸브로 하여 통상운전으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의 운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10의 발명은, 흡수액을 가열하여 흡수액에 포함되는 냉매를 기화시켜 분리하는 가열부를 구비한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를 제 1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액을 제 2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와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흡수액을 반응시켜 흡수액에 냉매를 흡수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기를 구비한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에 있어서, 응축기에서 액화한 알코올계 유체로 구성되는 냉매를 증발기에 공급하는 냉매액공급관에 제 1의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응축기로부터 정류기의 상부에 이르는 제 2의 개폐밸브를 구비한 냉매액 되돌림파이프를 설치하며, 흡수기에 냉각수를 안내하는 냉각수관에 제 3의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제 1 및 제 3의 개폐밸브를 닫힘 밸브로 또한 제 2의 개폐밸브를 열림 밸브로한 상태로 정류기에 있어서의 가열을 개시하고, 그 후, 제 1 및 제 3의 개폐밸브를 열림 밸브로 또한 제 2의 개폐밸브를 닫힘 밸브로 하여 통상운전으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의 운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제 11의 발명은, 제 9 또는 제 10의 발명에 있어서, 정류기 또는 응축기에 있어서의 온도 또는 압력이 소정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개폐밸브의 열림과 닫힘을 역으로 조작하여 통상운전으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의 운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제 12의 발명은, 흡수액을 가열하여 흡수액에 포함되는 냉매를 기화시켜 분리하는 가열부를 구비한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를 제 1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액을 제 2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와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흡수액을 반응시켜 흡수액에 냉매를 흡수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기를 구비한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에 있어서, 응축기에서 냉매증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냉매를 액화시킨 제 1의 열매체가 흐르는 관로에, 제 1의 열매체보다 고온의 제 3의 열매체와 열교환 하기 위한 열교환기를 설치하며, 냉매로서 알코올계 유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제 13의 발명은, 제 12의 발명에 있어서, 제 1의 열매체와 제 3의 열매체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가, 정류기의 가열부에 설치되어 흡수액을 제 3의 열매체로한 열교환기, 또는 정류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정류기의 가열부로부터 배출되는 연소배기가스를 제 3의 열매체로한 열교환기의 어느것인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제 14의 발명은, 흡수액을 가열하여 흡수액에 포함되는 냉매를 기화시켜 분리하는 가열부를 구비한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를 제 1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액을 제 2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와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흡수액을 반응시켜 흡수액에 냉매를 흡수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기를 구비한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를 기동함에 있어서, 알코올계 유체로 구성되는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흡수기로부터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액 되돌림파이프에 설치한 흡수액 순환펌프가 기동하고, 흡수기에 있어서의 흡수액을 소정량 이하로 한 후, 정류기에 설치한 가열수단을 기동하여 흡수액의 가열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의 운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제 15의 발명은, 흡수액을 가열하여 흡수액에 포함되는 냉매를 기화시켜 분리하는 가열부를 구비한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를 제 1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액을 제 2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와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흡수액을 반응시켜 흡수액에 냉매를 흡수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기를 구비한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를 정지함에 있어서, 알코올계 유체로 구성되는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흡수기로부터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액 되돌림파이프에 설치되어 소정량을 초과하는 흡수액이 흡수기에 있을 때에 운전하는 흡수액 순환펌프의 운전을, 정류기의 내부가 소정의 온도 또는 압력으로 내려갈 때까지 계속하며, 그 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의 운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제 16의 발명은, 제 14 또는 제 15의 발명에 있어서, 흡수액 순환펌프와 함께 흡수액 되돌림파이프에 설치한 개폐밸브를, 흡수액 순환펌프의 운전시에 열림 밸브로 하고, 운전 정지시에 닫힘 밸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의 운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 1실시예)
이하, 도 1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은, 브롬화리튬 수용액을 흡수액으로 하였을 때에 냉매로 사용되는 물보다 비등점이 훨씬 낮은 유체, 예를들면, 비등점이 74.5℃의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TFE) 등을 냉매로 사용하고, 흡수액으로는 비등점이 예를들면 204℃의 N-메틸-2-피롤리돈(NMP) 등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은, 증발기(4)가 다수의 전열관(12)를 내장한 형의 것이고, 이들 전열관(12)의 내부에 냉수탱크(41)에 저류된 물(F)가 냉수관(42)를 통해서 순환 공급되며, 전열관(12)의 외부에 응축기(3)에서 응축되어 냉매액탱크(11)에 저류되어 있던 냉매액(A)가 공급되어 이 냉매액(A)가 전열관(12)내를 흐르는 물(F)로부터 열을 빼앗아 기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호 43과 44는, 각각 냉수관(42)에 설치한 냉수순환펌프와 개폐밸브이다.
또, 흡수액 되돌림파이프(27)의 흡수액 순환펌프(28)과 열교환기(33) 사이에유량조정밸브(45)가 설치되고, 정류탑(6)의 상부에 다수의 전열관(46)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들 전열관(46)에 이르는 흡수액 분기관(47)이 유량조정밸브(45)의 양측의 흡수액 되돌림파이프(27)에서 연장 설치되어, 흡수기(5)로부터 정류기(2)로 되돌려지는 흡수액(C)의 일부가 전열관(46)에 공급되는 것에 의해 정류기(2)의 상부를 냉각시키고 자신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정류기(2)로 되돌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응축기(3)의 내부에 설치되어 정류기(2)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A)를 냉각시켜 응축시키는 전열관(48)은, 정류탑(6)의 직상방에 위치하는 전열관(48A)와 정류탑(6)의 (도면상으로)좌측상방에 위치하는 전열관(48B)의 그룹으로 분할되어, 전열관(48B)를 통과해온 냉각수(E)의 일부가 전열관(48A)를 경유하지 않고 냉각수관(30)에 개재하는 냉각수탱크(49)에 도달할 수 있도록, 유량조정밸브(50)을 구비한 바이패스회로(51)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흡수액 공급관(24)의 열교환기(33) 하류측을 흡수기(5)로 향해서 흐르는 흡수액(B)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52)와, 전열관(46)이 내장되어 있는 부분의 분위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5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수액 되돌림파이프(27)에 설치된 유량조정밸브(45)의 개방도는 온도센서(52)가 검출하는 흡수액(B)의 온도가 소정치, 예를들면, 60℃를 초과하지 ??도록 억제되며, 바이패스회로(51)에 설치된 유량조정밸브(50)의 개방도는 온도센서(53)이 검출하는 분위기온도가 소정치, 예를들면, 50℃를 유지하도록 억제된다.
