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421A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421A
KR20000001421A KR1019980021684A KR19980021684A KR20000001421A KR 20000001421 A KR20000001421 A KR 20000001421A KR 1019980021684 A KR1019980021684 A KR 1019980021684A KR 19980021684 A KR19980021684 A KR 19980021684A KR 20000001421 A KR20000001421 A KR 20000001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ead bolt
door
latch bolt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1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8848B1 (ko
Inventor
오세훈
Original Assignee
민경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양 filed Critical 민경양
Priority to KR1019980021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8848B1/ko
Publication of KR2000000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조작을 위한 구성요소를 동축으로 설치하고 솔레노이드를 백세트 내부에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크기를 경박단소화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인너유니트와 아웃유니트 내부에 있는 요소들을 연결핀으로 연결설치함에 있어 이들 요소 사이의 중심축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도 되도록 올드햄 커플링의 원리를 채용하여 도어록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설치후 사용중에 이들 사이의 중심축이 틀어지더라도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록 장치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택이나 일반 빌딩등의 출입문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택이나 빌딩의 사무실과 같은 곳에는 건물 내외부로 출입하기 위한 출입문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출입문에는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내부로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도어록장치로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본 발명은 비밀번호기능을 구비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록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은 실외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인데,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외부 케이스(1)의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구비되어 있다. 먼저, 아래에서 설명될 래치볼트(50)의 조작을 위한 레버핸들(10)이 상기 외부케이스(1)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핸들(10)의 동작과 연동되어 리트렉터(17)를 동작시키는 리트렉터캠(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트렉터(17)는 래치볼트(50)를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 부호 16은 스냅링이고, 19는 리드렉터커버이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1)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섬턴(8)이 구비된다. 상기 섬턴(8)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고 회전시켜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섬턴(8)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재(9)가 상기 아웃케이스(1)의 내부에서 상기 섬턴(8)과 연결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9)의 타단부에 연결핀(25)이 연결된다. 상기 연결핀(25)은 아래에서 설명될 데드볼트아암(53)을 동작시켜 데드볼트(47)를 동작시키게 된다. 도면 부호 22는 상기 섬턴(8)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이고, 23은 스프링버켓이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1)의 전면에는 비상키이로 동작되는 록세트(6)가 그 선단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도면 부호 24는 카운트플레이트조립체이다.
또한 상기 아웃케이스(1)의 상단 전면에는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키이패드부(4)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키이패드부(4)의 전면은 프론트패널(2)에 의해 덮여져 외부로부터 이물이 침투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1)의 내부 일측에는 솔레노이드(14)가 설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14)는 상기 키이패드부(4)에서 입력되는 비밀번호에 따라 동작되면서 도어의 잠금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14)는 아웃케이스(1)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솔레노이드플레이트(11)에 설치되고, 그 내부의 플런저(13)가 솔레노이드(14)의 내외부로 출몰되면서 동작된다.
한편,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실내유니트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실내유니트는 실외유니트와 거의 그 구조가 유사한데, 단지 키이패드부(4)와 솔레노이드(14)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케이스(33)가 더 구비되는 점이 다르다. 그리고 그외의 구성은 상기 실외유니트와 동일하므로 실외유니트와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면 부호 34는 메인기판이고, 36은 보드커버이며, 37은 레버패드이다.
그리고, 도 3에는 백세트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백세트케이스(46)의 내부에 래치볼트아암(51)이 설치된다. 상기 래치볼트아암(51)은 상기 리트렉터(17)와 연동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볼트아암(51)과 연동되게 래치볼트(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래치볼트(50)는 상기 래치볼트아암(51)에 의해 상기 백세트케이스(46) 내외부로 출몰하면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핀(25)과 연동되는 데드볼트아암(53)이 상기 백세트케이스(46)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데드볼트아암(53)은 상기 연결핀(25)에 의해 동작되어 데드볼트(47)를 상기 백세트케이스 내외부로 출몰되게 하여 도어를 잠궈줄 수 있게 한다. 도면 부호 48은 데드볼트스프링, 52는 커버, 54는 래치플레이트 풀러 조립체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록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에는 도어록 장치의 부피가 지나치게 커서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상에도 많은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장치에서는 데드볼트(47)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과 래치볼트(5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이 별개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솔레노이드(17)가 상기 실외유니트의 케이스(1)내부에 있어 실외유니트의 크기를 크게 만들며, 솔레노이드(17)의 구동력을 백세트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많은 부품 때문에 전체 크기가 커지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장치는 전체 부품의 개수가 많고 솔레노이드 작동을 위한 장치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어 부품생산 공정도 복잡할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도 복잡해지고 고장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조립을 함에 있어서 실내유니트와 실외유니트 그리고 백세트를 연결하는 연결핀(25)과 이와 연결 설치되는 부품의 중심이 정확하게 일직선으로 되지 않게 되면 도어록 장치의 설치가 잘 되지 않고, 설치후 외부의 힘에 의해 중심이 비틀어지게 되면 도어록장치의 개폐가 잘 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의 손잡이 부분이 외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있어 외부에서 지나치게 큰 힘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핸들이 파손되거나 다른 부품과의 연결상태가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마지막으로 문을 개폐할 때의 동작도 필요이상으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경박단소화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이 보다 간소화되고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을 개폐하기 위한 동작이 보다 간소화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들에 지나친 힘이 가해지더라도 핸들이 파손되거나 고장나지 않도록 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록 장치의 실외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록 장치의 실내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록 장치의 백세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장치의 일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아웃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인너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의 핸들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핸들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복귀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0a는 본 발명 실시예의 디스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0b는 본 발명 실시예의 디스크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11a는 본 발명 실시예의 개폐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1b는 본 발명 실시예의 개폐부재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12a는 본 발명 실시예의 캡의 형상을 보인 정면도.
