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005B1 - 와이어 커넥터 - Google Patents

와이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005B1
KR100246005B1 KR1019960056210A KR19960056210A KR100246005B1 KR 100246005 B1 KR100246005 B1 KR 100246005B1 KR 1019960056210 A KR1019960056210 A KR 1019960056210A KR 19960056210 A KR19960056210 A KR 19960056210A KR 100246005 B1 KR100246005 B1 KR 100246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air
wire connector
mal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6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7460A (ko
Inventor
임성돈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56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005B1/ko
Publication of KR19980037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0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수커넥터에 상하 손잡이로 움직이는 한쌍의 접속핀을 장착하고 암커넥터에 이 접속핀이 맞물리는 걸림홈을 형성함으로써, 암수 와이어 커넥터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외부의 진동이나 외력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분리시킬 때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한 와이어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 커넥터
본 발명은 와이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커넥터의 상하에 장착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탈착가능하도록 암커넥터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수커넥터에 이와 맞물리는 한쌍의 접속핀을 내장함으로써, 와이어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여 확실한 탈장착이 가능한 와이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커넥터는 자동차의 전기장치 부품에 사용되는 전선을 연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와이어 커넥터는 뒷면에 와이어가 연결된 암수의 커넥터를 결합시키면 완전한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와이어 커넥터는 암수의 커넥터를 결합시킨 후 다시 분리시키려고 할 때 힘이들고 이탈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커넥터에 상하 손잡이로 움직이는 한쌍의 접속핀을 장착하고 암커넥터에 이 접속핀이 맞물리는 걸림홈을 형성함으로써, 암수 와이어 커넥터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외부의 진동이나 외력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분리시킬 때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한 와이어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커넥터 11: 손잡이
12: 스프링 13: 접속핀
14: 힌지부 16: 걸림턱
17: 장착홈20: 암커넥터
21: 걸림홈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와이어 커넥터에 있어서, 수커넥터(10)의 내부에 장착홈(17)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17)에 리턴 스프링을 개재한 힌지부(14)가 있는 한쌍의 접속핀(13)을 장착하고, 상기 수커넥터(10)의 상하로 스프링(12)을 개재하여 수직연장 막대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11)를 장착하고, 암커넥터(20) 접촉면에 한쌍의 걸림홈(21)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11)의 연장막대 하부 끝단과 접속핀(13)의 후단이 접하여 있고, 상기 접속핀(13)의 선단은 수커넥터(10) 접촉면 외부로 돌출되어 접속핀(13)이 상기 걸림홈(21)에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홈(16)은 서로 연접되는 끝단에 각각 걸림턱을 갖는 동시에 상하 대칭구조로 된 한쌍의 홈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커넥터(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한쌍의 접속핀(13)은 중간에 리턴 스프링을 개재한 힌지부(14)가 형성되어 있어서, 후단부를 누르면 이 힌지부(14)를 중심으로 선단부가 벌어지면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리턴 스프링은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선단부가 다시 원래의 상태대로 복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단부는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으로, 수커넥터(10)의 접촉면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후단부는 수커넥터(10)의 내부에서 상기 수커넥터(10)의 상하면에 장착된 손잡이(11)의 끝단과 접하여 있다.
따라서, 상기 수커넥터(10)의 상하에 장착된 손잡이(11)를 손으로 잡고 누르게 되면 상기와 같이 손잡이(11)의 끝단과 접하여 있는 접속핀(13)의 후단부가 힘을 받고 따라서, 이 힘에 의해 접속핀(13)의 선단부가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접속핀(13)이 장착되어 있는 장착홈(17)은 접속핀(13)이 그 내부에서 자유롭게 벌어지고 오므라질 수 있도록 여유있는 폭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암커넥터(20)의 접촉면에는 한쌍의 걸림홈(21)이 형성되어 있는 데, 이 걸림홈(21)은 상기 한쌍의 접속핀(13)이 삽입되어 결합하는 것으로, 경사진 단차면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홈(17)과 마찬가지로 접속핀(13)이 원활하게 삽입하고 이탈할 수 있도록 여유있는 폭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접속핀(13)이 걸림홈(21)에 삽입되면 접속핀(13)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6)이 암커넥터(20)의 걸림홈(21)의 경사진 단차면에 맞물리게 되어 암수의 커넥터(10,2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면 부호 12는 스프링으로서, 상기와 같이 암수 커넥터(10,20)를 결합시키고 난후 손잡이(11)가 위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와이어 커넥터는 손잡이(11)를 눌러 접속핀(13)의 선단부를 벌어지게 하면 접속핀(13)이 암커넥터(20)의 걸림홈(21)에서 해제되므로 간편하게 암수의 커넥터(10,20)로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의 상하에 장착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간편한 방법으로 암수의 커넥터를 결합 및 분리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와이어 커넥터에 있어서,
    수커넥터(10)의 내부에 장착홈(17)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17)에 리턴 스프링을 개재한 힌지부(14)가 있는 한쌍의 접속핀(13)을 장착하고, 상기 수커넥터(10)의 상하로 스프링(12)을 개재하여 수직연장 막대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11)를 장착하고, 암커넥터(20) 접촉면에 한쌍의 걸림홈(21)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11)의 연장막대 하부 끝단과 접속핀(13)의 후단이 접하여 있고, 상기 접속핀(13)의 선단은 수커넥터(10) 접촉면 외부로 돌출되어 접속핀(13)이 상기 걸림홈(21)에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16)은 서로 연접되는 끝단에 각각 걸림턱을 갖는 동시에 상하 대칭구조로 된 한쌍의 홈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
KR1019960056210A 1996-11-21 1996-11-21 와이어 커넥터 KR100246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210A KR100246005B1 (ko) 1996-11-21 1996-11-21 와이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210A KR100246005B1 (ko) 1996-11-21 1996-11-21 와이어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460A KR19980037460A (ko) 1998-08-05
KR100246005B1 true KR100246005B1 (ko) 2000-03-02

Family

ID=1948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6210A KR100246005B1 (ko) 1996-11-21 1996-11-21 와이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697B1 (ko) * 2006-03-03 2008-03-07 (주)네스라이트 방수용 전선커넥터
KR102206117B1 (ko) * 2019-03-30 2021-01-20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화 구조를 갖춘 화재발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460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2378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an ejector bar therefor
US5810627A (en) Female electrical terminal
JP2002184522A (ja) ロック機構付コネクタ・アセンブリー
US5320558A (en) Quick connect and disconnect electrical terminal
JP2001307789A (ja) 電気コネクタ
KR101391476B1 (ko) 커넥터 결합장치
KR100246005B1 (ko) 와이어 커넥터
JPH1092503A (ja) ターミナル係止構造
JPS6316151Y2 (ko)
JPH0314783Y2 (ko)
JP2552743Y2 (ja) 電気コネクタ
JPS6331347Y2 (ko)
KR200162008Y1 (ko) 전기터미널 고정가능 커넥터하우징
KR200158830Y1 (ko) 콘센트의 코드 접속장치
JPS6010274Y2 (ja) コネクタ−
JPS6220144Y2 (ko)
KR100463180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529088Y2 (ja) 電気コネクタ
KR960007095Y1 (ko) 단자록킹용 커넥터
JPH0124873Y2 (ko)
KR920004312Y1 (ko) 코넥터하우징의 체결구조
JPS6017810Y2 (ja) コネクタ
JPS5917094Y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S6144379Y2 (ko)
JPH0755828Y2 (ja) 超薄型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