따라서, 흡수기(5)로부터 흡수액 되돌림파이프(27)을 통해서 정류기(2)로 되돌려지는 흡수액(C)는, 그 일부가 정류기(2)의 상부의 전열관(46)에서 가열되어 되돌려지게 되므로 버너(7)에 의한 가열량이 절약되어 열 효율이 개선된다.
그리고, 정류기(2)의 상부는 전열관(46)에 흐르는 흡수액(C) 등에 의해 냉각되어 이 부분의 온도는 냉매의 비등점 74.5℃, 흡수액의 비등점 204℃ 보다 상당히 낮은 50℃로 억제되고 있기 때문에, 흡수액의 증기는 물론 냉매의 증기도 응축하여 하방으로 환류하기 쉽고, 이 부분을 상승하여 정류기(2)로부터 응축기(3)으로 공급되는 증기중의 냉매비율은 99% 이상이 확보되어 냉매순환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더욱이, 정류기(2)의 재생기(8)로부터 흡수기(5)로 공급되는 흡수액(B)의 온도는, 유량조정밸브(45)의 개방도 제어에 의해 소정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온도가 과잉상승하여 흡수기(5)에서 흡수액(B)가 냉매증기(A)를 흡수할때의 흡수속도가 저하한다는 지장도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냉각수탱크(49)의 부분에 도 7에 나타낸 실내기(31)을 설치하면, 흡수기(5)와 응축기(3)의 내부를 냉각시키고 자신의 온도를 높인 냉각수(E)가 냉각수관(29),(30)을 통해서 실내기(31)로 순환 공급되기 때문에 실내기(31)에 있어서 난방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냉수탱크(41)의 부분에 도 7에 나타낸 실내기(31)을 설치하면, 증발기(4)의 내부에서 냉매액(A)를 기화시켜서 방열하여 자신의 온도를 낮춘 물(F)가 냉수관(42)를 통해서 실내기(31)로 순환 공급되기 때문에, 실내기(31)에 있어서 냉방작용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취지에서 일탈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수가 있다.
예를들면, 유량조정밸브(50)의 개방도는, 온도센서(53)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압력을 검출하고, 그 압력에 기초하여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응축기(3)의 내부의 온도 또는 압력을 검출하여, 그 검출데이터에 기초하여 유량조정밸브(50)의 개방도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 2실시예)
이하, 도 2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은,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브롬화리튬 수용액을 흡수액으로 하였을 때에 냉매로 사용되는 물보다 비등점이 훨씬 낮은 유체, 예를들면, 비등점이 74.5℃의 TFE 등을 냉매로 사용하고, 흡수액으로는 비등점이 예를들면 204℃의 NMP 등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에 있어서는, 냉각수관(30)에는 냉각수탱크(4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은, 증발기(4)가 다수의 전열관(12)를 내장한 형의 것이고, 이들 전열관(12)의 내부에 냉수탱크(42)에 저류된 물(F)가 냉수관(43)을 통해서 순환 공급되며, 전열관(12)의 외부 상방에 응축기(3)에서 응축되어 냉매액탱크(11)에 저류되어 있던 냉매액(A)가 공급되고,이 냉매액(A)가 전열관(12)의 외면을 따라 흘러 떨어질 때에 관내를 흐르는 물(F)로부터 열을 빼앗아 기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호 44와 45는, 각각 냉수관(43)에 설치한 냉수순환펌프와 개폐밸브이다.
또, 증발기(4)에는 바닥에 저류된 냉매액(A)의 액면을 검출하기 위한 액면센서(46)이 설치되고, 증발기(4)의 바닥판에는 펌프(47)을 구비한 냉매액 되돌림파이프(48)이 접속되어 있다.
이 냉매액 되돌림파이프(48)의 다른 끝은, 응축기(3)의 저부로부터 정류기(2)의 상부에 내장된 냉매액 산포수단(49)에 이르는 냉매액 되돌림파이프(50)의 개폐밸브(51)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있다.