도 12b는 본 발명 실시예의 캡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캠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4a는 본 발명 실시예의 플런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4b는 본 발명 실시예의 플런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5a는 본 발명 실시예의 섬턴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5b는 본 발명 실시예의 섬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백세트의 내부구성과 래치볼트가 백세트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핸들의 조작에 의해 래치볼트가 백세트 내부로 수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도어록장치에 의해 도어가 잠김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도어가 잠긴 것을 해지할 수 있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20a,20b,20c,20d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캠과 플런저가 연동됨에 의해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작동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로서,
도 20a는 데드볼트는 백세트 내부에 수납되고 래치볼트는 백세트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의 캠과 플런저사이의 관계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20b는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모두 백세트 내부로 수납된 상태에서의 캠과 플런저 사이의 관계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20c는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모두 백세트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의 캠과 플런저 사이의 관계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20d는 데드볼트는 백세트 외부로 돌출되고 래치볼트는 백세트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의 캠과 플런저 사이의 관계를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내유니트 110: 외부케이스
112: 키입력부 120: 핸들
121: 손잡이부 122: 회전구동부
130: 디스크 132: 통공
134,134': 가로방향홈 136: 세로방향홈
137,137': 연동판 138,138': 걸림돌편
140: 개폐부재 142: 통공
144,144': 결합돌기 150: 갭
160: 키이실린더 170: 캠
180: 플런저 190: 연결핀
200: 실내유니트 210: 케이스
220: 섬턴 300: 백세트
301: 케이스 310: 래치연동레버
320: 데드연동레버 330: 래치볼트
340: 데드볼트 350: 솔레노이드
352: 절환레버 356: 잠금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을 위한 데드볼트와 도어의 개폐를 위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백세트와, 상기 백세트의 래치볼트를 구동하는 래치볼트구동수단과, 상기 래치볼트구동수단과 동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백세트의 데드볼트를 구동하는 데드볼트구동수단과, 상기 래치볼트구동수단 및 데드볼트구동수단과 연결설치되어 상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동작시키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소정 이상의 힘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래치볼트구동수단은 상기 핸들과 연결설치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구동부와 소정 구간동안 연동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를 상기 핸들 방향으로 탄성지지하여 주는 탄성부재와, 상기 디스크의 회전과 연동되어 상기 래치볼트를 백세트로부터 출몰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드볼트구동수단은 상기 핸들의 회전구동부 내부에 동축으로 설치되어 특정 키이에 의해 회전되는 키이실린더와, 상기 키이실린더와 일체로 동작되는 캠과, 상기 회전구동부 내부에 동축으로 설치되어 상기 캠과 연동되어 키이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와 연결설치되어 상기 백세트의 데드볼트를 동작시키는 연결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핸들의 회전구동부와 디스크에는 각각 서로 결합되는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핸들이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결합홈으로부터 결합돌기가 빠져나와 디스크가 후퇴되어 핸들 단독으로 회전된다.
상기 래치볼트구동수단과 데드볼트구동수단 사이의 중심축의 편차를 보정할 수 있는 편차보정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편차보정부는 상기 핸들의 회전구동부에 구비되어 있는 돌출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디스크의 일면에 형성된 가로방향홈과, 상기 가로방향홈의 진행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디스크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연동돌부가 위치되는 세로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핸들은 복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지면에 대해 항상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된다.
