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770A - 모터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모터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770A
KR20000002770A KR1019980023679A KR19980023679A KR20000002770A KR 20000002770 A KR20000002770 A KR 20000002770A KR 1019980023679 A KR1019980023679 A KR 1019980023679A KR 19980023679 A KR19980023679 A KR 19980023679A KR 20000002770 A KR20000002770 A KR 20000002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output
current
current mirr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회영
Original Assignee
김덕중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중,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덕중
Priority to KR1019980023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2770A/ko
Publication of KR20000002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7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2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1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ircuit arrangement or by the kind of wi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6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 H02P7/1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 H02P7/24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P7/2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입력 단자로서 로딩 모터를 구동하는 로딩 모터 구동 회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1 구동수단과 제2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동수단과 제2 구동수단은 입력전압 또는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입력단 구동회로와, 전원과 상기 입력단 구동회로 사이에서 상기 입력단 구동회로의 제어에 의하여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하여서 출력하는 제1 전류 미러회로와, 상기 입력단 구동회로와 접지 사이에서 전류원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상기 입력단 구동회로의 출력을 접지로 스위칭하는 제2 전류 미러회로와, 상기 제1 전류 미러회로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전원을 스위칭하는 전류 공급회로와, 상기 전류 공급회로와 접지 사이에서 상기 전류 공급회로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전류 공급회로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제3 전류 미러회로와, 상기 제3 전류 미러회로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전원을 스위칭하고, 이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4 전류 미러회로 및 전원과 접지 사이에서 상기 전류 공급회로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전원이 스위칭되어 상기 모터로 출력되고, 상기 제1 구동수단의 제4 전류 미러회로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와 상기 제2 구동수단의 제4 전류 미러회로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제어신호가 서로 바뀌어 입력되어 출력을 접지로 스위칭하는 출력단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터 구동 회로
본 발명은 모터(Motor)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입력 단자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구성되어서,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 Compact Disc Player), 비디오 카세트 레코드(VCR: Video Cassette Recorder), 장난감 및 화장실용 비데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로딩(Loading) 모터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딩 모터 구동회로는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 비디오 카세트 레코드(VCR), 장난감 및 비데 등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에 디스크를 로딩하거나 언로딩(Unloading)하는 경우에, 로딩모터 구동 회로는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동작시켜서 디스크를 로딩 또는 언로딩시킨다.
로딩 모터 구동 회로는 사용 용도에 따라서 입력 조건이 조금씩은 상이하지만 결과적으로 동일한 출력으로 직류 모터를 동작시키며 출력 양단의 전압차를 이용하여 DC 모터를 회전시킨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두 개의 입력을 사용하여서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정회전, 역회전, 브레이크 및 정지의 4가지의 동작특성이 생기는데, 상기 두 개의 입력으로 인하여 모터 구동 회로가 보다 복잡하게 구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입력 단자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구성되어서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 비디오 카세트 레코드(VCR), 장난감 및 비데 등에 사용되는 로딩 모터를 구동하는 로딩 모터 구동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모터 구동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터 구동 회로는 가변되는 입력신호에 의하여 출력 전압의 레벨을 전이하는 레벨 쉬프트부와, 상기 레벨 쉬프트부에서 전이되는 출력 전압의 레벨에 따라서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모터의 양단에서 상기 모터를 구동하도록 제1 구동수단과 제2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수단과 제2 구동수단은 입력전압 또는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입력단 구동회로; 전원과 상기 입력단 구동회로 사이에서 상기 입력단 구동회로의 제어에 의하여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하여서 출력하는 제1 전류 미러회로; 상기 입력단 구동회로와 접지 사이에서 전류원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상기 입력단 구동회로의 출력을 접지로 스위칭하는 제2 전류 미러회로; 상기 제1 전류 미러회로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전원을 스위칭하는 전류 공급회로; 상기 전류 공급회로와 접지 사이에서 상기 전류 공급회로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전류 공급회로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제3 전류 미러회로; 상기 제3 전류 미러회로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전원을 스위칭하고, 이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4 전류 미러회로; 및 전원과 접지 사이에서 상기 전류 공급회로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전원이 스위칭되어 상기 모터로 출력되고, 상기 제1 구동수단의 제4 전류 미러회로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와 상기 제2 구동수단의 제4 전류 미러회로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제어신호가 서로 바뀌어 입력되어 출력을 접지로 스위칭하는 출력단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모터 구동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터 구동 회로는 모터(140)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입력부(110), 레벨 쉬프트부(120) 및 구동부(130)를 구비한다.
