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095A -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4095A
KR20000004095A KR1019980025492A KR19980025492A KR20000004095A KR 20000004095 A KR20000004095 A KR 20000004095A KR 1019980025492 A KR1019980025492 A KR 1019980025492A KR 19980025492 A KR19980025492 A KR 19980025492A KR 20000004095 A KR20000004095 A KR 20000004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lephone
voice
cpu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식
Original Assignee
박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식 filed Critical 박형식
Priority to KR1019980025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4095A/ko
Priority to BR9906565-7A priority patent/BR9906565A/pt
Priority to EP99928217A priority patent/EP1038383A2/en
Priority to CA002302519A priority patent/CA2302519A1/en
Priority to CN99801038A priority patent/CN1273734A/zh
Priority to IDW20000398A priority patent/ID24189A/id
Priority to AU45322/99A priority patent/AU4532299A/en
Priority to JP2000557578A priority patent/JP2002519938A/ja
Priority to PCT/KR1999/000350 priority patent/WO2000001107A2/en
Publication of KR20000004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09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0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1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dictation recording and play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2Means for playing back the recorded messages by remote control over a telephone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은 전화선을 통하여 임의의 부하를 스위칭제어하는 기능과 걸려온 전화를 자동으로 수신하여 전화건 상대방이 남긴 연락처나 녹음등의 메세지를 허용된 가입자에게 자동으로 통보해주는 기능 및 접수된 메세지를 기록·보존하며, 전화사서함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화신호단자, 통보받고자 하는 전화나 호출기번호를 셋팅하기 위한 키보드, 키보드에 의한 셋팅상태를 발광표시하여 알려주기 위한 발광다이오드(LED)로 된 표시부와 현재시각을 알려주는 타이머표시부,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부, 전화신호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명령에 대응하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CPU, CPU의 제어하에 키보드에 의해 셋팅되는 번호 및 전화건 상대방의 연락처 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EEPROM으로 된 메모리, CPU의 제어하에 기저장된 음성안내메세지를 송출하며 전화건 상대방의 음성을 녹음하기 위한 음성메세지출력부, 및 CPU의 제어하에 상대방이 남긴 연락처나 음성을 가입자에게 통보하기 위해 셋팅된 번호로 전화접속하기 위한 전화호출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화기가 설치된 각 가정과 직장에서 간단한 장치만으로 전화국이나 가입기지국등에서 제공하던 음성사서함기능 외에 다양한 부대기능까지도 함께 수행하므로, 별도의 서비스사용료 지불이 불필요하여 경제적일 뿐 아니라 생활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