상기 백세트 내부에는 상기 연결핀과 연동되고 상기 핸들에 의한 데드볼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드볼트제어부재와, 상기 데드볼트제어부재의 위치를 절환시켜 주는 절환부재와, 상기 절환부재를 동작시켜 주는 전기적 구동수단이 더 구비되어 상기 데드볼트에 의해 도어가 잠긴 상태에서 상기 핸들에 의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게 되는데, 상기 전기적 구동수단은 비밀번호기능에 의해 동작되는 솔레노이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을 위한 데드볼트와 도어의 개폐를 위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백세트와, 상기 백세트의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의 설치 편차를 보정할 수 있는 편차보정부를 더 구비한 인너 및 아웃유니트와, 상기 인너 및 아웃유니트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상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동작시키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편차보정부는 인너유니트와 아웃유니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연동되는 상기 인너 및 아웃유니트 내부에 있는 부재 사이를 오울댐 커플링 구조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장치는 크게 아웃 유니트(100), 인너 유니트(200), 백세트(300)로 구성된다.
상기 아웃 유니트(100)는 도어의 외측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도어를 조작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백세트(300)는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 및 잠금/해제를 위한 래치볼트(330)와 데드볼트(34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인너 유니트(200)는 도어의 내측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서 도어를 조작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인너 유니트(200)는 상기 아웃유니트(100)와 구성이 거의 동일하다.
먼저, 상기 아웃 유니트(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아웃케이스(110)가 상기 아웃유니트(100)를 구성하는 부품을 외부와 차폐한다. 상기 아웃케이스(110)는 상기 도어의 외측 표면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상단에는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키입력부(112)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핸들(120)의 회전구동부(122)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통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120)은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손잡이부(121)와 회전구동부(122)가 서로 직교되게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21)는 사용자가 도어록 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손으로 잡는 부분이고, 상기 회전구동부(122)는 상기 손잡이부(121)와 일체로 회전되어 도어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부분이다.
상기 회전구동부(122)에는 그 중앙부에 아래에서 설명될 키실린더(160)가 위치되는 통공(124)이 형성되어 있고, 그 단부의 양단 가장자리에 결합돌기(1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126)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122)의 단부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귀부재(128)의 설치를 위한 설치단(1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귀부재(128)는 상기 핸들(120)의 손잡이부(121)가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핸들(12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그 양단레그부(128a,128b)가 상기 설치단(125)의 측면에 밀착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복귀부재(12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핸들(120)이 90。 이내로 회전되면 항상 상기 양단레그부(128a,128b)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다시말해 지면에 대해 수평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핸들(120)에 과도한 힘에 가해져 90。이상 회전되면 상기 핸들(120)이 원래 설치되어 있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상기 복귀부재(128)의 탄성력에 의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부(122)의 단부에는 중앙을 관통하여 통공(132)이 형성된 디스크(130)가 연결설치된다. 상기 디스크에는, 도 10a,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구동부(122)의 결합돌기(126)와 대응되는 면에 상기 결합돌기(126)가 결합되는 가로방향홈(134,134')이 형성되어 있고, 반대쪽 면에는 상기 가로방향홈(134,134')의 형성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세로방향슬롯(136)이 상기 통공(132)의 양측에 연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로슬방향롯(136)이 형성된 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개폐부재(140)와의 연동을 위한 연동판(137,137')이 서로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130)의 양측면에는 각각 걸림돌편(138,13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걸림돌편(138,138')은 상기 디스크(130)가 핸들(120)에 의해 회전되는 범위를 한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디스크(130)는 아래에서 설명될 캡(150)에 일측이 지지되어 있는 압축코일스프링(139)에 의해 상기 핸들(120)의 회전구동부(122) 방향으로 밀려진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디스크(130)가 상기 압축코일스프링(139)에 의해 상기 회전구동부(122)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구동부(122)의 결합돌기(126)가 상기 디스크(130)의 가로방향홈(134,134')에 안착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압축코일스프링(139)은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상기 핸들(120)을 돌려 도어를 개방하는 정도의 힘을 가하더라도 상기 결합돌기(126)가 상기 가로방향홈(134,134')으로부터 탈거되지 않을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크(130)와 회동되는 개폐부재(140)에는, 도 11a,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을 관통하여 역시 통공(1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130)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디스크(130)의 세로방향슬롯(136)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44,144')가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대면에는 상기 백세트(300) 내부에 삽입되어 백세트(300) 내부의 래치연동레버(310)를 구동하는 구동판(146,146')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재(140)와 디스크(130) 사이에는 스프링(149)이 게재되어 있어 상기 개폐부재(140)를 상기 백세트(300)방향으로 밀어주어 상기 구동판(146,146')이 항상 백세트(30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위에서 설명된 각각의 부재를 아웃케이스(110) 내측에서 차폐하여 주는 캡(150)이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내측에 나사(s)로 고정된다. 도 12a,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150)에도 역시 통공(1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152)을 통해 상기 개폐부재(140)의 일단부가 돌출되어 백세트(300) 내부로 상기 구동판(146,146')이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캡(150)의 내부에는 상기 디스크(130)의 회전 범위를 한정하는 스토퍼(154,15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154,154')들 사이의 구간은 최소한 90。