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544U - 섬유 준비기계용 보빈의 보빈 플랜지 - Google Patents

섬유 준비기계용 보빈의 보빈 플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4544U
KR20000004544U KR2019980015028U KR19980015028U KR20000004544U KR 20000004544 U KR20000004544 U KR 20000004544U KR 2019980015028 U KR2019980015028 U KR 2019980015028U KR 19980015028 U KR19980015028 U KR 19980015028U KR 20000004544 U KR20000004544 U KR 200000045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bobbin
pipe
center
spi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0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이필원
주식회사 이화보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필원, 주식회사 이화보빈 filed Critical 이필원
Priority to KR20199800150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4544U/ko
Publication of KR200000045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544U/ko

Links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섬유 준비기계에 사용되는 보빈의 보빈플랜지에 관한 것으로, 베이클라이트수지를 가열금형 내에 사출하여 성형시키는 보빈플랜지(2)에 있어서, 플랜지 원판과 수나사관(202)이 연결되는 내부에 알루미늄 합금원통체로된 보강관체(3)를 매설하여 보강관체(3)의 외측단은 플랜지 외측으로 노출되고 노출부에는 보강관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끝이 얇고 내측이 두터운 환상돌출턱(301)을 형성하게 하며 보강관체 표면에는 다수의 홈줄(302)을 구비하여 플랜지원판과 수나사관 사이를 결착연결케 하고 플랜지 중심부에 스핀들 관통구멍(203)을 천공함으로서 플랜지 중심부에 별도로 스핀들메탈체를 만들어 끼우는 작업을 생략할수 있고 그만큼 작업공정이 생략되어 생산단가를 줄일수 있도록 되며 보강관체(3)는 외측단에 외향으로 절곡되는 환상돌출턱(301)이 있어서 플랜지원판과 수나사관의 연결부 외측을 둥글게 보강하여 견고히 지탱시키는 효과를 낼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탁월하고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보빈을 제공할수 있게하는 이점을 주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섬유 준비기계용 보빈의 보빈 플랜지
본 고안은 알루미늄 합금제 원통으로된 보빈몸통 양측에 암나사를 내고 베이클라이트수지제 보빈플랜지의 중심부에 수나사관을 형성하여 보빈몸통과 플랜지를 나사조립으로 완성하는 공지의 섬유 준비기계용 보빈에 사용되는 보빈플랜지를 개량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같은 보빈은 알루미늄 합금제 원통으로된 보빈몸통의 양단부에 베이클라이트수지제 플랜지의 수나사관을 나사결합시키고 중심부에 메탈삽입구멍을 뚫어 베이클라이트수지제로 별도로 만든 스핀들 메탈체를 타입(때려박음)하는 구성으로 보빈을 제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보빈은 보빈몸통에 플랜지를 나사끼움하고 플랜지 중심부에 또다시 별개로 만들어 준비한 스핀들 메탈체를 타입하여 고정해야 하므로 조립공정이 많아지고 그만큼 제조단가도 비싸게 되는 불편이 있었으며 구조적으로는 베이클라이트수지제 보빈 플랜지와 스핀들메탈체가 별도로 만들어져 조립되므로 중심부의 견고성이 허약하여 플랜지 원판과 나사 관체가 연결되는 곳이 수축압력이 가중될 경우 쉽게 파열되어 보빈에 감긴 원사의 절사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합금원통체로된 보빈몸통에 알맞는 내구적인 보빈플랜지를 개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보빈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보강관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보강관체 파절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보강관체의 또다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빈몸통 101 : 암나사
2 : 보빈플랜지 201 : 수나사관체
202 : 수나사관 203 : 관통구멍
2',2" : 보강판 3 : 보강관체
301 : 환상돌출턱 302 : 홈줄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보빈이 예시되어 있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보빈 플랜지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은 베이클라이트수지를 가열금형 내에 사출하여 성형시키는 보빈플랜지(2)에 있어서, 플랜지원판과 수나사관(202)이 연결되는 내부에 알루미늄 합금원통체의 보강관체(3)를 매설하여 보강관체(3)의 외측단은 플랜지 외측으로 노출되고 노출부는 보강관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끝이 얇고 내측이 두터운 환상돌출턱(301)을 형성하게 하며 보강관체 표면에는 다수의 홈줄(302)을 구비하여 플랜지원판과 수나사관 사이를 결착연결케 하고 플랜지 중심부에 스핀들 관통구멍(203)을 뚫어서된 구조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보빈플랜지(2)의 수나사관(202)을 보빈몸통(1)의 암나사(101)에 나사끼움하면 도 1과 같이 보빈이 완성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플랜지는 베이클라이트수지제로 사출성형되어서 원판 앞뒷면에 수겹의 보강판(2')(2")이 접합되어 있고 수나사관(202)의 내부에 알루미늄 합금원통체의 보강관체(3)가 매설되어서 베이클라이트수지제 플랜지 원판과 수나사관체(201)와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하므로 플랜지원판과 수나사관체의 연결부가 보강되어 내구성이 탁월한 보빈플랜지를 만들 수 있고 보강원판의 재질이 알루미늄 합금제 관체이기 때문에 가볍고 튼튼할뿐 아니라 표면에 홈줄이 있어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져 서로 이완이 없는 일체감을 낼수가 있고 플랜지원판과 수나사관이 일체로 성형되어 중심부에 스핀들 삽입공이 직접 뚫어지므로 별도의 스핀들 메탈체를 끼워넣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어서 보빈몸체(1)와의 조립이 그만큼 능율적으로 되며 보빈몸체(1)가 견고한 만큼 보빈플랜지의 견고성도 유지되어 내구적인 보빈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보빈플랜지 중심부에 별도로 스핀들메탈체를 만들어 끼우는 작업을 생략할수 있고 그로인한 작업공정이 생략되는 만큼 생산단가를 줄일수 있어 가격이 염가이면서 내구성은 더좋은 보빈을 만들 수 있게 되고 보강관체(3)는 외측단에 외향으로 절곡되는 환상돌출턱(301)이 있어서 플랜지원판과 수나사관의 열결부 외측을 둥글게 보강하여 견고히 지탱시키는 효과를 낼수 있기 때문에 수축압력이 큰고탄력원사를 대량으로 감아도 보빈이 파열될 염려가 없는 견고한 보빈을 얻을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베이클라이트수지를 가열금형 내에 사출하여 성형시키는 보빈플랜지(2)에 있어서, 플랜지원판과 수나사관(202)이 연결되는 내부에 알루미늄 합금원통체로된 보강관체(3)를 매설하여 보강관체(3)의 외측단은 플랜지 외측으로 노출되고 노출부에는 보강관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끝이 얇고 내측이 두터운 환상돌출턱(301)을 형성하게 하며 보강관체 표면에는 다수의 홈줄(302)을 구비하여 플랜지원판과 수나사관 사이를 결착연결케 하고 플랜지 중심부에 스핀들 관통구멍(203)을 뚫어서된 섬유 준비기계용 보빈의 보빈플랜지.
KR2019980015028U 1998-08-05 1998-08-05 섬유 준비기계용 보빈의 보빈 플랜지 KR200000045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028U KR20000004544U (ko) 1998-08-05 1998-08-05 섬유 준비기계용 보빈의 보빈 플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028U KR20000004544U (ko) 1998-08-05 1998-08-05 섬유 준비기계용 보빈의 보빈 플랜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544U true KR20000004544U (ko) 2000-03-06

