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243A - 이동통신망에서의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의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243A
KR20000002243A KR1019980022893A KR19980022893A KR20000002243A KR 20000002243 A KR20000002243 A KR 20000002243A KR 1019980022893 A KR1019980022893 A KR 1019980022893A KR 19980022893 A KR19980022893 A KR 19980022893A KR 20000002243 A KR20000002243 A KR 20000002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paging
group
servic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4978B1 (ko
Inventor
김석준
장재석
유흥렬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22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978B1/ko
Publication of KR20000002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9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2Pag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48Location-based services which util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arg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호를 설정하기 위하여 그룹페이징 방식을 이용하여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수행하는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발신 단말기로부터 호설정을 요구받으면 요구호가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요구하는 호인지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소정의 착신 단말기군을 페이징하는 그룹페이징을 수행하여 상기 소정의 착신 단말기들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확인 메시지를 보내온 착신 단말기들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를 선택하여 호를 설정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콜택시 서비스, 애프터서비스(A/S) 및 자동차 긴급수리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서비스에 이용됨.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의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그룹페이징이란 일반적인 이동통신망에서 사용하던 페이징 방식을 수정 보완하여 특정한 그룹화된 단말기들을 동시에 페이징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그룹페이징을 이용하면 콜택시 서비스를 중앙통제소없이 운영할 수도 있고, 또한 애프터서비스(A/S) 센터에서 각 서비스 직원을 호출하여 작업을 지시하지 않고, 필요한 고객이 직접 애프터서비스(A/S) 직원을 호출하여 즉시 애프터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 이때, 각 택시중에서 호출을 받고자 원하는 택시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필요한 고객이 있을 경우에 동시에 그룹으로 가입된 모든 택시를 페이징하여 그 중에서 가장 서비스에 유리한 위치에 있는 하나의 택시와 직접 호를 연결하여 준다.
여러 단말기를 한꺼번에 호출하여 통화할 수 있는 기존의 시스템으로는 주파수공용통신(TRS) 시스템이 있으나, 이는 개인호의 연결이 안되기 때문에 후술되는 것과 같은 서비스상의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또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기지국(103)의 페이징 메시지를 모든 단말기에서 수신할 수 있으나, 특정 단말기만을 위한 페이징을 수행하기 때문에 특정 단말기를 위한 개인호를 설정하게 된다.
도 1 은 주파수공용통신(TRS)을 이용한 종래의 그룹 통화 방법에 대한 설명도로서, 콜택시 서비스의 예를 들어 기존의 주파수공용통신(TRS)과 공중통신망(PSTN)을 이용하여 서비스가 제공되기까지의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종래에는 서비스 요청자(101)가 콜택시를 부를 경우에 직접 콜택시 회사에 전화를 하여 콜택시 서비스를 신청하거나, 호텔인 경우에 프런트를 통해 콜택시 서비스를 신청해야만 하였다(111). 손님에게서 서비스를 요청받은 콜택시 중앙통제소(100)에서는 서비스 신청자의 위치, 신청자의 확인을 위한 전화번호, 신청자를 인식할 수 있는 특징 등을 기록하고 손님과의 통화를 끊는다. 통화가 끝난 손님은 콜택시 회사의 서비스 제공을 확인하는 연락을 기다린다.
콜택시 서비스 신청을 받은 콜택시 회사의 중앙통제소(100)에서는 현재 운행중인 택시들을 주파수공용통신(TRS)을 이용하여 집단으로 호출한다(112). 이후, 주파수공용통신(TRS)의 그룹호를 이용하여 현재 서비스가 신청된 장소를 알려주면, 현재 손님이 없는 콜택시 가운데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한다(113). 서비스 제공 의사를 표시한 콜택시중에서 가장 서비스 제공이 유리한 콜택시에게 허가가 떨어진다(114). 허가가 떨어지면 콜택시는 중앙통제소(100)에 서비스 제공을 확인하고(115) 서비스 요청자(101)가 있는 장소로 이동한다.