가 되어야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154,154')들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디스크(130)의 걸림돌편(138,138')이 회전될 수 있는 각도 역시 최소한 90。가 되고, 상기 디스크(130)와 핸들(120)이 연동될 수 있는 각도 역시 이 범위내이다. 도 12a,12b는 미설명 부호 156,156'는 체결브라켓이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124,132,142,152)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백세트(300)의 데드볼트(340)를 조작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핸들(120)의 회전구동부(122) 내부의 통공(124)에는 키이실린더(160)가 설치된다. 상기 키이실린더(160)는 그 내부에 사용자가 특정 키이(도시되지 않음)를 삽입하여 돌려주면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키이실린더(160)는 상기 핸들(120)과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키이실린더(160)의 후단에는 캠(170)이 너트(179)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캠(170)은 아래에서 설명될 플런저(180)에 상기 키이실린더(16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캠(170)에는 구동돌기(172,172')가 일면에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180)는 도 14a,14b에 그 형상이 잘 도시되어 있다. 즉, 선단부 양측에 상기 캠(170)의 구동돌기(172,172')와 연동되는 연동돌기(182,18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캠(170)과 연동된다. 그리고, 후단부 쪽으로는 사각형의 삽입공(18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삽입공(184)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핀(190)이 삽입되는 곳이다. 상기 삽입공(184)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핀(190)의 삽입방향을 안내하는 안내돌기(18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안내돌기(185)는 도어록장치의 설치위치에 따라 상기 핸들(120)의 설치방향이 달라지는 경우에 상기 연결핀(320)과 이에 관련되는 기구의 조립을 안내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플런저(180)의 후단부의 삽입공(184)에는 플런저(18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연결핀(190)이 삽입설치된다. 상기 연결핀(190)은 상기 백세트(300)의 내부를 관통하여 인너유니트(200)의 섬턴(220)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연결핀(190)은 상기 키이실린더(16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백세트(300) 내부에 있는 데드연동레버(320)를 회전시켜 데드볼트(340)를 백세트(300)의 내외부로 출몰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인너유니트(200)의 구성은 상기 아웃유니트(100)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인너유니트(200)에는 상기 키이실린더(160)와 플런저(180) 대신에 섬턴(220)이 구비된다. 상기 섬턴(220)은 사용자가 내부에서 그 손잡이부(221)를 돌려주어 백세트(300)의 데드볼트(340)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섬턴(220)은 도 15a, 15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손잡이부(221)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221)는 인너유니트(200)의 핸들(120)의 회전중심부(12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아 돌려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타단부에는 상기 연결핀(190)의 일단이 끼워지도록 삽입홈(2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224)에도 역시 상기 연결핀(190)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돌기(2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너유니트(200)의 외관을 케이스(210)가 형성한다. 이와 같은 케이스(210)에는 도어의 내측에 위치되는 핸들(120)이 설치되는 통공(212)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0)의 상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솔레노이드(35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214)가 구비된다.
인너유니트(200)의 그외의 구성은 상기 아웃유니트(100)와 거의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제, 백세트(3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케이스(301)가 백세트(300)의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케이스(301)는 도어의 내부에 삽입가능하도록 납작한 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상기 케이스(301)의 양측면에는 인너 및 아웃유니트(100)(200)의 상기 개폐부재(140)의 구동판(146,146')이 케이스(30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아치형의 삽입슬롯(302,302')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핀(190)이 관통할 수 있는 통공(305)이 또한 상기 양측 삽입슬롯(302,302')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301)의 내부에는 상기 개폐부재(140)의 구동판(146,146')과 회동되어 래치볼트(330)를 백세트(300)의 내외부로 출몰시키는 래치연동레버(3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래치연동레버(310)는 힌지축(3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케이스(301)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312)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부재(140)의 구동판(146,146')과 접촉하여 연동되는 피동아암(313)과 상기 피동아암(313)과 상기 힌지축(312)에서 서로 대략 직교되게 만나도록 형성된 구동아암(31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래치볼트(330)를 상기 케이스(301)로부터 출몰시키기 위한 래치구동프레임(331)이 상기 케이스(301)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래치구동프레임(331)은 그 선단부에 상기 래치볼트(330)가 연결설치되고, 그 후단부에 상기 래치연동레버(310)의 구동아암(314)과 연동되는 구동바아(3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바아(332)에는 가이드돌기(33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케이스(301)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슬롯(307)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래치구동프레임(331)의 이동궤적을 규제하게 된다. 그리고 일단 핸들(120)을 동작시켜 도어를 개폐한 후 상기 래치볼트(330)가 케이스(30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래치구동프레임(331)을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돌출스프링(333)이 상기 케이스(301)에 일단부가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래치구동프레임(331)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데드볼트(34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301)의 내부에는 데드연동레버(320)가 설치된다. 상기 데드연동레버(320)의 중앙에는 상기 연결핀(190)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사각형의 통공(30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데드연동레버(320)의 일측에는 절환아암(32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환아암(322)은 데드연동레버(32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면서 데드볼트(340)를 케이스(301)의 내외부로 출몰시킨다.
