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693U - 세탁기의 저수조 걸이봉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저수조 걸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693U
KR20000001693U KR2019980011493U KR19980011493U KR20000001693U KR 20000001693 U KR20000001693 U KR 20000001693U KR 2019980011493 U KR2019980011493 U KR 2019980011493U KR 19980011493 U KR19980011493 U KR 19980011493U KR 20000001693 U KR20000001693 U KR 200000016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rod
compression plate
plate body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4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찬홍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14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693U/ko
Publication of KR200000016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693U/ko

Links

Landscapes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의 저수조 걸이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동흡수 수단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저수조의 진동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한 세탁기의 저수조 걸이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외상의 내부에 수용되는 저수조를 현가 되게 지지하는 로드(20)를 갖는 세탁기의 저수조 현가장치에 있어서, 관형상으로 상단에는 상기 로드(20)의 하단이 관통되어지는 소경의 관통공을 갖고, 하단에는 로드(20)의 하단에 고정된 제1압축판체(10d)가 삽입되어지는 대경의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10a)내부에 제2압축판체(20e)를 사이에 두고 대면되어진 서로 다른 탄성을 갖는 제1 및 제2탄성체(10b,10c)를 상기 제1압축판체(10d)의 상부에 설치하여 저수조의 진동 정도에 따라 제1, 제2탄성체(10c, 10d) 및 제1, 제2압축판체(10d, 10e)가 상호 작용되게 하여 저수조의 진동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저수조 걸이봉
본 고안은 세탁기의 저수조 걸이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 및 제2탄성체와 제1 및 제2압축판체로 구성된 다단의 진동 흡수 구조에 의해 저수조내에 넣어지는 포량에 따라 어느 일측의 진동 흡수 구조가 선택적으로 작동되게 하여 저수조의 진동을 보다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한 세탁기의 저수조 걸이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들에는 세탁조나 펄세이터의 불규칙한 운동시 발생되는 진동이 저수조를 통해 세탁기의 외상에 까지 전달되지 않는 상태로 저수조를 외상내에 설치할 수 있는 저수조 설치구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저수조 설치구조를 갖는 세탁기의 일예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3)내에는 그 내부에 펄세이터(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진 세탁조(4)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저수조(3)의 저면에는 상기 세탁조(4)와 펄세이터(5)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모우터(6)와 상기 전동모우터(6)의 동력을 펄세이터(5)가 결합된 세탁축이나 세탁조(4)가 결합된 탈수축에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어조립체(7) 및 전동모우터(6)의 동력을 감속기어조립체(7)에 전달하는 밸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저수조(3)는 현가장치에 의해 외상내에 매달리듯이 설치되어지며, 이와 같이 저수조(3)를 외상내에 매다는 형태로 설치하는 것은 저수조(3)내에 설치되어진 세탁조(4)나 펄세이터(5)의 불규칙적인 운동시 발생되는 진동이 저수조를 통하여 외상까지 전달되지 않도록하기 위한것이다.
이와 같은 진동 흡수 수단으로서의 현가 장치는 외상과 저수조(3)의 하단 사이를 연결시키는 로드(2)와 저수조의 진동을 흡수하는 걸이봉(1)으로 구성된다.