입력부(110)는 기준 전압(VREF), 입력 신호(IN) 및 제어 신호(CTL)를 입력하여, 기준 전압(VREF)을 기준으로 하여 입력 신호(IN)와 제어 신호(CTL)에 따라 해당되는 출력신호(OUT1)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입력부(110)는 증폭부(112) 및 저항 소자들(114,116)로 구성된다.
증폭부(112)는 비반전 입력 단자(+)로 기준 전압(VREF)을 입력하고, 반전 입력 단자(-)가 저항 소자(114)를 통하여 제어 신호(CTL) 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반전 입력 단자(-)와 비반전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들을 비교하여 이에 따라 해당되는 출력신호(OUT1)를 발생한다.
저항 소자(114)는 입력 신호(IN) 단자와 제어 신호(CTL)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신호(CTL) 단자는 증폭부(112)의 반전 입력 단자(-)로 접속된다. 저항 소자(116)는 제어 신호(CTL) 단자와 증폭부(112)의 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다.
레벨 쉬프트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출력신호(OUT1)를 입력하여 이에 따라 출력 단자들(125,126)의 레벨(Level)들을 전이(Shift)한다.
구동부(130)는 저항 소자들(131 내지 134), 제1 구동 수단(135) 및 제2 구동 수단(136)을 구비한다.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 소자(131)(132)는 레벨 쉬프트부(120)의 양 출력 단자(125)(126) 사이에 연결된다.
제1 구동 수단(135)은 레벨 쉬프트부(120)의 출력 단자(125)와 모터(140)의 한 단자인 제1 패드(PAD1)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레벨 쉬프트부(120)의 출력 단자(125)로부터 인가되는 도 2에서 도시된 신호(V1)를 입력하고, 이의 전이 크기를 감지하여 이에 따라 해당되는 방향으로의 전류 경로를 형성한다.
제2 구동 수단(136)은 레벨 쉬프트부(120)의 출력 단자(126)와 모터(140)의 다른 단자인 제2 패드(PAD2)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레벨 쉬프트부(120)의 출력 단자(126)로부터 인가되는 도 3에서 도시된 신호(V2)를 입력하고, 이의 전이 크기를 감지하여 이에 따라 해당되는 방향으로의 전류 경로를 형성한다.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 소자(133)(134)는 제1 구동수단(135)와 제2 구동수단(136)의 출력에서 모터(140)와 병렬로 연결된다.
제1 구동 수단(135)은 전류원(202), 입력단 구동회로(205), 제1 전류 미러회로(204), 제2 전류 미러회로(206), 전류 공급회로(207), 제3 전류 미러회로(208), 제4 전류 미러회로(210) 및 출력단 구동회로(209)로 구성된다.
제2 구동 수단(136)은 전류원(302), 입력단 구동회로(305), 제1 전류 미러회로(304), 제2 전류 미러회로(306), 전류 공급회로(307), 제3 전류 미러회로(308), 제4 전류 미러회로(310) 및 출력단 구동회로(309)로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1 구동 수단(135)과 제2 구동 수단(136)은 출력단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를 서로 바꾸어서 사용한다는 점만 제외하고, 동일한 회로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주로 도 2에 의한 제1 구동 수단(135)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류원(202)은 능동소자인 트랜지스터 등으로 구성되어서, 전원(VCC)에 한 단자가 접속되어 전류원(Current Source)으로서 동작한다.
입력단 구동회로(205)는 입력전압(V1)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NPN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제1 제어 스위칭 소자(212)와, 모터(140)의 제1 패드(PAD1)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NPN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제2 제어 스위칭 소자(214) 및 제1 제어 스위칭 소자(212)와 제2 제어 스위칭 소자(214)의 양 출력단에서 제1 제어 스위칭 소자(212)를 제어하도록 입력되는 입력전압(V1)의 최대허용크기를 설정하는 저항(226)으로 구성된다.