부호 52는, 냉매액 되돌림파이프(48)의 도중에 설치된 열교환기로서, 냉매액 되돌림파이프(48)내를 흐르는 냉매액(A)와 버너(7)에 의해서 생성되어 배출가스관(53)에 의해 안내된 연소배기가스(G)가 열교환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냉매액 되돌림파이프(48)에 설치된 펌프(47)은, 증발기(4)에 체류된 냉매액(A)의 액면이 소정의 수준을 초과한 사실이 액면센서(46)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에 기동하고 소정시간 후에 정지하거나, 액면센서(46)이 소정의 낮은수준 이하를 검출하였을 때에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증발기(4)의 바닥에 저류된 수%의 흡수액을 포함하는 냉매액(A)가 정류기(2)의 상부에 직접 되돌려지고, 버너(7)에 의한 가열에 의해 기화되기 때문에, 흡수기(5)에 드레인으로서 흘러들어가서 흡수액(B)와 혼합되어 있던 종래의 장치에 비해 냉매증기(A)의 생성비율이 용이하게 상승하고, 또한, 열 효율이 높아지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냉매액 되돌림파이프(48)을 통해서 증발기(4)로부터 정류기(2)로 되돌려지는 냉매액(A)는, 열교환기(52)에 있어서 버너(7)로부터 나오는 고온의 연소배기가스와 열 교환하여 온도를 높인 다음에 정류기(2)로 유입되게 되므로, 열 효율이 한층 개선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냉각수탱크(41)의 부분에 도 7에 나타낸 실내기(31)을 설치하면, 흡수기(5)와 응축기(3)의 내부를 냉각시키고 자신의 온도를 높인 냉각수(E)가 냉각수관(29),(30)을 통해서 실내기(31)로 순환 공급되기 때문에 실내기(31)에 있어서 난방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냉수탱크(42)의 부분에 도 7에 나타낸 실내기(31)을 설치하면, 증발기(4)의 내부에서 냉매액(A)를 기화시켜 방열하고 자신의 온도를 낮춘 물(F)가 냉수관(43)를 통해서 실내기(31)로 순환 공급되기 때문에 실내기(31)에 있어서 냉방작용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취지에서 일탈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수가 있다.
예를들면, 냉매액 되돌림파이프(48)에 설치한 펌프(47)은 액면센서(46)이 검출하는 냉매액(A)의 액면수준에 기초하여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냉매액 되돌림파이프(48)을 경유하여 정류기(2)로 되돌려지는 냉매액(A)를 가열하기 위하여 열교환기(52)로 공급하는 열원유체는, 버너(7)에서 나오는 배출가스 이외의 것, 예를들면, 드레인 냉매보다 높은 온도의 다른 열 매체, 예를들면 외부공기, 다른 배기열, 지하수 등이라도 좋다.
(제 3실시예)
이하, 도 3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은,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브롬화리튬 수용액을 흡수액으로 하였을 때에 냉매로 사용되는 물보다 비등점이 훨씬 낮은 유체, 예를들면, 비등점이 74.5℃의 TFE 등을 냉매로 사용하고, 흡수액으로는 비등점이 예를들면 204℃의 NMP 등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에 있어서는, 냉각수관(30)에는 냉각수탱크(4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은, 증발기(4)가 다수의 전열관(12)를 내장한 형의 것이며, 이들 전열관(12)의 내부에 냉수탱크(42)에 저류된 물(F)가, 도중에 냉수순환펌프(43)과 개폐밸브(44)를 구비한 냉수관(45)를 통해서 순환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증발기(4)의 내부측 상부에는 제 1의 냉매액 산포수단(46)이 설치되고, 중단부에는 제 2의 냉매액 산포수단(47)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 1의 냉매액 산포수단(46)에는 응축기(3)에서 응축하여 냉매액탱크(11)에 체류한 냉매액(A)가 공급될 수 있도록 냉매액공급관(16)이 접속되며, 제 2의 냉매액 산포수단(47)에는 증발기(4)의 바닥에 체류한 냉매액(A)가 공급될 수 있도록 도중에 냉매액 순환펌프(48)을 구비한 냉매액관(49)가 증발기(4)의 바닥에서부터 연장설치되어 접속되며, 냉매액(A)가 전열관(12)의 외면을 타고 흘러떨어질 때에 관내를 흐르는 물(F)로부터 열을 빼앗아 기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증발기(4)에는 바닥에 체류한 냉매액(A)의 액면을 검출하기 위한 액면센서(50)이 설치되며, 증발기(4)의 저부와 흡수기(5)의 흡수액탱크(19)를 연이어 통하게 하고 있는 연통관(18)에는 개폐밸브(51)이 설치되어 있다.
냉매액관(49)에 설치된 냉매액 순환펌프(48)은, 증발기(4)에 체류된 냉매액(A)의 액면이 소정의 수준을 초과한 사실이 액면센서(50)에 의해서 검출 되었을 때에 기동하여, 소정시간 후에 정지하거나, 액면센서(50)이 소정의 낮은 수준 이하를 검출하였을 때에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증발기(4)의 바닥에 다소의 흡수액을 포함하는 냉매액(A)가 체류하게 되면, 그 냉매액(A)는 냉매액 순환펌프(48)이 기동하여 제 2의 냉매액 산포수단(47)로부터 중단부에 위치하는 전열관(12)의 위에 산포되고, 전열관 (12)내를 흐르는 물(F)로부터 열을 빼앗아 증발하므로, 흡수기(5)로 드레인으로서 흘러들어가서 흡수액(B)와 혼합되고 정류기(2)로 보내져서 냉매(A)와 흡수액(B)로 가열 분리하고 있던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열효율이 높아지게 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더욱이, 다소의 흡수액을 포함하여 증발기(4)의 바닥에 체류한 냉매액(A)는 냉매탱크(11)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액(A) 보다 낮은 위치에서 산포되므로, 냉매탱크(11)의 냉매비율이 높은 냉매액(A)의 기화를 방해하는 일이 없고, 증발기(4)에 체류한 냉매액(A)에 포함되는 흡수액의 비율이 소정치, 예를들면, 1∼10%보다 높아졌을 때에는 개폐밸브(51)을 열어서 증발기(4)에 체류한 흡수액의비율이 높은 냉매액(A)를 연통관(18)을 통해서 흡수기(5)의 흡수액탱크(19)에 드레인으로서 흘려 넣을 수가 있으므로,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증발기(4)에 있어서의 냉매액(A)의 기화는 방해되는 일이 없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냉각수탱크(41)의 부분에 도 7에 나타낸 실내기(31)을 설치하면, 흡수기(5)와 응축기(3)의 내부를 냉각시키고 자신의 온도를 높인 냉각수(E)가 냉각수관(29),(30)을 통해서 실내기(31)로 순환 공급되기 때문에, 실내기(31)에 있어서 난방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냉수탱크(42)의 부분에 도 7에 나타낸 실내기(31)을 설치하면, 증발기(4)의 내부에서 냉매액(A)를 기화시켜서 방열하고, 자신의 온도를 낮춘 물(F)가 냉수관(45)를 통해서 실내기(31)로 순환 공급되기 때문에, 실내기(31)에 있어서 냉방작용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취지에서 일탈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수가 있다.
