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388A -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388A
KR20000002388A KR1019980023106A KR19980023106A KR20000002388A KR 20000002388 A KR20000002388 A KR 20000002388A KR 1019980023106 A KR1019980023106 A KR 1019980023106A KR 19980023106 A KR19980023106 A KR 19980023106A KR 20000002388 A KR20000002388 A KR 20000002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telephone terminal
terminal device
answering machine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3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2388A/ko
Publication of KR20000002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38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82Line monitoring circuits for call progress or status discri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2Coun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8Compa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전화 단말 장치에 카운터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자동 응답 모드를 해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 단말 장치에 자동 응답 모드를 설정 및 해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자동 응답 모드 설정키 및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자동 응답 모드 해제키를 입력받아야만 했다. 본 발명은 상기 전화 단말 장치에 카운터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의 키입력 없이도 자동으로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고, 또한 그 설정된 자동 응답 모드를 자동으로 해제시키는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의 키입력 없이도 자동으로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고, 그 설정되어 있는 자동 응답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
본 발명은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전화 단말 장치에 카운터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상기 자동 응답 모드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자동 응답 모드를 해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었다. 첫 번째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자동 응답 모드 설정키를 입력받고, 그 키입력에 따라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 방법은 사용자가 외부(원격지)에서 상기 전화 단말 장치로 통화를 수행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해 그에 따라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 자동 응답 모드를 해제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었다.
첫 번째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동 응답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자동 응답 모드 해제키를 입력받아 그에 따라 상기 자동 응답 모드를 해제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사용자가 외부(원격지)에 있을 경우 상기 전화 단말 장치로 통화를 수행하여 비밀 번호를 입력해 그에 따라 상기 자동 응답 모드를 해제하는 방법이다.
상기의 자동 응답 모드 설정 및 해제 방법은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고, 또한 상기 설정되어 있는 자동 응답 모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로부터의 별도의 키입력을 받아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여 놓지 않고 부재중일 경우 상대방의 호출에 전혀 응답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키입력 없이도 자동으로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고, 또한 설정되어 있는 자동 응답 모드를 해제하는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전화 단말 장치에 카운터를 구비하고, 링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링 신호의 횟수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한 링 신호의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일 경우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으로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한 후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표시부에 자동 응답 모드 설정 상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자동 응답 모드 설정 과정과, 링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링 신호를 검출한 후 호출 요구 횟수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한 호출 요구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일 경우 상기 전화 단말 장치가 사용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전화 단말 장치가 사용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가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 결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전화 단말 장치가 사용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전화 단말 장치가 사용되었을 경우 상기 자동 응답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자동 응답 모드 해제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화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 모드 설정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 모드 설정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 모드 해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화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특히 자동으로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 및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화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화 단말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다른 단말 장치, 즉 팩시밀리나 그 외의 자동 응답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에서도 본 발명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 111은 상기 전화 단말 장치 동작 수행의 전반적인 제어를 한다. 릴레이부 113은 전화라인을 통해 공중 교환망(PSTN: public switching telephon e network)으로부터 수신되는 링 신호, 예를 들어 75Vrms·20Hz의 링 신호를 링 검출부 115로 전달한다. 상기 링 검출부 115는 상기 릴레이부 113으로부터 전달받은 링 신호를 검출하여 카운터 117로 전달한다. 상기 카운터 117은 상기 링 검출부 115로부터 전달받은 링 신호의 연속되는 횟수를 카운터한다. 상기 카운터 117은 상기 링 신호의 횟수를 카운터하고 그 검출된 링 신호 및 그 링 신호의 횟수를 상기 제어부 111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카운터 117에서 전달받은 링 신호에 응답하여 통화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링 신호의 횟수를 검사 하여 일정 횟수, 예를 들어 7회 이상이라면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카운터 117로부터 전달받은 통화 요구 횟수(상기 전화 단말 장치로 전화가 걸려온 횟수)를 검사하여 상기 통화 요구 횟수가 소정 횟수, 예를 들어 3회 이상이라면 상기 제어부 111은 사용자가 부재중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 111은 표시부 129를 통해 상기 자동 응답 모드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 예를 들어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 129는 LCD(lighting crystal display unit) 및 발광 소자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에 따른 상기 전화 단말 장치 동작 상태 및 다이얼링 디지트 키 등을 디스플레이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한 후 음성 메모리 119에 억세스하여 그에 저장되어 있는 아웃 고잉 메시지(OGM: out going message)를 독출하여 음성 처리부 121을 통해 아날로그 처리하여 통화 회로부 123으로 전달한다. 상기 음성 메모리 119는 음성 입력을 안내하는 아웃 고잉 메시지, 예를 들어 "남기실 메시지가 있으시면 녹음해 주세요."와 같은 아웃 고잉 메시지 및 호출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인커밍 메시지(ICM:in comming message)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음성 메모리 119는 자동 응답 모드 설정을 나타내는 문자 메시지, 예를 들어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습니다."와 같은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음성 처리부 121은 상기 음성 메모리 119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메시지를 아날로그 처리하고 또한 호출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인커밍 메시지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화 회로부 123은 상기 릴레이부 113과 핸드세트 사이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통화 루프 전류에 중첩시켜 전송하고, 통화 루프에 중첩되어 수신되는 음성 대역 신호를 재생하여 핸드세트로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키입력부 125를 소정의 주기로 스캐닝하여 그로부터 키입력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 때, 상기 키입력부 125는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자동 응답 모드 설정키 및 상기 설정된 자동 응답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자동 응답 모드 해제키 및 다수의 다이얼링 디지트 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키에 대응되는 키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 111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키입력부 125로부터 전달받은 키신호를 입력하고 그 신호가 자동 응답 모드 설정키 신호인지 혹은 자동 응답 모드 해제키 신호인지 혹은 다이얼링 디지트 키 신호인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다이얼링 디지트 키 신호라면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키신호를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발생기 127로 전달한다. 상기 DTMF 발생기 127은 상기 제어부 111로부터 전달받은 다이얼링 디지트 키 신호에 해당하는 DTMF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릴레이부 113을 통해 전화 라인으로 송출한다.
