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603U - 차량의 클러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클러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603U
KR20000002603U KR2019980012513U KR19980012513U KR20000002603U KR 20000002603 U KR20000002603 U KR 20000002603U KR 2019980012513 U KR2019980012513 U KR 2019980012513U KR 19980012513 U KR19980012513 U KR 19980012513U KR 20000002603 U KR20000002603 U KR 200000026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clutch
clutch lever
movemen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우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80012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2603U/ko
Publication of KR200000026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603U/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차량의 클러치 시스템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차량의 클러치 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자의 클러치 페달 답입에 따른 정밀한 동작을 가능하며, 클러치 페달의 답입에 따른 푸시로드의 정확한 좌우이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다. 그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클러치레버와, 상기 클러치레버와 단부가 접촉하여 동작하는 푸시로드를 가지는 클러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의 미리 설정된 부위에서 푸시로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클러치레버에서 상기 푸시로드와 접촉하는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레버의 회전 이동시 상기 푸시로드의 단부를 밀어서 이동시키며, 상기 클러치레버의 회전 이동량에 따라 상기 푸시로드의 단위 이동거리가 감소하도록 상기 푸시로드의 이동에 따른 접촉 부위의 곡률이 증가되도록 형성된 푸시로드이동조절부와, 상기 푸시로드를 초기 위치로 되돌리는 스프링을 가진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차량 클러치 시스템에 적용 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클러치 시스템
본 고안은 차량의 클러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의 클러치 페달 답입에 따른 정밀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클러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는 변속 시스템에 따라 수동 변속형과 자동 변속형으로 구 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두 형태의 차량 모두에는 운전자가 제동 조작을 하기 브레이크 페달 관련 장치와, 가속 조작을 하기 위한 가속 페달 및 관련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특히 수동 변속형 차량에는 제동조작을 위한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조작을 위한 액셀레이터 페달 및 변속시 클러치 조작을 위한 클러치 페달이 구비된다. 이러한 페달들은 운전자가 발로서 조작하기 위한 운전자의 조작 영역내에 설치된다. 이하 운전자의 상기 클러치 페달 답입에 따른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클러치 시스템의 동작 설명을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에는 클러치페달 10과 클러치레버 12 및 푸시로드 14 및 마스터실린더 24가 도시되어 있다. 운전자가 클러치페달 10을 밟게 되면, 클러치페달 10의 답입에 따라, 클러치레버 12는 클러치핀 20을 중심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A지점에서 한계지점 E지점까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에 따라 클러치레버 12의 일측에 푸시로드핀 22에 의해 연결된 푸시로드 14는 축방향(가로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상기 푸시로드 14의 이동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 중 클러치 페달의 답입에 따른 푸시로드의 이동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 중 클러치 페달의 답입 대 푸시로드의 이동 거리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클러치핀 20 및 푸시로드핀 22와 같은 회전 중심과, 클러치핀 20과 푸시로드핀 22와의 거리(d)와, 푸시로드핀 22와, 마스터실린더 24와의 거리 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클러치페달 10의 답입에 따른 클러치레버 12의 이동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로드핀 22의 위치는 A-B-C-D-E로 이동함을 볼 수 있다. 상기 위치들은 클러치핀 20과 등거리(d) 지점의 원호상에 위치하며, 서로간의 거리(호길이)는 동일하게 설정되었다.
