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313A -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 - Google Patents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313A
KR20000003313A KR1019980024540A KR19980024540A KR20000003313A KR 20000003313 A KR20000003313 A KR 20000003313A KR 1019980024540 A KR1019980024540 A KR 1019980024540A KR 19980024540 A KR19980024540 A KR 19980024540A KR 20000003313 A KR20000003313 A KR 20000003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suspension
commercial vehicle
coupling end
stabiliz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두식
성윤제
Original Assignee
김무
삼성상용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 삼성상용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무
Priority to KR1019980024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3313A/ko
Publication of KR20000003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31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작업성의 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장착 공간의 확보에 따르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한 본 고안은 양측 프론트액슬(2)의 너클스핀들(4)에 콘트롤아암(6)(8)이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양측의 콘트롤아암(6)(8)이 프레임(10)의 크로스멤버(7) 프론트부 양측으로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양측의 콘트롤아암(6)과 프레임(10) 양측 부위가 쇽업소우버(14)의 양단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한 한 쌍의 콘트롤아암(6)을 스테빌라이져(22)(24)로 연장시킨 구조로 구성되는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한 스테빌라이져(22)(24)는 콘트롤아암(6)의 위상 상태에 따라 절곡되도록 분할 상태하에서 힌지수단에 의해 서로 연장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
본 발명은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롤링을 방지하기 위한 스태빌라이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승차감을 좋게 하기 위한 프론트서스펜션은 가장 오래전부터 위시본형의 것이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특히 상용차량에 적용되는 프론트서스펜션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액슬(52)이 결합되는 콘트롤아암(58)과 프레임(56) 사이에 쇽업소우버(54)를 개재시킨 구조로 조합되어 있다.
즉, 코일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되어 직립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쇽업소우버(54)의 상,하단부가 각각 상응되는 부위의 콘트롤아암(58) 및 프레임(56)에 리테이너부(60)를 형성하여 이들에 쇽업소우버(54)의 상,하단부가 각각 고정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프론트액슬(52) 및 콘트롤아암(58)으로부터 프레임(56)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 완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차량이 좌우 요철이 불균형한 노면을 통과하면 자연히 프론트휠 좌우에 위상차이가 발생되며, 이 위상차이에 의해서 차량의 롤링(Rolling)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바퀴의 위상차이를 줄이며, 바퀴의 복원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스테빌라이져(62)에 의해 프레임(56)과 콘트롤아암(58)을 연결시키고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콘트롤아암(58)에 힌지 결합된 브라킷(70)과 링크(72)가 힌지 결합되어 있고, 이러한 링크(72) 단부에 스테빌라이져(62)가 힌지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스테빌라이져(62)는 프레임(56)의 프론트부 하측으로 연장된 리테이너(74)들을 관통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56)과 콘트롤아암(58)이 간접적으로 결합되므로 스테빌라아져(62)의 비틀림에 의한 토션력에 의해 프레임(56)의 편측 리바운싱을 억제시키게 되며, 편측 리바운싱에 의한 롤링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은 스테빌라이져가 다수 부품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공정수가 많고 긴 조립작업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작업성이 나쁘게 되고 생산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또한 소정의 공간을 필요로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공간확보에 따르는 어려움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성이 개선됨과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장착공간확보의 어려움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되는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상용차량의 종래 프론트서스펜션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상용차량의 종래 프론트서스펜션을 상세히 나타내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을 상세히 나타내기 위한 부분확대 분해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일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프론트액슬 4 : 너클스핀들
6 : 로워콘트롤아암 7 : 크로스멤버
8 : 어퍼콘트롤아암 9 : 토션바
10 : 프레임 14 : 쇽업소우버
22,24 : 스테빌라이져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 프론트액슬의 너클스핀들에 콘트롤아암이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양측의 콘트롤아암이 프레임 상측과 크로스멤버 양측으로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양측의 콘트롤아암과 프레임 양측 부위가 쇽업소우버의 양단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한 한 쌍의 콘트롤아암이 스테빌라이져로 연장되고, 상기한 스테빌라이져는 콘트롤아암의 위상 상태가 상이할 경우 절곡되도록 분할 상태하에서 힌지수단에 의해 서로 연장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을 제공한다.
상기한 힌지수단은 일측 스테빌라이져의 내측단이 부분절취됨에 따라 돌출 형상으로 형성된 로워콘트롤아암과 크로스멤버의 핀결합단부와, 상기 핀결합단부가 굴곡되도록 말려짐에 의해 그 중앙부위가 감싸여진 상태로 핀결합단부와 결합되는 힌지핀과, 타측 스테빌라이져의 내측단이 상기 힌지핀을 유동 가능한 상태로 감싸 구속시킬 수 있도록 절곡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핀결합단부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맞추어져 끼워지는 홈이 핀결합단부의 폭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로 파여진 결합단으로 이루어지는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을 제공한다.
분할 상태하에서 힌지수단에 의해 서로 연장결합되는 상기한 스테빌라이져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콘트롤아암의 위상 상태가 상이할 경우에만 스테빌라이져의 분리된 중앙부분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만곡되면서 탄력을 발하게 되고, 콘트롤아암의 위상상태가 같을 경우에는 즉, 양측의 바운싱-리바운싱이 동일한 경우에는 기존의 쇽업소우버와 토션바 및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힘을 받고, 스테빌라이져는 만곡되지 않아 힘을 받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3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프론트액슬(2)의 너클스핀들(4)과 로워콘트롤아암(6) 토션바(9) 및 어퍼콘트롤아암(8)이 각각 힌지 결합된 위시본형의 프론트서스펜션에 적용된다.