Family

ID=6951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028U KR20000004544U (ko) 1998-08-05 1998-08-05 섬유 준비기계용 보빈의 보빈 플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454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64865A (zh) * 2020-08-12 2020-11-20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 用于飞机冰风洞试验的砂纸冰型粗糙度的计算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64865A (zh) * 2020-08-12 2020-11-20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 用于飞机冰风洞试验的砂纸冰型粗糙度的计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9026B1 (ko) 합성수지의 구조부재주형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04544U (ko) 섬유 준비기계용 보빈의 보빈 플랜지
US2605980A (en) Spool
JPS5919911A (ja) レンズ保持装置
FI58820B (fi) Anordning foer saekring av en lagerkropp i en baerplatta
KR101775003B1 (ko) 플라스틱 강성 볼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211320420U (zh) 一种卡合型藕合器插头连接装置
KR200327666Y1 (ko) 농업용 호스권취기의 보빈
KR20010069961A (ko) 이형 철근의 연결이음쇠
KR200201936Y1 (ko) 연결소켓을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JP3002092B2 (ja) 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KR0122542Y1 (ko) 연사기용 플랜지보빈
CN218985216U (zh) 一种含预埋件的预应力混凝土管桩的生产模具
KR200205546Y1 (ko) 알루미늄합금제 연사용 보빈
CN219191349U (zh) 内嵌金属埋件的复合材料多通接头及其制备用芯模
CN210128163U (zh) 一种牢固型金属软管
KR940005970Y1 (ko) 비철금속 합금제 몸통을 가지는 합성수지제 연사용보빈
KR200301957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수축시트의 연결구조
CN216644146U (zh) 一种灯条接头
CN218510806U (zh) 灯壳、高位制动灯和车辆
CN219196488U (zh) 一种钢套筒定位限位装置及钢套筒
JPH06185517A (ja) 部材結合要素
CN2156195Y (zh) 用于加捻器的螺纹连接型双凸缘筒管
KR20000017027U (ko) 권취보빈
KR970061747A (ko) 섬유용 보빈의 강화플랜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