한편, 상기 절환아암(322)에 의해 구동되는 데드구동프레임(342)이 상기 케이스(301)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데드구동프레임(342)의 선단부에는 데드볼트(340)가 설치되어 있고, 그 후단 일측에는 상기 절환아암(322)의 선단부가 위치되는 수납절결부(3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환아암(322)과의 정확한 연동을 위해 연동벽(345,346)을 상기 수납절결부(343) 전후에 각각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데드구동프레임(342)에는 그 후단 타측에 가이드슬롯(34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슬롯(347)에는 케이스(301)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부(309)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데드구동프레임(342)의 일면에는 스프링지지대(348)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스프링지지대(348)에는 상기 데드구동프레임(342)을 탄지하는 위치설정스프링(349)이 설치된다. 상기 위치설정스프링(349)은 그 몸체부가 상기 스프링지지대(348)에 설치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돌부(309)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절환아암(322)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위치설정스프링(349)은 상기 데드구동프레임(342)이 설정된 위치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도록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301)의 내부에는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키입력부(112)의 조작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340)의 도어잠금상태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케이스(301)의 내부 일측에 솔레노이드(350)가 설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350)의 동작에 연동되는 절환레버(352)가 힌지축(353)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환레버(352)는 상기 힌지축(353)에 인접한 측에서 탄지부재(354)에 의해 도면 상의 시계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절환레버(352)에는 누름돌기(352P)와 가이드돌기(352G)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데드연동레버(320)상에 힌지축(35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제어레버(35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레버(356)에는 상기 누름돌기(352P)와 연동되는 연동돌기(358)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개폐부재(140)의 구동판(146,146')을 걸어 상기 솔레노이드(350)가 온된 상태에서 래치볼트(330)와 데드볼트(340)를 백세트(300) 내부로 수납시켜 주도록 구성되는 걸림부(359)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어레버(356)는 데드볼트(340)가 백세트(300)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솔레노이드(350)를 온시켜 주면 상기 핸들(120)에 의해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첫번째로, 상기 핸들(120)의 조작에 의해 래치볼트(330)가 백세트(300)의 내외부로 출몰되면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데드볼트(340)가 백세트(30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어를 개폐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핸들(120)을 도면상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상기 회전구동부(1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디스크(130)를 회전시켜 준다. 상기 디스크(130)가 회전되면 상기 디스크(130)의 구동판(137,137')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140)가 회전되어 상기 개폐부재(140)의 구동판(146,14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도 20a에서 도 20b의 상태로 된다. 이때, 상기 캠(170)의 구동돌기(172,172')와 플런저(180)의 연동돌기(182,182')가 연동되어 동작되는 것이 도 20a와 도 20b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0a의 상태(핸들(120)이 수평으로 위치되어 있고 단지 래치볼트(330) 만이 백세트(3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도어를 자유롭게 개방할 수 있는 상태)에서 핸들(120)을 아랫방향으로 45。정도 회전시켜 주면, 상기 핸들(120)의 회전구동부(122)와 디스크(130)가 연동되어 함께 회전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130)가 회전되면, 상기 개폐부재(140)의 통공(142) 내부에 위치되어 개폐부재(140)와 연동된다.
상기와 같이 개폐부재(140)가 동작되면, 상기 구동판(146,146')이 상기 백세트(300) 내부의 래치연동레버(3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이와 같은 래치연동레버(310)가 회전되면 상기 구동아암(314)이 상기 래치볼트구동프레임(331)의 구동바아(332)를 구동시켜 상기 래치볼트구동프레임(331)이 도면 상의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래치볼트(330)을 백세트 내부로 수납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20b의 상태이고, 이때, 상기 핸들(120)을 당겨주면 도어가 열리게 된다.