이때, 각 위치에서 푸시로드핀 22와 마스터실린더 24와의 거리는 A위치에서 E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점점 줄어듦을 볼 수 있다. 상기 줄어든 양은 클러치페달 10의 답입에 따른 푸시로드 14가 밀리는 양으로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클러치페달 10의 답입에 따라 푸시로드 14는 점점더 많은 양을 밀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각 위치간의 거리는 동일함에 비해 각 위치의 이동에 따른 푸시로드핀 22와 마스터실린더 24와의 줄어드는 거리는 동일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이는 회전이동이 직선이동으로 변화됨으로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클러치페달 10의 답입에 따라 푸시로드 14의 미는 정도가 위치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A위치에서 B위치까지는 또는 B위치에서 C위치까지는 클러치페달 10의 답입에 따라 어느정도 일정한 비율로 푸시로드 14의 이동거리가 증가하게 되는데, C위치에서 D위치까지는 클러치페달 10의 답입에 따라 푸시로드 14의 이동거리가 급격히 증가함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차량 변속기의 클러치 차단 포인트는 통상 상기에서 C위치와 D위치 사이에 있으므로, 운전자는 상기 위치에서 정밀한 발 조작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작은 특히 미숙련자에게 어려움을 주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로드 14의 이동은 정확한 좌우이동이 아니라 약간의 상하이동이 포함되므로, 설계시 정밀한 동작 위치를 설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본 고안은 운전자의 클러치 페달 답입에 따른 정밀한 동작이 가능한 클러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클러치 페달의 답입에 따른 푸시로드의 정확한 좌우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클러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클러치레버와, 상기 클러치레버와 단부가 접촉하여 동작하는 푸시로드를 가지는 클러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의 미리 설정된 부위에서 푸시로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클러치레버에서 상기 푸시로드와 접촉하는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레버의 회전 이동시 상기 푸시로드의 단부를 밀어서 이동시키며, 상기 클러치레버의 회전 이동량에 따라 상기 푸시로드의 단위 이동거리가 감소하도록 상기 푸시로드의 이동에 따른 접촉 부위의 곡률이 증가되도록 형성된 푸시로드이동조절부와, 상기 푸시로드를 초기 위치로 되돌리는 리턴 스프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클러치 시스템의 동작 설명을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도 1 중 클러치 페달의 답입에 따른 푸시로드의 이동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 중 클러치 페달의 답입 대 푸시로드의 이동 거리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클러치 페달 및 푸시로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시스템 관련 주요부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시스템 관련 주요부의 부분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클러치 페달 및 푸시로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클러치페달 10이 운전자에 의해 밟혀지지 않은 초기위치(A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4의 (b)는 클러치페달 10이 운전자에 의해 가장 깊게 밟혀진 위치(E 위치)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에는 클러치레버 12와,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기 클러치레버 12와 단부가 접촉하도록 구성된 푸시로드 14가 도시된다. 또한 푸시로드 14의 미리 설정된 부위에서 푸시로드 14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 34가 구성되며, 푸시로드 34의 일 부위에 형성된 돌출부 36과 상기 가이드프레임 34사이에는 제공되어 푸시로드 14를 클러치레버 12쪽으로 미는 힘을 가하기 위한 리턴용 스프링 32가 구성된다.
또한 클러치레버 12에서 상기 푸시로드 14의 단부와 접촉하는 부위에는 상기 클러치레버 12의 회전 이동시 상기 푸시로드 14의 단부를 밀어서 이동시키며, 상기 클러치레버 12의 회전 이동량에 따라 상기 푸시로드 14의 단위 이동거리가 감소하도록 상기 푸시로드 14의 이동에 따른 접촉 부위의 곡률이 증가되도록 형성된 푸시로드이동조절부 30이 구성된다. 상기 푸시로드이동조절부 30의 외형 차량 엔진의 캠 형태와 비슷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클러치레버 12가 A 위치에서 B 위치까지 이동하게 될 때, 푸시로드 14의 단부는 푸시로드이동조절부 30의 만곡된 표면과 접촉되어 밀려 나게 되는데, 상기 만곡된 표면은 클러치레버 12가 B위치로 갈수록 곡률이 더욱 증가하는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푸시로드 14의 밀리는 양은 클러치레버 12가 B위치로 갈수록 줄어들게 된다.
이는 종래와 비교하여 클러치페달 10의 답입에 따라 푸시로드 14의 이동량이 비교적 완만하게 증가하게 됨을 나타내므로, 본 고안에서는 클러치 차단 포인트에서 운전자의 발조작에 따른 동작이 종래와 비교하여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장치의 주요부 구성의 일 예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시스템 관련 주요부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시스템 관련 주요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는 푸시로드이동조절부 30의 절단된 일부와, 푸시로드 14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푸시로드이동조절부 30의 푸시로드 14와 접촉되는 면에는 푸시로드 14의 단부의 접촉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구조 37이 형성된다. 또한 푸시로드 14의 단부에는 홀 15가 형성되고, 상기 홀 15를 통해 좌, 우 바퀴 38a, 38b가 축으로 연결된다. 상기 바퀴 38a, 38b는 푸시로드이동조절부 30과의 접촉시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구성은 도 5의 구성과 유사하지만 푸시로드 14의 단부의 접촉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푸시로드이동조절부 30의 가이드구조 39의 형상에서 차이가 있다. 