본 발명은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가정과 직장에서도 간단하게 전화접속을 통해 하나의 세트상에서 부하를 스위칭제어할 뿐 아니라 전화를 자동으로 수신하여 전화건 상대방이 남긴 연락처나 음성메세지를 즉시 가입자에게 자동으로 통보해주고 접수된 메세지를 기록·보존하며 분명한 언어로써 자동응답하는 기능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가정의 각종 기기들을 서로 결합시켜 가정생활의 편리성 향상과 안전확보를 꾀하는 종합적인 홈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HA)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온도센서, 가스누설센서, 침입검지기등을 사용하여 자택의 안전을 확보하는 방재·방범시스템, 및 가정에 있는 에어콘 혹은 전기밥솥등의 온/오프조작, 시정 및 확인을 외부에서 할 수 있게 하는 텔레콘트롤시스템이 실용화되어 서서히 가정에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홈오토메이션(HA)기능의 확대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그 일예로, 동일출원인에 의해 1997년 2월 5일자로 선출원된 특허출원번호 제 3469호의 "스위칭시스템"이 있다. 이 출원서에는 옥내의 조명전등 및 각종 전기, 전자제품등에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 사용자가 직접 가서 조작할 필요 없이 수동 및 리모콘을 이용하여 원격제어하며, 원격제어범위를 벗어난 장소에서는 전화접속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전화가입주택에 아무도 없을 경우 종래에는 전화건 상대방이 일방적으로 녹음메세지를 남겨놓는 정도에 불과하였으므로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전화건 상대방이 가입자와 즉시 통화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가정이나 직장에서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방법으로 전화접속을 통해 임의의 부하를 온/오프 스위칭제어할 뿐 아니라 부재중에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올 경우 전화를 대신 받아주며, 상대방이 남긴 연락처나 녹음메세지를 가입자에게 자동으로 통보해 주고 전화국에서만 갖는 음성사서함서비스기능까지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을 나타내는 전체구성도,
도 2는 도 1 시스템의 서비스사서함을 나타내는 외형도,
도 3은 도 1 시스템의 서비스사서함을 나타내는 상세구성도,
도 4는 도 3 서비스사서함의 일부구성에 대한 상세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500 : 전화기 200 : 스위칭부군
300 : 서비스사서함 400 : 교환기
600 : 호출기 317 : 보조음성녹음부
320 : 중앙처리부(CPU) 321 : 키보드
322 : 표시부(LED) 323 : 메모리(EEPROM)
324 : 전화호출부 325 : 스피커
326 : 타이머표시부 327 : 인체감지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은, 전화기가 설치되어 있는 각 가정이나 직장에서, 그 전화기의 신호선을 통해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신호단자와, 상기 전화신호단자에 연결되어 전화를 대신 받아주며, 전화신호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명령에 따라 부하의 스위칭제어, 전화건 상대방이 남긴 연락처의 저장이나 음성메세지의 녹음, 그리고 허용된 가입자에게 메세지도착사실을 상기 전화신호단자를 통해 통보하는 서비스사서함, 및 상기 서비스사서함의 제어에 따라 다수의 부하들에 공급되는 입력전원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부군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의 전체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 시스템은 집 내부 및 외부에 각기 설치되는 전화기들(100,500)과 호출기(600), 이들(100,500,600) 상호간 연결을 위해 전화국에 설치되는 교환기(400), 임의의 부하를 "온(ON)/오프(OFF)" 스위칭하는 스위칭부군(200), 및 교환기(400)와 스위칭부군(200) 사이에 연결되며 전화선을 이용하여 부하를 스위칭제어하거나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사서함(300)으로 구성된다. 서비스사서함(30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구성은 도 2 내지 도 4에 걸쳐 도시하였다.
도 2는 도 1 시스템의 서비스사서함(300)에 대한 외형도로서, 전화라인잭에 연결된 서비스사서함(300)은 외부에서 걸려온 전화를 대신 받아주며 연락처(전화번호, 호출번호, … )나 음성녹음을 남기면 즉시 메세지도착사실을 자동으로 주인에게 알려주어 메세지도착사실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사서함(300)은 메시지도착사실을 통보받기 원하는 다른 전화나 호출기(pager)번호를 셋팅하기 위해 전화기 키패드(key-pad)처럼 다수의 숫자(0∼9)버튼과 셋팅(A∼D)버튼을 갖춘 키보드(321)를 구비한다. 그리고, 키보드(321)에 의해 몇개의 번호가 셋팅되어 있는 지를 발광표시하여 알려주는 발광다이오드(LED)로 된 표시부(322)와 현재시각을 알려주는 타이머표시부(326)를 구비한다. 