또한, 중앙통제소(100)는 콜택시에게 서비스 제공 허가를 내리고, 손님이 요청한 서비스가 제공될 것임을 서비스 요청자(101)에게 다시 전화를 걸어 알려준다(116).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 상기 종래의 방법은 서비스를 요청할 때 기존의 공중통신망(PSTN)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신청하고, 중앙통제소(100)가 주파수공용통신(TRS)을 이용하여 요청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지를 서비스 제공자(102)와 상호 확인한 후에, 다시 공중통신망(PSTN)을 이용하여 서비스 요청자(101)에게 서비스 제공을 통보한다. 따라서, 상기의 방법을 사용하면 서비스를 요청할 때부터 고객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음을 확인할 때까지의 대기시간이 오래 걸린다.
둘째, 이용하는 손님이 있는 택시의 경우에는 서비스를 할 수 없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주파수공용통신(TRS)으로 인한 불필요한 소음 때문에 현재 서비스를 받고 있는 손님의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셋째, 서비스 요청자(101)의 위치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서비스 제공자도 모든 통신 내용을 주의깊게 청취하고 있어야 한다. 서비스 제공자(102)의 위치를 중앙통제소(100)가 알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모든 정보를 모든 서비스 제공자(102)에게 알려주어야 하며, 서비스 제공자(102)는 모든 정보를 청취하고 있어야 하므로 자신의 운전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정보를 청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자신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입장임에도 불구하고 청취를 하지 못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이 본인보다 불리한 사람이 서비스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넷째, 서비스 제공자(102)와 서비스 요청자(101)가 집적 통화를 하지 못함으로써 서비스 요청자(101)가 요청한 내용과 중앙통제소(100)에서 서비스 제공자(102)에게 전달한 내용이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자(102)가 서비스 요청 장소에 도착하여도 서비스 요청자(101)를 인식하지 못하여 손님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다섯째, 콜택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중앙통제소(100)와의 통신에 필요한 주파수공용통신(TRS)용 전용단말기가 모든 콜택시에 필요하다. 또한, 손님과 콜택시 사이의 서비스를 연결해주기 위한 중앙통제소(100)와 시설들이 필요하며, 시설을 운영하는 인력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택시들이 셀룰러 이동통신 단말기나 개인휴대통신(PCS) 단말기 등을 개인적으로 또는 영업용으로 소유하고 있을 경우에, 주파수공용통신(TRS)을 위한 전용단말기는 서비스 제공자(102)에게는 중복 투자가 된다.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호를 설정하기 위하여 그룹페이징 방식을 이용하여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수행하는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주파수공용통신(TRS)을 이용한 종래의 그룹 통화 방법에 대한 설명도.
도 2 는 일반적인 이동통신망에서 착신호 설정을 위한 페이징 방법에 대한 설명도.
도 3 은 이동통신망에서 착신호 설정을 위한 그룹페이징 방법에 대한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된 단말기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상태 천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중앙통제소 101 : 서비스 요청자(발신자)
102 : 서비스 제공자(착신자) 103 : 기지국
104 : 교환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 적용되는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호설정을 요구받으면 요구호가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요구하는 호인지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소정의 착신 단말기군을 페이징하는 그룹페이징을 수행하여 상기 소정의 착신 단말기들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확인 메시지를 보내온 착신 단말기들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를 선택하여 호를 설정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일반적인 이동통신망에서 착신호 설정을 위한 페이징 방법에 대한 설명도로서, 일반적인 이동통신망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하여 착신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통화를 원하는 발신자(서비스 요청자)(101)가 특정단말기에 대한 호 설정을 시도한다(201). 이러한 호설정 시도는 기존의 여러 통신망을 거쳐 착신자의 최종 위치등록정보를 가지고 있는 교환기(104)에 호 설정을 요구하게 된다(202). 이러한 착신호의 요구가 있을 경우에 착신가입자의 위치를 이동통신시스템이 알고 있지 못하므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각 기지국(103)에 송신하게 된다(203). 그 페이징 메시지를 받은 기지국(103)은 다시 각 단말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204). 이때, 페이징 메시지는 착신대상이 되는 가입자의 전화번호와 기타 호설정에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페이징 메시지를 받은 착신자(102)는 자신이 페이징 메시지를 받았다는 확인 메시지를 다시 기지국(103)으로 송신한다(205). 이 확인 메시지를 받은 기지국(103)은 다시 교환기(104)에 그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206). 이때, 교환기(104)는 확인 메시지를 보내온 기지국(103)을 현재 착신 가입자가 있는 위치로 확인한다. 착신호를 위한 위치의 파악이 끝나면 호설정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교환기(104)에서 기지국(103)으로 송신한다(207). 호설정 메시지를 받은 기지국(103)은 착신 단말기에 호설정 메시지를 보낸다(208). 이후의 호설정 과정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망에서의 호설정 과정과 같으며, 완전한 호 설정이 이루어지면 통화가 이루어진다(209).