예를들면, 냉매액관(49)에 설치한 냉매액 순환펌프(48)은, 액면센서(50)이 검출하는 냉매액(A)의 액면 수준에 기초하여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증류기(4)의 바닥에 체류한 냉매액(A)를, 제 1의 냉매액 산포수단(46)으로부터 산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서는 냉매액공급관(16)을 통해서 냉매액탱크(11)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액(A)의 기화를 다소 방해하게 되지만, 증발기(4)의 바닥에 체류한 냉매액(A)를 흡수기(5)의 흡수액탱크(19)로 드레인으로서 흘려넣고 있던 종래의 장치보다는 열 효율에 있어서 우수한 것이 되며, 증발기(4)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는 장점도 있다.
(제 4실시예)
이하, 도 4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은,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브롬화리튬 수용액을 흡수액으로 하였을 때에 냉매로 사용되는 물보다 비등점이 훨씬 낮은 유체, 예를들면, 비등점이 74.5℃의 TFE 등을 냉매로 사용하고, 흡수액으로는 비등점이 예를들면 204℃의 NMP 등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에 있어서는, 냉각수관(30)에는 냉각수탱크(4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은, 증발기(4)가 다수의 전열관(12)를 내장한 형의 것이며, 이들 전열관(12)의 내부에 냉수탱크(42)에 저류된 물(F)가, 도중에 냉수순환펌프(43)과 개폐밸브(44)를 구비한 냉수관(45)를 통해서 순환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증발기(4)의 내부측 상부에는 냉매액 산포수단(46)이 설치되며, 이 냉매액 산포수단(46)에는 응축기(3)에서 응축하여 냉매액탱크(11)에 체류한 냉매액(A)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류부에 개폐밸브(47)을 구비한 냉매액공급관(16)이 접속되며, 냉매액 산포수단(46)으로부터 산포된 냉매액(A)가 전열관(12)의 외면을 타고 흘러 떨어질 때에 관내를 흐르는 물(F)로부터 열을 빼앗아 기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응축기(3)의 바닥과 냉매액 산포수단(9A)를 연결하는 냉매액 되돌림파이프(48)에는 개폐밸브(49)가 설치되고, 냉각수관(30)의 흡수기(5)측에는 개폐밸브(50)이 설치되며, 이 개폐밸브(50)의 상류측의 냉각수관(30)과 냉각수관(29)의 사이가, 도중에 개폐밸브(51)을 구비한 연통관(5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에 있어서는, 운전의 기동시에는 개폐밸브(47), (50)을 닫힘 밸브로 하고 또한 개폐밸브(49), (51)을 열림 밸브로 한 상태로, 흡수액순환펌프(28)과 냉각수순환펌프(32)를 운전하면서 버너(7)에 점화한다.
이 때문에, 흡수기(5)로부터 흡수액순환펌프(28)에 의해서 정류탑(6)으로 보내져서 흡수액산포수단(9B)로부터 탑 안으로 산포된 흡수액(C)는, 충전재(10)의 사이를 누비고 하강하면서 버너(7)이 생성하는 열에 의하여 가열되어 냉매증기(A)와 흡수액(B)로 분리되고, 냉매증기(A)는 응축기(3)으로 들어가서 냉각수(E)에 방열하여 응축액화하며, 흡수액(B)는 재생기(8)에 체류하여 흡수액 공급관(24)를 통해서 흡수기(5)로 보내진다.
흡수기(5)에는 냉각수(E)가 공급되어 있지 않으므로, 흡수기(5)로 보내진 흡수액(B)는 냉각되지 않고, 흡수액탱크(19)에 체류하고 있는 흡수액(C)와 혼합되어 정류기(2)로 되돌려진다.
따라서, 정류기(2)에 있어서 흡수액(C)로부터 냉매증기(A)와 흡수액(B)로의 가열분리가 효율좋게 될 수 있으므로, 버너(7)의 연료가 절약된다.
또, 응축기(3)에서 냉각수(E)에 방열하여 액화한 냉매액(A)가, 냉매액 되돌림파이프(48), 냉매액 산포수단(9A)를 통해서 정류탑(6)의 상부로 되돌려져 여기서 재기화되기 때문에 응축기(3)에 들어가는 증기에 포함되는 냉매(A)의 비율이 신속하게 높아진다.
그리고, 예를들면, 재생기(8)의 내부온도가 소정치, 예를들어 120℃에 도달하였다는 것이 도시하지 않은 온도센서에 의해 확인되었을 때에, 개폐밸브(44), (47), (50)을 열림 밸브로 또한 개폐밸브(49), (51)을 닫힘 밸브로 하고, 냉수순환펌프(43)을 기동하여, 응축기(3)에서 액화한 냉매액(A)를 냉매액탱크(11)에 저류시키고, 이것을 증발기(4)의 전열관(12)의 위에 냉매액 산포수단(46)으로 산포하여 넣어 전열관(12)내에 순환 공급되는 물(F)로부터 열을 빼앗아 기화시키는 통상운전으로 이행한다.