제1 전류 미러회로(206)는 입력단 구동회로(205)의 출력에 의하여 제2 전류 미러회로(204)의 제4 스위칭 소자(Q4)와 제5 스위칭 소자(216)에 흐르는 전류를 미러링(mirroring)하기 위하여 최대스윙폭을 제한하는 저항(R3)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VCC)을 스위칭하는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제1 스위칭 소자(Q1) 및 입력단 구동회로(205)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어서 최대스윙폭을 제한하는 저항(R4)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VCC)을 스위칭하는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제2 스위칭 소자(Q2)로 구성된다.
제1, 제2 스위칭 소자(Q1)(Q2)에 흐르는 전류는 입력단 구동회로(205)에 인가되는 입력전압(V1)의 전위에 의하여 스위칭되고, 출력전류는 전류공급회로(207)의 제6 스위칭 소자(218) 및 제7 스위칭 소자(220)의 베이스로 인가된다.
제2 전류 미러회로(204)는 전류원(202)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VCC)이 베이스와 연결된 콜렉터로 인가되고, 이에 따라서 전원(VCC)을 저항(R1)을 통하여 접지로 스위칭하는 NPN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제3 스위칭 소자(Q3)와, 전류원(202)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VCC)이 베이스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서 제1 제어 스위칭 소자(212)의 출력을 접지로 스위칭하는 NPN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제4 스위칭 소자(Q4) 및 전류원(202)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VCC)이 베이스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서 제2 제어 스위칭 소자(214)의 출력을 접지로 스위칭하는 제5 스위칭 소자(216)로 구성된다.
전류 공급회로(207)는 제1 전류 미러회로(206)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어서 저항(230)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VCC)을 스위칭하고, 이에 따른 출력을 발생하는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제6 스위칭 소자(218) 및 제6 스위칭 소자(218)와 병렬로 구성되고, 제1 전류 미러회로(206)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어서 저항(232)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VCC)을 스위칭하며, 이에 따른 다른 출력을 발생하는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제7 스위칭 소자(220)로 구성된다.
제3 전류 미러회로(208)는 전류 공급회로(207)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어서 제6 스위칭 소자(218)의 출력을 저항(R5)을 통하여 접지로 스위칭하는 NPN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제8 스위칭 소자(Q5) 및 전류 공급회로(207)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어서 저항(R6)을 통하여 제어되어서 출력을 접지로 스위칭하는 NPN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제9 스위칭 소자(Q6)로 구성된다.
제4 전류 미러회로(210)는 제3 전류 미러회로(208)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어서 저항(R7)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VCC)을 스위칭하는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제10 스위칭 소자(Q7) 및 제3 전류 미러회로(208)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어서 저항(R8)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VCC)을 스위칭하고, 이에 따른 출력을 발생하는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제11 스위칭 소자(Q8)로 구성된다.
출력단 구동회로(209)는 전류 공급회로(207)의 다른 출력 즉, 제7 스위칭 소자(220)의 콜렉터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어서 전원(VCC)을 출력하는 NPN 형 바이폴라 전력 트랜지스터인 제1 구동소자(222) 및 제1 구동소자(222)와 접지 사이에서 연결되고, 제2 구동수단(136)의 제4 전류 미러회로(310)의 다른 출력 즉, 제4 전류 미러회로(310)의 제7 스위칭 소자(Q18)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어서 제1 구동소자(222)의 출력을 접지로 인가하는 제2 구동소자(224)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2와 동일한 회로로 구성되는 제2 구동수단(136)을 나타낸 도면인데, 제1 구동수단(135)의 제4 전류 미러회로(210)의 제7 스위칭 소자(2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와 제2 구동수단(136)의 제4 전류 미러회로(310)의 제7 스위칭 소자(Q18)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제2 구동소자(224)(324)로 서로 바뀌어 입력됨으로써 제1 패드(PAD1) 또는 제2 패드(PAD2)로 인가되는 출력을 접지로 스위칭하도록 하는 구성만이 서로 다르고,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제2 구동수단(136)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입력부(110)에서 전압(VREF)은 기준 전압으로 설정된다. 입력부(110)는 기준 전압(VREF)을 기준으로 하여 입력 신호 단자(IN)의 전압 레벨이 하이('H') 혹은 로우('L') 시에 입력부(110)의 출력신호(OUT1)가 변화되고, 이에 따라서 모터(14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110)의 이득은 저항 소자들(114,116)의 각 저항값(RD1,RD2)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입력부(110)의 이득은 -RD2/RD1로써 주어진다. 여기서, 저항 소자(114)는 증폭부(112)의 이득이나 모터(140)의 속도를 결정하는 저항이다.