본 서비스사서함(300)은 스위칭부군(200)과도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외형을 갖는 서비스사서함(3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선출원 명세서 도 3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서 중앙처리부(central processing unit; CPU)(320)에 키보드(321), 표시부(322), 그리고 타이머표시부(326)가 추가로 연결되며, 키보드(321)를 통해 셋팅된 번호들을 저장하거나 전화를 걸은 상대방의 호출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23)와,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부(327)도 추가로 연결된다. 여기서, CPU(320)는 현재시각을 계수하기 위한 타이머(timer)(미도시)를 내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모리(323)는 EEPROM을 사용한다. 또한, CPU(320)와 회선접속부(382) 사이에 가입자가 셋팅한 번호로 메세지도착사실을 통보하여 확인토록 하기 위한 전화호출부(324)가 추가로 연결된다. 여기서, 추가로 연결된 각 구성블록에 대한 상세회로도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음성메세지출력부(310)는 각 구성블록을 원칩(one-chip)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보조음성녹음부(317)를 추가로 구비하여 전화를 걸은 상대방의 녹음용량을 확대할 수 도 있다. 선출원 명세서 도 3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갖는 본 발명 도 3의 구성블록들은 선출원 명세서 도 3의 대응하는 블록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부재등으로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없을 경우, 가입자는 미리 키보드(321) 조작을 통해 연결가능한 원하는 다른 전화나 호출기번호를 셋팅한다. 즉, 가입자가 키보드(321)상의 "1"버튼과 "#"버튼을 누르면, CPU(320)는 음성메세지출력부(310)를 제어하여 스피커(325)로 "첫번째 연락처를 입력하신 후, 우물정자(#)를 누르세요"의 예와 같은 안내방송을 한다. 가입자는 그 안내방송에 따라 키보드(321)상의 숫자버튼(0∼9)을 선택적으로 눌러 호출기, 휴대폰, 일반전화기등 원하는 번호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가입자가 전화번호 "539-3980"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 키보드(321)상의 숫자버튼 "5", "3", "9", "3", "9", "8", "0" 버튼을 차례로 누른 후, "#"버튼을 누른다. 이때, CPU(320)는 음성메세지출력부(310)를 제어하여 스피커(325)로 첫번째 입력한 전화번호를 가입자가 확인토록 안내방송을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최대 4개까지 연락처 입력을 할 수 있으며, 그 이상의 확대도 가능하다. CPU(320)는 키보드(321)를 통해 입력된 번호를 메모리(323)에 저장한다. 가입자는 입력한 번호들중 연결가능한 번호들을 셋팅한다. 즉, 가입자는 첫번째로 입력한 전화번호로 연결받고자 할 경우, 키보드(321)상의 셋팅버튼 "A" 내지 "D"중 선택적으로 하나를 누르면 "온(ON)"되어 셋팅되고, 다시 한번 더 누르면 "오프(OFF)"되어 셋팅이 해제된다. 여기서도, 최대 4개까지 셋팅가능하며, 그 이상도 가능하다. 이때, CPU(320)는 표시부(322)를 구동시켜 셋팅상태를 LED로 발광표시한다. 가입자가 입력한 연락처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키보드(321)상의 숫자버튼 "1" 내지 "4"중 어느 하나의 버튼을 누른 후, "*"버튼을 누른다. 키보드(321)의 버튼입력을 받는 CPU(320)는 음성메세지출력부(310)를 제어하여 스피커(325)로 눌러진 버튼에 대응하게 입력된 번호를 확인시켜주는 안내방송을 한다. 가입자가 셋팅한 번호를 일정한 시간(대략, 5초정도) 이내에 다시 입력하면, 셋팅된 번호로 연결이 가능한지를 테스트(test)해볼 수도 있다.
이렇게 셋팅된 상태에서, CPU(320)는 접속된 전화라인을 통해 호출울림(ring tone)이 있는 지를 점검한다. 호출울림이 있으면, CPU(320)는 그 호출울림이 일정한 시간동안 계속되는 지를 판단한다. 호출울림이 일정시간동안 지속되면, CPU(320)는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않거나 부재중인 경우로 판단하고, 자동응답모드로 설정된다. CPU(320)는 음성메세지출력부(310)를 동작시켜 안내메세지(guide message)데이타를 음성신호처리부(380)로 송출한다. 그런 다음, CPU(320)는 상대방 전화기로부터 이중톤다중주파수(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신호가 전송되었는 지를 판단하기 위한 대기상태가 된다. 음성신호처리부(380)는 CPU(320)로부터의 안내메세지데이타를 전화라인을 통해 발신할 수 있는 형태로 신호처리하며, 처리된 신호는 접속된 전화라인을 통해 상대방 전화기(500)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대방은 전화수화기에서 들리는 "서비스사서함입니다. 스위칭제어를 원하시면 "1"번, 연락처 입력을 원하시면 "2"번, 음성 녹음을 원하시면 "3"번을 눌러 주세요!"의 예와 같은 안내메세지를 들을 수 있게 된다.