이 통상운전시에 있어서는, 증발기(4)에서 기화한 냉매증기(A)는 연통관(17)을 통해서 흡수기(5)로 들어가고, 재생기(8)로부터 흡수액 공급관(24)를 통해서 공급되어 흡수액 적하수단(20)으로부터 적하되는 흡수액(B)와 접촉하여 이에 흡수되고, 흡수액 되돌림파이프(27)을 통해서 정류기(2)로 되돌아 간다고하는 종래 주지의 순환이 행하여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냉각수탱크(41)의 부분에 도 7에 나타낸 실내기(31)을 설치하면,흡수기(5)와 응축기(3)의 내부를 냉각시키고 자신의 온도를 높인 냉각수(E)가 냉각수관(29),(30)을 통해서 실내기(31)로 순환 공급되기 때문에, 실내기(31)에 있어서 난방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냉수탱크(42)의 부분에 도 7에 나타낸 실내기(31)을 설치하면, 증발기(4)의 내부에서 냉매액(A)를 기화시켜서 방열하여 자신의 온도를 낮춘 물(F)가 냉수관(45)를 통해서 실내기(31)로 순환 공급되기 때문에, 실내기(31)에 있어서 냉방작용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취지에서 일탈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수가 있다.
예를들면, 개폐밸브(44), (47), (50)을 열림 밸브로 또한 개폐밸브(49), (51)을 닫힘 밸브로 하여, 냉수순환펌프(43)을 기동시키는 타이밍은, 재생기(8)내의 압력이 소정치, 예를들면 15∼40 kPa에 도달하였일 때로 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재생기(8) 이외의 장소, 예를들면 정류탑(6), 응축기(3)의 적당한 장소에 있어서의 온도 또는 압력을 검출하여, 개폐밸브(44), (47), (49), (50), (51)의 상기와 같은 개폐제어와 냉수순환펌프(43)의 기동을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연통관(52)의 분기점에 크로스밸브(cross valve)를 설치하여, 개폐밸브(50), (51)을 생략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제 5실시예)
이하, 도 5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제 5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은,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브롬화리튬 수용액을 흡수액으로 하였을 때에 냉매로 사용되는 물보다 비등점이 훨씬 낮은 유체, 예를들면, 비등점이 74.5℃의 TFE 등을 냉매로 사용하고, 흡수액으로는 비등점이 예를들면 204℃의 NMP 등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에 있어서,
냉각수관(30)에는, 열교환기(41)과 냉각수탱크(42)가 직렬로 설치되며, 응축기(3)에서 냉매증기(A)로부터 열을 빼앗아 흘러나온 냉각수(E)가 재생기(8)의 버너(7)로부터 나와 배기관(43)을 통해 보내지는 고온의 연소배기가스(G)와 열교환한 후, 냉각수탱크(42)로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경우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은, 증발기(4)가 다수의 전열관(12)를 내장한 타입의 것이며, 이들 전열관(12)의 내부에 냉수탱크(44)에 저류된 물(F)가, 도중에 냉수순환펌프(45)와 개폐밸브(46)을 구비한 냉수관(47)을 통해서 순환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증발기(4)의 내부측 상부에는 냉매액 산포수단(48)이 설치되며, 이 냉매액 산포수단(48)에는 응축기(3)에서 응축하여 냉매액탱크(11)에 체류한 냉매액(A)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류부에 개폐밸브(49)를 구비한 냉매액공급관(16)이 접속되며, 냉매액 산포수단(48)에서 산포된 냉매액(A)가 전열관(12)의 외면을 타고 흘러 떨어질 때에 관내를 흐르는 물(F)로부터 열을 빼앗아 기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응축기(3)의 바닥과 냉매액 산포수단(9A)를 연결하는 냉매액 되돌림파이프(50)에는 개폐밸브(5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냉각수탱크(42)의 부분에 도 7에 나타낸 실내기(31)을 설치하면, 흡수기(5)와 응축기(3)의 내부를 냉각시키고 자신의 온도를 높인 냉각수(E)가, 또한 열교환기(41)에 있어서 버너(7)로부터 나오는 고온의 연소배기가스(G)와 열교환을 하여 80℃이상으로까지 가열되어 순환공급되므로, 실내기(31)에 있어서 뛰어난 난방작용이 발휘된다.
또, 냉각수탱크(42)의 부분에 바닥난방이나 급탕부하가 설치되어도, 충분한 열을 공급할 수가 있다.
한편, 냉수탱크(44)의 부분에 도 7에 나타낸 실내기(31)을 설치하면, 증발기(4)의 내부에서 냉매액(A)를 기화시켜 방열하고, 자신의 온도를 낮춘 물(F)가 냉수관(47)을 통해서 실내기(31)로 순환 공급되기 때문에, 실내기(31)에 있어서 냉방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열교환기(41)에 버너(7)에서 나오는 고온의 연소배기가스(G)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상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취지에서 일탈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수가 있다.
예를들면, 냉각수관(30)에 설치하는 열교환기(41)을 재생기(8)의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냉각수관(30)의 내부를 흐르는 냉각수(E)와 버너(7)에 의해 가열된 재생기(8)내의 흡수액(B)가 열교환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제 6실시예)
이하, 도 6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제 6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도 또한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브롬화리튬 수용액을 흡수액으로 하였을 때에 냉매로 사용되는 물보다 비등점이 훨씬 낮은 유체, 예를들면, 비등점이 74.5℃의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 등을 냉매로 사용하고, 흡수액으로는 비등점이 예를들면 204℃의 N-메틸-2-피롤리돈 등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에 있어서는, 냉각수관(30)에는 냉각수탱크(4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은, 증발기(4)가 다수의 전열관(12)를 내장한 형의 것이며, 이들 전열관(12)의 내부에 냉수탱크(42)에 저류된 물(F)가 도중에 냉수순환펌프(43)과 개폐밸브(44)를 구비한 냉수관(45)를 통해서 순환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증발기(4)의 내부측 상부에는, 냉매액 산포수단(46)이 설치되며, 이 냉매액 산포수단(46)에는 응축기(3)에서 응축하여 냉매액탱크(11)에 체류한 냉매액(A)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류부에 개폐밸브(47)을 구비한 냉매액공급관(16)이 접속되며, 냉매액 산포수단(46)으로부터 산포된 냉매액(A)가 전열관(12)의 외면을 타고 흘러 떨어질 때에 관내를 흐르는 물(F)로부터 열을 빼앗아 기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응축기(3)의 바닥과 냉매액 산포수단(9A)를 연결하는 냉매액 되돌림파이프(48)에는 개폐밸브(49)가 설치되어 있다.