도 3 은 이동통신망에서 착신호 설정을 위한 그룹페이징 방법에 대한 설명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주요 내용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의 그룹페이징 서비스란 호설정시에 착신대상이 되는 특정한 한명의 가입자를 페이징하지 않고, 가입자를 그룹화한 다음 특정한 가입자군의 번호를 각각의 그룹화된 가입자에게 부여하여, 한번의 그룹화된 가입그룹번호를 통하여 전체 그룹화된 가입자를 동시에 페이징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기존에 주파수공용통신(TRS)을 사용하던 콜택시 서비스와 같은 응용 또는 부가서비스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요청자가 애프터서비스(A/S) 센터에 전화하여 서비스를 요구하지 않고,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서비스 직원을 직접 호출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호설정 과정을 도 3 과 같은 방법으로 수정하여, 서비스를 신청한 서비스 요청자(101)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자(102) 사이의 통화를 중앙통제소(100)를 거치지 않고, 당사자간의 통화로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그룹페이징 서비스가 요청되면 기지국(103)으로부터 그룹페이징 메시지를 받아, 서비스가 요청된 곳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서비스 제공자를 찾아서, 서비스 요청자와 서비스 제공자간의 통화를 직접 연결하는 단계적 페이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로 그룹페이징을 이용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가 자신이 속한 그룹의 그룹식별번호를 부여받도록 하고, 둘째로 단말기는 개인식별번호와 그룹식별번호를 모두 번역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로 서비스 요청자로부터 가까운 서비스 제공자를 단계적으로 페이징하고 가장 가까운 단말기를 선정하는 단계적 페이징을 수행하며, 넷째로 이러한 그룹페이징을 이용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를 구비한다.
이제, 도 3 을 참조하여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페이징을 이용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주파수공용통신(TRS)을 이용한 기존 방식과의 비교를 위해 그룹페이징을 이용한 콜택시 서비스의 예로서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자(101)는 필요한 단말기 그룹식별번호를 눌러 그룹페이징을 이용한 응용 서비스를 위한 호설정을 요구한다(301). 그러면, 기지국(103)에서는 그 호설정 요구를 받아 교환기(104)로 전달하게 된다(302). 교환기(104)는 그룹페이징을 이용한 응용 서비스를 위한 호설정을 요구하는 호이면 각 기지국(103)으로 그룹페이징을 할 것을 지시한다(303).
그러면, 그룹페이징을 요구받은 각 기지국(103)은 셀(기지국)내의 모든 단말기(102)로 그룹페이징을 시도한다(304). 그룹페이징 메시지를 받은 그룹 단말기(102)는 그에 대한 확인(acknowledge) 메시지를 기지국(103)으로 보낸다(305). 각 단말기(102)에서 보낸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103)이 다시 교환기로 보낸다(306).
그러면, 교환기(104)는 수신된 확인 메시지들을 이용한 내부 계산과정을 거쳐, 서비스 요청자(101)로부터 거리가 가장 가까운 단말기(102)가 있는 기지국(103)으로 호설정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보낸다(307). 호설정을 지시받은 기지국(103)은 단말기(102)로 호설정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보낸다(308). 이후의 호설정 과정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망에서의 호설정 과정과 같으며, 호설정이 완료되면 서비스 요청자(101)와 서비스 제공자(102)간의 직접 통화로 서비스가 이루어진다(309).