모터(14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입력 신호 단자(IN)에 도시되지 않은 외부 저항(Rext)을 직렬로 더 구비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득을 -RD2/(RD1+Rext)로 하여 전류를 줄임으로써 회전 속도를 낮출 수 있다.
모터(14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제어 신호 단자(CTL)에 도시되지 않은 외부 저항(Rext)을 저항 소자(114)와 병렬로 연결하여 이득을 -RD2/(RD1||Rext)로 하여 전류를 증대시켜서 회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레벨 쉬프트부(120)는 입력부(110)에서 출력되는 전류(I)를 이용하여 출력 단자들(125,126)의 전압들(V1,V2)을 변화시킨다. 이때, 상기 변화되는 전압들(V1,V2)에 따라서 레벨 쉬프트부(120)에서 출력되는 전류(I)도 전류(+△I)와 전류(-△I)로 각각 변화된다. 이에 따라서, 레벨 쉬프트부(120)의 출력 단자들(125,126)의 전압들(V1,V2)은 각각 변화된 전압들(V1',V2')로 전이된다.
여기서 전압(V1')은 V1+(△I×R31)이고, 전압(V2')은 V1-(△I×R32)이다. R31과 R32는 각각 저항 소자(131)와 저항 소자(132)의 저항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레벨 쉬프트부(120)의 출력 단자들(125,126)은 각각 +△V와 -△V의 전압값 변화가 발생된다.
구동부(130)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하이브리지(H-Bridge) 형태이고, 전력 트랜지스터들(222,224,322,324)을 사용하여 모터(140)가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하의 전력 트랜지스터들(222,224,322,324)이 베이스로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전원(VCC)을 스위칭하여 모터(140)의 토오크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입력부(110)의 입력 신호 단자(IN)에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서 레벨 쉬프트부(120)의 출력 단자(125)의 전압이 전압(V1)으로부터 전압(V1')으로 +△V만큼 상승되면, 제1 구동 수단(135)을 구성하는 입력단 구동회로(205)의 제1 제어 스위칭 소자(212)의 베이스에 하이가 인가되기 때문에 제1 제어 스위칭 소자(212)는 턴온된다.
제1 제어 스위칭 소자(212)의 턴온에 의하여 베이스로 하이가 인가되는 제1 전류 미러회로(206)의 제1 스위칭 소자(Q1)는 턴온된다. 이 때, 베이스에 저전위가 인가되어 있는 제2 제어 스위칭 소자(214)는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서, 전류 공급회로(207)의 제6 스위칭 소자(218)와 제7 스위칭 소자(220) 그리고 제3 전류 미러회로(208)의 제8, 제9 스위칭 소자(Q5,Q6), 출력단 구동회로(209)의 제1 구동소자(222)는 턴오프된다.
또한, 입력부(110)의 입력 신호 단자(IN)에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레벨 쉬프트부(120)의 출력 단자(126)의 전압이 전압(V2)으로부터 전압(V2')으로 -△V만큼 하강되면, 제2 구동 수단(136)의 입력단 구동회로(305)의 제2 제어 스위칭 소자(314)는 턴온되고, 제2 구동 수단(136)의 제1 제어 스위칭 소자(312), 제1 스위칭 소자(Q13), 제2 스위칭 소자(312,Q13,Q14)는 상기 -△V만큼 하강된 전압에 의하여 턴오프되며, 턴온된 제2 제어 스위칭 소자(314)에 의하여 베이스로 저전위가 공급되는 전류 공급회로(307)의 제6 및 제7 스위칭 소자(318,320)는 턴온되어서 제2 구동수단(136)의 출력단 구동회로(309)의 제1 구동소자(322)는 턴온된다.