다시, 흡수기(5)의 흡수액탱크(19)에는 흡수액(C)의 액면을 검출하기 위한 액면센서(50)이 설치되어 있고, 냉매액 되돌림파이프(27)에는 개폐밸브(51)이 설치되며, 재생기(8)에는 기내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5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에 있어서,
운전을 개시할때에는, 개폐밸브(51)을 열림 밸브로 하고 흡수액순환펌프(28)이 기동하여 흡수기(5)의 흡수액탱크(19)에 체류하고 있는 흡수액(C)를 정류기(2)로 옮기고, 흡수액탱크(19)에 있어서의 흡수액(C)의 액면이 제 1의 레벨 이하로 된 것이 액면센서(50)에 의해 확인되었을 때에 버너(7)에 점화하여 흡수액(C)의 가열을 개시한다.
그리고, 흡수액탱크(19)에 체류하고 있는 흡수액(C)의 액면이 상기 제 1의 레벨보다 낮은 제 2의 레벨 이하로 된 사실이 액면센서(50)에 의해 확인 되었을 때에는, 흡수액순환펌프(28)의 운전을 정지하여 흡수액탱크(19)에 있어서의 흡수액(C)의 액면이 소정의 범위에 있도록 흡수액순환펌프(28)을 제어한다.
또한, 흡수액순환펌프(28)의 운전을 정지하고 있을 때에는, 흡수액(C)가 흡수기(5)로 역류하지 않도록 개폐밸브(51)을 닫힘 밸브로 한다.
한편,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의 운전을 정지할 때에는, 온도센서(52)가 소정의 온도, 예를들면 70∼80℃보다 낮은 온도를 검출하게 될 때까지 흡수액순환펌프(28)을 온/오프(ON/OFF) 등으로 제어하여 흡수액탱크(19)에 있어서의 흡수액(C)의 액면이 소정의 범위에 있도록 하고, 온도센서(52)가 상기 70∼80℃보다 낮은 온도를 검출한 때에 흡수액순환펌프(28)의 운전을 정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운전방법에 의하면, 장치를 기동할때에나 정지할때에나, 흡수기(5)로부터 정류기(2)로 흡수액(C)가 되돌려져서 정류기(2)에는 충분한 양의 흡수액(C)가 들어있으므로, 마른 상태로 가열되는 일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게 되어, 냉매나 흡수액이 분해되는 일이 없고 정류기가 손상되는 결함이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냉각수탱크(41)의 부분에 도 7에 나타낸 실내기(31)을 설치하면, 흡수기(5)와 응축기(3)의 내부를 냉각시키고 자신의 온도를 높인 냉각수(E)가 냉각수관(29),(30)을 통해서 실내기(31)로 순환 공급되기 때문에, 실내기(31)에 있어서 난방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냉수탱크(42)의 부분에 도 7에 나타낸 실내기(31)을 설치하면, 증발기(4)의 내부에서 냉매액(A)를 기화시켜서 방열하여 자신의 온도를 낮춘 물(F)가 냉수관(45)를 통해서 실내기(31)로 순환 공급되기 때문에, 실내기(31)에 있어서 냉방작용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취지에서 일탈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수가 있다.
예를들면,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의 운전을 정지시킬 때의 제어에 있어서는, 온도센서(52) 대신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이 압력센서가 소정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검출하게 될 때까지는 흡수액순환펌프(28)을 온/오프 제어 등으로 흡수액탱크(19)에 있어서의 흡수액(C)의 액면이 소정의 범위에 있도록 하고, 압력센서가 소정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검출한 때에 흡수액순환펌프(28)의 운전을 정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흡수액순환펌프(28)은, 온/오프로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수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흡수액 되돌림파이프(27)에 설치한 개폐밸브(51)을 대신하여, 첵밸브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정류탑(6)에 충전하는 충전재(10)으로서는, 스테인레스강제의 그물이나 가는 세선재를 꼬아 합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1)에 있어서는, 비등점이 120℃ 이하의 플루오르화 알코올계 유체가 냉매로 사용되며, 흡수액으로서는 에테르류, 에스테르류, 폴리올류, 아미드류, 아민류, 이미드류, 케톤류, 알데히드류, 니트릴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매증기에 혼입하여, 흡수액의 증기가 응축기로 들어가서 응축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냉매의 순환에 지장을 초래하게 하는 일이 없다.
또, 흡수기로부터 흡수액 되돌림파이프를 통해서 정류기로 되돌려지는 흡수액은, 그 일부가 정류기 상부의 전열관에서 가열되어 되돌려지므로, 정류기에 있어서의 가열량이 절약되어 열 효율이 개선된다.
더욱이, 정류기로부터 흡수기에 공급되는 흡수액의 온도는 소정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온도가 과잉상승하여 흡수기에서 흡수액이 냉매증기를 흡수할 때의 흡수속도가 저하한다는 결점도 해소된다.
또, 정류기에서 생성하여 응축기로 공급하는 냉매증기의 순도를 용이하게 상승시킬수 있으며, 동시에 열 효율이 개선된다.