상대방이 위에서 언급된 예의 안내메세지를 듣고 전화기(500) 숫자버튼 "1", "2" 또는 "3"번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누르는 경우, 그때 생성되는 이중톤다중주파수(DTMF)신호는 교환기(400)를 거쳐 본 서비스사서함(300)의 톤신호처리부(386)로 전송된다. 톤신호처리부(386)는 그 신호에 해당하는 번호를 검출하여 CPU(320)로 전달한다.
이중톤다중주파수신호가 시스템연결을 위한 "1"번 버튼의 누름에 의해 발생된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CPU(320)는 스위칭세트연결부(360)를 통해 스위칭세트와 연결하여 스위칭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화접속을 통한 스위칭제어는 선출원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언급을 생략한다. 이중톤다중주파수신호가 연락처 입력을 위한 "2"번 버튼의 누름에 의해 발생된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CPU(320)는 음성메세지출력부(310)를 동작시켜 상대방이 연락처를 입력토록 음성메세지를 송출한다. 상대방은 전화수화기에서 들리는 "귀하의 연락처를 입력하신 후 별표(*)를 누르세요"의 예와 같은 안내메세지를 듣고, 연락처에 대응하는 전화기 숫자버튼을 누른 후, 별표(*)버튼을 눌러 입력한다. CPU(320)는 전화건 상대방으로부터 버튼입력이 있는 지 톤신호처리부(386)를 감시하며, 입력시 그 연락처 번호를 상대방이 정확하게 입력했는 지 확인가능토록 음성메세지출력부(310)를 동작시킨다. 음성메세지출력부(310)에서 출력된 음성메세지는 음성신호처리부(380)를 거쳐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상대방은 전화수화기에서 들리는 "귀하의 연락처는 오삼구삼구팔공입니다. 맞으면 "1"번, 틀리면 "2"번을 눌러주세요!"의 예와 같은 안내메세지를 듣고, 연락처가 제대로 입력되었으면 "1"번을, 틀리면 "2"번을 입력한다. 상대방이 "1"번 버튼을 입력하면, CPU(320)는 입력된 연락처를 전화온 시간과 함께 메모리(323)에 저장해두고, 음성메세지출력부(310)를 동작시켜 가입자에게 "입력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라는 안내메세지를 송출한 후, 상대가 전화를 끊을 때까지 대기하고 있다가 일정한 시간(대략, 10초정도) 경과 후 자동으로 전화를 끊는다. 반면, 가입자가 "2"번 버튼을 입력하면 CPU(320)는 가입자가 제대로 연락처를 재입력토록 음성메세지출력부(310)를 동작시켜 가입자에게 안내메세지를 들려준다.
이중톤다중주파수신호가 음성녹음을 위한 "3"번 버튼의 누름에 의해 발생된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CPU(320)는 이중톤다중주파수신호와 함께 발신가입자측으로부터 전송된 음성신호를 음성메세지출력부(310)에 녹음시키기 위하여, 음성메세지출력부(310) 및 음성신호처리부(380)를 제어한다. 이러한 CPU(320)의 제어에 의해, 음성메세지출력부(310)는 상대방이 음성녹음을 시작할 수 있도록 "삐"소리를 상대방 전화수화기로 송출한다. 상대방은 전화수화기에서 들리는 "삐"소리 이후 최대 20초간 남기고자 하는 음성메세지를 전송한다. 음성신호처리부(380)는 전송된 음성신호를 녹음가능한 형태로 신호처리하여 CPU(320)를 통해 음성메세지출력부(310)에 녹음한다. 이때, CPU(320)는 전화온 시간을 메모리(323)에 저장한다. 여기서, 메모리(323)는 비밀번호, 연락처 번호등의 숫자들이 저장되며, 음성메세지출력부(310)는 음성신호가 저장된다. CPU(320)는 톤신호처리부(386)를 감시하여 녹음중 상대방이 "#"버튼을 눌렀으면, 녹음이 끝난 것으로 인식하고 음성메세지출력부(310)를 제어하여 상대방 전화수화기로 "입력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의 예와 같은 안내방송을 한다. 그리고, CPU(320)는 상대방이 전화를 끊는 지를 검사하고, 일정한 시간(대략 10초 정도)이 경과되어도 끊지 아니하면 일정한 시간(대략 1분정도)을 대기한 후 전화를 끊는다.