본 발명의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의 일예로 콜택시 서비스를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은 다른 용도의 응용 또는 부가 서비스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그룹페이징이 필요한 서비스 요청자(101)가 단말기의 그룹식별번호를 눌러 호설정(통화)을 시도한다(401). 이러한 통화를 시도할 때 서비스 요청자(101)의 위치는 통화를 시도하겠다는 메시지를 받은 기지국(103)이다. 기지국(103)이 통화를 요구하면 교환기(104)는 현재의 호가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요구하는 호인지를 판단한다(402).
판단 결과,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위한 호가 아닌 경우에는 이동통신 일반호를 설정하고(403),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위한 호이면 교환기(104)에서 서비스를 신청한 서비스 요청자(101)에게 현재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태임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다(404).
이후, 확인된 서비스 요청자(101)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페이징하는 단계적 페이징 방법을 이용하여 가장 가까운 1단계 지역안의 서비스 제공자(102)들에게 그룹페이징 메시지를 보낸다(405). 1단계 그룹페이징된 지역에서 그룹 단말기(102)가 그룹페이징 상태인지를 판단한다(406).
판단 결과, 1단계 그룹페이징을 한 지역에서 그룹페이징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지연시간을 고려하면서 타이머의 제한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407) 제한 시간을 초과하지 않았으면 2단계 지역을 선정한 후에(408) 2단계 지역에 그룹페이징 메시지를 보낸다(405). 이와 같은 방법을 단계적 페이징 방법이라고 한다. 이 단계적 페이징 방법은 서비스 요청자(101)의 가장 가까운 영역부터 점차로 넓은 지역으로, 타이머의 제한 시간까지 계속적으로 페이징한다. 만일, 타이머의 제한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현재 서비스 요청자(101)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 후에(409) 호를 절단한다(410).
한편, 판단 결과, 1단계 그룹페이징된 지역에서 그룹 단말기(102)가 그룹페이징 상태에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확인 메시지를 보내오면, 확인 메시지를 보낸 단말기(서비스 제공자)(101)들과 서비스 요청된 지역과의 거리를 교환기 내부에서 계산하여 비교한다(411). 비교된 거리에서 서비스 요청 지역과 가장 가까운 서비스 제공자(101)를 선택하여(412) 호를 설정한다(413).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된 단말기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상태 천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시스템에 변화가 필요하다. 우선,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단말기 개인식별번호와 단말기 그룹식별번호가 있어야 한다. 단말기의 개인식별번호는 일반적인 이동통신의 식별번호와 동일하지만, 단말기 그룹식별번호는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기군에 대해 새로운 식별번호를 부여한다. 따라서, 그룹페이징 단말기는 이동통신을 위한 개인식별번호 뿐만아니라 그룹페이징을 위한 그룹식별번호도 같이 가지게 된다.
그룹식별번호는 기존의 번호체계를 따라서 만들어지며, 다만 교환기(104)에서 번호번역을 통해 그룹식별번호인지만 인지할 수 있으면 된다. 그리고, 기지국(103)으로부터 해당되는 그룹페이징 메시지를 받은 단말기(102)는 자신의 그룹페이징을 위한 그룹식별번호를 번역하여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위한 호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보낼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그룹화되어 있는 단말기(102)는 두 개의 식별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그룹페이징이나 개인호 페이징을 모두 인식할 수 있어야 하지만, 모든 페이징에 대한 응답시에는 개인식별번호를 사용한다. 그룹식별번호는 다만 그룹페이징이 있음을 인식하는 용도로만 사용한다.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상태는 주어진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이때, 각 주어진 상황에 적합한 상태는 다음의 네 가지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첫째, 전원 오프(Power-off) 상태는 현재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있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는 상태로, 서비스 영역을 벗어난 경우 등의 상태를 포함한다. 둘째, 개인호만 대기(wait-individual-call-only) 상태는 개인호 페이징 수신 대기 상태이지만 그룹페이징의 수신을 원하지 않는 경우의 상태이다. 셋째, 그룹페이징 대기(wait-group-paging) 상태는 단말기가 그룹페이징과 개인호 페이징을 모두 대기하는 상태이다. 마지막으로, 비지(busy) 상태는 현재 단말기가 어떤 호든지 사용하고 있는 상태로서, 통화중인 호가 끝나면, 단말기의 상태는 호설정 이전의 상태인 개인호만 대기(wait-individual-call-only) 상태나 그룹페이징 대기(wait-group-paging) 상태로 천이한다. 이와 같이, 단말기는 개인호 페이징이 있는 경우에는 개인호만 대기(wait-individual-call-only) 상태나 그룹페이징 대기(wait-group-paging) 상태에서 착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나, 그룹페이징인 경우에는 그룹페이징 대기(wait-group-paging) 상태에서만 착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도 5 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전원이 꺼져있는 전원 오프(power-off) 상태의 그룹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단말기의 전원을 켠다. 이때, 단말기의 상태는 자동적으로 개인호만 대기(wait-individual-call-only) 상태로 천이한다(501). 개인호만 대기(wait-individual-call-only) 상태에서 그룹페이징을 원할 경우에, 단말기의 기능버튼을 조작하여 그룹페이징 대기(wait-group-paging) 상태로 천이한다(502). 그룹페이징 대기(wait-group-paging) 상태에서 더 이상의 그룹페이징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 단말기의 기능버튼을 조작하여 개인호만 대기(wait-individual-call-only) 상태로 천이한다(503).