따라서, 도 1과 같은 내부 구성을 가진 전화 단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키입력 없이도 상기 전화 단말 장치로 수신되는 링 신호의 횟수 및 통화 요구 횟수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며, 또한 상기 설정된 자동 응답 모드를 자동으로 해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 모드 설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 도이다.
공중 교환 망으로부터 링 신호가 도 1의 릴레이부 113으로 수신되면, 상기 릴레이부 113은 수신한 링 신호를 도 1의 링 검출부 115로 전달한다. 상기 링 검출부 115는 상기 릴레이부 113으로부터 전달받은 링 신호를 검출하여 도 1의 카운터 117로 전달한다. 상기 카운터 117은 상기 링 검출부 115로부터 전달받은 링 신호를 카운터하고 상기 링 신호 및 그 카운트 데이터를 도 1의 제어부 111로 전달한다. 상기 링 검출부 115로부터 전달받은 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 111은 동작을 시작한다.
2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1은 링 신호를 검출하고 2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카운터 117을 검사하여 공중 교환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링 신호의 횟수에 관한 카운트 데이터를 검사하고 2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검사한 링 신호 카운트 데이터가 일정 횟수, 예를 들어 7회 이상인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일정 횟수 이상이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213단계로 되돌아간다.
만약 검사 결과 상기 링 신호 카운트 데이터가 일정 횟수 이상이라면 상기 제어부 111은 2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고 21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1은 도 1의 음성 메모리 119를 억세스하여 그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자동 응답 모드 설정을 나타내는 문자 메시지, 예를 들어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습니다."와 같은 문자 메시지를 독출하여 도 1의 표시부 129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2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음성 메모리 119에 억세스하여 그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아웃 고잉 메시지, 예를 들어 "남기실 메시지가 있으시면 녹음해 주세요."와 같은 아웃 고잉 메시지를 도 1의 음성 처리부 121을 통해 재생하여 도 1의 통화 회로부 123을 통해 스피커로 송출하고 리턴한다.
따라서, 도 2와 같은 자동 응답 모드 설정 과정은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자동 응답 모드 설정키를 입력받지 않아도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으로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 모드 설정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공중 교환망으로부터 링 신호가 도 1의 릴레이부 113으로 수신되면, 상기 릴레이부 113은 수신한 링 신호를 도 1의 링 검출부 115로 전달한다. 상기 링 검출부 115는 상기 릴레이부 113으로부터 전달받은 링 신호를 검출하여 도 1의 카운터 117로 전달한다. 상기 카운터 117은 상기 링 검출부 115로부터 전달받은 링 신호를 카운터하고 상기 링 신호 및 그 카운트 데이터를 도 1의 제어부 111로 전달한다. 상기 링 검출부 115로부터 전달받은 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 111은 동작을 시작한다.
3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1은 링 신호를 검출하고 3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카운터 117을 검사하여 상기 링 검출부 115를 통해 수신된 호출측으로부터의 통화 요구 횟수(전화가 걸려온 횟수)에 관한 통화 요구 카운트 데이터를 검사하고 3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통화 요구 카운트 데이터가 일정 횟수, 예를 들어 3회 이상인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일정 횟수 이상이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313단계로 진행한다.