CPU(320)는 전화가 끊어지면, 메모리(323)에 셋팅되어 있는 번호를 읽어들여 그에 대응하는 다이얼신호를 전화호출부(324)를 통해 발생하며, 발생된 다이얼신호를 회선접속부(382)를 통하여 교환기(400)로 출력한다. 교환기(400)에 의하여 발생된 다이얼신호에 해당하는 번호의 전화나 호출기와 연결되어 가입자에게 메세지도착사실을 통보한다. CPU(320)는 회선접속부(382)에 접속이 되어 가입자와 연결이 되면, 음성메세지출력부(310)를 제어하여 가입자가 서비스사서함임을 알 수 있도록 안내방송한다. 만약, 호출기번호가 셋팅된 경우 호출기의 표시창에 메모리(323)에 기억해둔 연락처번호와 전화온시간을 표시한다. 그 외에 휴대폰이나 일반 전화기인 경우, 전화접속하여 가입자에게 음성통보한다. 따라서, 가입자는 전화수화기에 들리는 "서비스사서함입니다. 총○개의 메세지가 입력되었습니다. 마지막메세지 청취는 "1"번, 전체메세지 청취는 "2"번을 눌러 주세요!"의 예와 같은 안내메세지를 들을 수 있게 된다. 가입자가 위에서 언급된 예의 안내메세지를 듣고 전화기 숫자버튼 "1" 또는 "2"번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누른다. CPU(320)는 톤신호처리부(386)를 감시하여 가입자가 몇번 버튼을 누르는 지 판별한다. CPU(320)는 가입자가 1번버튼을 눌렀으면 마지막으로 녹음된 메세지 즉, 연락처 또는 음성을 들려주고, 2번버튼을 눌렀으면 전체 메세지를 차례대로 들려준다. 이때, CPU(320)는 상대방이 남긴 메세지가 무엇인지를 확인하여 연락처입력이면 메모리(323)로부터 읽어들여 음성메세지출력부(310)를 통해 숫자를 말로 변환시켜 회선접속부(382)로 보낸다. 반면, 음성녹음이면 CPU(320)는 녹음된 위치를 가리키는 어드레스(address)를 음성메세지출력부(310)에 인가하여 그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위치에 녹음된 음성을 회선접속부(382)로 보낸다. 만약, 가입자가 어떤 번호도 누르지 않고 일정한 시간(대략, 3초정도)이 경과되면, CPU(320)는 자동으로 마지막메세지만을 통보한다. 그리고, 통보가 끝난 후 일정한 시간(대략, 1초정도) 후에 가입자에게 "다시 듣고 싶으시면 "1"번을 눌러주세요!"라는 안내메세지를 들려준다.