한편, 상기 래치볼트(330)는 항상 상기 돌출스프링(333)에 의해 케이스(30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지지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핸들(120)을 놓게 되면 상기 핸들(120)이 상기 복귀부재(128)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고, 상기 래치연동레버(310)와 래치구동프레임(331)은 상기 돌출스프링(333)의 복원력에 의해 도면 상의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래치볼트(330)가 케이스(301)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도어를 닫게 되면 상기 래치볼트(330)가 도어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눌러져 밀려지면서 케이스(301)의 내부로 수납되었다가 상기 돌출스프링(333)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돌출되어 도어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게 한다.
두 번째로 키이를 사용하여 도어를 록킹시키거나 해제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때에는 일단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조작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어가 록킹된 상태는 도 20c와 20d의 상태, 즉 데드볼트(340)가 백세트(30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말한다. 이때, 두 도면에서 공통적으로 상기 플런저(180)는 수평방향으로 놓여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외부에서 사용자가 키이를 사용하여 키이실린더(160)를 회전시켜 주거나 내부에서 섬턴(221)을 회전시켜 줌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진다. 먼저 사용자가 외부에서 키이를 사용하여 키이실린더(160)를 동작시켜 주게 되면 키이실린더(160)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는 캠(170)이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플런저(180)를 회전시켜 준다. 이와 같이 플런저(180)가 회전되면 상기 플런저(180)에 삽입되어 있는 연결핀(190)이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백세트(300) 내에서 상기 연결핀(190)이 관통설치되어 있는 데드연동레버(320)가 상기 연결핀(19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절환아암(322)이 상기 데드구동프레임(342)을 도면 상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데드구동프레임(342)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데드볼트(340)가 상기 케이스(301)의 외부로 돌출되어 도 20c의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도어가 잠겨진 상태가 된다.
한편, 내부에서 사용자가 섬턴(220)을 회전시켜 주는 경우에도 상기 섬턴(220)에 의해 연결핀(190)이 회전되고 그 이후의 동작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마지막으로, 상기 키이입력부(112)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핸들(120)을 이용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도 18에 도시된 것은 솔레노이드(350)가 오프된 상태이다. 이때에는 상기 솔레노이드(350)가 오프되어 있어 상기 절환레버(352)가 상기 힌지축(353)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절환레버(352)의 누름돌기(352P)가 상기 잠금핀(356)의 연동돌기(358)를 눌러주지 않게 되어 상기 잠금핀(356)이 상기 힌지핀(357)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핸들(120)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개폐부재(146)의 구동판(146,146')이 상기 안내슬롯(305)을 따라 소정 구간 동안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래치볼트(330)는 상기 핸들(120)의 동작에 연동되어, 도 2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세트(300)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래치볼트(330)가 동작되더라도 상기 데드볼트(340)가 돌출되어 있어 도어의 잠김상태는 계속하여 유지된다.
한편, 상기 도 18의 상태에서에서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12)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350)가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절환레버(352)가 힌지축(35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누름돌기(352P)가 상기 잠금핀(356)의 연동돌기(358)를 눌러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핀(356)이 힌지축(357)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19의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잠금핀(356)의 걸림부(359)에 상기 개폐부재(140)의 구동판(146,146')의 일측이 걸려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120)을 지면에 대해 수평인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약 45。정도 회전시켜 주게 되면, 상기 구동판(146,146')이 회전되면서, 상기 래치연동레버(310)와 데드연동레버(320)를 구동시켜 상기 래치볼트(330)와 데드볼트(340)가 백세트(300)의 내부로 수납되게 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만든다.
이때, 상기 데드연동레버(320)가 함께 동작되는 것은 상기 잠금핀(356)의 연동돌기(358)가 상기 절환레버(352)의 누름돌기(352P)에 의해 눌러지면서 상기 잠금핀(356)의 걸림부(358)가 상기 일측 구동판(146)에 걸려 있게 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구동판(146)이 회전하면서 상기 잠금핀(356)을 함께 회동시켜 상기 절환아암(322)이 상기 데드구동프레임(342)을 도면상의 우측으로 이동시켜 주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350)의 온상태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3초정도)동안만 유지된다. 즉,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소정 시간이 흐르면 자동으로 오프되어 부주의로 비밀번호를 해제한 상태가 지속되지 않도록 한다.