상기 로드(2)는 4개가 사용되고, 각각의 상단이 외상의 네모서리에 힌지가능하게 설치되어지며, 그 하단은 역시 4개의 걸이봉(1)들의 각각의 하우징(1a)을 관통하여 하우징(1a)내부에 구비된 스프링(1b)의 하단에 설치된 피스톤(1c)에 고정되어져 저수조(3)의 하중이 피스톤(1c)과 스프링(1b)에 의해 지지되게 하고 있다. 저수조(3)가 진동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1b)의 탄성과, 하우징(1a)과 피스톤(1c)의 공기 압축 작용에 의해 완충되어 외상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걸이봉(1)은 단일의 탄성부재의 탄성력과, 단일의 피스톤과 하우징 사이의 공기 압축 작용에 의해 저수조의 진동을 흡수, 완충시키므로 저수조에 걸리는 부하 즉, 저수조내에 투입되는 포량이나 진동의 강약 정도에 따라 탄성적인 진동 흡수 작용을 충분히 수행치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탄성체의 제작시 이미 정해진 것으로 저수조에 투입된 포량이 적을 때에는 탄성체가 압축되지 않아 탄성작용을 하지 못하게 되고, 포량이 너무 많아지게 되면 포량이 탄성체의 탄성을 능가하여 탄성체가 압축된 상태에서 반발 작용이 일어나지 않게되므로 저수조의 진동이 로드를 따라 외상에 까지 전달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세탁량이나 저수조에 걸리는 하중에 따라 각각 작동되어질 수 있는 이중의 탄성체를 구비한 세탁기의 저수조 걸이봉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외상의 내부에 수용되는 저수조를 현가되게 지지하는 로드를 갖는 세탁기의 저수조 현가장치에 있어서, 관형상으로 상단에는 상기 로드의 하단이 관통되어지는 소경의 관통공을 갖고, 하단에는 로드의 하단에 고정되어지는 제1압축판체가 삽입되어지는 대경의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제2압축판체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진 상태로 상기 하우징내의 상기 제1압축판체의 상부에 설치되어지는 서로 다른 탄성을 갖는 제1 및 제2탄성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저수조 걸이봉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저수조 걸이봉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1조식세탁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구조를 갖는 세탁기의 저수조 걸이봉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를 갖는 세탁기의 저수조 걸이봉의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10 ... 걸이봉 1a,10a ... 하우징
1b ... 스프링 1c ... 피스톤
2,20 ... 로드 3 ... 저수조
4 ... 세탁조 5 ... 펄세이터
6 ... 전동모우터 7 ... 감속기어조립체
10b ... 제1탄성체 10c ... 제2탄성체
10d ... 제1압축판체 10e ... 제2압축판체
도 1은 1조식세탁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를 갖는 세탁기의 저수조 걸이봉의 단면도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동일부호로 설명하였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저수조 걸이봉(10)은 제1,제2탄성체(10b,10c)와 제1,제2압축판체(10d,10e)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탄성체(10b),제1압축판체(10d), 제2탄성체(10c) 및 제2압축판체(10e)는 관형상의 하우징(10a)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어지며, 화우징(10a)의 상단을 관통하여 하우징(10a)의 하단의 개구부로 연장된 로드(20)의 하단이 제1압축판체(10d)의 중앙에 고정된다.
상기 제1탄성체(10b)와 제2탄성체(10c)는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다. 즉, 제1탄성체(10c)는 저수조(3)내에 투입되는 포량이 4킬로그램 미만일 경우 작동될 수 있을 정도의 탄성계수를 갖으며, 제2탄성체(10c)는 4킬로그램 이상의 포량에서 작동될 수 있는 탄성계수를 갖는다.
상기 제1탄성체(10b)와 제2탄성체(10d) 사이에 삽입되어진 제2압축판체(10e)와 제1탄성체(10b)의 하부 즉, 로드(20)의 단부에 고정되어진 체1압축판체(10d)는 각각 그 외연부가 하우징(10a)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제1압축판체(10d)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로드(20)의 하단에 고정되어지므로써 로드(20)의 단부와 함께 하우징(10a)내에서 이동되어 하우징(10a)과의 사이에 공기 압축 작용을 일으키게되며, 제2압축판체(10e)는 그 중앙을 관통한 로드(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압축 또는 반발하는 탄성체들(10b,10c)에 의해 역시 하우징(10a)내에서 상하로 왕복운동하여 하우징(10a)과의 사이에 공기 압축작용을 일으켜 저수조의 진동을 흡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걸이봉(10)을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걸이봉의 작동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저수조(3)내에 투입된 포량이 4킬로그램 미만일 경우에는 저수조내의 포량에 의한 하중이 제2탄성성체(10c)를 압축시킴에는 부족하므로 제2탄성체(10c)는 압축 및 반발작용을 하지 못하고, 제1탄성체(10b)만이 압축 반발작용을 하게 되며, 이때 제2압축판체(10e)는 하우징(10a)의 중단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압축판체(10d)만이 상하로 왕복운동하여 하우징(10a)과의 사이에 공기 압축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즉, 제1탄성체(10b)의 탄성력과 하우징(10a)과 제1압축판체(10d) 사이의 공기 압축 작용만에 의해 저수조의 진동이 완충되게 된다.