즉, 가이드구조 39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홈 39a에 푸시로드 14의 단부에 제공되는 마찰 방지용 바퀴 38a, 38b가 완전히 삽입되어 걸리도록 형성되어, 바퀴 38a, 38b를 통해 푸시로드 14에 미는 힘을 가할 수 있을뿐 아니라 당기는 힘을 가할 수도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 32의 구성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클러치 시스템에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클러치레버와, 상기 클러치레버와 단부가 접촉하여 동작하는 푸시로드를 가지는 클러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의 미리 설정된 부위에서 푸시로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클러치레버에서 상기 푸시로드와 접촉하는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레버의 회전 이동시 상기 푸시로드의 단부를 밀어서 이동시키며, 상기 클러치레버의 회전 이동량에 따라 상기 푸시로드의 단위 이동거리가 감소하도록 상기 푸시로드의 이동에 따른 접촉 부위의 곡률이 증가되도록 형성된 푸시로드이동조절부와, 상기 푸시로드를 초기 위치로 되돌리는 리턴 스프링을 가짐으로, 운전자의 클러치 페달 답입에 따른 정밀한 동작이 가능하며, 클러치 페달의 답입에 따른 푸시로드의 정확한 좌우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4)

  1. 클러치레버와, 상기 클러치레버와 단부가 접촉하여 동작하는 푸시로드를 가지는 클러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의 미리 설정된 부위에서 푸시로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클러치레버에서 상기 푸시로드와 접촉하는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레버의 회전 이동시 상기 푸시로드의 단부를 밀어서 이동시키며, 상기 클러치레버의 회전 이동량에 따라 상기 푸시로드의 단위 이동거리가 감소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푸시로드의 이동에 따른 상기 접촉 부위의 곡률이 증가되도록 형성된 푸시로드이동조절부와,
    상기 푸시로드를 초기 위치로 되돌리는 리턴 스프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의 단부에 상기 클러치레버와 접촉시 마찰을 감소하기 위한 바퀴를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3. 클러치레버와, 상기 클러치레버와 단부가 접촉하여 동작하는 푸시로드를 가지는 클러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의 미리 설정된 부위에서 푸시로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푸시로드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레버와 접촉시 마찰을 감소하기 위한 바퀴와,
    상기 클러치레버에서 상기 바퀴와 접촉하는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레버의 회전 이동시 상기 바퀴를 밀어서 상기 푸시로드를 이동시키며, 상기 클러치레버의 회전 이동량에 따라 상기 푸시로드의 단위 이동거리가 감소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푸시로드의 이동에 따른 상기 접촉 부위의 곡률이 증가되도록 형성된 푸시로드이동조절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이동조절부의 상기 바퀴와의 접촉부위에서 상기 바퀴를 통해 상기 푸시로드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상기 바퀴가 삽입되게 형성되는 가이드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시스템.
KR2019980012513U 1998-07-09 1998-07-09 차량의 클러치 시스템 KR200000026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513U KR20000002603U (ko) 1998-07-09 1998-07-09 차량의 클러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513U KR20000002603U (ko) 1998-07-09 1998-07-09 차량의 클러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603U true KR20000002603U (ko) 2000-02-07

Family

ID=6951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513U KR20000002603U (ko) 1998-07-09 1998-07-09 차량의 클러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260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262A (ko) * 2019-02-12 2020-08-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텐트를 활용한 클러치 페달 답력 저감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262A (ko) * 2019-02-12 2020-08-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텐트를 활용한 클러치 페달 답력 저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25656B1 (en) Vehicle park/lock mechanism
US5494141A (en) Vehicle park/lock mechanism
EP0118773B1 (en) Stick type vehicle hand brake
JP4148553B2 (ja)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機構
JP2848078B2 (ja) ブレーキ操作装置
EP0697549B1 (en) Shift lock arrangement of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lever device
EP0852307B1 (en) Shift lock units for shift lever devices
US5677658A (en) Electrically operated control module for a locking mechanism
KR20000002603U (ko) 차량의 클러치 시스템
US5065641A (en) Shift lever arrangement for operating automatic power transmission
KR20000002602U (ko) 차량의 클러치 시스템
KR20070002215A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주차브레이크 장치
KR100401883B1 (ko) 주차브레이크 페달의 릴리즈 구조
EP0119879A1 (en) Mechanical brake control device
JPH07243515A (ja) 自動変速機のセレクトロック機構
JPH09254677A (ja) アクセルペダル
US4938057A (en) Parking brake device
JP6878181B2 (ja) シフトロック装置
KR0158353B1 (ko) 차량용 브레이크의 릴리스 장치
KR100458349B1 (ko) 칼럼at시프트레버용시프트로크장치
JPH0755392Y2 (ja) レバー比可変パーキングブレーキ機構
JP2908453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制御装置
JPH0999751A (ja) コラムatシフトレバー用シフトロック装置
JP2001158251A (ja) シフトレバー用ロックカムの構造
JPH11151944A (ja) 操作レ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