위의 설명과 도 20a,20b,20c,20d에서 알 수 있듯이 핸들(120)이 시계방향으로 약 45。정도 내려지면 상기 캠(170)이 함께 회전되어 도 20b나 도 20d와 같이 되면서 래치볼트(330)가 백세트(300)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도어가 록킹되는 상태는, 키이나 섬턴(220)의 조작에 의해 플런저(180)가 회전되면, 도 20c와 도 20d와 같이 그 연동돌기(182,182')가 수평으로 놓여지게 된다. 또한 도어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는, 키이나 섬턴(220)의 조작에 의해 플런저(180)가 회전되면, 도 20a나 20b와 같이 그 연동돌기가(182,182')가 지표면에 수직인 선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45。정도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볼트(330)가 백세트(300)로부터 돌출된 상태는 도 20a와 도 20c와 같이 캠(170)의 구동돌기(172,172')가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경우이다. 또한 상기 래치볼트(330)가 백세트(300)내에 수납된 상태는 도 20b와 도 20d와 같이 구동돌기(172,172')가 지표면에 대해 수직인 선에 대해 45。정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핸들(120)에 과도한 힘이 주어질 경우에 상기 핸들(120)은 상기 복귀부재(128)와 코일스프링(139)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핸들(120)의 회전구동부(122)에 구비되어 있는 돌출부(126)는 상기 디스크(130)의 가로방향홈(134,134')에 결합된 채 핸들(120)의 회전 시작 시점부터 45。정도 함께 회전한다. 이때는 상기 코일스프링(139)이 상기 디스크(130)에 힘을 가해, 상기 디스크(130)가 상기 핸들(120) 방향으로 밀려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 핸들(120)에 계속하여 과도한 힘이 주어지면서 그 이상 회전하게 되면, 상기 디스크(130)의 걸림돌편(138,138')이 상기 캡(15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154,154')에 걸려지면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120)에 계속하여 힘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디스크(130)와 핸들(120) 사이의 결합을 유지하고 있던 돌출부(126)와 가로방향홈(134,134')의 결합이 해제된다. 즉, 돌출부(126)가 가로방향홈(134,134')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상기 디스크(130)가 상기 코일스프링(139)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밀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디스크(130)와 핸들(12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핸들만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핸들(120)은 90。이상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120)이 90。를 기준으로 그보다 적게 회전되었으면 상기 복귀부재(128)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고, 그보다 많이 회전되었을 때는 원래 위치와 반대편의 수평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핸들(120)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핸들(120)이 파손되거나 핸들(120)과 다른 부품 사이의 결합이 손상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장치를 도어에 설치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편리한 점이 있다. 즉, 도어록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핸들(120)의 회전구동부(122), 디스크(130)(플런저(180),섬턴(220))및 개폐부재(140) 사이의 연결이 일직선이 되어야 한다. 이들 사이가 설치조건에 따라 혹은 사용중에 일직선으로 되지 않게 되면 도어록 장치의 설치가 어려워지고 설치된 후에는 이들 사이의 동력전달이 확실하게 되지 않아 도어록 장치의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디스크(130)를 중심으로 핸들(120)의 회전구동부(122)와 개폐부재(140)가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여유가 있어 이들 사이가 정확하게 일직선으로 일치하지 않더라도 도어록 장치의 동작이나 설치에 문제가 없게 된다.
이는 상기 디스크(130)에 구비되어 있는 가로방향홈(134,134')과 회전구동부(122)의 돌출부(126) 사이의 결합에서 일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여유가 있고, 상기 디스크(130)의 세로방향슬롯(136)과 개폐부재(140)의 결합돌기(144,144') 사이의 결합에서 상기와 수직되는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여유가 있기 때문에 마치 오울댐 커플링과 같은 원리로 일직선 상에 있지 않더라도 이들 사이의 동력전달에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장치는 전체적으로 그 크기가 경박단소화되어 설치되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오울댐 커플링의 원리가 적용되어 설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조작의 편리성이 보다 커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1)

  1. 도어의 잠금을 위한 데드볼트와 도어의 개폐를 위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백세트와,
    상기 백세트의 래치볼트를 구동하는 래치볼트구동수단과,
    상기 래치볼트구동수단과 동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백세트의 데드볼트를 구동하는 데드볼트구동수단과,
    상기 래치볼트구동수단 및 데드볼트구동수단과 연결설치되어 상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동작시키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소정 이상의 힘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구동수단은 상기 핸들과 연결설치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구동부와 소정 구간동안 연동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를 상기 핸들 방향으로 탄성지지하여 주는 탄성부재와, 상기 디스크의 회전과 연동되어 상기 래치볼트를 백세트로부터 출몰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구동수단은 상기 핸들의 회전구동부 내부에 동축으로 설치되어 특정 키이에 의해 회전되는 키이실린더와, 상기 키이실린더와 일체로 동작되는 캠과, 상기 회전구동부 내부에 동축으로 설치되어 상기 캠과 연동되어 키이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와 연결설치되어 상기 백세트의 데드볼트를 동작시키는 연결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회전구동부와 디스크에는 각각 서로 결합되는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핸들이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결합홈으로부터 결합돌기가 빠져나와 디스크가 후퇴되어 핸들 단독으로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구동수단과 데드볼트구동수단 사이의 중심축의 편차를 보정할 수 있는 편차보정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보정부는 상기 핸들의 