한편, 제6 스위칭 소자(318)의 턴온에 의하여 제3 전류 미러회로(308)가 턴온되고, 상기 제3 전류 미러회로(308)의 턴온에 의하여 제4 전류 미러회로(310)가 턴온되며, 이에 따라서 제1 구동수단(135)의 출력단 구동회로(209)의 제2 구동소자(224)가 턴온된다.
제6 스위칭 소자(318)의 콜렉터 단자에 흐르는 전류(IC318)는 아래의 수학식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 및 제4 전류 미러회로(308,310)의 트랜지스터들(Q15 내지 Q18)의 콜렉터 단자들에 흐르는 전류들(ICQ15 내지 ICQ18)과 동일하게 되고, 동시에 제1 구동 수단(135)의 출력단 구동회로(209)의 제2 구동소자(224)의 베이스 단자에 흐르는 전류(IB224)와 동일하게 된다.
IC318=ICQ15=ICQ16=ICQ17=ICQ18=IB224
이때, 제2 구동소자(224)의 콜렉터 단자 전류(IC224)는 베이스 단자로 공급되는 전류(IB224)가 제2 구동수단(136)으로부터 공급되면서 기준 전압 단자(VR)와 저항 소자(133)를 통하여 βn × IB224(βn은 NPN 트랜지스터의 β이다.)에 해당되는 크기의 전류가 흐르려 하지만, 베이스 단자 전류(IB224)가 매우 크기 때문에 제2 구동소자(224)는 결국 포화(Saturation)된다. 그러므로 제1 구동 수단(135)에서부터 모터(140)의 제1 패드(PAD1)로 인가되는 전압(VPAD1)은 아래의 수학식 2로 주어진다. 여기서 전압(Vsat224)은 제2 구동소자(224)의 포화 전압을 나타낸다.
VPAD1=V1′=Vsat224
한편, 전류 공급회로(207)(307)의 제7 스위칭 소자(220)(320)와 출력단 구동회로(209)(309)의 제1 구동소자(222)(322)는 각각 다링톤 구조로써, 예를 들어 제7 스위칭 소자(320)의 콜렉터 전류(IC320)는 제1 구동소자(322)의 베이스 단자 전압(IB322)과 동일하게 된다.
제1 구동수단(135)의 제1 구동소자(322)의 콜렉터 단자 전압(IC322)은 βn×IB322로 주어지고, 이에 따라서 제1 구동소자(322)로부터 제2 패드(PAD2), 모터(140), 제1 패드(PAD1)를 통하여 제2 구동수단(136)의 제2 구동소자(224)로 전류가 흐른다.
만약, 입력부(110)의 입력 신호 단자(IN)에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와 반대로 되는 경우에는, 제1 구동수단(135)의 제1 구동소자(222)로부터 제1 패드(PAD1), 모터(140), 제2 패드(PAD2)를 통하여 제2 구동수단(136)의 제2 구동소자(324)로 전류가 흐른다. 이에 따라서 모터(140)는 정회전과 역회전을 하도록 제어된다.
이때, 제2 패드(PAD2)에 인가되는 최대 전압(VPAD2)은 아래의 수학식 3으로 주어진다. 여기서, 참조부호, R332는 저항 소자(332)의 저항값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Vce320은 제7 스위칭 소자(320)의 콜렉터-에미터 단자 전압을 나타내며, Vbe322는 제1 구동소자(322)의 베이스-에미터 단자전압을 나타낸다.
VPAD2=V2′=VCC-(IC320×R332)-Vce320-Vbe322
그러므로 최종 모터(140) 양단의 전압차는 아래의 수학식 4로 나타내진다.
