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043U - 모니터의 신호케이블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신호케이블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043U
KR20000005043U KR2019980015728U KR19980015728U KR20000005043U KR 20000005043 U KR20000005043 U KR 20000005043U KR 2019980015728 U KR2019980015728 U KR 2019980015728U KR 19980015728 U KR19980015728 U KR 19980015728U KR 20000005043 U KR20000005043 U KR 200000050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ble
port terminal
connector
terminal body
wa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홍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5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5043U/ko
Publication of KR200000050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043U/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니터의 신호케이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포트단자몸체(20) 전면에 암웨이퍼(22)가 부설되고, 이 암웨이퍼(22) 양측으로 소정의 폭을 두고 포트단자몸체(22)의 바닥면에서 연장된 1쌍의 후크부(24)가 돌출되는 한편, 상기 포트단자몸체(24)에 결합되도록 컨텍터(10) 전면에 수웨이퍼(12)가 부설되고, 양측면으로 스프링(18)을 매개로 누름걸림바(14)가 설치되면서 이 누름걸림바(14)가 상기 후크부(24)에 선택적으로 걸려서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컨넥터(10)의 누름걸림바(10)의 간단한 조작으로 양웨이퍼(12,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시키므로써 신호케이블의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신호케이블을 분리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모니터의 신호케이블 결합구조(Structure for coupling signal-cable in a monitor)
본 고안은 모니터의 신호케이블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방 모니터외함에 설치된 포트단자와 신호케이블의 컨넥터 사이의 고정방법을 개선한 모니터의 신호케이블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화상을 제공해주는 모니터의 후방외함부에는 본체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케이블의 연결포트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종래 모니터의 신호케이블 결합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케이블의 컨넥터(100)는 전면에 수웨이퍼(102)가 부설되어 있고, 컨넥터(100)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체결보울트(104)가 관통설치되어 있다.
상기 컨넥터(100)에 결합되는 포트단자몸체(110)가 모니터외함(미도시)후방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포트단자몸체(110)는 전면에 암웨이퍼(112)가 부설되어 있고, 포트단자몸체(110)에는 상기 컨넥터(100)의 체결보울트(104)에 대응되게 고정너트(114)가 설치되어 있다.
즉 컨넥터(100)의 수웨이퍼(102)가 포트단자몸체(110)의 암웨이퍼(112)에 끼워지고 체결보울트(104)가 고정너트(114)에 고정되어 신호케이블이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신호케이블 결합구조는 모니터외함의 포트단자몸체(110)에 신호케이블의 컨넥터(100)를 조립하거나 분리할 때 포트단자몸체(110)의 고정너트(114)에 컨넥터(110)의 체결보울트(104)를 죄거나 풀어야 하므로 조립작업이 불편하였다.
또한, 컨넥터(110)의 체결보울트(104)가 고정너트(114)에 오조립될 경우는 양웨이퍼(102,112) 단자가 제위치에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아 모니터에 정상적인 영상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체결부재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후방 모니터외함에 설치된 포트단자와 신호케이블의 컨넥터 사이를 고정하여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모니터의 신호케이블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포트단자몸체 전면에 암웨이퍼가 부설되고, 이 암웨이퍼 양측으로 소정의 폭을 두고 포트단자몸체의 바닥면에서 연장된 1쌍의 후크부가 돌출되는 한편, 상기 포트단자몸체에 결합되도록 컨넥터 전면에 수웨이퍼가 부설되고, 양측면으로 스프링을 매개로 누름걸림바가 설치되면서 이 누름걸림바가 상기 후크부에 선택적으로 걸려서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신호케이블 결합구조는 컨넥터의 누름걸림바의 간단한 조작으로 양웨이퍼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시키므로써 신호케이블의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신호케이블을 분리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포트단자에 결합되는 신호케이블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트단자에 결합되는 신호케이블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호케이블 커넥터가 포트단자에 결합되는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넥터 12 : 수웨이퍼
14 : 누름걸림바 14a : 버튼부
14b : 걸림부 16 : 내부공간부
18 : 스프링 20 : 포트단자몸체
22 : 암웨이퍼 24 : 후크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트단자에 결합되는 신호케이블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신호케이블 고정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넥터(10)의 전면에 수웨이퍼(12)가 부설되어 있고, 양측면에 누름걸림바(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모니터외함(미도시)에 설치되어 상기 컨넥터(10)와 결합되는 포트단자몸체(20)는 전면에 암웨이퍼(22)가 부설되어 있고, 이 암웨이퍼(22) 양측으로 소정의 폭을 두고 포트단자몸체(20)의 바닥면에서 연장된 1쌍의 후크부(24)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컨넥터(10)는 내측에 내부공간부(16)가 형성되어 있고, 누름걸림바(14)는 스프링(18)을 매개로 탄력지지되어 있다.