한편, 외부에서 가입자가 직접 전화를 걸어 확인을 하고자 할 경우, 마찬가지로 CPU(320)는 호출울림이 일정시간동안 지속되면 자동응답모드로 설정되어 안내메세지를 송출한다. 이때, 가입자는 그 안내메세지에 상관없이 전화기 숫자버튼 "4"번을 누른다. CPU(320)는 4번버튼에 해당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가입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음성메세지출력부(310)를 동작시켜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안내메세지를 출력한다. 가입자는 전화수화기에서 들리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신 후 별표(*)를 누르세요"라는 안내메세지를 듣고,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CPU(320)는 입력된 비밀번호가 약정된 비밀번호인지를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안내메세지를 출력하기 위해 음성메세지출력부(310)로 소정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음성메세지출력부(310)에 출력된 음성신호는 음성신호처리부(380)를 거쳐 가입자측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비밀번호가 틀린 경우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는 안내메세지를 3회정도 송출한 후 그때까지 비밀번호 입력이 틀릴 경우 전화를 끊는다. 가입자가 약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CPU(320)는 음성메세지출력부(310)를 제어하여 "마지막메세지는 "1"번, 전체메세지는 "2"번을 누르세요"라는 안내메세지를 송출하고, 안내가 끝난 후 1초 후 "다시 듣고 싶으시면 "1"번을 누르세요"라는 안내메세지를 송출한다. CPU(320)는 가입자의 입력버튼에 따라 녹음된 마지막메세지만을 통보하거나 전체메세지를 통보한다. 예를 들면, 녹음된 메세지가 총 3개인 경우, 전체메세지 통보시 "삼개가 입력되었습니다. 일번째 오삼구삼구팔공입니다. 이번째 … "의 예와 같은 통보를 받는다. 그리고, 가입자가 집에 돌아와서 메세지를 삭제하고자 할 경우, 키보드(321)상의 "*"버튼을 3초동안(3초이상) 누르면 CPU(320)는 음성메세지출력부(310)를 제어하여 스피커(325)로 "연락처 삭제를 원하시면 "1"번, 음성삭제를 원하시면 "2"번을 눌러 주세요!"의 예와 같은 안내방송을 한다. 가입자가 안내방송에 따라 키보드(321) 숫자버튼 "1" 또는 "2"번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누르는 경우, CPU(320)는 "1"번에 대해 메모리(323)에 남긴 연락처를 모두 삭제하고 음성메세지출력부(310)를 제어하여 스피커(325)로 "메세지가 삭제되었습니다."라는 안내메세지를 내보낸다. CPU(320)는 "2"번이 선택된 경우 음성메세지출력부(310)를 제어하여 녹음되어 있는 음성부분을 삭제하고, 스피커(325)로 "녹음이 삭제되었습니다."라는 안내방송신호를 보낸다. 가입자가 집에 돌아와서 메세지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키보드(321)상의 "#"버튼을 3초동안(3초이상) 누르면, CPU(320)는 음성메세지출력부(310)를 제어하여 스피커(325)로 "연락처 확인을 하시려면 "1"번, 음성확인을 하시려면 "2"번을 눌러 주세요!"의 예와 같은 안내방송을 한다. 가입자가 안내방송에 따라 키보드(321) 숫자버튼 "1" 또는 "2"번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누르는 경우, CPU(320)는 "1"번에 대해 메모리(323)에 남긴 연락처를 읽어내며, 음성메세지출력부(310)를 통해 연락처 숫자를 말로 변환시켜 스피커(325)로 출력한다. CPU(320)는 "2"번이 선택된 경우 음성메세지출력부(310)를 제어하여 녹음되어 있는 음성을 스피커(325)로 출력한다.