또한,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순도가 높은 냉매액의 기화를 방해하는일이 없기 때문에 열 효율의 개선에 더 한층의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 흡수기로부터 정류기로 되돌려지는 흡수액의 온도가 저하하지 않으므로, 정류기에 있어서의 냉매증기의 가열분리를 한층 효율좋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압가스규제법의 규제를 받지 않도록, 예를들면 50∼60℃ 정도의 응축온도, -20∼-10℃ 정도의 증발온도에서 작동이 가능한 TFE 등의 알코올계 냉매에 사용한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에 있어서도, 물을 80℃ 이상으로 가열할 수가 있으므로, 난방용도만이 아니라, 급탕이나 바닥난방에도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장치가 기동할때나, 정지할때나 흡수기로부터 정류기로 흡수액이 되돌려져서, 정류기에는 충분한 양의 흡수액이 들어가 있으므로, 마른상태로 가열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고압가스 규제법의 규제를 받지 않도록, 예를들면 50∼60℃ 정도의 응축온도, -20∼-10℃ 정도의 증발온도에서 작동이 가능한 TFE 등의 알코올계 냉매를 사용한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에 있어서도, 냉매나 흡수액이 분해되는 일이 없으며, 정류기를 손상시키는 결함도 없게 할 수가 있다.

Claims (16)

  1. 흡수액을 가열하여 흡수액에 포함되는 냉매를 기화시켜 분리하는 가열부를 구비한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를 제 1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액을 제 2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와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흡수액을 반응시켜 흡수액에 냉매를 흡수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기를 구비한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에 있어서,
    흡수액을 흡수기로부터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액 되돌림파이프에 유량조정밸브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유량조정밸브의 양측의 흡수액 되돌림파이프로부터 정류기 상부에 내장한 전열관에 이르는 흡수액 분기관을 연장 설치하고, 또한, 제 1의 열 매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밸브를 설치하며, 냉매로서 알코올계 유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정류기로부터 흡수기에 공급되는 흡수액의 온도가 소정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흡수액 되돌림파이프에 설치한 유량조정밸브의 개방도를 제어하며,
    전열관이 내장된 정류기 상부의 온도 또는 압력, 혹은 응축기 내부의 온도 또는 압력이 소정치를 유지하도록 제 1의 열 매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밸브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의 운전방법.
  3. 흡수액을 가열하여 흡수액에 포함되는 냉매를 기화시켜 분리하는 가열부를 구비한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를 제 1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액을 하강시키면서 제 2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와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흡수액을 반응시켜 흡수액에 냉매를 흡수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기를 구비한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에 있어서,
    증발기의 하부로부터 정류기의 상부에 이르는 냉매액 되돌림파이프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냉매액 되돌림파이프에 펌프를 설치하고, 냉매로서 알코올계 유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냉매액 되돌림파이프의 도중에, 냉매액 되돌림파이프를 흐르는 냉매액보다 온도가 높은 적당한 유체와의 열교환을 행하기 위한 열교환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냉매액 되돌림파이프에 설치한 펌프를 증발기의 저부에 체류한 냉매액의 양에 기초하여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의 운전방법.
  6. 흡수액을 가열하여 흡수액에 포함되는 냉매를 기화시켜 분리하는 가열부를 구비한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를 제 1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액을 하강시키면서 제 2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와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흡수액을 반응시켜 흡수액에 냉매를 흡수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기를 구비한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에 있어서,
    증발기에 내장한 제 2의 열 매체가 내부측을 흐르는 전열관의 위에 증발기의 바닥에 체류한 냉매액이 산포 가능하게 냉매액 순환펌프를 구비한 냉매액관을 설치하며, 냉매로서 알코올계 유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응축기에 연이어 통한 제 1의 냉매액 산포수단을 증발기의 내부측 상부에 설치하며, 냉매액 순환펌프를 구비한 냉매액관에 연이어 통한 제 2의 냉매액 산포수단을 증발기의 중단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냉매액 순환펌프를 증발기의 저부에 체류한 냉매액의 양에 기초하여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의 운전방법.
  9. 흡수액을 가열하여 흡수액에 포함되는 냉매를 기화시켜 분리하는 가열부를 구비한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를 제 1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액을 제 2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와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흡수액을 반응시켜 흡수액에 냉매를 흡수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기를 구비한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에 있어서,
    응축기에서 액화한 알코올계 유체로 구성되는 냉매를 증발기에 공급하는 냉매액공급관에 제 1의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응축기로부터 정류기의 상부에 이르는 제 2의 개폐밸브를 구비한 냉매액 되돌림파이프를 설치하며, 제 1의 개폐밸브를 닫힘 밸브로 또한 제 2의 개폐밸브를 열림 밸브로한 상태로 정류기에 있어서의 가열을 개시하고, 그 후, 제 1의 개폐밸브를 열림 밸브로 또한 제 2의 개폐밸브를 닫힘 밸브로 하여 통상운전으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의 운전방법.
  10. 흡수액을 가열하여 흡수액에 포함되는 냉매를 기화시켜 분리하는 가열부를 구비한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를 제 1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액을 제 2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와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흡수액을 반응시켜 흡수액에 냉매를 흡수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기를 구비한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에 있어서,
    응축기에서 액화한 알코올계 유체로 구성되는 냉매를 증발기에 공급하는 냉매액공급관에 제 1의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응축기로부터 정류기의 상부에 이르는 제 2의 개폐밸브를 구비한 냉매액 되돌림파이프를 설치하며, 흡수기에 냉각수를 안내하는 냉각수관에 제 3의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제 1 및 제 3의 개폐밸브를 닫힘 밸브로 또한 제 2의 개폐밸브를 열림 밸브로한 상태로 정류기에 있어서의 가열을 개시하고, 그 후, 제 1 및 제 3의 개폐밸브를 열림 밸브로 또한 제 2의 개폐밸브를 닫힘 밸브로 하여 통상운전으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의 운전방법.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정류기 또는 응축기에 있어서의 온도 또는 압력이 소정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개폐밸브의 열림과 닫힘을 역으로 조작하여 통상운전으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의 운전방법.