상기 누름걸림바(14)는 버튼부(14a)와 걸림부(14b)가 형성되어 있고, 이 들 버튼부(14a)와 걸림부(14b)는 컨넥터(1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18)은 버튼부(14a) 내측으로 끼워지고 내부공간부(16) 일측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14a)를 누르게되면 걸림부(14b)가 내부공간부(16)속으로 함몰되게 된다. 물론 버튼부(14a)를 누름을 해제하게되면 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부(14b)는 원상태로 컨넥터(10)의 양측면으로 돌출되게 된다.
한편, 포트단자몸체(20)의 후크부(24)는 내향되게 형성되어 있고, 후크부(24)의 돌출선단간격은 컨넥터(10)의 폭과 거의 일치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도 3을 참조로 하여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신호케이블의 컨넥터(10)를 포트단자몸체(20)에 결합과정은, 누름걸림바(14)의 버튼(14a)을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면, 누름걸림바(14)의 걸림부(148b)는 내부공간부(16)로 함몰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컨넥터(10)의 수웨이퍼(12)를 포트단자몸체(20)의 암웨이퍼(22)에 맞추어 끼운다. 최종적으로, 누름걸림바(14)의 버튼부(14a)를 놓게 되면 누름걸림바(14)의 걸림부(14b)가 포트단자몸체(20)의 후크부(24)에 걸리게 되므로 양웨이퍼(12,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게 된다.
반면에, 신호케이블의 컨넥터(10)를 분리하는 과정은 누름걸림바(14)의 버튼부(14a)를 누르면 걸림부(14b)가 후크부(24)에 걸림해제되므로 컨넥터(10)를 당기면 수웨이퍼(12)가 암웨이퍼(22)에서 분리되게 된다.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컨넥터(10)의 누름걸림바(14)의 간단한 조작으로 양웨이퍼(12,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신호케이블의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모니터의 신호케이블 결합구조에 의하면, 신호케이블의 컨넥터를 연결단자몸체에 조립과정이 단순히 누름걸림바를 누르면서 양웨이퍼를 결합시키고 주름작동바의 누름해제시키는 동작으로 끝나기 때문에 조립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누름걸림바는 컨넥터를 설계할 때 간단히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체결보울트나 고정너트가 불필요하게 되어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면에 암웨이퍼(22)가 부설되고 이 암웨이퍼(22) 양측으로 소정의 폭을 두고 1쌍의 후크부(24)가 바닥면에서 연장된 포트단자몸체(20);와
    상기 포트단자몸체(20)에 결합되도록 전면에 수웨이퍼(12)가 부설되고 양측면에 스프링(18)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후크부(24)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누름걸림바(14)가 형성된 컨넥터(10);로 이루어진 모니터의 신호케이블 결합구조.
KR2019980015728U 1998-08-21 1998-08-21 모니터의 신호케이블 결합구조 KR200000050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728U KR20000005043U (ko) 1998-08-21 1998-08-21 모니터의 신호케이블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728U KR20000005043U (ko) 1998-08-21 1998-08-21 모니터의 신호케이블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043U true KR20000005043U (ko) 2000-03-15

Family

ID=6950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728U KR20000005043U (ko) 1998-08-21 1998-08-21 모니터의 신호케이블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504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7867A (zh) * 2019-01-13 2019-05-07 常州瑞神安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卡接式脑电极电缆接口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7867A (zh) * 2019-01-13 2019-05-07 常州瑞神安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卡接式脑电极电缆接口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574B1 (ko) 로크 기구 부착 커넥터 어셈블리
US6012946A (en) Connector fitting-detection mechanism
KR100396978B1 (ko) 래칭 포스트, 래칭 장치 및 전기 커넥터
JP2554660Y2 (ja) パネル固定型コネクタ
JPH11135178A (ja) コネクタソケット
KR20000005043U (ko) 모니터의 신호케이블 결합구조
US6213793B1 (en) Connector
KR100393463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
JPH04220972A (ja) 電気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JPH0640497B2 (ja) プリント配線板用端子
JP2002216901A (ja) コネクタ
JP2001068216A (ja)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WO2000060702A1 (fr) Connecteur
JPH09259978A (ja) コネクタ
KR200172065Y1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JPH0955262A (ja) コネクタの嵌合構造
JP2001257024A (ja) コネクタ
KR200161359Y1 (ko) 범용가능한 전자제품 작동용 택트스위치 결합구
JPH1140262A (ja) コネクタ
KR200162008Y1 (ko) 전기터미널 고정가능 커넥터하우징
JP3943236B2 (ja) スイッチのコード端子接続構造
JPH035102Y2 (ko)
KR100246005B1 (ko) 와이어 커넥터
JP3076681U (ja) ユニバーサルシリアルバスコネクター
JPH031478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