한편, CPU(320)의 제어하에 인체감지부(327)가 작동시, 적정위치에 설치된 인체감지부(327)는 가입자 부재중 외부 방문자나 침입자의 인체움직임을 감지하여 CPU(320)에 알려준다. 이때, CPU(320)는 자동으로 전화호출부(324)를 통해 가입자가 메모리(323)에 셋팅시켜 놓은 호출기나 전화번호로 접속하여 가입자에게 몇시몇분에 방문자가 있었음을 알 수 있게 해줄 수도 있다. 본 서비스사서함(300)은 기기제작시 비밀번호(password)가 설정되어 나오며, 설정된 비밀번호는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은, 일반가정이나 직장에서도 간단하게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임의의 부하를 원격으로 제어할 뿐 아니라 전화를 자동으로 수신하여 전화 걸어온 상대방의 연락처나 상대방이 남긴 녹음을 가입자에게 자동으로 신속히 통보해줄 수 있으며 전화국이나 가입기지국에서만 제공하던 사서함서비스를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각각의 기능을 위한 별도의 장비 및 사용료 지불이 필요없게 되어 경제적이며,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서 통신 및 생활의 편리함과 이용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9)

  1. 전화기가 설치되어 있는 각 가정이나 직장에서, 그 전화기의 신호선을 통해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신호단자;
    상기 전화신호단자에 연결되어 전화를 대신 받아주며, 전화신호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명령에 따라 부하의 스위칭제어, 전화건 상대방이 남긴 연락처의 저장이나 음성메세지의 녹음, 그리고 허용된 가입자에게 메세지도착사실을 상기 전화신호단자를 통해 통보하는 서비스사서함; 및
    상기 서비스사서함의 제어에 따라 다수의 부하들에 공급되는 입력전원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부군을 포함하는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사서함은
    통보받고자 하는 전화나 호출기번호를 셋팅하기 위한 키보드;
    상기 키보드에 의한 셋팅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수신되는 입력명령에 대응하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CPU;
    상기 CPU의 제어하에, 상기 키보드에 의해 셋팅되는 번호 및 전화건 상대방의 연락처 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소정 음성안내메세지를 사전에 저장하고, 상기 CPU의 제어하에, 해당 음성안내메세지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며 전화건 상대방의 음성을 저장 및 출력하는 음성메세지출력부;
    상기 음성메세지출력부의 음성신호를 상기 전화신호단자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신호처리하며, 수신되는 톤신호를 검출하는 음성신호처리부;
    상기 전화신호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다이알신호를 검출하는 다이알신호검출부; 및
    상기 CPU의 제어하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셋팅된 번호의 전화나 호출기로 연결하기 위한 전화호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현재시각을 계수하기 위한 타이머를 내장하며,
    현재시각을 표시하기 위한 타이머표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의 검출신호를 판별하며,
    판별결과, 시스템연결을 위한 경우이면 소정 부하를 온/오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판별결과, 연락처 입력을 위한 경우이면 상기 음성메세지출력부에서 그에 따른 안내메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이에 따라 입력되는 전화건 상대방 연락처 번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하며,
    판별결과, 음성녹음을 위한 경우이면 상기 음성메세지출력부에서 그에 따른 안내메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이에 따라 입력되는 전화건 상대방 음성신호를 상기 음성메세지출력부에 녹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상기 메모리에 전화건 상대방의 연락처 번호를 저장시 및 상기 음성메세지출력부에 전화건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녹음시 전화가 걸려온 시간이 함께 저장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걸려온 전화를 받아 메세지를 녹음하면, 이를 가입자에게 통보하기 위해 상기 전화호출부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셋팅된 번호로 연결하며, 상기 음성메세지출력부에서 가입자의 녹음된 메세지 청취에 따른 안내메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이에 따라 입력되는 가입자 선택에 따라 녹음된 마지막메세지나 전체메세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의 검출신호가 가입자의 녹음된 메세지확인을 위한 경우이면,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약정된 비밀번호인지를 판별하고, 약정된 비밀번호인 경우에만 녹음된 마지막메세지와 전체메세지를 가입자 선택에 따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상기 키보드에 의해 메세지 삭제나 확인이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세지출력부에서 메세지 삭제나 확인에 따른 안내메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이에 따라 입력되는 가입자 선택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연락처나 상기 음성메세지출력부에 녹음된 음성을 삭제나 청취토록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집의 적정위치에 설치되어 방문자나 외부 침입자의 인체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CPU는 상기 인체감지부에서 인체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전화호출부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셋팅된 번호로 연결하여 이를 가입자에게 자동으로 통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
KR1019980025492A 1998-06-30 1998-06-30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 KR20000004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5492A KR20000004095A (ko) 1998-06-30 1998-06-30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