V=V1′-V2′=Vsat224-[VCC-(IC320×R332)-Vce320-Vbe32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회로는 하나의 입력 신호에 의해서 모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회로가 간단하게 구성되고, 이에 따라서 로딩 모터 등에서 사용하기에 용이하며, 종래의 회로들과 동일한 출력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입력 신호에 의해서 모터의 동작이 제어되고, 이에 따라서 구동회로가 간단하게 되어서 로딩 모터 등에서 사용하기에 용이하며, 종래의 회로들과 동일한 출력 특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가변되는 입력신호에 의하여 출력 전압의 레벨을 전이하는 레벨 쉬프트부와, 상기 레벨 쉬프트부에서 전이되는 출력 전압의 레벨에 따라서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모터의 양단에서 상기 모터를 구동하도록 제1 구동수단과 제2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수단과 제2 구동수단은
    입력전압 또는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입력단 구동회로;
    전원과 상기 입력단 구동회로 사이에서 상기 입력단 구동회로의 제어에 의하여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하여서 출력하는 제1 전류 미러회로;
    상기 입력단 구동회로와 접지 사이에서 전류원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상기 입력단 구동회로의 출력을 접지로 스위칭하는 제2 전류 미러회로;
    상기 제1 전류 미러회로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전원을 스위칭하는 전류 공급회로;
    상기 전류 공급회로와 접지 사이에서 상기 전류 공급회로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전류 공급회로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제3 전류 미러회로;
    상기 제3 전류 미러회로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전원을 스위칭하고, 이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4 전류 미러회로; 및
    전원과 접지 사이에서 상기 전류 공급회로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전원이 스위칭되어 상기 모터로 출력되고, 상기 제1 구동수단의 제4 전류 미러회로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와 상기 제2 구동수단의 제4 전류 미러회로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제어신호가 서로 바뀌어 입력되어 출력을 접지로 스위칭하는 출력단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 구동회로는
    입력전압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제1 제어 스위칭 소자;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제2 제어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1 제어 스위칭 소자와 제2 제어 스위칭 소자의 양 출력단에서 상기 제1 제어 스위칭 소자로 입력되는 입력전압의 크기를 설정하는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공급회로는
    상기 제1 전류 미러회로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어서 저항을 통하여 인가되는 상기 전원을 스위칭하고 이에 따른 출력을 발생하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6 스위칭 소자와 병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전류 미러회로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어서 저항을 통하여 인가되는 상기 전원을 스위칭하며, 이에 따른 다른 출력을 발생하는 다른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회로.
KR1019980023679A 1998-06-23 1998-06-23 모터 구동회로 KR20000002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679A KR20000002770A (ko) 1998-06-23 1998-06-23 모터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679A KR20000002770A (ko) 1998-06-23 1998-06-23 모터 구동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770A true KR20000002770A (ko) 2000-01-15

Family

ID=19540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679A KR20000002770A (ko) 1998-06-23 1998-06-23 모터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27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13167B2 (ja) 比較器
JPH05883B2 (ko)
JPH08102628A (ja) 差動増幅回路
KR940000940B1 (ko) 신호억압용스위칭장치
JPH0336336B2 (ko)
KR20000002770A (ko) 모터 구동회로
KR100425066B1 (ko) D/a변환인터페이스
JP3664224B2 (ja) パワードライブ回路
JP2880660B2 (ja) 負荷の駆動装置
KR0153555B1 (ko)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모터 제어회로
JP2776034B2 (ja) 定電流回路
JPS6127927B2 (ko)
US6185060B1 (en) Changeover circuit in tape recorder
KR101020244B1 (ko) D/a변환 인터페이스
US6882183B2 (en) Multi-level output circuit
KR910005774Y1 (ko) 제어신호 증폭 재생회로
KR930000147Y1 (ko) 모터구동 제어회로
JP2834739B2 (ja) 双方向スイッチング回路
KR850001450B1 (ko) Vtr의 리일 서어보 시스템
JPH05268035A (ja) 電流切換回路
KR880000571Y1 (ko) 광학식 디스크 플레이어의 슬라이드 회로
JP2550288Y2 (ja) 切換回路
JP2000285405A (ja) 磁気ヘッド駆動回路および磁気記録装置
JPH08102672A (ja) 半導体集積回路
JPS61135391A (ja) 直流モ−タの回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