  12. 흡수액을 가열하여 흡수액에 포함되는 냉매를 기화시켜 분리하는 가열부를구비한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를 제 1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액을 제 2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와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흡수액을 반응시켜 흡수액에 냉매를 흡수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기를 구비한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에 있어서,
    응축기에서 냉매증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냉매를 액화시킨 제 1의 열매체가 흐르는 관로에, 제 1의 열매체보다 고온의 제 3의 열매체와 열교환 하기 위한 열교환기를 설치하며, 냉매로서 알코올계 유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제 1의 열매체와 제 3의 열매체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가, 정류기의 가열부에 설치되어 흡수액을 제 3의 열매체로한 열교환기, 또는 정류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정류기의 가열부로부터 배출되는 연소배기가스를 제 3의 열매체로한 열교환기의 어느것인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
  14. 흡수액을 가열하여 흡수액에 포함되는 냉매를 기화시켜 분리하는 가열부를 구비한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를 제 1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액을 제 2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와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흡수액을 반응시켜 흡수액에 냉매를 흡수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기를 구비한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를 기동함에 있어서,
    알코올계 유체로 구성되는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흡수기로부터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액 되돌림파이프에 설치한 흡수액 순환펌프가 기동하고, 흡수기에 있어서의 흡수액을 소정량 이하로 한 후, 정류기에 설치한 가열수단을 기동하여 흡수액의 가열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의 운전방법.
  15. 흡수액을 가열하여 흡수액에 포함되는 냉매를 기화시켜 분리하는 가열부를 구비한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를 제 1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액을 제 2의 열 매체와 열 교환시켜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증기와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흡수액을 반응시켜 흡수액에 냉매를 흡수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기를 구비한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를 정지함에 있어서,
    알코올계 유체로 구성되는 냉매를 흡수한 흡수액을 흡수기로부터 정류기로 되돌리는 흡수액 되돌림파이프에 설치되어 소정량을 초과하는 흡수액이 흡수기에 있을 때에 운전하는 흡수액 순환펌프의 운전을, 정류기의 내부가 소정의 온도 또는 압력으로 내려갈 때까지 계속하며, 그 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의 운전방법.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흡수액 순환펌프와 함께 흡수액 되돌림파이프에 설치한 개폐밸브를, 흡수액 순환펌프의 운전시에 열림 밸브로 하고, 운전 정지시에 닫힘 밸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히이트펌프장치의 운전방법.
KR1019990016247A 1998-06-30 1999-05-07 흡수식히이트펌프장치및그운전방법 KR200000056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84393 1998-06-30
JP10184397A JP2000018760A (ja) 1998-06-30 1998-06-30 吸収式ヒートポンプ装置の運転方法
JP10184400A JP2000018756A (ja) 1998-06-30 1998-06-30 吸収式ヒートポンプ装置
JP10184393A JP2000018754A (ja) 1998-06-30 1998-06-30 吸収式ヒートポンプ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10-184385 1998-06-30
JP10184409A JP2000018761A (ja) 1998-06-30 1998-06-30 吸収式ヒートポンプ装置の運転方法
JP10-184400 1998-06-30
JP10184385A JP2000018763A (ja) 1998-06-30 1998-06-30 吸収式ヒートポンプ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10-184395 1998-06-30
JP10-184397 1998-06-30
JP10-184409 1998-06-30
JP10184395A JP2000018755A (ja) 1998-06-30 1998-06-30 吸収式ヒートポンプ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644A true KR20000005644A (ko) 2000-01-25

Family

ID=2755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247A KR20000005644A (ko) 1998-06-30 1999-05-07 흡수식히이트펌프장치및그운전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00005644A (ko)
CN (1) CN118864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0749B (zh) 2006-12-28 2013-01-02 3M创新有限公司 牙科填料及方法
CN108194830A (zh) * 2017-12-29 2018-06-22 新地能源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吸收式热泵的液化气体气化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8640C (zh) 2005-02-09
CN1240919A (zh) 2000-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4768B2 (en) Absorption-type air conditioner system
JP6111157B2 (ja) 冷熱回収機能付きガス気化装置及び冷熱回収装置
KR19980070193A (ko) 흡수식 냉난방 장치
KR100448424B1 (ko) 흡수 냉동기의 제어 방법
KR20020035770A (ko) 흡수식 냉동기
JP2007127342A (ja) 吸収ヒートポンプおよび蒸気供給システム
JP5384072B2 (ja) 吸収式冷温水機
KR20000005644A (ko) 흡수식히이트펌프장치및그운전방법
JP2000121196A (ja) 排熱利用冷暖房システム
JP4007795B2 (ja) 吸収式熱源装置
KR100542462B1 (ko) 흡수식냉동기
JP2009236477A (ja) 吸収式冷温水機
JP3813348B2 (ja) 吸収式冷凍機
JP3381094B2 (ja) 吸収式冷暖給湯装置
JP3806522B2 (ja) 吸収式ヒートポンプ装置
JP2000018761A (ja) 吸収式ヒートポンプ装置の運転方法
JP3889655B2 (ja) 吸収式冷凍機
JP7209324B2 (ja) 吸収式冷凍機
US6205810B1 (en) Absorption cooling apparatus
JP3836930B2 (ja) 蒸発器
JP2902305B2 (ja) 吸収式空調装置
KR20100019422A (ko) 흡수 냉각기의 부하조정비를 확장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00018760A (ja) 吸収式ヒートポンプ装置の運転方法
JPH0445363A (ja) 吸収式冷暖給湯機
JP4201418B2 (ja) 吸収冷温水機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