BR9906565-7A BR9906565A (pt) 1998-06-30 1999-06-30 Sistema de caixa postal pessoal usando linha telefônica
EP99928217A EP1038383A2 (en) 1998-06-30 1999-06-30 Personal post office box system using telephone line
CA002302519A CA2302519A1 (en) 1998-06-30 1999-06-30 Personal post office box system using telephone line
CN99801038A CN1273734A (zh) 1998-06-30 1999-06-30 使用电话线的个人邮电信箱系统
IDW20000398A ID24189A (id) 1998-06-30 1999-06-30 Sistim kotak kantor pos pribadi yang menggunakan saluran telepon
AU45322/99A AU4532299A (en) 1998-06-30 1999-06-30 Personal post office box system using telephone line
JP2000557578A JP2002519938A (ja) 1998-06-30 1999-06-30 電話回線を使った個人用私書箱システム
PCT/KR1999/000350 WO2000001107A2 (en) 1998-06-30 1999-06-30 Personal post office box system using telephone 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5492A KR20000004095A (ko) 1998-06-30 1998-06-30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095A true KR20000004095A (ko) 2000-01-25

Family

ID=19541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5492A KR20000004095A (ko) 1998-06-30 1998-06-30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038383A2 (ko)
JP (1) JP2002519938A (ko)
KR (1) KR20000004095A (ko)
CN (1) CN1273734A (ko)
AU (1) AU4532299A (ko)
BR (1) BR9906565A (ko)
CA (1) CA2302519A1 (ko)
ID (1) ID24189A (ko)
WO (1) WO200000110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387B1 (ko) * 2001-11-06 2003-11-2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음성사서함으로부터 음성메시지를 자동으로 내려받는 방법및 이를 구현한 휴대전화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8654A1 (fr) * 1989-06-20 1990-12-21 Alcatel Business Systems Equipement de messagerie vocale pour autocommutateur
US5153905A (en) * 1989-11-27 1992-10-06 Dictaphone Corporation Priority voice message delivery system
JPH0832618A (ja) * 1994-07-14 1996-02-02 Hitachi Ltd 音声メールシステムおよび音声メール交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387B1 (ko) * 2001-11-06 2003-11-2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음성사서함으로부터 음성메시지를 자동으로 내려받는 방법및 이를 구현한 휴대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532299A (en) 2000-01-17
WO2000001107A3 (en) 2000-04-13
ID24189A (id) 2000-07-13
JP2002519938A (ja) 2002-07-02
CN1273734A (zh) 2000-11-15
CA2302519A1 (en) 2000-01-06
EP1038383A2 (en) 2000-09-27
BR9906565A (pt) 2002-02-13
WO2000001107A2 (en) 200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7045A (en) Identifying telephone controller system
US67214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or forwarding messages
JPS60103834A (ja) 個人呼出通信システム
KR20070024326A (ko)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발신자번호 표시단말기, 통신 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서비스 방법 및 발신자번호 표시단말기에서의 비상착신서비스방법
US6597766B1 (en) Telephone apparatus
KR20000004095A (ko) 전화선을 이용한 개인용 서비스사서함시스템
JPH10308975A (ja) 携帯電話機
KR1006773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알람 및 모닝콜 원격 제어 방법
KR10089515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부재상황 알림 방법
JP3467104B2 (ja) 無線電話システム及び無線電話機
KR1004557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
JP3054145U (ja) 電話番号告知装置
JPH11341142A (ja) 電話番号告知装置
MXPA00002055A (en) Personal post office box system using telephone line
KR20000001188A (ko) 모닝콜 원격 제어방법
JPH07236171A (ja) 構内無線基地局システム
KR20000046048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사서함 서비스에서 메시지수신 통보 및 자동호출 방법
KR19990032252A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수신된 메시지 유무 상태 안내 방법
CA2194923A1 (en) System for generating aural announcements within a premises using switch and premises phone or speaker
JPH11102493A (ja) 泣き声通知装置
IL107096A (en) Telephone call filtering device
JPS62285557A (ja) 保留応答電話機
JP2004112043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9980041131U (ko) 무선호출자 안내표시장치
JPS63312759A (ja) 電話の発信元識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