또, 상기 양측의 로워콘트롤아암(6) 및 어퍼콘트롤아암(8)은 프레임(10) 및 크로스멤버(7) 프론트부 양측으로 각각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의 로워콘트롤아암(6)과 토션바(9), 그리고 크로스멤버(7) 양측 부위가 쇽업소우버(14)의 양단과 힌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로워콘트롤아암(6)을 스프링타입의 스테빌라이져(22) (24)로 연장시키고 있으며, 상기한 스테빌라이져(22)(24)는 로워콘트롤아암(6)의 위상 상태가 상이할 경우에만 절곡되고, 위상이 동일할 경우에는 절곡되지 않고 단순회전이 가능한 분할 상태하에서 힌지수단에 의해 서로 연장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힌지수단은 부분절취됨에 따라 돌출 형상으로 형성된 핀결합단부(20)가 일측 스테빌라이져(22)의 내측단 부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결합단부(20)에 결합되는 힌지핀(26)인 볼트의 중앙부위가 상기 핀결합단부(20)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힌지핀(26)을 유동 가능한 상태로 감싸 구속시킬 수 있도록 절곡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핀결합단부(20)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맞추어져 끼워지는 홈(28)이 핀결합단부(20)의 폭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로 파여진 결합단(30)을 타측 스테빌라이져(24)의 내측단으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어 결합핀(26)의 좌우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분할 상태하에서 힌지수단에 의해 서로 연장결합되는 상기한 스테빌라이져(22)(24)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크로스멤버(7)과 로워콘트롤아암(6)을 탄력적으로 고정시키게 되고(도 5 내지 도 8 참조) 이로써, 쇽업소우버(14)와 토션바(9)의 작용에 의한 프레임(10)의 리바운싱이 억제되도록 함과 아울러, 불균형 상태의 리바운싱에 의한 롤링현상의 발생이 스테빌라이져(22)(24)에 의해 방지된다.
상기 본 발명은 분리 상태로 형성된 스테빌라이져가 힌지 결합된 상태하에서 간단히 장착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립공정수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조립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작업성의 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장착 공간의 확보에 따르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양측 프론트액슬(2)의 너클스핀들(4)에 콘트롤아암(6)(8)이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양측의 콘트롤아암(6)(8)이 프레임(10)의 프론트부 양측으로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양측의 콘트롤아암(6)과 프레임(10) 양측 부위가 쇽업소우버(14)의 양단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한 한 쌍의 콘트롤아암(6)을 스테빌라이져(22)(24)로 연장시킨 구조로 구성되는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한 스테빌라이져(22)(24)는 콘트롤아암(6)의 위상 상태에 따라 절곡되도록 분할 상태하에서 힌지수단에 의해 서로 연장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힌지수단은
    일측 스테빌라이져(22)의 내측단이 부분절취됨에 따라 돌출 형상으로 형성된 핀결합단부(20);
    상기 핀결합단부(20)가 굴곡되도록 말려짐에 의해 그 중앙부위가 감싸여진 상태로 핀결합단부(20)와 결합되는 힌지핀(26); 및
    타측 스테빌라이져(24)의 내측단이 상기 힌지핀(26)을 유동 가능한 상태로 감싸 구속시킬 수 있도록 절곡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핀결합단부(20)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맞추어져 끼워지는 홈(28)이 핀결합단부(20)의 폭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로 파여진 결합단(30)으로 이루어지는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
  3. 제 1항에 있어서, 분할 상태하에서 힌지수단에 의해 서로 연장결합되는 상기한 스테빌라이져(22)(24)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
KR1019980024540A 1998-06-27 1998-06-27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 KR20000003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540A KR20000003313A (ko) 1998-06-27 1998-06-27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540A KR20000003313A (ko) 1998-06-27 1998-06-27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313A true KR20000003313A (ko) 2000-01-15

Family

ID=19541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540A KR20000003313A (ko) 1998-06-27 1998-06-27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33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229A (ko) * 2016-10-18 2019-03-21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자동차 휠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229A (ko) * 2016-10-18 2019-03-21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자동차 휠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96658A (en) Rear wheel suspension with a transverse leaf spring
US5558361A (en) Suspension system for front wheels of a low-body bus
EP1120299A1 (en) Mounting structure for suspension V-Rod
KR20000003313A (ko)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
JPH04159110A (ja) トレーリングツイストビーム式リヤサスペンション
KR0176315B1 (ko) 리프 스프링식 현가 장치의 스프링 지지구조
KR100369041B1 (ko) 버스의 리어현가장치
KR100423307B1 (ko) 사륜구동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KR19990047759A (ko) 탄성 링크를 이용한 독립식 후륜 현가장치
KR0180373B1 (ko) 자동차의 판 스프링형 독립 현가장치
KR10047182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0507148B1 (ko) 차체프레임을 이용한 전륜 현가장치
JP2001039133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199759B1 (ko) 크로스멤버 내장형 보조스프링겸용 스테빌라이저
KR100201471B1 (ko) 자동차용 독립현가식 현가장치
JPS607207Y2 (ja) 車輛用独立懸架装置
JPS5930721Y2 (ja) スタビライザバ−のための支持装置
KR100192331B1 (ko) 화물트럭용 2축식 현가장치
KR100580491B1 (ko)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
KR100471806B1 (ko) 상용차의 리어현가장치구조
KR20020055003A (ko) 롤링 억제 기능을 가진 듀얼링크 리어 서스펜션
JPH0810011Y2 (ja) ストラット式サスペンション
JPH06286443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3822319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9980038190U (ko) 2중링크식 리어서스펜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