그룹페이징 대기(wait-group-paging) 상태에서 개인호 페이징이나 그룹페이징에 의해 호가 설정된 경우에는 비지(busy) 상태로 천이한다(504). 호가 끝나면, 호설정 시도가 있었던 당시의 상태가 그룹페이징 대기(wait-group-paging) 상태이므로 원래의 상태인 그룹페이징 대기(wait-group-paging) 상태로 천이한다(505). 한편, 개인호만 대기(wait-individual-call-only) 상태에서 개인호 페이징에 의해 호가 설정되거나 발신호가 설정되면 비지(busy) 상태로 천이한다(506). 호가 끝나면, 호설정 시도가 있었던 당시의 상태가 개인호만 대기(wait-individual-call-only) 상태이므로 원래의 상태인 개인호만 대기(wait-individual-call-only) 상태로 천이한다(507). 그리고, 그룹페이징 대기(wait-group-paging) 상태나 개인호만 대기(wait-individual-call-only) 상태나 호 설정되어 통화중인 비지(busy) 상태에서 전원을 차단하면 전원 오프(power-off) 상태로 천이한다(508 내지 510).
한편, 본 발명을 지원하는 그룹 단말기는 일반적 이동통신용 단말기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몇 가지의 기능적인 면에서는 단말기의 변화가 필요하다. 먼저, 그룹페이징을 위하여 그룹식별번호와 개인식별번호의 두 가지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는 장치가 내장되어야 한다. 또한, 그룹페이징을 위한 그룹식별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가 내장되어야 한다. 또한, 그룹페이징을 위한 그룹식별번호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하며, 응답을 보낼 때는 개인식별번호를 이용하여 보낼 수 있도록 그룹식별번호와 개인식별번호의 매핑기능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단말기의 상태가 기존의 이동통신용 단말의 경우에는 3가지 상태였으나, 그룹페이징을 위한 상태가 하나 추가되어 4가지 상태이므로 개인호만 대기(wait-individual-call-only) 상태에서 그룹페이징 대기(wait-group-paging) 상태로 또한 그룹페이징 대기(wait-group-paging) 상태에서 개인호만 대기(wait-individual-call-only)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버튼 또는 키의 조합이 필요하다. 상기의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위한 단말기에서도 기존의 일반 단말기처럼 일반호의 사용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그룹페이징 서비스는 여러 부문의 부가 서비스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우선, 기존의 콜택시 서비스, 애프터서비스(A/S) 센터, 자동차 긴급 수리센터 등과 같이 서비스 요청자와 불특정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 사이의 직접적인 서비스 요청을 위한 호 설정이 필요한 서비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응용 서비스에 이용되어, 현재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요청자에게서 멀리 떨어진 서비스 제공자에게는 연결이 안되지만, 서비스 요청자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서비스 제공자에게 직접 통화를 연결함으로써 서비스가 제공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신과 관련이 없는 호는 연결이 안되므로 다른 사람들 사이의 통신에서 오는 불필요한 소음에서도 해방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소음이 없어짐으로써 현재 서비스중인 손님에게 보다 쾌적한 서비스 환경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이동통신망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환기를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중앙통제소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각 택시(서비스 제공자)에 부착된 주파수공용통신(TRS)용 단말기와 중앙통제소 시설비와 운영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이동통신망에 적용되는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호설정을 요구받으면 요구호가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요구하는 호인지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소정의 착신 단말기군을 페이징하는 그룹페이징을 수행하여 상기 소정의 착신 단말기들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확인 메시지를 보내온 착신 단말기들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를 선택하여 호를 설정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페이징 수행 과정은,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에서 가까운 지역부터 넓은 지역으로 순차적으로 페이징하는 단계적 페이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적 페이징 수행 과정은,
    응답지연시간을 고려하여 소정의 제한 시간까지 상기 발신 단말기의 가장 가까운 영역부터 점차로 넓은 지역으로 계속적으로 페이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는,
    그룹페이징을 위한 그룹식별번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는,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상태 선택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는,