또한 저수조(3)내에 투입된 포량이 4킬로그램 이상일 경우에는 저수조내의 포량에 의한 하중이 제1탄성체(10b)의 탄성력을 능가하여 압축된 상태에서 반발력을 일으킬 수 없으므로 제1탄성체(10b)는 압축 및 반발작용이 원활하지못하고, 제2탄성체(10c)만이 포량에 의한 하중을 능가하여 압축 반발작용을 하게 되며, 이때 제1압축판체(10d)는 제1탄성체(10b)가 압축된 상태에서 제2압축판체(10e)와 근접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2압축판체(10e)만이 상하로 왕복운동하여 하우징(10a)과의 사이에 공기 압축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제2탄성체(10c)의 탄성력과, 하우징(10a)과 제2압축판체(10e) 사이의 공기 압축 작용이 주가 되어 저수조의 진동을 완충시키게 되나 저수조의 진동 방향에 따라 제1탄성체(10b)와 제1압축판체(10d)도 동시에 작동되게 된다. 즉, 제1탄성체(10b)와 제1압축판체(10d)는 저수조가 하방으로 이동 즉, 포량의 하중이 걸이봉(10a)에 충분한 압력을 가할 또는 작동되지 않으나 저수조가 제2탄성체(10c)의 탄성력과, 제2압축판체(10e)와 하우징(10a) 사이의 공기 압축 작용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도중의 어느 일시점에서 상기 제2탄성체(10c)와 제2압축판체(10e)의 완충작용을 돕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걸이봉은 2단계의 완충구조를 갖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저수조의 포량에 따라 각각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 다수의 탄성체와 압축판체들로 다단계의 완충구조를 갖출 수 있음은 본 고안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제1탄성체(10b)와 제2탄성체(10c)가 저수조에 걸리는 하중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고, 역시 저수조에 걸리는 하중에 따라 제1및 제2압축판체(10d,10e)중 어느 일개의 압축판체이나 모든 압축판체과 하우징(10a) 사이에 공기 압축 작용이 발생되어 충분한 완충작용이 발생된다.
즉, 저수조에 투입되는 포량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저수조의 진동을 걸이봉에서 충분히 흡수하여 완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상의 내부에 수용되는 저수조를 현가 되게 지지하는 로드(20)를 갖는 세탁기의 저수조 현가장치에 있어서,
    관형상으로 상단에는 상기 로드(20)의 하단이 관통되어지는 소경의 관통공을 갖고, 하단에는 로드(20)의 하단에 고정되어지는 제1압축판체(10d)가 삽입되어지는 대경의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10a),
    제2압축판체(20e)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진 상태로 상기 하우징(10a)내의 상기 제1압축판체(10d)의 상부에 설치되어지는 서로 다른 탄성을 갖는 제1 및 제2탄성체(10b,10c)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저수조 걸이봉.
KR2019980011493U 1998-06-30 1998-06-30 세탁기의 저수조 걸이봉 KR200000016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493U KR20000001693U (ko) 1998-06-30 1998-06-30 세탁기의 저수조 걸이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493U KR20000001693U (ko) 1998-06-30 1998-06-30 세탁기의 저수조 걸이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693U true KR20000001693U (ko) 2000-01-25

Family

ID=69518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493U KR20000001693U (ko) 1998-06-30 1998-06-30 세탁기의 저수조 걸이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169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308A (ko) * 2010-05-04 2011-11-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용 댐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308A (ko) * 2010-05-04 2011-11-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용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71457B (zh) 洗衣机
WO2018086588A1 (zh) 一种洗衣机减震装置及洗衣机
JPH08215475A (ja) ダンパ装置および洗濯機
KR20000001693U (ko) 세탁기의 저수조 걸이봉
CN103162205A (zh) 灯具
KR200146585Y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200159084Y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JP3107321B2 (ja) 建設機械のオペレータキャビン弾性支持構造
WO2018086578A1 (zh) 一种洗衣机减震装置及洗衣机
KR0125618Y1 (ko) 세탁기의 방진장치
JP2002292185A (ja) 洗濯機の防振装置
KR0134363Y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CN218621468U (zh) 波轮洗衣机
CN212510108U (zh) 一种减震安装型的柴油机
KR100488046B1 (ko) 탑 로딩 세탁기의 서스펜션 장치
KR0159692B1 (ko) 세탁기
KR200145927Y1 (ko)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
JPH02198592A (ja) 全自動洗濯機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215334B1 (ko) 전자동 세탁기의 완충장치
KR0124297Y1 (ko) 드럼 세탁기
KR200141000Y1 (ko) 세탁기의 댐핑장치
KR19980011453U (ko) 세탁기의 세탁조 방진 장치
KR0136467Y1 (ko) 세탁조의 진동감쇠용 댐핑장치를 갖는 세탁기
KR200204130Y1 (ko) 세탁기의 댐퍼
KR19980057927U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