만약 검사 결과 일정 횟수 이상이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 111은 3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전화 단말 장치가 사용되어졌는지를 검사한다. 즉, 도 1의 키입력부 125를 스캐닝하여 그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키입력이 있었는지를 검사하고, 또 도 1의 핸드 세트를 검사하여 후크 오프되었는지를 검사하고, 또 상기 통화 요구에 따라 통화 수행이 이루어졌는지를 검사하여 상기 전화 단말 장치가 사용되어졌는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상기 전화 단말 장치가 사용되었다면 상기 제어부 111은 리턴한다. 만약 검사 결과 상기 전화 단말 장치가 사용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부 111은 3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고 3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2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1은 도 1의 음성 메모리 119를 억세스하여 그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자동 응답 모드 설정에 관한 문자 메시지, 예를 들어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습니다."와 같은 문자 메시지를 독출하여 도 1의 표시부 129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3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2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음성 메모리 119에 억세스하여 그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아웃 고잉 메시지, 예를 들어 "남기실 메시지가 있으시면 녹음해 주세요."와 같은 아웃 고잉 메시지를 도 1의 음성 처리부 121을 통해 재생하여 도 1의 통화 회로부 123의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고 리턴한다.
따라서, 도 3과 같은 자동 응답 설정 과정은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자동 응답 모드 설정키를 입력받지 않아도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으로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 모드 해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전화 단말 장치가 동작되면 도 1의 제어부 111은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4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가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가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제어부 111은 리턴한다. 만약 검사 결과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가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제어부 111은 4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전화 단말 장치가 사용되었는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상기 전화 단말 장치가 사용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부 111은 리턴한다.
만약 검사 결과 상기 전화 단말 장치가 사용되었다면 상기 제어부 111은 4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를 해제하고 리턴한다.
따라서, 도 4와 같은 자동 응답 모드 해제 과정은 상기 전화 단말 장치에 설정되어 있는 자동 응답 모드를 해제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의 자동 응답 모드 해제키의 입력이 없어도 자동으로 상기 자동 응답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키입력이 없이도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자동 응답 모드를 해제시킬 수 있는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고 그 설정된 자동 응답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키입력을 하지 않아 별도의 키입력에 따른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10)

  1.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에 있어서,
    링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링 신호의 링 횟수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한 링 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상기 링 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이라면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한 후 호출측으로 아웃 고잉 메시지를 재생· 송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한 후 자동 응답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 메시지를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가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전화 단말 장치가 사용되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전화 단말 장치가 사용되었을 경우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
  5.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에 있어서,
    링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링 신호 검출 후 통화 요구 횟수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된 통화 요구 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통화 요구 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일 경우 상기 전화 단말 장치가 사용되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전화 단말 장치가 사용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한 후 아웃 고잉 메시지를 재생· 송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한 후 자동 응답 모드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 메시지를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모드가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자동 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전화 단말 장치가 사용되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전화 단말 장치가 사용되었을 경우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 횟수의 검사는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카운터의 링 신호 카운트 데이터와 비교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요구 횟수 검사는 상기 전화 단말 장치의 카운터의 통화 요구 카운트 데이터와 비교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
KR1019980023106A 1998-06-19 1998-06-19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 KR20000002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106A KR20000002388A (ko) 1998-06-19 1998-06-19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106A KR20000002388A (ko) 1998-06-19 1998-06-19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388A true KR20000002388A (ko) 2000-01-15

Family

ID=1954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106A KR20000002388A (ko) 1998-06-19 1998-06-19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23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7011A (en) Multi-port caller ID-based telephone ringback test device
US6393106B1 (en) Telephone answering device which records voice message of third party caller
US569681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source of a telephone communication
KR20000002587A (ko) 전화 단말 장치의 안내 전화 번호 디스플레이 방법
KR20000002388A (ko) 전화 단말 장치의 자동 응답 모드 구현 방법
KR100329459B1 (ko) 사설교환기에서 상대방 정보 표시방법
EP0926873B1 (en) Control of telemetry interface gateway during a voice call
KR100212742B1 (ko) 자동 응답기능을 갖는 전화기에서 무선호출기로 녹음 갯수를 송출하는 방법
JP4116276B2 (ja) 通信装置
JP3134397B2 (ja) 電話交換機
JPH09200319A (ja) 通信装置
KR19990069725A (ko) 종합통신망 전화기에서 발신자에 따른 착신 링 발생 방법
KR20000002002A (ko) 자동 응답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에서의 발신자 식별 정보 및인커밍 메시지 녹음 방법
JP2982686B2 (ja) 構内交換機
KR100337836B1 (ko) 통신환경정보 제공방법
KR20020036290A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용 전화기 및 그 전화기에서의 호처리 방법
JP2000151841A (ja) 通信端末装置
US20040151286A1 (en) Self-contained single telephone line voice and internet device with DTMF generation capability
JPH09200317A (ja) 通信装置
JPH0846696A (ja) 電話装置
JPH05236077A (ja) 通信端末装置
JPH1169124A (ja) 迷惑防止fax装置
KR20000018521A (ko) 교환기에서 다중 호출음 제공 방법
KR20000044328A (ko) 발신자 식별코드를 이용한 착신 알림방법
KR19990018682A (ko) 송화자 전화번호 표시 및 단축 다이얼링 가능한 전화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