    현재 상기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있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는 전원 오프(Power-off) 상태;
    개인호 페이징 수신 대기 상태이지만 그룹페이징의 수신을 원하지 않는 개인호만 대기(wait-individual-call-only) 상태;
    상기 단말기가 그룹페이징과 개인호 페이징을 모두 대기하는 그룹페이징 대기(wait-group-paging) 상태; 및
    현재 상기 단말기가 호가 설정되어 있는 비지(busy) 상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는,
    상기 전원 오프(power-off) 상태의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의 전원을 온시키면 상기 단말기의 상태는 상기 개인호만 대기(wait-individual-call-only) 상태로 천이하는 제 4 단계;
    상기 개인호만 대기(wait-individual-call-only) 상태에서 그룹페이징을 원할 경우에, 상기 단말기의 상기 상태 선택 수단을 조작하여 상기 그룹페이징 대기(wait-group-paging) 상태로 천이하는 제 5 단계;
    상기 그룹페이징 대기(wait-group-paging) 상태에서 더 이상의 그룹페이징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상태 선택 수단을 조작하여 상기 개인호만 대기(wait-individual-call-only) 상태로 천이하는 제 6 단계;
    상기 그룹페이징 대기(wait-group-paging) 상태에서 개인호 페이징이나 그룹페이징에 의해 호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비지(busy) 상태로 천이한 후에, 호가 끝나면, 호설정 시도가 있었던 당시의 상기 그룹페이징 대기(wait-group-paging) 상태로 천이하는 제 7 단계;
    상기 개인호만 대기(wait-individual-call-only) 상태에서 개인호 페이징에 의해 호가 설정되거나 발신호가 설정되면 상기 비지(busy) 상태로 천이한 후에, 호가 끝나면, 호설정 시도가 있었던 당시의 상기 개인호만 대기(wait-individual-call-only) 상태로 천이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그룹페이징 대기(wait-group-paging) 상태나 상기 개인호만 대기(wait-individual-call-only) 상태나 상기 비지(busy) 상태에서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전원 오프(power-off) 상태로 천이하는 제 9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그룹페이징이 필요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그룹식별번호에 따른 호설정을 요구받는 제 4 단계;
    그룹식별번호를 번역하여 요구호가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요구하는 호인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 결과,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위한 호가 아닌 경우에는 이동통신 일반호를 설정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 결과,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위한 호이면 상기 발신 단말기로 그룹페이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태임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페이징하는 단계적 페이징 방법을 이용하여 가장 가까운 지역안의 상기 착신 단말기들로 그룹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4 단계;
    그룹페이징된 지역에 있는 상기 착신 단말기들이 그룹페이징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그룹페이징 상태이면 상기 제 3 단계로 넘어가고, 그룹페이징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한 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 결과, 제한 시간을 초과하기 않았으면 다음으로 넓은 지역을 선정한 후에 상기 제 4 단계의 그룹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부터 반복 수행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 결과, 제한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 후에 호를 해제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그룹페이징 메시지를 받아 그룹식별번호를 번역한 결과에 따라 확인 메시지를 보내온 착신 단말기들과 상기 발신 단말기 지역과의 거리를 비교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 지역과 가장 가까운 상기 착신 단말기를 선택하여 호를 설정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페이징 서비스는,
    서비스 요청자와 불특정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 사이의 직접적인 서비스 요청을 위한 호 설정이 필요한 콜택시 서비스, 애프터서비스(A/S) 및 자동차 긴급수리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서비스에서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
KR1019980022893A 1998-06-18 1998-06-18 이동통신망에서의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 KR100264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893A KR100264978B1 (ko) 1998-06-18 1998-06-18 이동통신망에서의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893A KR100264978B1 (ko) 1998-06-18 1998-06-18 이동통신망에서의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243A true KR20000002243A (ko) 2000-01-15