회전구동부에 구비되어 있는 돌출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디스크의 일면에 형성된 가로방향홈과, 상기 가로방향홈의 진행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디스크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연동돌부가 위치되는 세로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복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지면에 대해 항상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백세트 내부에는 상기 연결핀과 연동되고 상기 핸들에 의한 데드볼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드볼트제어부재와, 상기 데드볼트제어부재의 위치를 절환시켜 주는 절환부재와, 상기 절환부재를 동작시켜 주는 전기적 구동수단이 더 구비되어 상기 데드볼트에 의해 도어가 잠긴 상태에서 상기 핸들에 의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구동수단은 비밀번호기능에 의해 동작되는 솔레노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10. 도어의 잠금을 위한 데드볼트와 도어의 개폐를 위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백세트와,
    상기 백세트의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의 설치 편차를 보정할 수 있는 편차보정부를 더 구비한 인너 및 아웃유니트와,
    상기 인너 및 아웃유니트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상기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동작시키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보정부는 인너유니트와 아웃유니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연동되는 상기 인너 및 아웃유니트 내부에 있는 부재 사이를 오울댐 커플링 구조로 연결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KR1019980021684A 1998-06-11 1998-06-11 도어록장치 KR100278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684A KR100278848B1 (ko) 1998-06-11 1998-06-11 도어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684A KR100278848B1 (ko) 1998-06-11 1998-06-11 도어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421A true KR20000001421A (ko) 2000-01-15
KR100278848B1 KR100278848B1 (ko) 2001-03-02

Family

ID=1953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1684A KR100278848B1 (ko) 1998-06-11 1998-06-11 도어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884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518B1 (ko) * 2001-10-26 2004-05-14 주식회사 뉴웰 디지털 도어록의 키 테일 센터링 구조
KR100439113B1 (ko) * 2001-09-21 2004-07-05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도어록킹장치
KR100453880B1 (ko) * 2001-07-07 2004-10-26 박지순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KR20050097049A (ko) * 2004-03-30 2005-10-07 다이아몬드전자 주식회사 도어락 모티스의 데드볼트 구동력 전달용 플레시블 회전축
KR100810083B1 (ko) * 2007-12-10 2008-03-07 (주)에버넷 도어록 내측몸체의 설치위치 이동장치
KR102384536B1 (ko) * 2022-03-07 2022-04-08 주식회사 귀뚜라미환경테크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세대 내 투입구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058A (ko) * 1995-06-23 1997-01-24 한승준 다용도 역류차단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880B1 (ko) * 2001-07-07 2004-10-26 박지순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KR100439113B1 (ko) * 2001-09-21 2004-07-05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도어록킹장치
KR100431518B1 (ko) * 2001-10-26 2004-05-14 주식회사 뉴웰 디지털 도어록의 키 테일 센터링 구조
KR20050097049A (ko) * 2004-03-30 2005-10-07 다이아몬드전자 주식회사 도어락 모티스의 데드볼트 구동력 전달용 플레시블 회전축
KR100810083B1 (ko) * 2007-12-10 2008-03-07 (주)에버넷 도어록 내측몸체의 설치위치 이동장치
KR102384536B1 (ko) * 2022-03-07 2022-04-08 주식회사 귀뚜라미환경테크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세대 내 투입구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8848B1 (ko) 200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176B1 (ko) 원터치형 도어록
US6047501A (en) Methods of controlling or modifying multi-door electrical equipment enclosures with mechanical door interlocks
KR100872687B1 (ko)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버튼
US4637237A (en) Door locking system
KR100278848B1 (ko) 도어록장치
KR20140148049A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KR101990918B1 (ko)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
KR101370517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KR100432810B1 (ko) 도어 록킹장치
GB2337292A (en) Electromagnetically controlled lock mechansim for switchgear cabinet door
CA2609647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a cam associated with a handle to transmit movements to a latch operating spindle
KR100367928B1 (ko) 도어록 장치
KR200247678Y1 (ko) 배전반용 핸들
KR20000065346A (ko) 배전반용 핸들
KR100706762B1 (ko)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KR100404749B1 (ko) 레버형 도어록
KR200407876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JPH09264084A (ja) 電気錠
KR101440528B1 (ko) 다중 래치 멀티 록 장치
KR100436497B1 (ko) 솔레노이드 잠금장치
KR200252596Y1 (ko) 도어 록킹장치
KR200412403Y1 (ko)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
KR100734030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JPH1046876A (ja) 扉用ハンドル装置
KR101903901B1 (ko) 멀티포인트 잠금구조를 갖는 도어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