KR100264978B1 KR100264978B1 (ko) 2000-09-01

Family

ID=19539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893A KR100264978B1 (ko) 1998-06-18 1998-06-18 이동통신망에서의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49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305B1 (ko) * 2000-05-08 2002-10-19 주식회사 케이티 Imt-2000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특파서비스 제공방법 및장치
KR100381362B1 (ko) * 1999-05-10 2003-04-21 권이경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sms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21080A (ko) * 2002-09-02 2004-03-10 주식회사 씨큐리콥 복수의 무선단말기 상호간의 개별 또는 그룹호출 및통화방법과 그 무선단말기
KR100671686B1 (ko) * 1999-12-08 2007-01-18 주식회사 케이티 발신 위치정보를 이용한 다중 또는 선택적 페이징 절차에의한 호 처리 방법
KR101280091B1 (ko) * 2004-06-07 2013-06-28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제 1 무선 유닛과의 통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712B1 (ko) 2004-01-15 2010-08-30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기지국 서브시스템
KR101464929B1 (ko) * 2008-07-31 2014-11-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발착신자 그룹별 히든 페이징 시스템, 서버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362B1 (ko) * 1999-05-10 2003-04-21 권이경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sms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71686B1 (ko) * 1999-12-08 2007-01-18 주식회사 케이티 발신 위치정보를 이용한 다중 또는 선택적 페이징 절차에의한 호 처리 방법
KR100357305B1 (ko) * 2000-05-08 2002-10-19 주식회사 케이티 Imt-2000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특파서비스 제공방법 및장치
KR20040021080A (ko) * 2002-09-02 2004-03-10 주식회사 씨큐리콥 복수의 무선단말기 상호간의 개별 또는 그룹호출 및통화방법과 그 무선단말기
KR101280091B1 (ko) * 2004-06-07 2013-06-28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제 1 무선 유닛과의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4978B1 (ko) 200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574C (zh) 一种团体通信系统
JP3031430B2 (ja) 無線電話サービスにおける加入者への呼のルーティング方法
JP3453138B2 (ja) 個人ページング方法
JPH05103371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と移動体通信方法
JPH09307946A (ja) ユニバーサル電話番号サービスに対するセルラ電話の自動登録
JP200105417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用方法
JPH06509216A (ja) 無線電話通信システム内の呼伝達サービス
JP2000196756A (ja) 着信転送システム
KR100264978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
KR20030001053A (ko) 문자아이디를 이용한 통화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0162977B1 (ko) 이동 전화 교환기에서의 착신 불가시 메세지 송출 서비스 방법
JP2002158780A (ja) 着信転送通信システム
KR20010011750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KR19990009277A (ko) 개인 통신 서비스에서의 착신전환 서비스 처리 방법
KR100684941B1 (ko) 구내 무선 통신망에서의 프리젠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441122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호전환부가서비스실시방법
KR100459939B1 (ko) 회의통화 기능을 위한 셀룰러 통신 시스템
EP0936795A2 (en) System and method for bridging wireless and wireline subscribers
JPH0983651A (ja) 交換装置
JP3614187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提供用の装置並びにサービス方法
KR100271518B1 (ko) 음성메시징시스팀을 이용한 원격착신호전환서비스 방법
KR100978114B1 (ko) 사용자 기반의 호 대기 서비스 방법
KR100233915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호 대기 처리 방법
KR100233914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호 보류 처리 방법
JP2939367B2 (ja) 移動体通信における着信転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